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토플라스마
Phytoplasma피토플라스마 | |
---|---|
원추꽃의 식물성 플라즈마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필로디(Echinacea purpurea) | |
과학적 분류 | |
도메인: | 박테리아 |
문: | 마이코플라즈마토타 |
클래스: | 연체동물 |
주문: | 아콜레플라스마탈레스 |
패밀리: | 아콜레플라스마과 |
속: | 칸디다투스 피토플라스마 피라오 등2004년[1][2] |
식물성 플라스마는 식물에서 식물로의 전염에 관여하는 식물의 인엽 조직과 곤충 벡터의 필수 세포 내 기생충이다.식물성 플라스마는 1967년 일본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들은 그들을 [3]미코플라스마 같은 유기체라고 불렀다.발견 이후 식물성 플라스마는 무세포 배지에서 시험관내 배양하는 모든 시도를 거부해 왔다. 따라서 인공 배지에서 일상적으로 배양하는 것은 여전히 큰 도전으로 남아 있다.식물성 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없고, 다형 또는 필라멘트 모양이며, 통상 1μm 미만의 지름과 매우 작은 게놈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성 플라스마는 코코넛, 사탕수수, 백단나무 등 농업적으로 중요한 식물의 병원체로, 가벼운 황색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식물성 플라스마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가장 흔하다.그들은 생존하고 복제하는 벡터(일반적으로 잎사귀 같은 수액을 빨아먹는 곤충)에 의해 식물에서 식물로 전염된다.
역사
식물성 플라즈마에 의한 것으로 알려진 질병에 대한 언급은 1603년([4]일본에서는 물베리 왜소병)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이러한 질병은 원래 식물성 플라스마와 같이 곤충 벡터가 필요하고 배양할 수 없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되었다.바이러스 감염과 식물성 감염은 몇 가지 [5]증상을 공유한다.1967년 식물성 플라스마는 식물의 인골조직의 초박형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생리적 [3]유사성 때문에 마이코플라스마 유사 유기체로 불렸다.이 유기체들은 1994년 국제마이코플라스마 [5]기구의 제10차 회의에서 식물성플라스마로 이름이 바뀌었다.
형태학
식물성 플라스마는 세포벽이 [6]아닌 삼층막으로 묶인 몰리쿠테스다.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식물성 플라즈마 세포막은 보통 [7]세포막의 단백질 대부분을 구성하는 알려지지 않은 기능의 단일 면역질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전형적인 식물성 플라즈마는 다형 또는 필라멘트 모양이며 지름이 1μm 미만이다.다른 원핵생물들처럼, 식물성 DNA는 핵에 집중되는 대신 세포질 전체에 분포한다.
증상
식물성 플라스마는 700종 이상의 식물에서 감염되고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한 가지 특징적인 증상은 엽상체, 즉 꽃 대신 잎과 같은 구조의 생성, 꽃잎 [8]세포에 의한 색소 손실에 기인하는 녹색 꽃의 발달 등을 포함한 비정상적인 꽃 기관 발달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물성 플라즈마 하보링 현화 식물은 무균 상태일 수 있다.식물성 플라즈마 감염 [9][10]식물의 형태학적으로 영향을 받는 꽃기관에서 정점근막 유지 또는 꽃기관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변화시킨다.
식물성 플라즈마 감염은 종종 잎의 노란색을 유발하는데, 아마도 인체에 있는 식물성 플라즈마 세포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인체의 기능과 탄수화물 [11]수송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클로로필 생합성을 저해하고, 클로로필 [6]분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증상은 특정 병원학적 과정보다는 감염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식물성 플라즈마에 감염된 많은 식물들은 그들의 정상적인 성장 패턴의 변화로 인해 덤불 모양이나 "도랑자의 빗자루"를 갖게 된다.대부분의 식물은 근첨 우세를 보이지만, 감염은 겨드랑이(측면) 싹의 증식과 절간 [8]크기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증상은 실제로 포인세티아를 상업적으로 생산하는데 유용하다.감염은 더 많은 겨드랑이 싹의 생성을 유발한다; 포인세티아 식물은 따라서 한 송이 이상의 [12]꽃을 생산한다.
이펙터(독성) 단백질
많은 식물 병원체는 병원체의 이익을 위해 정상적인 숙주 과정을 조절하거나 방해하는 독성 인자(즉, 이펙터)를 생성한다.2009년에는 양파의 황색을 유발하는 식물성 플라즈마에서 "텐구수 유도제"(TENGU; C0H5W6)라고 불리는 분비 단백질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최초로 식물성 플라즈마 독성 인자가 설명되었다.천구는 마녀의 빗자루와 [13]왜소증을 포함한 특징적인 증상(천구수)을 유발한다.Arabidopsis 식물에서 TENGU의 트랜스제닉 발현은 수꽃과 [14]암꽃에서 불임성을 유발하였다.TENGU는 N 말단에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분할 후 성숙한 단백질은 길이가 [13]38 아미노산밖에 되지 않습니다.식물성 플라즈마는 인골로 제한되지만, TENGU는 인실에서 선단 및 겨드랑이 [13]연공을 포함한 다른 세포로 운반된다.TENGU는 옥신 및 자스몬산 관련 경로를 모두 억제하여 식물 [13][14]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놀랍게도 성숙한 단백질의 N 말단 11 아미노산 영역은 니코티아나 벤타미아 식물에서 증상 [15]발달을 유발한다.TENGU는 식물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한 생체내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치며, N-말단펩타이드(즉, 11개의 아미노산 단편)만이 관찰된 증상을 유도함을 시사한다.TENGU 호몰로지는 AY-group 식물성 플라스마에서 확인되었습니다.