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케나페로푸스카
Mycena purpureofusca미케나페로푸스카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곰팡이 |
구분: | 바시디오미코타 |
클래스: | 아가리코미케스목 |
순서: | 아가리칼목 |
패밀리: | 미케나과 |
속: | 미케나 |
종: | M. perfurofusca |
이항식 이름 | |
미케나페로푸스카 | |
동의어[1][2] | |
미케나페로푸스카 | |
---|---|
하메늄에 대한 아가미. | |
모자는 원뿔형이다. | |
하메늄이 장식품이다. | |
맨몸이다 | |
포자 무늬는 흰색이다. | |
생태학은 비옥하다. | |
판독성: 알 수 없음 |
흔히 자주색 가장자리 보닛으로 알려진 미케나 페푸레오푸스카(Mycena perfurofusca)는 미케나과과에 속하는 아가릭 균류의 일종이다.1885년 찰스 호튼 펙이 처음 묘사한 이 종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데, 그곳에서 원뿔을 포함한 침엽수의 썩어가는 나무와 잔해 위에서 자란다.과일 몸체는 종 모양의 보라색 마개를 최대 2.5cm(1인치)까지 가늘게 세팅하여 최대 10cm(4인치) 길이로 한다.버섯은 아가미 가장자리의 특징적인 짙은 회색-보라색으로 이름이 지어졌다.현장에서 M. puppleofusca 버섯은 보통 어두운 보라색 길 가장자리, 깊은 보라색 캡 중심, 그리고 장골의 일관성과 같은 특징에 의해 유사한 종과 구별될 수 있다.이 곰팡이에는 섬유 염색과 인쇄 공정에서 사용되는 완강한 산업용 염료를 해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과학적으로 조사된 라카세 효소가 들어 있다.
분류학
이 종은 1885년 미국의 균류학자 찰스 호튼 펙에 의해 아가리쿠스 자반구스(Agaricus perpleofuscus)로 처음 설명되었다.유형 컬렉션은 뉴욕 카로가에서 이끼로 덮인 가문비나무 줄기에서 만들어졌다.[3]피에르 안드레아 사카르도는 1887년 그것을 마케나에게 양도하여 현재 알려진 이름을 지어주었다.[4]윌리엄 알폰소 무릴은 1916년에 그것을 프루눌루스로 옮겼지만,[5] 이 속은 그 후 미케나에서 소분되었다.[6]1879년, 페테르 카스텐은 스칸디나비아에서 만들어진 컬렉션을 미케나 아트로마르기나타 바(Mycena atromarginata var)라고 묘사했다.Fuscopurpurea, 그러나 Rudolph Arnold Maas Geestanus는 나중에 이것을 M. perpurofusca와 동의어로 배치했다.마아스 게스테라누스에 따르면 [2]또 다른 동의어는 미케나 술카타(Mycena sulcata)로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요제프 벨레노프스키가 묘사했다.[7]
알렉산더 H. 스미스는 1947년 북아메리카 미케나에 관한 모노그래프에서 미케나의 Ciliatae 하위섹션인 칼로돈테스에 그 종들을 분류했다.[8]Rolf Singer는 1986년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에서 Rubromarginata 섹션에 그것을 넣었는데, 이 그룹은 뚜렷한 붉은 마가네이트 아가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9]구체적인 대명사 perpleofuscus는 라틴어 perpleur (purple)와 fusco (dark or dusky)를 결합한 것이다.[10]그것은 흔히 "퍼플 에지 보닛"[11]으로 알려져 있다.
