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기반 주의
Object-based attention객체 기반 주의란 공간적 또는 특징적 표현을 수반하는 관계와는 대조적으로 '객체' 표현과 시각적으로 자극된 선택적 주의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선택적 주의는 반드시 상호 [1]배타적인 것은 아니다.물체 기반 주의에 대한 연구는 주의력이 선택된 물체의 감각적 표현 품질을 향상시키고, 그 물체의 [2]특징에 대한 향상된 처리를 가져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물체'의 개념, 즉 물체 기반의 주의는 보고 만질 수 있는 물리적인 것 이상을 수반합니다.공선성, 폐쇄성 및 [3]대칭성과 같은 게슈탈트 요인에 의해 일관성 있게 조직된 시야(자극)의 요소 또는 지각 단위 또는 그룹을 포함한다.
역사
초기 연구자들은 처음에 공간 기반 고려가 시각적 관심의 원동력이라고 가정했지만, 그들의 관점은 관심이 선택하는 "[4]물건"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이 객체 기반의 초점 카너먼 및에서 Henik의 유도식 질문:“그것을 선택한다면 주의가 자극을 선택하면 무엇이 자극?”확대되었다.[5]과 그들이 고려한 관심 또한, 주의력과 객체 기반의 우주 이론 사이에는 던컨의이고 명시적인 영향력 있는 묘사를 통해 현재 stat에 object-driven 수 있다.이 [1]: 1 기사에 소개되어 있습니다.객체 기반 주의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큐잉 연구의 전형적인 예는 Egly, Driver 및 [6]Rafal이었다.그들의 결과는 큐가 있는 물체에 위치한 표적을 감지하는 것이 큐가 없는 물체에 있는 표적을 찾는 것보다 더 빠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관련, Duncans의 노력은[1]: 2 나중에 Vecera & Farah의 발견으로[7] 입증되었다. 형상 판별 작업은 객체 기반 표현에 의존하며, 이는 다시 객체 기반 주의 효과를 가져온다.
시각 처리에 대한 객체 기반 주의 지침의 기여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객체 기반 및 공간 기반 지각 표현 모두 현재 시각 주의 [8]선택 모델에 포함되어 있다.
객체 기반 어텐션의 특성과 효과
객체 기반 [9]주의의 성격과 효과를 고려할 때, 세 가지 연구 이론이 일반적으로 [10]언급된다; 이것들은 아래에 제시된다.다음으로 기억력에 대한 객체 기반 주의의 강화 효과와 특정 종류의 시각적 검색 중 그 억제 효과를 고려한다.
주의 분산
첫 번째 이론은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물체가 의식과 무의식의 [11]주의력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합니다.따라서 객체의 한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면 정확도[12] 또는 응답 시간 [13]측면에서 동일한 객체의 다른 측면(현재 작업과 [5]: 1 무관한 측면 포함)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시각적 검색에서 두 개의 피쳐를 찾는 경우 두 개의 피쳐가 서로 다른 [14][15]개체로 분리된 두 개의 피쳐가 아닌 두 개의 피쳐가 모두 동일한 개체에서 발생할 때 더 효율적입니다.또, 이전에 출석한 오브젝트를 재시청할 때, 그 오브젝트의 표현(형상, 색상, 방향 등)과 프리뷰한 [16]오브젝트 사이에 연속성이 있으면, 인식 속도가 빨라진다.
오리엔테이션
두 번째 이론은 객체 기반 주의력이 객체 간보다 객체 내에서 더 빨리 이동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Egly와 동료는 정상 참가자와 두정골 손상 [6]: 1 환자를 모두 포함하는 큐 반응 시간 작업에서 이러한 시각적 방향성의 객체 기반 구성요소에 대한 증거를 제공했다.그 연장선상에서, 연구는 물체들 사이에서 대상을 찾을 때,[17] 물체들 사이에서보다는 같은 물체 안에서 시선을 옮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만기
세 번째 이론은 측면 산만기(예: 시각적 장면 혼잡 또는 소음)가 존재할 때 물체 기반 주의의 간섭이 더 크다고 주장한다.특히, 이러한 산만 요소가 다른 물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참석한 물체 또는 물체 그룹에 속하는 경우(소음 유사),[18] 물체 자체의 구별되는 특성(예: 색상, 움직임 방향, 모양, 방향)에 관계없이.영향을 주는 요소는 오브젝트 형태의 표현이 비주얼 [19]서치의 의도된 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주의를 끌 수 있다는 것이다.따라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산만기와 대상 물체 간의 지각적 유사성이 시각적 검색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산만기 간의 유사성이 증가하면 검색 효율성이 증가한다.마찬가지로, 시각적 검색 효율은 대상이 [20][21]산만기와 덜 유사할수록 증가합니다.