이러한 호몰로지는 모두 처리를 거쳐 증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증상 유발 메커니즘이 TENGU 호몰로지에 [15]보존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2009년, AY-WB(Aster yellows' broom phytoplasma strain, AY-WB)의 게놈에서 56개의 분비단백질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AY-WB 단백질(SAPs)로 명명되어 [16]이펙터로 간주되었다.또한 2009년에는 이펙터 SAP11이 식물 세포핵을 대상으로 하고 AY-WB 감염 식물의 [16]인골 세포에서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AP11은 식물의 줄기 증식과 잎 모양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AP11에 의해 유도되는 줄기 증식은 AY-WB 감염 [17]식물의 마녀 빗자루 증식과 유사하다.또한 SAP11은 식물 등급 II TCP 단백질 도메인 전사 인자와 상호작용하여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는 슈트 증식과 잎 [17][18]모양 변화를 초래한다.TCP는 식물발달의 조절과 더불어 자스모네이트 [19][20]생합성에 필요한 리폭시게나아제 유전자의 발현도 제어한다.AY-WB SAP11 이펙터를 트랜스제닉하게 발현하는 식물플라스마 감염 아라비도시스 식물 및 식물에서 자스모네이트 수치가 감소한다.자스모네이트 생산의 하향 조정은 식물성 플라스마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자스모네이트는 [17][21]잎사귀와 같은 초식성 곤충에 대한 식물 방어에 관여하기 때문이다.리프호퍼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SAP11 생산으로 인해 AY-WB에 감염된 식물에 알을 더 많이 낳는다.예를 들어, 잎사귀 마크로스텔레스 쿼드릴리나투스는 SAP11을 유전자 변형적으로 발현하는 식물에 30%, [22]AY-WB에 감염된 식물에 60% 더 많은 알을 낳았습니다.식물성 플라스마는 외부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없으며 새로운 (건강한) 식물에 전염되기 위해 잎사귀 같은 곤충에 의존합니다.따라서 SAP11은 자스모네이트 생산을 저해함으로써 식물성 플라즈마 감염 식물에 더 많은 알을 낳도록 잎새풀을 '권장'함으로써 새로 부화한 잎새풀은 감염된 식물을 먹이로 하여 식물성 플라즈마 벡터가 됩니다.SAP11 이펙터는 여러 가지 다른 식물성 플라즈마로 식별되며 이러한 이펙터는 TCP와 상호 작용하여 식물 방어를 [23][24][25][26]조절합니다.SAP11은 식물 표적과 이펙터 기능(즉, 병원체에 대한 유익성의 증거)이 확인된 최초의 식물성 플라즈마 독성 단백질이다.TCP 는, 다른 많은 병원체 [27][28]이펙터의 타겟이 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AY-WB 식물성 플라즈마 이펙터 SAP54는 식물에서 발현될 때 발암과 필로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이펙터의 상동체는 적어도 3개의 다른 식물성 [29]플라즈마에서 발견되었다.또한 양파 누런 피토플라스마의 PHYL1과 땅콩PnWB 마녀의 빗자루 피토플라스마의 PHYL1의 2종류의 SAP54 상동성도 필로디 같은 꽃의 [30][31]이상을 유발한다.이러한 결과는 PHYL1, SAP54 및 이들의 상동체가 필로디 유도 유전자 패밀리를 형성하고, 그 구성원을 [30]필로겐이라고 한다.ABCE 모델의 MADS 박스 전사 인자(MTF)는 아라비도시스 꽃의 기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필로겐은 클래스 A 및 클래스 E MTF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적어도 SAP54의 경우 프로테아솜 셔틀 인자 [30][32][33]RAD23과의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유비퀴틴/단백질 의존적인 방식으로 단백질 분해를 유도한다.흥미롭게도, RAD23 돌연변이는 RAD23 단백질이 감수성 인자임을 나타내는 식물성 플라스마에 감염되었을 때 필로디를 나타내지 않는다. 즉, 식물성 플라스마와 SAP54는 필로디 [34]증상을 유도하기 위해 이러한 식물성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PHYL1을 [30]구성하는 Arabidopsis에서는 B급 MTF를 코드하는 mRNA의 축적이 현저하게 감소한다.필로겐은 이러한 MTF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꽃장기의 발달을 유발하며, 또한 RAD23 단백질은 SAP54를 발현하고 AY-WB 식물성 [34][35]플라즈마에 감염된 식물의 리프호퍼 벡터 알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식물간의 이동
식물성 플라스마는 주로 감염된 식물의 인골을 먹고 사는 Cicadellidae, Fulgoridae,[36] Pyllidae의 곤충에 의해 전파되며, 식물성 플라스마를 섭취하여 그들이 먹고 사는 다음 식물에 전염된다.따라서 식물성 플라즈마의 숙주 범위는 곤충 벡터의 범위에 크게 의존합니다.식물성플라스마는 세포표면단백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주요 항원단백질을 포함한다.이 단백질은 곤충 마이크로필라멘트 복합체와 연관되어 곤충과 피토플라스마 [37]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것으로 믿어진다.식물성 플라스마는 곤충 매개체나 여러해살이풀에서 겨울을 날 수 있다.식물성 플라스마는 곤충 숙주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감소와 증가의 예들이 모두 [38]주목되었습니다.
식물성 플라스마는 꽃다발을 통해 곤충의 몸으로 들어가 장을 통과한 후 용혈림으로[38] 이동하여 침샘을 형성합니다. 전체 과정은 3주까지 [38]걸릴 수 있습니다.일단 곤충 숙주에서 확립되면, 식물성 플라스마는 대부분의 주요 장기에서 발견됩니다.곤충에 의한 섭취와 침샘의 감염성 역자 도달 사이의 시간을 [38]잠복기라고 한다.