설명
모자는 종 모양에 원뿔형이며 나이가 들어 납작해지고 지름이 0.5~2.5cm(0.2~1.0인치)에 이른다.캡 여백은 대개 처음에 안쪽으로 구부러진다.캡 표면은 처음에는 작고 하얀 털로 덮여있지만 나중에는 매끈해진다.약간 히그로판성(hygrophanous)이며, 촉촉할 때는 약간 반투명하여 아래 아가미의 윤곽이 뚜렷하다.그것의 색깔은 중앙의 짙은 보라색이며, 여백의 옅은 라일락으로 퇴색된다. 오래된 표본은 보라색이다.살은 가늘고 유연하며, 연골과 비슷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초기에는 청록색을 띠며, 나이가 들면 옅은 라일락이 하얗게 된다.육체의 냄새와 맛은 독특하지 않다.좁은 아가미는 뾰족탑에 상승 애착을 가지며 좁게 장식되어 있다.그것들은 다소 긴밀하게 간격을 두고 있으며, 창백한 얼굴 색부터 회색빛이 도는 회색빛이 도는 보라색 가장자리와 때로는 주름살이 있는 어두운 회색빛이 도는 보라색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관 모양의 스티프는 길이 3–10cm(1.2–3.9인치) x 두께 1–3mm이다.그것은 질기고 수척하며, 그것의 밑부분은 흰 털로 덮여 있다.전체적으로, 그것의 색은 모자나 팔레어의 색이고, 종종 꼭대기에서 더 창백해진다.[8]버섯의 가독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포자는 대체로 타원체, 아밀로이드로 되어 있으며, 각각 4배 또는 2배 크기의 바시디아(포자-베어링 세포)에서 유래했는지에 따라 8-10 X 6-7 µm 또는 10–14 X 6.7–8.5 µm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가장자리에는 풍부한 제일모시스티디아가 있다.그것들은 30–50 x 7–12 µm이며, 푸소이드-벤트리코스로, 팁은 대체로 둥글다.그들은 청록색의 수액으로 가득 차 있고, 세밀한 내용물을 가지고 있다.캡 조직은 잘 구분된 큐티클, 뚜렷한 피하 및 필라멘트로 된 전차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8]히패의 클램프 연결부가 드물거나 [13]없는 경우
유사종
마이케나 페퍼루푸스카와 유사한 종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필드 특성은 짙은 보라색 길 가장자리, 진한 보라색 캡 중심, 그리고 그 요철적인 일관성을 포함한다.M. califiniensis(이전의 M. gragnula)는 비슷하지만 질 가장자리가 Vincipal-brown까지 장밋빛으로 물들었고, 모자는 M. perpurofusca보다 더 갈색이다.[8]주황색에서 주황색까지 가는 캡이 있고, 다쳤을 때 붉은 즙을 뿜어내고, 오크나무 아래 납으로 된 쓰레기에서 자란다.[12]미첼과 스미스는 두 종 사이에 상당한 상호분해가 있었다고 지적했다.[14]생물 발광성 곰팡이 M. 럭스 코엘리는 또 다른 동맹 종이지만 포자가 더 작고(8.5–12x6.5–9 µm) 낭포도 더 많다.[15]또 다른 유사한 "출혈" 마이케나는 M. 해마토푸스로, 보통 썩어가는 나무 위에서 무리지어 자란다.[12]펙은 원래 원론적인 원론적 글에서 M. 루브로마기나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종을 고려했지만, 그 색깔이 더 진하고 "비 히그로판성 선조체 말뚝"으로 구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3]현미경적으로 M. 루브로마르기니타는 M. perpperorofusca와 다른 점은 제일모시스티디아에 풍부한 클램프 연결과 좁은 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2]
서식지 및 분포
미케나 페푸레오푸스카의 과실체는 침엽수의 썩어가는 나무,[8] 특히 가문비나무, 소나무, 더글라스피르에서 단독 또는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2]그것은 썩어가는 솔방울에서 흔히 발견된다.[12]유럽의 한 연구에서, 이 곰팡이는 나무껍질이 대부분 남아 있는 딱딱한 썩은 상태에서 통나무 위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나무껍질은 대부분 부드러울 정도로 썩었다.[16]
북아메리카에서 이 곰팡이는 노스캐롤라이나, 테네시, 뉴욕, 미시간, 몬태나, 아이다호,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8] 버지니아,[5] 사우스다코타에서 기록되어 왔다.[17]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에서 발견되었다.스미스는 미시건에서 온 수집품들은 흙에 놓여있는 오래된 헴록 매듭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그 매듭은 주로 나무와 그루터기 위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경향이 있다.[8]유럽에서는 영국,[18] 스코틀랜드,[19] 체코,[16] 폴란드,[20] 독일,[21] 터키에서 녹음되었다.[22]영국에서 이 균은 칼레도니아 소나무 숲에서 흔히 발견되며,[23] 이 균은 이 서식지 유형의 지표 종으로 여겨진다.[24]
리서치
마이케나 페퍼루푸스카는 산업용 염료를 탈색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조사되어 왔다.섬유 염색과 인쇄 공정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염료는 고도로 구조화된 유기 화합물 때문에 분해되기 어렵고 환경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다.균사체 균사체는 산화효소인 라카세스를 높은 수준으로 생산한다.라카스는 다양한 반항적인 화합물을 분해하는 능력 때문에 생명공학이나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25]M. paporofusca laccase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염료인 Remazol Brilliant Blue R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며, 중합성 염료 생산의 시작 재료로 자주 사용된다.
스트로빌루린 A는 과일 몸체와 격리되어 있다.[26]스트로빌루린은 살균 작용이 있으며 광범위한 살균 스펙트럼, 포유류 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 환경적으로 양호한 특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27]
참조
- ^ "Mycena purpureofusca (Peck) Sacc. :255, 1887". MycoBank. International Myc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2013-10-13.
- ^ a b c d Maas Geesteranus RA. (1992). Mycenas of the Norther Hemisphere. II. Conspectus of Mycenas of the Northern Hemisphere. Amsterdam, The Netherlands: North-Holland. pp. 197–9. ISBN 0-444-85760-5.
