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메코디아

Myrmecodia
미르메코디아
Myrmecodia platytyrea.jpg
미르메코디아 플라티레아

T

과학적 분류 e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별자리
순서: 겐티아누스목
패밀리: 루비아과
부족: 심오트리아과
속: 미르메코디아

텍스트 보기

동의어

미르메코디아(Myrmecodia)는 에피피틱 균류(mər′mek•ə‚fīt; 문자 그대로 "ant-plant")의 속성으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지만,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남서태평양, 필리핀, 피지, 호주 퀸즐랜드케이프요크까지 남쪽으로 뻗어나간다. 루비아과에 속하는 5종의 식물의 종 중 하나이며, 다른 종은 안토르리자, 하이드로피툼, 미르메피툼, 스콰멜라리아 등이다.[1]

개미식물 즉, 개미식물은 개미 군집과 상호주의적인 연관 속에서 산다. 이러한 식물들은 개미들에게 음식이나 피난처를 제공하는 구조적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미르메코디아는 또한 에피타이프로 분류된다. 에피피틱스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에피('우폰'을 의미함)와 피톤('식물'을 의미함)에서 유래한다. 착생식물은 토양에 뿌리를 내리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공기식물"이라고 불린다. 에피피테는 다른 식물에서 무해하게 자라서 그 영양과 수분의 공급은 그 즉시 환경에서 발견되는 공기와 파편으로부터 파생되는 식물이다. 에피피테스는 비기생성식물의 일종으로, 이러한 종류의 식물은 물리적 지원을 위해 숙주에만 의존하며 숙주식물에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기생생물과는 다르다.[2]

구조 및 진화적 적응

미르메코디아 식물과 미르메콜로독성 식물의 배열 중에서, 모든 식물들이 유사한 진화적 적응을 가지고 있는 거대한 다양성이 존재한다. 변형된 rhizom, 줄기, 잎과 같은 구조물은 그 다양한 변형된 장기들 안에서 터널과 동굴의 시스템을 자연적으로 생산하도록 진화해왔다.[3] 미르메코디아 식물과 같은 루비피질 결핵성 식물의 경우, 항아리의 수와 다양성이 가장 높은 식물들은 모두 방이 많이 들어 있는 매우 크고, 결핵성, 변형된 줄기를 가지고 있다. 이 적응은 식물에서 자생하는 준비된 방 안에 사는 수목개미의 군락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3]

결절은 모종 하이포코틸이 부풀어 오르면서 자라기 시작한다. 나중에, 충치는 코르크 생성 메리스템이 코르크와 같은 벽을 형성하는 내측 실질 조직에서 생겨나면서 형성되어 캐러시 모양과 크기의 외함을 잘라낸다. 그 다음 이것들의 내용물은 죽어서 건조되고, 방들은 텅 비게 된다. 미래의 개미 거주자들은 죽은 조직의 잔해를 청소할 수는 있지만 주로 발굴하지는 않는다. 이는 개미들이 접근하지 못한 식물들의 챔버의 존재에 의해 증명되었다.[3][4] 미르메코디아에는 개미의 가 있든 없든 간에 자연적으로 미르메코디아에 존재하는 카우덱스, 즉 결핵성 내실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충치는 무작위로 발견되지만 일반적으로 튜브 내부에 분포하며, 관측 가능한 패턴이나 구조가 없다. 충치는 작은 구멍에 의해 식물의 외부 표면과 연결되는데, 이 구멍들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개미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다.[4] 카우덱스 내에는 외부 입구 구멍이 뚫려 있고 평평한 벽으로 된 터널이 형성되어 있어 개미 군락을 위한 지상 보금자리를 제공한다. 이 구멍들은 개미뿐만 아니라 식물의 살아있는 조직 모두를 위한 환기 역할도 하고, 식물을 드나드는 통로 역할도 한다.[2]

Mirrmecodia 공장의 내부 챔버에 대한 삽화

루비아과의 미르메코디아 종은 가장 전문성이 높은 내실을 가지고 있는데, 양묘장용 개미가 사용하는 매끄러운 벽의 방과 쓰레기 처리용으로 쓰이는 거친 벽의 방, 곤충 먹이 유골, 군락지에서 온 죽은 개미의 몸통으로 나뉜다.[3] 벽이 매끄러운 동굴들은 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영양 섭취 능력이 없다. 반면에 벽이 거친 방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인디아 잉크와 물로 행해진 실험에서, 이 혼합물은 부드러운 벽과 거친 벽의 양쪽에 놓였다. 이 혼합물은 거친 벽의 실내의 돌출부를 통해 쉽게 흡수되었지만 스무 시간 동안 매끄러운 벽의 실내 표면에 앉아도 흡수가 관찰되지 않았다. 벽을 거칠게 만드는 돌기는 식물의 거친 벽의 방을 통해 영양을 흡수하는 변형된 뿌리 구조물을 마주하고 있다.[4]

충치는 또한 건강의 척도가 된다. 충치 면적이 더 많은 식물은 그것이 더 가벼운 결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식물이 비록 자리에서 자라지만, 튜빙이 너무 무거워지고 발아한 나무에서 떨어져 결국 땅 위에서 죽기 때문이다. 중형이나 대형 튜너에 대한 선택이 강하다는 의미다.[4]

알볼리에서 작은 흰 꽃이 피어오른다. 이 꽃은 스스로 풀을 뜯어서 밝은 오렌지색, 살집이 많은 베리를 만들 수 있다. 이 베리는 6개의 작은 씨앗으로 가득 차 있다. 종자 분배는 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새들은 종종 그들이 착륙하는 나뭇가지와 나무 줄기에 배설물을 넣는다. 이 속에서 그들은 로란티스과, 산탈리아과, 미소덴드라과 등과의 미슬토와 같은 다양한 기생식물을 닮았지만, 마이르메코디아 종은 커피와 정원아과 에 들어 있어 진정한 기생충과는 무관하다.