식물성 플라스마는 또한 도더기(Cuscuta)[39] 또는 감염된 식물 조직을 건강한 식물에 이식하는 것과 같은 식물성 번식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식물 내 이동
식물성 플라즈마는 선원에서 싱크대로 프롤 내에서 이동하며 체 튜브 요소를 통과할 수 있다.그러나 식물성 플라즈마가 용질보다 더 느리게 퍼지고 다른 이유로 인해 식물 내 수동적 전이가 중요하지[40]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검출 및 진단
분자시대 이전에는 식물성 플라즈마로 인한 질병은 배양할 수 없어 진단이 어려웠다.따라서 증상 관찰을 포함한 고전적인 진단 기법을 사용했다.식물성 플라즈마 감염이 의심되는 식물의 인골 조직의 초박형 단면도 [3]연구되었다.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의 경험적 사용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식물성 플라즈마 검출을 위한 분자 진단 기술은 198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효소 연결 면역 흡수 분석(ELISA) 기반 방법을 포함했다.1990년대 초,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반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ELISA보다 훨씬 민감하며 제한 단편 길이 다형성(RFLP)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식물성 플라즈마 균주와 [41]종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더 최근의 기술은 감염 정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한다.양적 PCR과 생체 이미징 모두 [40]식물 내 식물성 플라즈마 티터를 효과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또한 루프 매개 등온증폭(민감하고 단순하며 신속한 진단방법)은 현재 시판 키트로서 이용 가능하며 DNA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알려진 모든 피토플라스마 종을 약 1시간 내에 검출할 수 있다.
식물성 플라즈마는 최근 특정 인공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실험적인 반복은 아직 [42]보고되지 않았다.
통제
식물성 플라스마는 보통 병에 강한 농작물 품종의 사육과 심기와 곤충 [8]벡터의 조절에 의해 조절된다.
조직 배양은 식물성 플라즈마 감염 식물의 건강한 클론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조직 배양 전 저온 요법(즉, 액체 질소에서 식물 샘플을 냉동)은 이러한 방식으로 [43]건강한 식물을 생산할 확률을 높인다.
식물성 플라마를 대상으로 한 플랜티보디도 [44]개발되고 있다.
테트라사이클린은 식물성 플라즈마에 [45]대한 정균성 물질이다.그러나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질병 증상이 다시 나타납니다.따라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은 농업용 방제제는 아니지만 관상용 코코넛 [46]나무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유전학
네 개의 식물성 플라즈마의 게놈은 배열이 결정되었다: "온황",[47] "캐스터 옐로우 마녀의 빗자루," Ca. Phytoplasma australiense,[48][49] Ca.피토플라스마 말리.[50]식물성 플라스마는 GC 함량이 극히 낮은 매우 작은 게놈을 가지고 있다(때로는 생존 가능한 [51]게놈의 낮은 한계치인 23%).사실, 버뮤다 잔디의 하얀 잎 식물성 플라즈마(Ca. P. cynodontis)의 게놈 크기는 530kb에 불과하며, 이는 모든 생물 [52]중에서 알려진 가장 작은 게놈 중 하나이다.더 큰 식물성 플라즈마 게놈의 크기는 약 1350KB이다.피토플라스마의 게놈 크기가 작은 것은 바실러스/클로스트리듐[dubious ] 조상의 환원 진화에 기인한다.식물성 플라스마는 원래 유전자의 75% 이상을 잃었기 때문에 곤충이나 식물의 인두 이외에서는 더 이상 생존할 수 없습니다.몇몇 식물성 플라즈마는 플라스미드와 [53]같은 염색체외 DNA를 포함한다.
그들의 작은 게놈에도 불구하고, 많은 예측된 식물성 플라즈마 유전자들은 여러 개의 복사본으로 존재한다.식물성 플라스마는 표준 대사 기능을 코드하는 많은 유전자가 부족하고 기능적인 상동 재조합 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그들은 두 번째 수송 [48]경로를 가지고 있다.많은 식물성 플라스마에는 2개의 rRNA 오퍼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다른 Mollicutes와 달리, UGA의 트리플렛 코드는 식물성 [54]플라즈마에서 정지 코돈으로 사용됩니다.
피토플라스마 게놈은 많은 트랜스포존과 삽입 배열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역할이 알려지지 않은 PhREPS라고 불리는 독특한 반복성 외원성 회문 계열을 포함하고 있다.그러나 PhREPS의 스템루프 구조는 전사종료 또는 게놈 [55]안정성에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 있다.
분류법
식물성 플라즈마는 단형목 아콜레플라스마탈레스에 [8]속한다.1992년, 연체동물 분류 소위원회는 식물성 연체동물을 참조하기 위해 '미코플라스마 유사 유기체'[56] 대신 '피토플라스마'의 사용을 제안했다.2004년에는 총칭인 Phytoplasma가 채택되어 현재 칸디다투스(Ca.) 상태[2]([57]배양이 불가능한 박테리아에 사용됨)이다.식물성 플라즈마 분류법은 유기체가 배양될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하다. 따라서 원핵생물을 분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8]이용할 수 없다.피토플라스마 분류군은 16S 리보솜 RNA 유전자 배열(RFLP)의 제한 다이제스트 또는 16s/23s 스페이서 영역의 [58]DNA 배열 비교에 의해 생성된 단편 크기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다.16Sr 유전자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제한 다이제스트에 대한 최근 연구는 최대 28개의 [59]그룹을 제안하고 있는 반면, 다른 그룹은 더 많은 하위 그룹을 가진 더 적은 그룹을 제안했다.각 그룹은 적어도 1개의 Ca를 포함한다.식물성 플라즈마 종으로, 독특한 생물학적, 식물병리학적, 유전적 특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종.
2021년 11월[update] 현재, 다음의 이름과 종류 변종은 LPSN,[1] 명명법에 [60]있는 원핵생물 이름 목록인 LPSN에서 왔다.관련 질병 및 16Sr 그룹-하위 그룹 분류는 다양한 [61]출처에서 비롯됩니다.
