플라코스퍼름

Placospermum
플라코스퍼름
Placospermum coriaceum.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순서: 프로테아목
패밀리: 프로테아과
하위 패밀리: 참새아과
부족: 플라코스페르메아과
속: 플라코스퍼름
C.T.화이트 & W.D.프란시스
종:
산호초
이항식 이름
플라코스페르름
C.T.화이트 & W.D.프란시스

플라코스퍼름(Placospermum)은 프로테아과 식물과의 일부를 구성하는 큰 나무의 단일 종속이다.[1][2]플라코스페르름 코리아세움은 호주 퀸즐랜드 북동부의 습한 열대 지방의 열대 우림 지역에 서식한다.[2][3][4]흔한 이름으로는 장미 비단 오크나무와 판씨 오크나무가 있다.[4]

역사

속과 종은 1924년 시릴 T에 의해 정식으로 과학적으로 기술되었다. 화이트윌리엄 D. 프란시스.[2][5]속과의 정확한 관계는 비록 프로테아과 내의 초기 오프슈팅이며 원시적 특성을 유지한 것은 분명하지만, 1975년 "프로테아과: 남쪽 가족의 진화분류"에서 로리 존슨바바라 G. 브릭스(Briggs)가 하위 가문인 페르수니오아이데에에로 분류하기 전까지는 불분명했다.그들은 그것이 페르수니아와 연합군의 그것들과 같은 큰 염색체들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몇 다른 원시적인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6]

설명

2009년 6월 27일 쿠란다, 퀸즐랜드, 플라코스퍼름 코리아세움 사풀링

플라코스퍼름 코리아체나무는 토종 우림에서 높이 100피트(약 30m)까지 자라며 재배면적이 훨씬 작을 것으로 보인다.가장 어린 식물의 잎은 단순하고 없어지지만, 곧 큰 베를 쓴 중간 잎이 나타난다.이것들은 길이가 최대 90cm(36인치)이고 각각 길이가 최대 20cm(8인치)까지 최대 9개의 로브가 있다.성충 잎은 다시 한번 단순하며, 가시가 생기거나 말살되고 길이가 17cm(7인치)까지 길고 가죽이 많다.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경주마로 자란다.[7]3.5-4x3cm 크기의 납작한 타원형 과일 뒤따른다.각각의 씨앗은 많은 씨앗을 포함하고 있다.[4]다른 페르수니아상과와 마찬가지로 플라토스페르름 코리아세움은 대부분의 프로테아과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군집 뿌리가 부족하다.[8]

큰 로베드 미숙한 잎이 매력적인 특징으로 플라토스페르뭄 코리아슘은 실내 식물로 재배되어 왔다.[7]

참조

  1. ^ "Placospermum". Flora of Australia Onlin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n Government.
  2. ^ a b c White, Cyril T.; Francis, William D. (1924). "Contributions to the Queensland Flora No. 2: Placospermum" (digitised, online, incl. p. 81 illustr.).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Queensland for 1923. 35: 79–81.
  3. ^ "Placospermum coriaceum". Flora of Australia Onlin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n Government.
  4. ^ a b c F.A. Zich; B.P.M Hyland; T. Whiffen; R.A. Kerrigan (2020). "Placospermum coriaceum". Australian Tropical Rainforest Plants, Edition 8.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CSIRO). Retrieved 5 March 2021.
  5. ^ Weston, Peter H.; Nigel P. Barker (2006). "A new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Proteaceae, with an annotated checklist of genera". Telopea. 11 (3).
  6. ^ Johnson, Lawrie A. S.; Briggs, Barbara G. (1975). "On the Proteaceae: the evolution and classification of a southern family".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Botany. 70 (2): 83–182. doi:10.1111/j.1095-8339.1975.tb01644.x.
  7. ^ a b Wrigley, John; Fagg, Murray (1991). Banksias, Waratahs and Grevilleas. Sydney: Angus & Robertson. pp. 511–12. ISBN 0-207-17277-3.
  8. ^ Weston, Peter H.; Barker, Nigel P. (2006). "A new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Proteaceae, with an annotated checklist of genera" (PDF). Telopea. 11 (3): 314–344. doi:10.7751/telopea20065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