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활성화

Marketing activation

마케팅 활성화는 마케팅 프로세스의 일부로 마케팅 믹스를 실행하는 것이다. 활성화 단계는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는 계획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며, 마케팅 분석으로 결과를 평가하는 피드백 단계가 뒤따른다.

사업목적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두 종류의 마케팅 활성화를 사용할 수 있다.

  • 브랜드 활성화(Brand Engagement)는 브랜드와 고객 사이의 장기적인 감정적 연결 구축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 참여라고도 한다.
  • 직접 대응 마케팅에 기반한 활성화는 즉각적인 판매 거래 창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활성화 계획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전에 기업은 어떤 고객 그룹을 대상으로 할지 식별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것이다. 일부 인플루언서에만 집중함으로써 활성화는 더 효율적이고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1]

고객 데이터는 마케팅 활성화를 계획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다. CRM은 "마케팅 활성화와 고객 활동이 협업하여 고객 서비스를 증가시키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때문에 마케팅 활성화의 영향을 증대하기 위해 고객 관계 관리 툴과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과제들

성공적인 마케팅 활성화는 기업이 수익을 증대하고 전략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매니저들이 마케팅 활성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직면하게 될 도전들이 있다. 난제 중 하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을 다루는 것이다. 고객의 선호도와 태도는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관리자가 신속하게 적응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6개월 전만 해도 정확했던 직접적인 마케팅 활성화 방아쇠가 지금은 상당히 부적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3]

마케팅 활성화와 관련된 또 다른 과제는 문화적으로 관련 있는 제안으로 다른 목표 시장에 도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맥도날드는 다양한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회사의 좋은 예라고 한다. 그것이 사용하는 기술 중, "PR의 강력한 활용과 흑인, 아시아, 라틴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 등, 독특한 마케팅 활성화에 임한다."[4]

데이터 중심 마케팅 활성화

수년간 마케팅 활성화는 점점 더 데이터 중심적이 되었다. 이것은 마케터들이 그들의 행동에 더 정확하고, 결과를 더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준다. "마케팅 활성화는 일반적으로 모든 소비자에게 보편적인 정보공개를 수반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점점 더 중요해졌다. 종종, 소수의 소비자만이 그러한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마케팅 비용 낭비를 초래한다. 특정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영향력 행사자의 원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러한 활동은 요인 또는 개인에 집중되어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5]

마케팅 활성화에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 기반 측정(...)"은 정확한 마케팅 활성화와 관련하여 쇼핑객의 참여와 행동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여 쇼핑객 마케팅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법을 가능하게 한다.[6]

또한 CRM 데이터와 모델은 마케팅 활성화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모델 중 하나인 마케팅 깔때기는 "실무자들이 마케팅 활성화를 해체하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핵심 개념 프레임워크"이다.[7]

온라인 동영상

마케팅 활성화는 온라인 도구의 사용으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온라인 비디오의 출현은 새로운 형태의 광고로 고객들을 더욱 설득력 있는 방법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그것을 사용하는 마케터들에게 많은 기회를 열어주었다. 를 들어 유튜브는 "마케터들에게 거의 모든 마케팅 활성화를 축하하고 증폭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했다"[8]고 말했다.

스포츠 마케팅

마케팅 활성화 기법은 스포츠 마케팅에서 흔히 사용된다. 그들은 종종 그들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운동선수나 행사를 후원하는 브랜드와 연관된다. "강력한 마케팅 활성화와 창의성으로 소비자들은 스폰서의 캠페인을 기억해야 한다"[9]는 의견이 나왔다.

아닌 것

마케팅 활성화는 기업이 실행할 대부분의 마케팅 활동을 포함하지만, 통신고객 서비스 분야에서 일부 접근방식은 마케팅 활성화의 자격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홍보를 날카로운 마케팅 활성화라기보다는 폭넓은 커뮤니케이션 운영으로 볼 수 있다."[10]

메모들

  1. ^ Nalica, Angela; Barrios, Erniel B.; G. Lansanga, Joseph Ryan. "Identifying Influencers of Consumer Activity" (PDF). Working paper series. School of statistics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April 2012. Retrieved 18 August 2011.
  2. ^ G. Lansanga, Joseph Ryan; Barrios, Erniel B. "Forecasting Customer Lifetime Value" (PDF). Working paper series. School of statistics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April 2012. Retrieved 18 August 2011.
  3. ^ Wood, Andy (June 2009). "Speaking my language?" (PDF). Journal of Financial Services Marketing. 14 (1): 92–97. Retrieved 18 August 2011.
  4. ^ Anonymous (October 1, 2010). "What are the most crucial factors to effectively reach multicultural youth?". PRWeek. Retrieved 18 August 2011.
  5. ^ Nalica, Angela; Barrios, Erniel B.; G. Lansanga, Joseph Ryan. "Identifying Influencers of Consumer Activity" (PDF). Working paper series. School of statistics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April 2012. Retrieved 18 August 2011.
  6. ^ Stahlberg, Markus; Maila, Ville (2009). Shopper Marketing: How to Increase Purchase Decisions at the Point of Sale. Kogan Page. p. 107. ISBN 978-0-7494-5702-0.
  7. ^ Nair, Ciju T.R. "ESSAYS ON ONLINE BROWSING AND PURCHASE".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of Washington University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WASHINGTON UNIVERSITY - Olin School of Busin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12. Retrieved 18 August 2011.
  8. ^ Jarboe, Greg; Reider, Suzie (2009). YouTube and Video Marketing: An Hour a Day. John Wiley and Sons. p. 474. ISBN 0-470-45969-7.
  9. ^ R. Chase, Christopher; Rick Kurnit (8 April 2010). "Fighting for what is left of exclusivity: Strategies to protect the exclusivity of sponsors in the sports industry" (PDF). Journal of Sponsorship. 3 (4): 379–3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0 March 2012. Retrieved 18 August 2011.
  10. ^ Bhatia, B. S.; Batra, G. S. (1995). Management of Public Enterprises: Performance and policy perspectives. University of Michigan: Deep & Deep Publications. ISBN 81-7100-731-7.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