종명 | 관련 질환 | 활자 변형률 | 16Sr 그룹-서브그룹 |
---|---|---|---|
Ca. P. allocasuarinae Marcone et al.2004 | 알로카사리나 옐로우 | 알로이 | 16 SrXXII-A |
CA. P. Americanum Lee 외 2006 | 미국산 감자 보라색 팽이 시들함 | APPTW12-NE; PPT12-NE | 16SrXVIII-A |
Ca. P. Asteris Lee et al.2004 | 아스터 옐로우 | MIAY; OAY | 16SrI-B |
Ca. P. australicanum corrig.데이비스 외 2012년 (Ca. P. sudamericaum Davis 외 2012년) | 패션 프루트 마녀의 빗자루 | 패스WB-Br3, 패스WB-Br3R | 16SrVI-I |
Ca. P. australasiaticum corrig.White et al. 1998 (Ca. P. australasia White et al. 1998) | 파파야 모자이크 | PpYC | 16 SrII-D |
CA. P. Australiense Davis et al. 1997 | 오스트레일리아산 포도청 황색 | 없음. | 16SrXII-B |
Ca. P. 대뇌막염 교정기Win et al. 2013 (Ca. P. balanitae Win et al. 2013) | 발라나이트 마녀의 빗자루 | 없음. | 16SrV-F |
Ca. P. 브라질리엔스 몬타노 외 2001 | 히비스커스 마녀의 빗자루 | HibWB26 | 16SrXV-A |
Ca. P. Caricae Arocha et al. 2005 | 파파야 번치탑 | 지불하다 | 16SrXVII-A |
Ca. P. castaneae Jung et al. 2002 | 밤마녀의 빗자루 | CnWB | 16SrXIX-A |
CA. P. cirsii 샤파로바 외 2016 | 서슘 황색 및 발작 | CirYS | 16SrXI-E |
Ca. P. citri corrig.Zreik et al. 1995 (Ca. P. aurantifolia Zreik et al. 1995) | 라임 마녀의 빗자루 | WBDL | 16 SrII-B |
Ca. P. cocsnigeriae Firrao et al.2004 | |||
Ca. P. cocostanzaniae Firrao et al.2004 | |||
Ca. P. convolvuli Martini et al. 2012 | 빈드위드 옐로우 | BY-S57/11 | 16SrXIi-H |
Ca. P. 늑골암 Lee et al. | 콩 묘기 | SoyST1c1 | 16 SrXXX-A |
Ca. P. 시노돈티스 마르코네 외2004 | 버뮤다초백엽 | BGWL-C1 | 16SrXIV-A |
Ca. P. 다이시디스 존스 외 2021년 | RID7692 | 16SRIV-? | |
Ca. P. fragariae Valiunas et al. 2006 | 딸기노랑 | 스트로Y; 스트로YR | 16SrXIi-E |
Ca. P. 프락시니 그리피스 외 1999년 | 애쉬 옐로우 | Ashy1; Ashy lT | 16SrVII-A |
Ca. P. graminis Arocha et al. 2005 | 사탕수수 황엽 | 시스템 | 16 SrXVI-A |
CA. P. 히스패닉 데이비스 외 2016 | 멕시코 근린클 바이레센스 | MPV, MPVR | 16SrXII-A |
Ca. P. Japonicum Sawayanagi 외 1999 | 일본산 수국조개 | 없음. | 16SrXIi-D |
Ca. P. luffae Davis et al. 2017 | 루파 마녀의 빗자루 | LfWB; LfWBR | 16SrVII-A |
Ca. P. Lycopersici Arocha et al. 2007 | 토마토 '브로테 그란데' | THP | 16SrI-Y |
Ca. P. malaysianum Nejat et al. 2013 | 말레이시아 근린클 바이레센스 | MaPV; MaPVR | 16 SrXXII-A |
CA. P. 말리 시뮐러와 슈나이더 2004 | 애플의 확산 | AP15 | 16SrX-A |
Ca. P. meliae Ferndez et al. 2016 | 치나베리 옐로잉 | ChTY-Mo3 | 16SrXII-G |
CA. P. noviguineense 미야자키 외 2018년 | 보기아 코코넛 증후군 | BCS-Bo; BCS-BoR | |
CA. P. 오만센스 알 사디 외 2008 | 카시아 마녀의 빗자루 | IM-1 | 16 SrXXIX-A |
CA. P. oryzae Jung 외 2003 | 쌀황색왜성 | RYD-th | 16SrXI-A |
Ca. P. Palmae Firrao et al.2004 | 손바닥 치사 황색 | 16SrIV-D | |
Ca. P. palmicola Harrison et al. 2014 | 코코넛 치사 옐로잉 | LYDM-178, LYDM-178R | 16SrXII-A |
Ca. P. 페니시움 베르딘 외 2003 | 아몬드 마녀의 빗자루 | A4 | 16 SrIX-B |
Ca. P. pini Schneider et al. 2005 | 소나무 마녀의 빗자루 | 핀 127S, 핀 127SR | 16SrXI-A |
CA. P. 프루니 데이비스 외 2013 | 복숭아 X병 | PX11Ct1, PX11CT1R | 16SrII-A |
CA. P. 프루노럼 시뮐러와 슈나이더 2004 | 유럽산 석과류 황색 | ESFY-G1 | 16SrX-B |
CA. P. 피리 시뮐러와 슈나이더 2004 | 배의 쇠락 | PD1 | 16SrX-C |
Ca. P. rhamni Marcone 등2004 | 람누스 마녀의 빗자루 | BAWB; BWB | 16 SrXX-A |
Ca. P. roubi Malembic-Maher 외 2011 | 루버스 묘기 | RuS | 16SrV-E |
Ca. P. sacchari Kirdat et al. 2021 | 사탕수수풀병 | SCGS | 16SrXI-B |
Ca. P. Solani Quaglino et al. 2013 | 스톨버 | 스톨; 스톨11R | 16SrXII-A |
Ca. P. spartii Marcone 등2004 | 스파르티움 마녀의 빗자루 | 스파WB | 16SrX-D |
Ca. P. stylosan this Rodrigues-Jardim et al. 2021 | VPRI 43683 | 16 SrXXXVII-A | |
Ca. P. 타마리시스 자오 외2009 | 소금 삼나무 마녀의 빗자루 | SCWB1; SCWB1R | 16 SrXX-A |
Ca. P. 트리폴리 히루키&왕 2004 | 클로버 증식 | CP | 16SrVI-A |
Ca. P. tritici Zhao 등 2021년 | WBD R | 16SrI-C | |
Ca. P. ulmi Lee 등2004 | 느릅나무 황색 | EY1 | 16SrV-A |
Ca. P. vitis Firrao et al.2004 | 없음. | 16SrV-? | |
Ca. P. wodyetiae Naderali et al. 2017 | 폭스테일 팜 옐로우 감소 | Bangi-2, FPYD Bangi-2R | 16 SrXXVI-A |
Ca. P. ziziphi Jung 외 2003 | 대추 마녀의 빗자루 | JWB; JWB-Ky | 16SrV-B |
갤러리
식물성 플라즈마 질환이 있는 포도 덩굴 식물성 플라즈마
코코넛 야자수 치명적인 황색병으로 사망
테프로시아 퍼퓨레아 마녀의[62] 빗자루
브린잘 작은잎 식물성 플라즈마
잿빛이 도는 식물성 플라즈마로 죽어가는 나무
마녀의 빗자루 증상을 보이는 파르테늄 히스테로포루스 신전
클레오메 점막의 작은 잎병
Catharanthus roseus 고구마 작은잎 식물성 플라즈마 증상
골든로드의 필로디
피토플라스마 오스트랄리엔스에 의해 죽은 배추나무
마녀의 대나무 빗자루(Dendrocalamus strictus)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Genus "Candidatus Phytoplasma"".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Retrieved 21 November 2021.