기억
객체 기반 주의가 메모리에 미치는 영향도 점점 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Bao와 동료들에 의해 수행된 세 가지 실험은 다른 정보를 하나의 물체에 결합하는 것이 외부 시각 주의와 내부 기억 [22]주의 사이의 관계를 제시하면서 작업 기억 내에서 그 정보의 조작을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오브젝트 베이스의 외인성 주의에 관한 연구에서도, 인식 메모리의 동시 강화가 확인되어 정보 검색의 효율이 향상되고 있습니다.이는 메모리 형성이 부수되는 태스크와 무관한 시각적 장면의 변경과 동시에 부호화되었을 때 발생하였습니다.단, 둘 다 참석 [23]객체에 제시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반환 금지
객체 기반 주의력 또한 억제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Posner와 Cohen은 최초 [24]큐잉 후 타겟(객체)이 나타날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300밀리초 이상이면 큐잉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시각적 검색 반응 시간이 큐잉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이를 리턴 패러다임의 억제라고 한다: "말초(즉, 외인성) 신호 또는 [24]: 1 표적에 의해 생성된 억제 효과".클라인은 복귀 억제가 "억제 태그"[25]의 결과로 이전에 검색된 시야에서 다시 검색하지 못하게 하는 메커니즘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객체 기반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의력 전개는 관찰자의 목표와 기대, 그리고 [26]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공동으로 결정된다.
단서 및 주의 집중
외인성(주변) 또는 내인성(중심)의 신호 종류는 시각적 검색에서 객체 기반 주의의 역할에 차등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Chen은 물체 기반 효과가 외인성 [10]: 1 단서에서는 발견되었지만 내인성 단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그러나 이 발견에 대한 추가 연구는 사용된 큐의 종류보다는 큐가 오브젝트 기반 효과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오히려 주의 집중의 범위임을 시사한다.대상 효과는 외인성 단서의 말초적 특성이 중심 유형 [27]단서에 의해 일반적으로 유도되는 좁은 주의 초점과 비교하여 광범위한 주의 초점의 사용을 자극하는 데 책임이 있을 때 덜 포착된다.Chen & [28]Cave 등의 '주의 집중의 연장' 대 '큐의 유형' 토론에서 확인된 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이 [29]신호에 주의를 기울이는 동안 광범위한 주의 집중을 채택할 때 내생적 단서의 경우에도 객체 기반 효과가 뚜렷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표현 품질
물체의 지각적 표현은 물체에 기초한 주의를 이끌어내고 시각적 검색에 사용하기 위해 충분히 정의되어야 한다(실현 가능한 물체 표현).이러한 표현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는 객체 기반의 지각 representation—longer 항공을 생산해 내기 위해 제시되게 하는 자극의 지속 시간 일반적으로 더;[30]더‘완전한’ 은 객체 기반의 표현을 더 좋게 예를 들어, 라이저로 윤곽에 반대하는 폐쇄된, 개체의 표현에서[31일]더 큰 균일성은 또한 effec 믿을 만하다.tive, e예를 들어,[32] 표현 전체의 색채와 휘도의 일관성. 낮은 지각 하중의 경우, 큐드 물체를 따라 주의를 분산시키는 데 있어 물체 기반 주의력에 조절 효과가 있는 지각 하중의 양(물체 기반 주의력 [33]계정을 지원하는 결과).
객체 기반 주의 효과를 유발하는 메커니즘
시각 시스템은 모든 입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주의 프로세스는 일부 입력을 다른 입력보다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러한 선택은 개별 [1]: 3 [9]: 1 객체뿐만 아니라 공간적[34] 위치를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물체에 [10]: 2 대한 선택적 주의에 기여하는 세 가지 메커니즘이 가정된다.
