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축구 챔피언 목록
List of Italian football champions설립됨 | 1898 |
---|---|
나라 | 이탈리아 |
연맹 | UEFA |
팀수 | 20 |
현재 챔피언 | 밀라노 (19번째 타이틀) (2021–22) |
대부분의 선수권 대회 | 유벤투스 (36개 타이틀) |
전류: 2021-22 세리에 A |
이탈리아 축구 챔피언(이탈리아어: 캄피오네 디이탈리아 디 칼초, 복수형: 캄피오니)은 이탈리아 최고의 축구 리그 대회인 세리에A의 연간 우승자들이다.그 타이틀은 1898년부터 다양한 형태의 경쟁으로 경쟁되어 왔다.밀란은 현재 챔피언이고 유벤투스는 36번의 우승을 기록하였다.스쿠데토(이탈리아어:스쿠데토, 작은 방패, 복수형:스쿠데티)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24년 제노아가 9번째 챔피언 타이틀을 따내고, 우승자로서 보답하고 자축하기 위해 셔츠에 작은 방패를 추가하기로 결정한 때였다.
제1회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승전은 토리노 3팀, 제노바 1팀 등 4팀이 하루 만에 결정되었다.타이틀은 초대 수상자인 제노바와 함께 결승전 진출자들 간의 녹아웃 형식을 이용해 결정되었다.녹아웃 형식은 9개 팀으로 구성된 리그가 결성된 1909-10 시즌까지 사용되었다.이탈리아 북부의 단일 리그에 국한되었던 이 대회는 1929년 세리에 A와 세리에 B를 창단하면서 전국 대회가 되었다.
역사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풋볼
첫 공식 국가 축구 대회는 1898년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탈리아인:FIGC의 Federazione Italiana Giuoco Calcio.[1]제1회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승전인 이 대회는 1898년 5월 8일 토리노에서 하루 만에 열렸다.제노아는 인테르나치오날레 FC를 꺾고 챔피언에 올랐다. 연장전 끝에 3 대 1로 토리노가 이겼다.[1]이후 몇 년 동안 토너먼트는 각 조의 우승자들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고 최종 우승자들이 우승자로 선언되면서 지역 그룹으로 구성되었다.1904년부터 이 대회는 프리마 칼키아라고 불렸다.
프리마 칼키아
1907년 11월 FIF는 같은 시즌에 두 개의 챔피언을 조직했다.[2]
- 이탈리아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는 메인 토너먼트인 이탈리아 챔피언십; 우승자들은 캄피오니 디탈리아(이탈리아 챔피언)로 선언되고 콥파 부니에게 수여될 것이다.
- 2차 대회인 Federal Championship은 외국인 선수(이탈리아에 거주한 경우)도 출전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우승자는 캄피오니 Federali Federali(Federal Champions)로 선언되고 Coppa Spensley[3](코파 스펜슬리)가 수여된다.
FIF는 이탈리아 선수들로만 구성된 약체 클럽("스쿼드 퓨어 이탈리안 팀", "순수한 이탈리아 팀")이 국가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챔피언을 조직하고, 대부분 더 강한 외국인 선수들로 구성된 빅 클럽("스쿼드 스쿼드 스펄리 인터내티오날리", "가짜 국제 팀")을 마이너리그에서 강등하기를 원했다."우승상"[4][5][6]을 위한 경쟁대다수 빅클럽(제노아, 토리노, 밀라노)은 FIF의 자치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두 대회 모두 탈퇴했다.연방선수권대회는 유벤투스가 도리아를 상대로 우승했고,[7] 이탈리아 챔피언십 1908과 콥파 부니는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해 유벤투스, 도리아, 미국 밀라노를 제치고 우승했다.그러나 유벤투스가 우승한 연방선수권대회는 반체제 클럽들의 보이콧으로 FIGC에 의해 나중에 잊혀졌다.
1909년 시즌에, 연방 챔피언쉽을 위해 콥파 스펜슬리 대신 콥파 오베르티가 대신하여 두 개의 챔피언쉽이 다시 조직되었다.이번에는 대다수의 대형 클럽들이 연방 대회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대회로 만들고, 이탈리아 대회를 축소하기 위해 이탈리아 챔피언십에서만 탈퇴하기로 결정했다.연방 챔피언십은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을 차지해 결승에서 미국 밀라노를 누르고, 이탈리아 챔피언십은 유벤투스가 우승을 차지해 결승에서 다시 미국 밀라노를 물리쳤다.[8]그러나 유벤투스의 이탈리아 챔피언십 우승 실패로 FIGC는 이후 프로 베르첼리 연방 챔피언을 '캄피오니 디탈리아 1909'로 인정해 다른 대회를 부인하는 등 반대자들의 전략이 먹혀들었다.