- ^ a b The IRPCM Phytoplasma/Spiroplasma Working Team - Phytoplasma taxonomy group (2004). "Candidatus Phytoplasma, a taxon for the wall-less, non-helical prokaryotes that colonize plant phloem and insects".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Pt 4): 1243–1255. doi:10.1099/ijs.0.02854-0. PMID 15280299.
- ^ a b c Doi Y, Teranaka M, Yora K, Asuyama H (1967). "Mycoplasma or PLT-group-like organisms found in the phloem elements of plants infected with mulberry dwarf, potato witches' broom, aster yellows or paulownia witches' broom". Annals of the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33 (4): 259–266. doi:10.3186/jjphytopath.33.259.
- ^ Okuda, S (1972). "Occurrence of diseases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s in Japan". Plant Protection. 26: 180–183.
- ^ a b Hogenhout, SA; Oshima K; Ammar E-D; Kakizawa S; Kingdom HN; Namba S (2008). "Phytoplasmas: bacteria that manipulate plants and insects". Molecular Plant Pathology. 9 (4): 403–423. doi:10.1111/j.1364-3703.2008.00472.x. PMC 6640453. PMID 18705857.
- ^ a b Bertamini, M; Grando M. S; Nedunchezhian N (2004). "Effect of phytoplasmal infection on photosystem II efficiency and thylakoid membrane protein changes in field grown apple (Malus pumila) leaves". Physiological and Molecular Plant Pathology. 47 (2): 237–242. doi:10.1006/pmpp.2003.0450.
- ^ Berg, M; Davis DL; Clark MF; Vetten HJ; Maier G; Marcone C; Seemuller E (1999). "Isolation of the gene encoding an immunodominant membrane protein of the apple proliferation phytoplasma, and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ne product". Microbiology. 145 (8): 1939–1943. doi:10.1099/13500872-145-8-1937. PMID 10463160.
- ^ a b c d e Lee, IM; Davis RE; Gundersen-Rindal DE (2000). "Phytoplasma: Phytopathogenic Mollicutes".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Submitted manuscript). 54: 221–255. doi:10.1146/annurev.micro.54.1.221. PMID 11018129.
- ^ Pracros, P; Renaudin J; Eveillard S; Mouras A; Hernould M (2006). "Tomato Flower Abnormalities Induced by Stolbur Phytoplasma Infection Are Associated with Changes of Expression of Floral Development Genes".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19 (1): 62–68. doi:10.1094/MPMI-19-0062. PMID 16404954.
- ^ Himeno, M; Neriya Y; Minato N; Miura C; Sugawara K; Ishii Y; Yamaji Y; Kakizawa S; Oshima K; Namba S (2011). "Unique morphological changes in plant pathogenic phytoplasma-infected petunia flowers are related to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floral homeotic genes in an organ-specific manner". Plant Journal. 67 (6): 971–979. doi:10.1111/j.1365-313X.2011.04650.x. PMID 21605209.
- ^ Muast BE, Espadas F, Talavera C, Aguilar M, Santamaría JM, Oropeza C (2003). "Changes in carbohydrate metabolism in coconut palms infected with the lethal yellowing phytoplasma". Phytopathology. 93 (8): 976–981. doi:10.1094/PHYTO.2003.93.8.976. PMID 18943864.
- ^ Lee, IM; Klopmeyer M; Bartoszyk IM; Gundersen-Rindal DE; Chou TS; Thomson KL; Eisenreich R (1997). "Phytoplasma induced free-branching in commercial poinsettia cultivars". Nature Biotechnology. 15 (2): 178–182. doi:10.1038/nbt0297-178. PMID 9035146. S2CID 11228113.
- ^ a b c d Hoshi, A; Oshima K; Kakizawa S; Ishii Y; Ozeki J; Hashimoto M; Komatsu K; Kagiwada S; Yamaji Y; Namba S (2009). "A unique virulence factor for proliferation and dwarfism in plants identified from a phytopathogenic bacteriu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15): 6416–6421. Bibcode:2009PNAS..106.6416H. doi:10.1073/pnas.0813038106. PMC 2669400. PMID 19329488.
- ^ a b Minato, N; Himeno M; Hoshi A; Maejima K; Komatsu K; Takebayashi Y; Kasahara H; Yusa A; Yamaji Y; Oshima K; Kamiya Y; Namba S (2014). "The phytoplasmal virulence factor TENGU causes plant sterility by downregulating of the jasmonic acid and auxin pathways". Scientific Reports. 4: 7399. Bibcode:2014NatSR...4E7399M. doi:10.1038/srep07399. PMC 4261181. PMID 25492247.
- ^ a b Sugawara, K; Honma Y; Komatsu K; Himeno M; Oshima K; Namba S (2013). "The alteration of plant morphology by small peptides released from the proteolytic processing of the bacterial peptide TENGU". Plant Physiology. 162 (4): 2004–2015. doi:10.1104/pp.113.218586. PMC 3729778. PMID 23784461.
