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H7은 미오신 헤비 체인 베타(MHC-β) 등소형(느린 경련)을 주로 심장뿐만 아니라 골격근(I형 섬유)에서도 표현되는 유전자 부호화다.[5] 이 등소형태는 MHC-α라 불리는 심장 미오신 헤비 체인의 빠른 등소형인 MYH6와는 구별된다. MHC-β는 심장근육의 두꺼운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이며 심장근육수축에 큰 역할을 한다.
MHC-β는 1935년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23 kDa 단백질이다.[6][7]MHC-β는 심장 근육에서 두꺼운 필라멘트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육각형 비대칭 모터다. MHC-β는 횡방향으로 투사되는 N-단자 입상형 헤드(20nm)와 코일 코일 모티브로 조광·다중화하여 두꺼운 필라멘트 로드인 가벼운 메로모신(LMM)을 형성하는 알파 나선형 꼬리(130nm)로 구성된다. 각 MHC-β 헤드의 9nm 알파-헬리컬 넥 영역은 필수 라이트 체인(MYL3)과 규제 라이트 체인(MYL2)인 두 개의 라이트 체인을 비균등하게 결합한다.[8] 약 300개의 미오신 분자가 하나의 두꺼운 필라멘트를 구성한다.[9] 93%의 동질감을 나타내는 심장 MHC와 α, β의 두 개의 이소 형태가 있다. MHC-α와 MHC-β는 유의하게 다른 효소 특성을 보이며, α는 β와 같이 150-300%의 수축속도와 60-70%의 부착시간을 가진다.[10][11] MHC-β는 주로 인간 심실에서 표현되는 반면, MHC-α는 주로 인간 아트리움에서 표현된다.[citation needed]
함수
미오신 헤드에 있는 ATPase의 효소 활성으로 주기적으로 ATP를 가수분해하여 미오신 파워 스트로크를 부채질한다. 이 과정은 화학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심실내 압력과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구의 축소를 촉진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허용되는 메커니즘은 트로포미오신을 안쪽으로 밀어넣을 때 ADP-bound myosin이 액틴에 부착된 [12]다음 S1-S2 myosin 레버 암이 컨버터 도메인에서 70° 회전하고 M 라인 쪽으로 액틴 필라멘트를 구동하는 것이다.[13]
임상적 유의성
MYH7의 몇 가지 돌연변이는 유전된 심근병증과 관련이 있다. 로런스 외 연구진은 MYH7 유전자에서 비대성 심근병증(HCM)에 대한 원인 돌연변이 Arg403Gln을 가장 먼저 식별했다.[14] 그 이후 연구는 HCM 사례의 약 40%에서 인과관계로 추정되는 몇 가지 MYH7 돌연변이를 추가로 확인했다. 이 질환은 변종 유전자의 한 부본이 심장의 좌심실을 확대시키는 자가우위성 질환이다. 질병의 발병은 보통 말년에 발생하며, 아마도 갑상선 호르몬 기능 및/또는 신체적 스트레스의 변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Tyska MJ, Warshaw DM (Jan 2002). "The myosin power stroke". Cell Motility and the Cytoskeleton. 51 (1): 1–15. doi:10.1002/cm.10014. PMID11810692.
^Geisterfer-Lowrance, A. A.; Kass, S; Tanigawa, G; Vosberg, H. P.; McKenna, W; Seidman, C. E.; Seidman, J. G. (1990). "A molecular basis for familial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 beta cardiac myosin heavy chain gene missense mutation". Cell. 62 (5): 999–1006. doi:10.1016/0092-8674(90)90274-i. PMID1975517. S2CID45182243.
^Park JM, Kim YJ, Yoo JH, Hong YB, Park JH, Koo H, Chung KW, Choi BO (Jul 2013). "A novel MYH7 mutation with prominent paraspinal and proximal muscle involvement". Neuromuscular Disorders. 23 (7): 580–6. doi:10.1016/j.nmd.2013.04.003. PMID23707328. S2CID6194064.
추가 읽기
Jaaskelainen P, Miettinen R, Karkkainen P, Toivonen L, Laakso M, Kuusisto J (2004). "Genetics of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 eastern Finland: few founder mutations with benign or intermediary phenotypes". Annals of Medicine. 36 (1): 23–32. doi:10.1080/07853890310017161. PMID15000344. S2CID29985750.
Kamisago M, Schmitt JP, McNamara D, Seidman C, Seidman JG (2007). "Sarcomere protein gene mutations and inherited heart disease: a beta-cardiac myosin heavy chain mutation causing endocardial fibroelastosis and heart failure". Novartis Foundation Symposium. Novartis Foundation Symposia. 274: 176–89, discussion 189–95, 272–6. doi:10.1002/0470029331.ch11. ISBN9780470015971. PMID17019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