- ^ a b Peck CH. (1885). "Report of the Botanist (1884)". Annual Report on the New York State Museum of Natural History. 38: 77–138 (see p. 85).
- ^ Saccardo PA. (1887). Sylloge Fungorum. Vol. 5. Padua, Italy: J.W. Edwards. p. 255.
- ^ a b Murrill WA. (1916). "Agaricaceae Tribe Agariceae". North American Flora. 9 (5): 297–374 (see p. 333).
- ^ Kirk PM, Cannon PF, Minter DW, Stalpers JA (2008). Dictionary of the Fungi (10th ed.). Wallingford, UK: CAB International. p. 565. ISBN 978-0-85199-826-8.
- ^ Velenovský J. (1920). České Houby. Vol. 2. Prague: České Botanické Společnosti. p. 302.
- ^ a b c d e f g Smith AH. (1947). North American Species of Mycena.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p. 207–9.
- ^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önigstein im Taunus, Germany: Koeltz Scientific Books. pp. 300–1. ISBN 3-87429-254-1.
- ^ Arora D. (1986). Mushrooms Demystifie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Fleshy Fungi. Berkeley, California: Ten Speed Press. pp. 906, 910. ISBN 0898151694.
- ^ Buczacki S, Shields C, Ovenden D (2012). Collins Fungi Guide: The Most Complete Field Guide to the Mushrooms and Toadstools of Britain & Ireland. HarperCollins UK. p. 2492. ISBN 978-0-00-741343-0.
- ^ a b c d Davis RM, Sommer R, Menge JA (2012). Field Guide to Mushrooms of Western North America.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82–3. ISBN 978-0-520-95360-4.
- ^ Aronsen A. "Mycena purpureofusca (Peck) Sacc". A key to the Mycenas of Norw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2-28. Retrieved 2013-10-17.
- ^ Mitchel DH, Smith AH (1978). "Notes on Colorado Fungi III: New and Interesting Mushrooms from the Aspen Zone". Mycologia. 70 (5): 1040–63. doi:10.2307/3759137. JSTOR 3759137.
- ^ Corner EJH. (1954). "Further descriptions of luminous agarics".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37 (3): 256–71. doi:10.1016/S0007-1536(54)80009-X.
- ^ a b Pouska V, Lepš J, Svoboda M, Lepšova A (2011). "How do log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occurrence of wood fungi in a mountain spruce forest?". Fungal Ecology. 4 (3): 201–9. doi:10.1016/j.funeco.2010.11.004.
- ^ Gabel AC, Gabel ML (2007). "Comparison of diversity of macrofungi and vascular plants at seven sites in the Black Hills of South Dakota".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57 (2): 258–96. doi:10.1674/0003-0031(2007)157[258:codoma]2.0.co;2. JSTOR 4500617.
- ^ Emmett EE. (1992). "British Mycena species — 3". Mycologist. 6 (4): 165–73. doi:10.1016/S0269-915X(09)80559-4.
- ^ Scottish Natural Heritage (2006). The Nature of the Cairngorms: Diversity in a Changing Environment. The Stationery Office. p. 167. ISBN 978-0-11-497326-1.
- ^ Snowarski M. (January 17, 2010). "Mycena purpureofusca (Peck) Sacc./grzybówka fioletowobrązowa (grzybówka czarnoobrzeżona)". Grzyby Polski/Fungi of Poland. Retrieved 2013-10-13.
- ^ Gerhardt E. (1990). "Checkliste der Großpilze von Berlin (West) 1970–1990". Englera (in German) (13): 174. JSTOR 3776760.
- ^ Sesli E, Denchev CM (2009). "Checklists of the Myxomycetes, larger Ascomycetes, and larger Basidiomycetes in Turkey". Mycotaxon. 106: 65–8.
- ^ Orton PD. (1986). "Fungi of northern pine and birch woods". Bulletin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20 (2): 130–45. doi:10.1016/S0007-1528(86)80042-6.
- ^ Tofts RJ, Orton PD (1998). "The species accumulation curve for agarics and boleti from a Caledonian pinewood". Mycologist. 12 (3): 98–102. doi:10.1016/S0269-915X(98)80002-5.
- ^ Virk AP, Sharma P, Capalash N (2012). "Use of laccase in pulp and paper industry". Biotechnology Progress. 28 (1): 21–32. doi:10.1002/btpr.727. PMID 22012940. S2CID 39712221.
- ^ Lorenzen K, Anke T (1998). "Basidiomycetes as a source for new bioactive natural products". Current Organic Chemistry. 2 (4): 329–64.
- ^ Balba H. (2007). "Review of strobilurin fungicide chemical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B. 42 (4): 441–5. doi:10.1080/03601230701316465. PMID 17474024. S2CID 2999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