- ^ a b Bai, X; Correa, VR; Toruño, TY; Ammar, el-D; Kamoun, S; Hogenhout, SA (January 2009). "AY-WB phytoplasma secretes a protein that targets plant cell nuclei".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22 (1): 18–30. doi:10.1094/MPMI-22-1-0018. PMID 19061399.
- ^ a b c Sugio, A; Kingdom, HN; MacLean, AM; Grieve, VM; Hogenhout, SA (29 November 2011). "Phytoplasma protein effector SAP11 enhances insect vector reproduction by manipulating plant development and defense hormone biosynthes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8 (48): E1254-63. doi:10.1073/pnas.1105664108. PMC 3228479. PMID 22065743.
- ^ Sugio, A; MacLean, AM; Hogenhout, SA (May 2014). "The small phytoplasma virulence effector SAP11 contains distinct domains required for nuclear targeting and CIN-TCP binding and destabilization". The New Phytologist. 202 (3): 838–48. doi:10.1111/nph.12721. PMC 4235307. PMID 24552625.
- ^ Schommer, C; Debernardi, JM; Bresso, EG; Rodriguez, RE; Palatnik, JF (October 2014). "Re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by miR319-regulated TCP4". Molecular Plant. 7 (10): 1533–44. doi:10.1093/mp/ssu084. PMID 25053833.
- ^ Danisman, S; van der Wal, F; Dhondt, S; Waites, R; de Folter, S; Bimbo, A; van Dijk, AD; Muino, JM; Cutri, L; Dornelas, MC; Angenent, GC; Immink, RG (August 2012). "Arabidopsis class I and class II TCP transcription factors regulate jasmonic acid metabolism and leaf development antagonistically". Plant Physiology. 159 (4): 1511–23. doi:10.1104/pp.112.200303. PMC 3425195. PMID 22718775.
- ^ Kallenbach, M; Bonaventure, G; Gilardoni, PA; Wissgott, A; Baldwin, IT (12 June 2012). "Empoasca leafhoppers attack wild tobacco plants in a jasmonate-dependent manner and identify jasmonate mutants in natural populat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9 (24): E1548-57. Bibcode:2012PNAS..109E1548K. doi:10.1073/pnas.1200363109. PMC 3386116. PMID 22615404.
- ^ Sugio, A; Kingdom HN; MacLean AM; Grieve VM; Hogenhout SA (2011). "Phytoplasma protein effector SAP11 enhances insect vector reproduction by manipulating plant development and defense hormone biosynthes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 (48): E1254–E1263. doi:10.1073/pnas.1105664108. PMC 3228479. PMID 22065743.
- ^ Janik, K; Mithöfer, A; Raffeiner, M; Stellmach, H; Hause, B; Schlink, K (April 2017). "An effector of apple proliferation phytoplasma targets TCP transcription factors-a generalized virulence strategy of phytoplasma?". Molecular Plant Pathology. 18 (3): 435–442. doi:10.1111/mpp.12409. PMC 6638208. PMID 27037957.
- ^ Tan, CM; Li, CH; Tsao, NW; Su, LW; Lu, YT; Chang, SH; Lin, YY; Liou, JC; Hsieh, LC; Yu, JZ; Sheue, CR; Wang, SY; Lee, CF; Yang, JY (July 2016). "Phytoplasma SAP11 alters 3-isobutyl-2-methoxypyrazine biosynthesis in Nicotiana benthamiana by suppressing NbOMT1".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7 (14): 4415–25. doi:10.1093/jxb/erw225. PMC 5301940. PMID 27279277.
- ^ Wang, N; Yang, H; Yin, Z; Liu, W; Sun, L; Wu, Y (December 2018). "Phytoplasma effector SWP1 induces witches' broom symptom by destabilizing the TCP transcription factor BRANCHED1". Molecular Plant Pathology. 19 (12): 2623–2634. doi:10.1111/mpp.12733. PMC 6638060. PMID 30047227.
- ^ Chang, SH; Tan, CM; Wu, CT; Lin, TH; Jiang, SY; Liu, RC; Tsai, MC; Su, LW; Yang, JY (26 November 2018). "Alterations of plant architecture and phase transition by the phytoplasma virulence factor SAP11".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9 (22): 5389–5401. doi:10.1093/jxb/ery318. PMC 6255702. PMID 30165491.
- ^ Mukhtar, MS; Carvunis, AR; Dreze, M; Epple, P; Steinbrenner, J; Moore, J; Tasan, M; Galli, M; Hao, T; Nishimura, MT; Pevzner, SJ; Donovan, SE; Ghamsari, L; Santhanam, B; Romero, V; Poulin, MM; Gebreab, F; Gutierrez, BJ; Tam, S; Monachello, D; Boxem, M; Harbort, CJ; McDonald, N; Gai, L; Chen, H; He, Y; European Union Effectoromics, Consortium.; Vandenhaute, J; Roth, FP; Hill, DE; Ecker, JR; Vidal, M; Beynon, J; Braun, P; Dangl, JL (29 July 2011). "Independently evolved virulence effectors converge onto hubs in a plant immune system network". Science. 333 (6042): 596–601. Bibcode:2011Sci...333..596M. doi:10.1126/science.1203659. PMC 3170753. PMID 21798943.
- ^ Yang, L; Teixeira, PJ; Biswas, S; Finkel, OM; He, Y; Salas-Gonzalez, I; English, ME; Epple, P; Mieczkowski, P; Dangl, JL (8 February 2017). "Pseudomonas syringae Type III Effector HopBB1 Promotes Host Transcriptional Repressor Degradation to Regulate Phytohormone Responses and Virulence". Cell Host & Microbe. 21 (2): 156–168. doi:10.1016/j.chom.2017.01.003. PMC 5314207. PMID 28132837.