미르메코디아 식물은 한 두 잎에서 작고 즙이 많은 열매를 생산하고 한 그루의 식물에서 꽃을 생산한다. 씨앗은 새에 의한 폐생물로 씨앗을 섭취하고 통과시킨 후에 분산될 것이며, 더 흔히 개미는 과일을 씹어 열매의 씨앗을 제거하게 된다. 만약 새가 먼저 씨앗에 도달한다면, 개미들은 땅 아래로부터 씨앗을 회수하고, 씨앗을 둥지 지점으로 되돌려 그들의 기질에 심을 것이다. 그 씨앗들은 강인하다. 내장을 통과하는 것을 견딜 수 있고, 여러 달 동안 건조하며, 젖을 때 발아할 수 있다.[4]

영양소

미르메코디아 식물은 나뭇가지와 줄기에서 자란다. 자연에서 미르메코디아 튜버는 종종 상당한 양의 기질 없이 맨 가지에 아래로 늘어져 자라기 때문에 대부분의 영양분을 공생에 의존한다. 이 식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시가 부풀어 오르고 자라는 회색빛 갈색의 카우덱스에 음식과 물을 저장한다. 굵고 가지런하지 않은 줄기는 클라이프올리와 알베올리로 덮여 있는데, 이 줄기는 가시가 자라고 마른 줄기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그들은 개미[5] 곰팡이공생관계를 형성한다;[citation needed] 필리드리스 코다타(공식적으로 이리도미르멕스 코다투스)는 미르메코디아 종을 점령하고 있는 가장 흔한 개미로 여겨진다.[2] 개미식물은 숲의 캐노피에 높이 있는 개미 군락을 위한 서식지를 제공해 원소로부터 보호해 주고, 그 대가로 개미들의 영양분과 개미들이 남긴 잔해물들이 식물의 방에 흡수된다. 게다가 식물은 특히 민달팽이와 같은 무척추동물을 방목함으로써, 어느 정도 포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이 식물들은 또한 등반하는 동물들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심지어 사람이 사는 식물의 외부에 가볍게 두드리거나 빗질을 해도 개미들이 쏟아져 나오도록 한다. 그러나 미르메코디아 종 내에 사는 대부분의 개미는 침이 없지만, 많은 작은 물림과 결합한 개미의 돌격은 어떤 포식자라도 놀라게 하고 경고하기에 충분하다. 개미들이 서식하는 식물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여는 보호가 아니라 식물에 먹이를 주는 것이다.[4]

개미가 식물에 기여하는 유기물질은 둥지조성재료(, 껍질, 기타 식물물질 등)와 개미생성제품(폐물, 죽은 적, 죽은 개미의 몸 등)의 3가지 범주로 분류되며, 마지막 범주는 개미 자신이 소비하는 식품이다.[3] 거친 벽으로 된 방 안에 저장되어 있는 이러한 모든 노폐물들은 수분이 존재하면 분해되기 시작하여 미생물 활동에 의해 분해되고 영양소는 침입적인 돌발적 뿌리에 의해 흡수되거나 벽 라이닝(방 안에 뿌리가 "뭉치"인 험한 벽)을 통해 흡수된다. 과학자들이 파편 챔버의 내용물을 조사했을 때, 곤충의 부분은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챔버에 놓여진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개미의 영양학적으로 가장 밀도가 높은 부분을 포함하는 불균형적으로 많은 수의 개미 머리가 이 방 안에서 많이 발견된다.[4]

이 공생법은 식물이 (개미를 통해) 그 뿌리가 커버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넓은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영양분을 모을 수 있도록 한다. 개미들은 식물의 이동성 공급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식물의 영양분이 높은 유기 물질을 집중시키는 "보조적 광범위, 이동성 뿌리 시스템"[4]의 역할을 한다.

27종의 다음 목록은 The Plant List에 기초한다.[6]

메모들

  1. ^ Jebb M, Huxley C (8 February 2009). "A revision of the ant-plant genus Hydnophytum (Rubiaceae)". National Botanic Gardens Glasnevin website. Dublin, Ireland: National Botanic Gardens Glasnevin. Retrieved 19 December 2009.
  2. ^ a b c d Huxley, Camilla R. (1978-01-01). "The Ant-Plants Myrmecodia and Hydnophytum (rubiacea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Morphology, Ant Occupants, Physiology and Ecology". New Phytologist. 80 (1): 231–268. doi:10.1111/j.1469-8137.1978.tb02285.x. ISSN 1469-8137.
  3. ^ a b c d e Wallace, B.J. (1989). Chapter 13 – Vascular Epiphytism in Australo-Asia Tropical Rain Forest Ecosystems. Tropical Rain Forest Ecosystems. pp. 261–282. doi:10.1016/B978-0-444-42755-7.50019-5. ISBN 9780444427557.
  4. ^ a b c d e f g h Janzen, Daniel H. (1974-01-01). "Epiphytic Myrmecophytes in Sarawak: Mutualism Through the Feeding of Plants by Ants". Biotropica. 6 (4): 237–259. doi:10.2307/2989668. JSTOR 2989668.
  5. ^ 윌슨, 에드워드 오, 곤충 협회, 출판사: 벨냅 프레스 1971, ISBN 978-0-674-45490-3
  6. ^ 미르메코디아 플랜트 리스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