그 형식은 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던 1909-10 시즌에 맞게 수정되었다.9개의 클럽이 참가하여 홈과 어웨이 양쪽에서 경기를 했다.연방과 이탈리아 챔피언십의 분할이 완전히 폐지된 것은 아니었는데, 이 토너먼트들을 통합하면서 시즌 말에 2개의 타이틀을 할당하기로 마지막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FIGC는 일반 분류에서 1위 클럽을 연방 챔피언으로 선언(지금은 연방 챔피언으로 바뀌었다).4개의 "순수한 이탈리아 팀" 중 최고의 순위에 오른 클럽은 정면승부에 따라 이탈리아 챔피언(지금의 2차 타이틀)으로 인정받게 된다.[9]시즌 막바지에 프로 베르첼리와 인터가 먼저 동점골을 기록했기 때문에 연방 타이틀(이탈리아 우승은 프로 베르첼리가 차지했다)을 배정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오프가 필요했다.이번 시즌은 프로 베르첼리를 결승전에서 10-3으로 꺾은 인테르나치오날레의 첫 승리였다.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한 이탈리아 타이틀도 나중에 잊혀졌다.[10]
1910-11 시즌에는 베네토와 에밀리아 팀이 처음으로 입장했다.우승은 가장 중요한 리구리아-피에몬테-롬바르디아 그룹과 베네토-에밀리아 그룹으로 나뉘었다.각 조의 우승자들은 결승전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1912-13시즌에는 남북 분단으로 국유화되었다.[11]제노아가 처음 북이탈리아 결승에 진출한 1919년에야 FIGC가 1915년 제노바에게 우승컵을 수여하기로 결정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1914-1915년 선수권대회가 중단되었다.1916년, 밀란은 콥파 페데랄레에서 우승했는데, 그 시즌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던 우승의 대체물이었다.[12]그해 대회는 프로 베르첼리를 제외하고 북쪽의 클럽에 한정되었지만 FIGC로부터 정식 트로피로 취급되거나 이탈리아 타이틀로 인정받지 못했다.
프리마 디비전
메이저 클럽(프로 베르첼리, 볼로냐, 유벤투스 포함)이 FIGC와 분쟁을 벌였던 1921-22 시즌에서 논란이 일었다.베스트 24 팀은 비토리오 포초 이탈리아 대표팀 감독이 작성한 계획에 따라 상위 부문 클럽의 감축을 요청했었다.포조의 계획은 기각되고 CCI(이탈리아어: Conferazione Calcistica Italiana)가 창설되어 FIGC가 주관하는 1921-22 시즌(Prima Divisione)과 동시에 운영되도록 1921-22 CCI 리그(Prima Divisione)를 조직하였다.[13]따라서, 그 시즌에는 두 명의 챔피언이 있었다.Novese (FIGC)와 Pro Vercelli (CCI).분규는 FIGC가 1922-23년 북방선수권을 단 36개 클럽("Compromesso Colombo/Colombo 타협")으로 줄이기로 합의하면서 끝났다. 1923-24년 북방선수권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진 24개 클럽으로 축소되었다.[14]
디비전 나치오날레
카르타 디 비아레기오/비아레기오 헌장(1926년)은 프로페셔널리즘 합법화, 외국인 선수 금지, 남북 팀이 같은 챔피언십에서 뛰는 새로운 전국 톱 리그인 디비전 나치오날레를 만들기 위해 작성됐다.레가 노르드(북부리그) 소속 17개 팀이 20개 팀 레가 수드(남부리그) 소속 3개 팀과 함께 10개 팀씩 2개의 국가대표로 나뉘어 새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1926-27시즌에 타이틀을 획득한 토리노 축구 클럽이 FIGC의 조사로 스쿠데토를 박탈당하면서 더 많은 스캔들이 뒤따랐다.토리노 관계자는 1927년 6월 5일 토리노의 유벤투스전에서 상대 수비수 루이지 알레만디에게 뇌물을 준 사실이 밝혀져 시즌이 선언된 챔피언 없이 끝났다.[15]
세리에 A
1929년 디비전 나치오날레(각각 16개 팀으로 구성된 2개 조)는 디비전 나치오날레 세리에 A(신규 탑 디비전)와 디비전 나치오날레 세리에 B(이탈리아 풋볼의 새로운 2단계)의 두 개의 선수권 대회로 나뉘었다.[16][17]1929-30시즌은 세리에A 창단 시즌으로, 인테르나치오날레(당시 암브로시아나라고 불림)가 우승했다.이후 11년 역시 유벤투스와 볼로냐가 지배했는데, 이 세 선수 사이에서 모두 스쿠데티, 유벤투스가 5회 연속 우승, 1949년 그란데 토리노와 동률을 이룬 기록, 2010년 인테르나치오날레, 2016년 유벤투스 자체가 다음 시즌에 다시 우승해 2017년 리그 6회 우승 기록을 추월할 때까지였다.일렬로 늘어서다1943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선수권대회가 중단되면서 대회는 중단되었다.[13]1944년 캄피오나토 알타 이탈리아 선수권 대회가 열렸고, 스페지아가 우승했다.[18]이 타이틀은 2002년 FIGC에 의해 훈장으로 공식 인정되었다.