- ^ MacLean, A. M.; Sugio, A.; Makarova, O. V.; Findlay, K. C.; Grieve, V. M.; Toth, R.; Nicolaisen, M.; Hogenhout, S. A. (2011). "Phytoplasma effector SAP54 induces indeterminate leaf-like flower development in Arabidopsis plants". Plant Physiology. 157 (2): 831–841. doi:10.1104/pp.111.181586. PMC 3192582. PMID 21849514.
- ^ a b c d Maejima, K; Iwai R; Himeno M; Komatsu K; Kitazawa Y; Fujita N; Ishikawa K; Fukuoka M; Minato N; Yamaji Y; Oshima K; Namba S (2014). "Recognition of floral homeotic MADS-domain transcription factors by a phytoplasmal effector, phyllogen, induces phyllody". Plant Journal. 78 (4): 541–554. doi:10.1111/tpj.12495. PMC 4282529. PMID 24597566.
- ^ Yang, CY; Huang YH; Lin CP; Lin YY; Hsu HC; Wang CN; Liu LY; Shen B; Lin SS (2015). "MiR396-targeted SHORT VEGETATIVE PHASE is required to repress flowering and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bnormal flower symptoms by the PHYL1 effector". Plant Physiology. 168 (4): 1702–1716. doi:10.1104/pp.15.00307. PMC 4528741. PMID 26103992.
- ^ MacLean, Allyson M.; Orlovskis, Zigmunds; Kowitwanich, Krissana; Zdziarska, Anna M.; Angenent, Gerco C.; Immink, Richard G. H.; Hogenhout, Saskia A. (2014). "Phytoplasma Effector SAP54 Hijacks Plant Reproduction by Degrading MADS-box Proteins and Promotes Insect Colonization in a RAD23-Dependent Manner". PLOS Biology. 12 (4): e1001835. doi:10.1371/journal.pbio.1001835. PMC 3979655. PMID 24714165.
- ^ Maejima, K; Kitazawa Y; Tomomitsu T; Yusa A; Neriya Y; Himeno M; Yamaji Y; Oshima K; Namba S (2015). "Degradation of class E MADS-domain transcription factors in Arabidopsis by a phytoplasmal effector, phyllogen". Plant Signaling & Behavior. 10 (8): e1042635. doi:10.1080/15592324.2015.1042635. PMC 4623417. PMID 26179462.
- ^ a b MacLean, AM; Sugio, A; Makarova, OV; Findlay, KC; Grieve, VM; Tóth, R; Nicolaisen, M; Hogenhout, SA (October 2011). "Phytoplasma effector SAP54 induces indeterminate leaf-like flower development in Arabidopsis plants". Plant Physiology. 157 (2): 831–41. doi:10.1104/pp.111.181586. PMC 3192582. PMID 21849514.
- ^ Orlovskis, Z; Hogenhout, SA (2016). "A Bacterial Parasite Effector Mediates Insect Vector Attraction in Host Plants Independently of Developmental Changes". Frontiers in Plant Science. 7: 885. doi:10.3389/fpls.2016.00885. PMC 4917533. PMID 27446117.
- ^ Weintraub, Phyllis G.; Beanland, LeAnn (2006). "Insect vectors of phytoplasma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1: 91–111. doi:10.1146/annurev.ento.51.110104.151039. PMID 16332205.
- ^ Suzuki, S.; Oshima, K.; Kakizawa, S.; Arashida, R.; Jung, H.-Y.; Yamaji, Y.; Nishigawa, H.; Ugaki, M.; Namba, S. (2006). "Interactions between a membrane protein of a pathogen and insect microfilament complex determines insect vector specifici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3 (11): 4252–4257. doi:10.1073/pnas.0508668103. PMC 1449679. PMID 16537517.
- ^ a b c d Christensen N, Axelsen K, Nicolaisen M, Schulz A (2005). "Phytoplasma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hosts". Trends in Plant Science. 10 (11): 526–535. doi:10.1016/j.tplants.2005.09.008. PMID 16226054.
- ^ Carraro, L.; Loi, N.; Favali, M. A.; Favali, M. A. (1991).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lover phyllody agent by dodder". Journal of Phytopathology. 133: 15–22. doi:10.1111/j.1439-0434.1991.tb00132.x.
- ^ a b Christensen NM, Nicolaisen M, Hansen M, Schulz A (2004). "Distribution of phytoplasmas in infected plants as revealed by real time PCR and bioimaging".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17 (11): 1175–1184. doi:10.1094/MPMI.2004.17.11.1175. PMID 15553243.
- ^ Chen; et al. (1992).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lant and insect mollicutes". The Mycoplasmas. 5: 393–424.
- ^ Contaldo, N.; Bertaccini, A.; Paltrinieri, S.; Windsor, H.M.; Windsor, G.D. (2012). "Axenic culture of plant pathogenic phytoplasmas". Phytopathologia Mediterranea. 51 (3): 607–617. doi:10.14601/Phytopathol_Mediterr-11773 (inactive 31 July 2022).
{{cite journal}}
: CS1 유지 : 2022년 7월 현재 DOI 비활성화 (링크) - ^ 왕 외(2007) 샷팁 극저온요법으로 고구마 리틀 납을 효과적으로 제거.식물병리학 온라인 조기판
- ^ Chen, Y. D.; Chen, T. A. (1998). "Expression of engineered antibodies in plants: A possible tool for spiroplasma and phytoplasma disease control". Phytopathology. 88 (12): 1367–1371. doi:10.1094/PHYTO.1998.88.12.1367. PMID 18944841.
- ^ Davies, R. E.; Whitcomb, R. F.; Steere, R. L. (1968). "Remission of aster yellows disease by antibiotics". Science. 161 (3843): 793–794. Bibcode:1968Sci...161..793D. doi:10.1126/science.161.3843.793. PMID 5663807. S2CID 46249624.
- ^ 인간을 위한 약물이 야자수 병을 검사한다.뉴욕타임스 1983년 7월 19일
- ^ Oshima K, Kakizawa S, Nishigawa H, Jung HY, Wei W, Suzuki S, Arashida R, Nakata D, et al. (2004). "Reductive evolution suggested from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plant-pathogenic phytoplasma". Nature Genetics. 36 (1): 27–29. doi:10.1038/ng1277. PMID 14661021. S2CID 572757.