감각 강화
객체 기반 주의 효과는 주의 확산(객체 유도 공간 선택)[8]: 1 으로 인한 객체의 개선된 감각 표현에 기인한다.[9]: 1 물체의 어느 위치에 주의를 기울일 때, 그 물체의 다른 위치도 (향상된 감각 [35]처리를 통해) 주목적인 이점을 얻는다.1개의 오브젝트에 속하는2개 이상의 피쳐는 [36][37]다른 오브젝트에 속하는 피쳐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된다.움직임 속도와 같은 물체의 단일 시각적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면 색상과 같은 다른 작업 관련 특징에 자동으로 주의를 옮길 수 있습니다.동물에서 뉴런 반응을 측정하는 연구는 [38][39][40]주의력이 물체 내에서 확산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했다.
주의의 우선 순위
시각적 검색의 순서는 객체 기반 효과의 발현에 중요하다.오브젝트 기반의 주의적 이점은 이미 출석한 오브젝트 내의 위치에 할당된 주의적 우선순위가 높아짐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즉, 시각적인 검색은 이미 출석한 [41][42]오브젝트 내의 위치부터 디폴트로 개시됩니다.이 우선순위 계정은 주의의 주효과는 주의 검색의 분석을 명령하는 것이며, 참석 객체는 무인 객체보다 먼저 처리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참석 객체의 현재 무인 부분이 다른 무인 부분보다 먼저 검색될 것이라고 제안한다.ded [43]오브젝트단, 옵서버가 암묵적인 구성 스캔 전략(주재 객체 내의 미참석 로케이션이 높은 우선순위를 받는다) 또는 암묵적인 컨텍스트 스캔 전략(객관적으로 높은 확률 로케이션이 높은 우선순위를 받는다) 중 하나를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작업을 [41]: 1 수행합니다.
주의 이동
Lamy와 Egeth는 작업 중 주의 이동이 필요할 때 객체 기반 주의 효과를 발견했지만, 이동이 [44]필요하지 않을 때는 주의 효과가 없었다.주의력 이동은 객체 내부가 아닌 객체 간 전환 비용이 세 가지 개별 [45]구성요소로 인해 발생한다는 이론을 세운다.주의가 필요한 경우 발생하는 주의 조작은 다음과 같습니다.현재 객체에서 해제(해제), 최초 주의 객체 이외의 다른 위치로 리디렉션(스위치)한 후 새 객체에 다시 연결(주의 재초점 전환)됩니다.게다가, 브라운과 데니는 3단계에서 물체에서 주의를 분리하는 데 한 장소에서 주의를 분리하거나 물체 내에서 주의를 이동하는 것보다 더 오랜 응답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들은 장소로부터 주의를 옮기는 것보다 물체로부터 주의를 옮길 때 별도의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ation.[46]
객체 기반 주의의 신경 상관
주의력이 얼굴과 집과 같이 공간적으로 중첩된 지각 물체 사이에서 이동할 때, 사건 관련 기능 자기 공명 영상(fMRI)은 후방 두정골 및 전방 두정골 영역에서 과도 전달 활동을 드러낸다. 후자의 영역은 공간 주의를 조절한다.피질 활동의 시간 경로는 이러한 뇌 영역이 주의력 제어 [47]과정에서 수행하는 기능적 역할을 보여줍니다.
최근 연구에서 Baldauf와 Desimone은 전두피질의 영역인 하전전방접합부(IFJ)가 관련 객체 [9]: 1 정보를 나타내는 IT 피질 내의 각 네트워크와 선택적으로 동기화함으로써 객체 기반 주의의 하향식 가이던스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객체 기반 주의 효과는 객체 인식 및 형태 [48]표현과 관련된 시각적 흐름인 복부 스트림에서 매개된다고 생각된다.이러한 예측은 복부 스트림의 형상 표현이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등부 스트림의 형상 표현은 [48]: 1 [49][50]동작을 안내하는 시각 시스템의 모델에 기초한다.
