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키아
Nekyia고대 그리스의 컬트 관행과 문학에서, 네키아 또는 네키아(고대 그리스어: έυ)α ))α)는 "유령을 불러 미래에 대해 질문하는 희귀한 것"이다. 즉, 괴담이다.네키아는 반드시 카타바시스와 같은 것은 아니다.그들 둘 다 죽음과 대화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오직 가타바시스만이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 나오는 몇몇 영웅들이 수행하는 실제적이고 육체적인 저승으로의 여행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표현으로, "네키아"라는 용어는 두 가지 유형의 사건을 내포하는 데 종종 사용되는데, 그래서 예를 들어 "올림피오도로스는 세 개의 [플라토닉] 신화들이 호머의 오디세이 책 [1]11에서와 같이 네키아로 분류되었다고 주장했다."
유령에게 질문하다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많은 사이트들이 이 관행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전용되었다.지하세계는 직접 채널을 통해 지구와 통신했다.헤라클라 [2]폰티카처럼 깊이가 깊지 않은 동굴이었다.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그리스 북서부 에피라의 네크로만테온이었다.타에나론과 아베르누스에서 죽은 자들의 다른 신탁들을 찾을 수 있었다.그러나 이러한 전문화된 장소만이 괴사를 행했던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무덤에서 제사를 지낼 수도 있다.네키아의 의식과 관련된 신들 중에는 하데스, 그의 아내 페르세포네, 헤카테, 헤르메스 등이 있다.
오디세이
이 컬트 풍습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고전 고대에는 네키아라고 불렸던 오디세이 11권에서 유래했다.오디세우스는 "매우 다른 종류의 여행을 하고,[3] 해양의 강을 건너 하데스의 전당으로 가는 길을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그곳에서 그는 사제이자 예언자인 테이레시아스의 영혼과 상의하여 "귀신과 검은 피와 히에로니머스 [4]보쉬의 캔버스 같은 섬뜩한 소음"을 배경으로 이타카로 돌아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그는 "죽고 사라진 무수한 그림자"가 그를 "떠오르게[5]" 하기 위해 숫양과 암양을 제물로 바친다. 그리고 나서 그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들을 만나 이야기한다.
"오디세우스의 하데스 여행 이야기는 ... 다른 영웅들에 의해 행해진 그러한 여행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전통적인 형태의 헤라클레스의 카타바시스는 네키아와 눈에 띄게 달랐을 것이다."[6]
아테네의 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그의 페르시아인들과 자유헌법에 무덤가 네키아이(Nekyiai)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세계에서, 하데스의 집에서, 살아 돌아온다는 것은 인간이 성취할 수 있는 기념비적인 위업을 의미합니다.여기서 아이네이아스는 단지 지하세계의 입구로 가서 죽은 자의 영혼, 즉 그가 알고자 하는 유령을 불러들이는데 필요한 제사를 지내는 오디세우스를 능가한다.아이네이아스는 실제로 하데스의 집에 내려와서 [7]죽음의 세계를 여행한다.
사모사타의 메니포스와 루시안
사모사타의 루시안은 독일 고전언어학자 루돌프 헬름(1872-1966)이 [8]주장하듯이 냉소철학자 메니푸스의 잃어버린 네키아의 전형일 수 있는 서기 161년부터 16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μα μα μα μα μα α라는 제목의 풍자 대화의 저자이다.철학자들의 생애에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는 메니포스가 작곡한 13개의 작품 중 네키아를 열거했다.루시안의 대화에서 메니포스는 호메로스, 헤시오도, 철학자, 비극적인 시인들이 내세운 내세에 대한 상반된 설명에 당황하여 스스로 진실을 발견하기로 결심한다.그래서 그는 지하세계를 방문하기 위해 미트로바르자네스라는 바빌로니아 마구스의 도움을 받는다.미트로바르자네스는 괴사의 의식을 치르고 둘은 하데스로 내려간다. 그곳에서 그들은 피리플레게톤, 세르베로스, 명왕성의 궁전, 카론, 그리고 그리스 지하세계의 나머지 신화적 기구들을 본다.궁극적으로, 저승 배경은 루시안을 부유하고 힘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철학자들을 풍자하는 매개체로 삼는다.