Speczia는 이탈리아 연방으로부터 유일하게 영구적인 것으로 독특한 공식 저지에 트리콜러 배지를 전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받았다.[19]
전후의 해는 1949년 수페르가 항공 재난에서 극적인 종말을 발견한 팀인 일그란데 토리노("The Great Torino")로 알려진 토리노 편이 지배했다.[13]1950년대는 세리에A의 득점왕(이탈리아인:카포카노니에리)는 6계절 중 5계절이다.유벤투스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걸쳐 15시즌 동안 9개의 스커데티로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고, 1990년대는 밀라노가 두각을 나타냈다.[13]
세리에 A는 2006년 이탈리아 축구 스캔들로 인해 또 다른 타격을 입었는데, 이 스캔들은 리그 챔피언 유벤투스와 밀라노, 피오렌티나, 라치오, 레지나 등 다른 주요 팀들이 연루되어 있다.[20]FIGC는 유벤투스가 타이틀을 박탈당하고 세리에 B로 강등된 뒤 다음 시즌을 9점 차감하고 선발로 나섰다.다른 관련 구단들도 강등과 점수 차감 등으로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다.[21]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풋볼
계절 | 위너스 | 2위 | 득점왕(클럽) (골) |
---|---|---|---|
1898 | 제노바(1) | 인테르나치오날레 토리노 | (알 수 없음) |
1899 | 제노바(2) | 인테르나치오날레 토리노 | (알 수 없음) |
1900 | 제노바(3) | 토리네세 | (알 수 없음) |
1901 | 밀라노(1) | 제노바 | 움베르토 말바노 (유벤투스) (4) |
1902 | 제노바 (4) | 밀라노 | (알 수 없음) |
1903 | 제노바(5) | 유벤투스 | (알 수 없음) |
프리마 칼키아
연도 | 위너스 | 2위 | / | 득점왕(클럽) (골) |
---|---|---|---|---|
1904 | 제노바(6) | 유벤투스 | - | (알 수 없음) |
연도 | 위너스 | 2위 | 3위 | 득점왕(클럽) (골) |
1905 | 유벤투스(1) | 제노바 | 미국 밀라노사우루스 | (알 수 없음) |
1906 | 밀라노(2) | 유벤투스 | 제노바 | (알 수 없음) |
1907 | 밀라노(3) | 토리노 | 안드레아 도리아 | (알 수 없음) |
1908 | 프로 베르첼리(1) | 미국 밀라노사우루스 | 안드레아 도리아 | (알 수 없음) |
1909 | 프로 베르첼리(2) | 미국 밀라노사우루스 | 제노바 | (알 수 없음) |
1909–10 | 인테르나치오날레(1) | 프로 베르첼리 | 유벤투스 | (알 수 없음) |
계절 | 위너스 | 베네토에밀리아 챔피언 | / | 득점왕(클럽) (골) |
1910–11 | 프로 베르첼리(3) | 비첸차 | - | (알 수 없음) |
1911–12 | 프로 베르첼리 (4) | 베네치아 | - | (알 수 없음) |
계절 | 위너스 | 이탈리아 중남부 챔피언 | / | 득점왕(클럽) (골) |
1912–13 | 프로 베르첼리 (5) | 라치오 | - | (알 수 없음) |
1913–14 | 카살레(1) | 라치오 | - | (알 수 없음) |
1914–15 | 제노바 (7)[22] | - | - | (알 수 없음) |
1915–19 | ||||
1919–20 | 인테르나치오날레(2) | 리보르노 | - | (알 수 없음) |