그녀의 복부 시각 흐름의 측면 후두엽(LO) 영역에 양쪽 손상을 입은 "DF"와 관련된 2009년 사례 연구는 그녀가 정상적인 공간 지향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그녀의 주의력 배치는 물체의 표시에 전혀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DF는 물체 간 주의 이동이나 그림 비교에 대해 일반적인 장점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정상적인 물체 기반 주의 [48]: 2 효과의 부재를 나타내는 명확한 지표였다.
레퍼런스
- ^ a b c d Duncan, J. (1984). "Selective attention and the organization of visual information"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3 (4): 501–517. doi:10.1037/0096-3445.113.4.501. PMID 6240521. Retrieved 18 May 2013.
- ^ Desimone, R.; Duncan, J. (1995). "Neural Mechanism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PDF).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8: 193–222. doi:10.1146/annurev.ne.18.030195.001205. PMID 7605061. Retrieved 18 May 2013.
- ^ Kimchi, R.; Yeshurun, Y.; Cohen-Savransky, A. (2007). "Automatic, stimulus-driven attentional capture by objecthood".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4 (1): 166–172. doi:10.3758/BF03194045. PMID 17546748.
- ^ Egeth, H.E.; Yantis, S. (1997). "Visual attention: Control, representation, and time course" (PDF).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8 (1): 269–297. doi:10.1146/annurev.psych.48.1.269. PMID 9046562. Retrieved 30 May 2013.[영구 데드링크]
- ^ a b Kahneman, D.; Henik, A. (1981). "Perceptual organization and attention". In Perceptual Organization. Hillsdale, NJ: Erlbaum. 1: 181–211.
- ^ a b Egly, R.; Driver, J.; Rafal, R. D. (1994). "Shifting visual attention between objects and locations: Evidence from normal and parietal lesion subjects"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3 (2): 161–177. doi:10.1037/0096-3445.123.2.161. Retrieved 30 May 2013.
- ^ Vecera, S.P.; Farah, M.J. (1994). "Does visual attention select objects or loc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3 (2): 146–60. doi:10.1037/0096-3445.123.2.146. PMID 8014610.
- ^ a b Drummond, L.; Shomstein, S. (2010). "Object-based attention: Shifting or uncertainty?" (PDF).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27 (7): 1743–1755. doi:10.3758/APP.72.7.1743. PMID 20952774. Retrieved 30 May 2013.
- ^ a b c d Baldauf D, Desimone R (Mar 2014). "Neural mechanisms of object-based attention". Science. 344 (6182): 424–427. Bibcode:2014Sci...344..424B. doi:10.1126/science.1247003. PMID 24763592. S2CID 34728448.
- ^ a b c Chen, Z. (2012). "Object-based attention: A tutorial review" (PDF).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4 (5): 784–802. doi:10.3758/s13414-012-0322-z. PMID 22673856. Retrieved 18 May 2013.
- ^ Neisser, U.; Becklen, R. (1975). "Selective looking: Attending to visually specified events". Cognitive Psychology. 7 (4): 480–494. doi:10.1016/0010-0285(75)90019-5. S2CID 54274530.
- ^ Kramer, A. F.; Weber, T. A.; Watson, S. E. (1997). "Object-based attentional selection-Grouped arrays or spatially invariant representations?: Comment on Vecera and Farah (1994)".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6 (1): 3–13. doi:10.1037/0096-3445.126.1.3.
- ^ Chen, Z. (2000). "An object-based cost of visual filter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62 (3): 482–495. doi:10.3758/bf03212100. PMID 10909239. Retrieved 30 May 2013.
- ^ Goldsmith, M. (1998). "What's in a location? Comparing object-based and space-based models of feature integration in visual sear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7 (2): 189–219. doi:10.1037/0096-3445.127.2.189.
- ^ Rodrıguez, V.; Valdés-Sosa, M.; Freiwald, W. (2002). "Dividing attention between form and motion during transparent surface perception" (PDF). Cognitive Brain Research. 13 (2): 187–193. doi:10.1016/s0926-6410(01)00111-2. PMID 119589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1 October 2008. Retrieved 30 May 2013.