- ^ a b Bai X, Zhang J, Ewing A, Miller SA, Jancso Radek A, Shevchenko DV, Tsukerman K, Walunas T, et al. (2006). "Living with Genome Instability: the Adaptation of Phytoplasmas to Diverse Environments of Their Insect and Plant Hosts". Journal of Bacteriology. 188 (10): 3682–3696. doi:10.1128/JB.188.10.3682-3696.2006. PMC 1482866. PMID 16672622.
- ^ Tran-Nguyen, LT; Kube, M; Schneider, B; Reinhardt, R; Gibb, KS (2008). "Comparative Genome Analysis of "Candidatus Phytoplasma australiense" (Subgroup tuf-Australia I; rp-A) and "Ca. Phytoplasma asteris" Strains OY-M and AY-WB" (PDF). Journal of Bacteriology. 190 (11): 3979–91. doi:10.1128/JB.01301-07. PMC 2395047. PMID 18359806.
- ^ Kube, M; Schneider, B; Kuhl, H; Dandekar, T; Heitmann, K; Migdoll, AM; Reinhardt, R; Seemüller, E (2008). "The linear chromosome of the plant-pathogenic mycoplasma 'Candidatus Phytoplasma mali'". BMC Genomics. 9 (1): 306. doi:10.1186/1471-2164-9-306. PMC 2459194. PMID 18582369.
- ^ Dikinson, M. Molecular Plant Pathics (2003) BIOS 사이언티픽 퍼블리셔
- ^ Marcone, C; Neimark H; Ragozzino A; Lauer U; Seemüller E (1999). "Chromosome Sizes of Phytoplasmas Composing Major Phylogenetic Groups and Subgroups". Phytopathology. 89 (9): 805–810. doi:10.1094/PHYTO.1999.89.9.805. PMID 18944709.
- ^ Nishigawa; et al. (2003). "Complete set of extrachromosomal DNAs from three pathogenic lines of onion yellows phytoplasma and use of PCR to differentiate each line". Journal of General Plant Pathology. 69: 194–198.
- ^ Razin S, Yogev D, Naot Y (1998). "Molecular Biology and Pathogenicity of Mycoplasma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62 (4): 1094–1156. doi:10.1128/MMBR.62.4.1094-1156.1998. PMC 98941. PMID 9841667.
- ^ Jomantiene R, Davis RE (2006). "Clusters of diverse genes existing as multiple, sequence variable mosaics in a phytoplasma genomes". FEMS Microbiology Letters. 255 (1): 59–65. doi:10.1111/j.1574-6968.2005.00057.x. PMID 16436062.
- ^ 연체동물 분류 소위원회1992년 8월 1일과 2일 아이오와주 에임스[permanent dead link] 임시 회의록 J. Syst. 박테리올1993년 4월, 394–397페이지; 제43권, 제2호 (의사록 10 및 25 참조)
- ^ Murray, R. G. E.; Stackebrandt, E. (1995). "Taxonomic Not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al Status Candidatus for Incompletely Described Procaryo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45 (1): 186–187. doi:10.1099/00207713-45-1-186. ISSN 0020-7713. PMID 7857801.
- ^ Hodgetts, J.; Ball, T.; Boonham, N.; Mumford, R.; Dickinson, M. (2007). "Taxonomic grouping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16s/23s spacer regions which shows greater variation than the normally used 16srRNA gene results in classification similar to that derived from 16s rRNA data but with more detailed subdivisions". Plant Pathology. 56 (3): 357–365. doi:10.1111/j.1365-3059.2006.01561.x.
- ^ Wei W, Davis RE, Lee IM, Zhao Y (2007). "Computer-simulated RFLP analysis of 16S rRNA genes: identification of ten new phytoplasma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7 (Pt 8): 1855–1867. doi:10.1099/ijs.0.65000-0. PMID 17684271.
- ^ Parte, A.C.; Sardà Carbasse, J.; Meier-Kolthoff, J.P.; Reimer, L.C.; Göker, M. (2020).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moves to the DSMZ".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70 (11): 5607–5612. doi:10.1099/ijsem.0.004332. PMC 7723251. PMID 32701423.
- ^ "Phytoplasma classification". EPPO Global Database. 2020. Retrieved 22 November 2021.
- ^ Yadav, A.; Bhale, U.; Thorat, V.; Shouche, Y. (2014). "First Report of new subgroup 16SrII- M 'Candidatus Phytoplasma aurantifolia' associated with witches' broom on Tephrosia purpurea in India". Plant Disease. 98 (7): 990. doi:10.1094/PDIS-11-13-1183-PDN. PMID 30708921.
외부 링크
- 피토플라스마 분류이피 분류기
- 곤충학 회보 제60-2권 2007년 제1회 국제식물플라스미스트 워킹그룹 회의 발표
- 식물성 플라즈마 감염 식물 사진 갤러리
- 피토플라스마 리소스 및 피토플라스마 분류 데이터베이스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는 이 주제에 대한 유익한 사이트를 공개합니다.
- 제1회 식물병원성 몰리큐트 인터넷 컨퍼런스에는 이 주제에 관한 몇 가지 흥미로운 기사가 포함되어 있다.
- 피토플라스마 게놈 프로젝트
- 야후 관련 토론 그룹과 함께 코코넛 필살 옐로잉에 대한 정보 센터.
- Melia 노란색 증상 비디오
- 옥수수 덤불 스턴트 증상 비디오
- Norwich Research Park의 식물성 플라스마 연구 현황
- 피토플라스마 유니버설 검출 키트 일본진 주식회사
- Davis, R. E.; Sinclair, W. A. (1998). "Phytoplasma Identity and Disease Etiology". Phytopathology. 88 (12): 1372–1376. doi:10.1094/PHYTO.1998.88.12.1372. PMID 18944842. Retrieved 19 Novemb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