정
C. G. 융은 네키아의 개념을 그의 분석 심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했다: "네키아는 무의식의 정신의 더 깊은 층으로 의식의 내향적".[9]융에게 네키아는 목적도 없고 파괴도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카타바시스다.인간 전체의 복원이 목적이다"[10]라고 말했다.
Jolande Jacobi는 "이 '위대한 네키아'는 셀 수 없이 적은 네키아의 경험과 뒤섞여 있다"[11]고 덧붙였다.
밤바다 여행
융은 '바다 위의 밤여행...괴물의 뱃속으로 내려온다(지옥으로 가는 여행)'와 '카타바시스'(하층세계로 [12]내려가는 절망)의 네키아의 이미지를 거의 번갈아 사용했다.그의 가장 가까운 추종자들은 또한 그것들을 "무의식의 어둡고 뜨거운 깊숙한 곳으로 내려가는... 지옥으로 가는 여행"의 구별 불가능한 은유라고 보았다. 예를 들어, "밤바다 여행의 큰 호는 네키아처럼 많은 더 작은 리듬, 더 작은 호로 구성되어 있다"[13]고 강조했다.
그러나 Jungian 이후의 James Hillman은 그들 사이에서 몇 가지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저승의 하강은 많은 면에서 영웅의 밤바다 여행과 구별될 수 있다. 영웅은 인생의 임무를 위해 밤바다 여행에서 더 나은 모습으로 돌아오는 반면, 네키아는 영혼을 자신을 위해 깊은 곳으로 데려가서 "돌아오는" 것이 없도록 한다.밤바다여행은 실내열(타파스)을 쌓는 것으로 더욱 두드러지는 반면, 네키아는 격정의 불길에 휩싸여 완전히 차가운 수역까지 압박된 봉쇄 아래로 내려갑니다.악마의 이미지는 여전히 무의식과 거기에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잠재된 정신병에 대한 두려움 속에 남아 있고, 우리는 여전히 두려움에 대한 제안으로 기독교의 방법, 즉 도덕성, 친절한 감정, 공동 공유, 그리고 어린애 같은 순진함으로 눈을 돌린다. 고전적인 공포로 내려가는 대신, 그의 상상으로 익키아는…(유일한)네키아, 프로이트는 아이네이아스와 마찬가지로 마침내 "로미"[14]에 들어갈 수 있었다.
문화 레퍼런스
- '토마스 만'의 네키아 개념은 '동양의 교리'에서 광범위하게 따온 것이다.영지주의, 그리고 헬레니즘.[15]
- 융은 피카소의 "초기 청색 시대..."[16]를 지옥과 어둠으로의 하강인 네키아의 상징으로 여겼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게리 A. 스틸웰, 애프터라이프 (2005) 페이지 11
- ^ 펠릭스 기랜드 에드신 라루스 신화 백과사전 (1968) 페이지 164
- ^ E, V. 리외 트랜스오디세이 (펭귄 1959년) 페이지 158-9
- ^ M. I. 핀리, 오디세우스의 세계 (펭귄 1967) 페이지 164
- ^ The Odyssey (로버트 페이글스 옮김, 펭귄북스, 1997): pages 246–47, 250–51 and following
- ^ E. Rode, Psyche (2000) 페이지 244
- ^ Morford, Mark P. O. (1999). Classical mythology. Lenardon, Robert J., 1928- (6th ed.). New York: Longman. pp. 394–395. ISBN 0195143388. OCLC 39189848.
- ^ Lucian und Menipp, 라이프치히 및 베를린:Teubner, 1906, 제1장 "Die Nekyomantie", 17-62페이지.
- ^ C. G. Jung, 분석심리학 (런던 1976년) 페이지 41
- ^ D. R. 그리핀, Archetypal Process(1990년) 페이지 118에서 인용
- ^ J. Jacobi, Complex, Archype, Symbol (런던 1959년) 페이지 186
- ^ C. G. Jung, 무의식의 심리학 (런던 1944년) 131, 페이지 156, 페이지 220
- ^ 야코비, 페이지 187
- ^ Hillman, James (1979). Dream and the Underworld. HarperCollins. pp. 88, 168, 206 01. ISBN 0-06-090682-0.
- ^ E. L. 스미스, 문학영웅여행 (1997년) 페이지 343
- ^ R. 펜로즈/J.골딩, 피카소 1881/1973 (런던 1973년) 페이지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