- ^ Kahneman, D.; Treisman, A.; Gibbs, B. J. (1992). "The reviewing of object files: Object-specific integration of information" (PDF). Cognitive Psychology. 24 (2): 175–219. doi:10.1016/0010-0285(92)90007-o. PMID 1582172. S2CID 268806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1 September 2017. Retrieved 30 May 2013.
- ^ Theeuwes, J.; Mathôt, S.; Kingstone, A. (2010). "Object-based eye movements: The eyes prefer to stay within the same object".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2 (3): 597–601. doi:10.3758/APP.72.3.597. PMID 20348565.
- ^ Eriksen, B. A.; Eriksen, C. W. (1974). "Effects of noise letters upon the identification of a target letter in a nonsearch task". Perception & Psychophysics. 16 (1): 143–149. doi:10.3758/BF03203267.
- ^ Yeshurun, Y.; Kimchi, R.; Sha'shoua, G.; Carmel, T. (2008). "Perceptual objects capture attention". Journal of Vision. 8 (6): 1122. doi:10.1167/8.6.1122.
- ^ Duncan, J.; Humphreys, G. W. (1989). "Visual search and stimulus similarity" (PDF). Psychological Review. 96 (3): 433–458. doi:10.1037/0033-295x.96.3.433. PMID 2756067. Retrieved 30 May 2013.
- ^ Duncan, J.; Humphreys, G. W. (1992). "Beyond the search surface: visual search and attentional engagemen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8 (2): 578–588. doi:10.1037/0096-1523.18.2.578. PMID 1593236.
- ^ Bao, M.; Li, Z. H.; Zhang, D. R. (2007). "Binding facilitates attention switching within working memory"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3 (5): 959–69. doi:10.1037/0278-7393.33.5.959. PMID 17723072. Retrieved 30 May 2013.
- ^ Ohyama, J.; Watanabe, K. (2010). "Exogenous temporal cues enhance recognition memory in an object-based manner".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2 (8): 2157–2167. doi:10.3758/BF03196691. PMID 21097859.
- ^ a b Posner, M. I.; Cohen, Y (1984). "Components of visual orienting" (PDF). Attention and Performance X: Control of Language Processe. 32: 531–556. Retrieved 30 May 2013.
- ^ Klein, Raymond (1988). "Inhibitory tagging system facilitates visual search". Nature. 334 (6181): 430–431. Bibcode:1988Natur.334..430K. doi:10.1038/334430a0. PMID 3405288. S2CID 4367397.
- ^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NY: Henry Holt and Company.
- ^ Goldsmith, M.; Yeari, M (2003). "Modulation of object-based attention by spatial focus under endogenous and exogenous orient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9 (5): 897–918. doi:10.1037/0096-1523.29.5.897. PMID 14585013. S2CID 14705617.
- ^ Chen, Z.; Cave K. R. (2008). "Object-based attention with endogenous cuing and positional certainty" (PDF). Perception & Psychophysics. 70 (8): 1435–1443. doi:10.3758/PP.70.8.1435. PMID 19064488. Retrieved 18 May 2013.
- ^ LAW, M B.; Abrams, R. A. (2002). "Object-based selection with and beyond the focus of spatial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64 (7): 1017–1027. doi:10.3758/BF03194753. PMID 12489658.
- ^ Avrahami, J. (1999). "Objects of attention, objects of percep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61 (8): 1604–1612. doi:10.3758/BF03213121. PMID 10598473.
- ^ Marino, A.C.; Scholl, B.J. (2005). "The role of closure in defining the "objects" of object-based attention" (PDF). Perception & Psychophysics. 67 (7): 1140–1149. doi:10.3758/bf03193547. PMID 16502836. Retrieved 18 May 2013.
- ^ Hecht, L. N.; Vecera, S. P (1997). "Attentional selection of complex objects: Joint effects of surface uniformity and part structure".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4 (6): 1205–1211. doi:10.3758/BF03193114. PMID 18229498.
- ^ Ho, M. C.; Atchley, P. (2009). "Perceptual load modulates object-based atten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5 (6): 1661–1669. doi:10.1037/a0016893. PMID 19968427. Retrieved 30 May 2013.
- ^ Eriksen, C. W.; Yeh, Y. Y. (1985). "Allocation of attention in the visual fiel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1 (5): 583–597. doi:10.1037/0096-1523.11.5.583. PMID 2932532.
- ^ Chen, Z.; Cave, K. R. (2006). "When does visual attention select all features of a distractor?"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2 (6): 1452–1464. doi:10.1037/0096-1523.32.6.1452. hdl:10092/774. PMID 17154784. Retrieved 18 May 2013.
- ^ Awh, E.; Dhaliwal, H.; Christensen, S.; Matsukura, M. (2001). "Evidence for two components of object-based selection". Psychological Science. 12 (4): 329–334. doi:10.1111/1467-9280.00360. PMID 11476101. S2CID 18566683.
- ^ Lee, D.; Chun, M. M. (2001). "What are the units of visual short-term memory, objects or spatial locations?". Perception & Psychophysics. 63 (2): 253–257. doi:10.3758/bf03194466. PMID 11281100.
- ^ Roelfsema, P. R.; Houtkamp, R. (2011). "Incremental grouping of image elements in vision".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3 (8): 2542–2572. doi:10.3758/s13414-011-0200-0. PMC 3222807. PMID 21901573.
- ^ Roelfsema, P. R.; Lamme, V. A. F.; Spekreijse, H. (1998). "Object-based attention in the primary visual cortex of the macaque monkey". Nature. 395 (6700): 376–381. Bibcode:1998Natur.395..376R. doi:10.1038/26475. PMID 9759726. S2CID 4404434.
- ^ Wannig, A.; Rodríguez, V.; Freiwald, W. A. (2007). "Attention to surfaces modulates motion processing in extrastriate area MT". Neuron. 54 (4): 639–651. doi:10.1016/j.neuron.2007.05.001. PMID 17521575. S2CID 17199073.
- ^ a b Shomstein, S.; Yantis, S. (2004). "Configural and contextual prioritization in object-based attention" (PDF).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1 (2): 247–253. doi:10.3758/bf03196566. PMID 15260189. Retrieved 18 May 2013.
- ^ Shomstein, S.; Behrmann, M. (2008). "Object-based attention: Strength of object representation and attentional guidance". Perception & Psychophysics. 70 (1): 132–144. doi:10.3758/PP.70.1.132. PMC 2739629. PMID 18306967.
- ^ Richard, A. M.; Lee, H.; Vecera, S. P. (2008). "Attentional spreading in object-based attention" (PDF).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4 (4): 842–53. doi:10.1037/0096-1523.34.4.842. PMID 18665730.
- ^ Lamy, D.; Egeth, H. (2002). "Object-based selection: The role of attentional shifts". Perception & Psychophysics. 64 (1): 52–66. doi:10.3758/BF03194557. PMID 11916302.
- ^ Posner, M. I.; Petersen, S. E. (1990).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PDF).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3 (1): 25–42. doi:10.1146/annurev.neuro.13.1.25. PMID 218367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9, 2013. Retrieved 30 May 2013.
- ^ Brown, J. M; Denney, H. I. (2007). "Shifting attention into and out of objects: Evaluating the processes underlying the object advantage". Perception & Psychophysics. 69 (4): 606–618. doi:10.3758/bf03193918. PMID 17727114.
- ^ Serences, J. T.; Schwarzbach, J.; Courtney, S. M.; Golay, X.; Yantis, S. (2004). "Control of object-based attention in human cortex". Cerebral Cortex. 14 (12): 1346–1357. doi:10.1093/cercor/bhh095. PMID 15166105.
- ^ a b c De-Wit, L. H.; Kentridge, R. W.; Milner, A.D. (2009). "Object-based attention and visual area LO" (PDF). Neuropsychologia. 47 (6): 1488–1490. doi:10.1016/j.neuropsychologia.2008.11.002. PMID 19038274. S2CID 1168732.
- ^ Milner, A. D., & Goodale, M. A. (1995). The visual brain in act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 Milner, A. D.; Goodale, M. A. (2008). "Two visual systems re-viewed" (PDF). Neuropsychologia. 46 (3): 774–785. doi:10.1016/j.neuropsychologia.2007.10.005. PMID 18037456. S2CID 1475566. Retrieved 18 Ma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