1920–21 | 프로 베르첼리(6) | 피사 | - | (알 수 없음) |
연도 | 위너 | 2위 | / | 득점왕(클럽) (골) |
1921–22 (FIGC) | 노비즈(1) | 삼피에르다레네세 | - | (알 수 없음) |
프리마 디비전
계절 | 위너스 | 이탈리아 중남부 챔피언 | / | 득점왕(클럽) (골) |
---|---|---|---|---|
1921–22 (CCI) | 프로 베르첼리 (7) | 포티도오로마 | - | (알 수 없음) |
1922–23 | 제노바 (8) | 라치오 | - | (알 수 없음) |
1923–24 | 제노바(9) | 사보이아 | - | 하인리히 쇤펠트 (토리노) (22) |
1924–25 | 볼로냐(1) | 알바 트라스테베레 | - | 마리오 마그노지 (리보르노) (19) |
1925–26 | 유벤투스(2) | 알바 트라스테베레 | - | 페렌치 히르저(유벤투스)(35) |
디비전 나치오날레
계절 | 위너스 | 준우승 | 3위 | 득점왕(클럽) (골) |
---|---|---|---|---|
1926–27 | 미수상 | 볼로냐 | 유벤투스 | 안톤 포올니 (Internazionale) (22) |
1927–28 | 토리노(1) | 제노바 | 알레산드리아 | 훌리오 리보나티(토리노)(35) |
계절 | 위너스 | 2위 | / | 득점왕(클럽) (골) |
1928–29 | 볼로냐(2) | 토리노 | - | 지노 로세티 (토리노) (36) |
세리에 A
챔피언들은 또한 더블로 시즌에 캅파 이탈리아를 우승했다. | |
* | 챔피언은 또한 3관왕으로 콥파 이탈리아와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했다. |
† | 유럽컵/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우승컵이 올랐다. |
‡ | 그 시즌 UEFA컵/UEFA 유로파리그에서도 우승컵 |
# | 챔피언들은 또한 UEFA 컵 위너스 컵을 시즌에 우승했다. |
계절 | 위너스 | 준우승 | 3위 | 득점왕(클럽) (골) |
---|---|---|---|---|
1929–30 | 암브로시아나-인터(3) | 제노바 | 유벤투스 | 주세페 메아자 (암브로시아나-인터) (31) |
1930–31 | 유벤투스(3) | 로마 | 볼로냐 | 로돌포 볼크 (로마)(29) |
1931–32 | 유벤투스 (4) | 볼로냐 | 로마 | 페드로 페트론 (피오렌티나) 안젤로 시아비오 (볼로냐) (25) |
1932–33 | 유벤투스 (5) | 암브로시아나-인터널 | 볼로냐/나폴리 | 펠리스 플라시도 보렐 (유벤투스)(29) |
1933–34 | 유벤투스 (6) | 암브로시아나-인터널 | 나폴리 | 펠리스 플라시도 보렐 (유벤투스)(31) |
1934–35 | 유벤투스 (7) | 암브로시아나-인터널 | 피오렌티나 | 엔리코 과이타 (로마)(31) |
1935–36 | 볼로냐(3) | 로마 | 토리노 | 주세페 메아자 (암브로시아나-인터) (25) |
1936–37 | 볼로냐 (4) | 라치오 | 토리노 | 실비오 피올라 (라지오)(21) |
1937–38 | 암브로시아나-인터(4) | 유벤투스 | 제노바 | 주세페 메아자 (암브로시아나-인터) (20) |
1938–39 | 볼로냐 (5) | 토리노 | 암브로시아나-인터널 | 알도 보피 (밀란) 에토레 푸리첼리 (볼로냐) (19) |
1939–40 | 암브로시아나-인터(5) | 볼로냐 | 유벤투스 | 알도 보피 (밀란) (24) |
1940–41 | 볼로냐 (6) | 암브로시아나-인터널 | 밀라노 | 에토레 푸리첼리 (볼로냐) (22) |
1941–42 | 로마(1) | 토리노 | 베네치아 | 알도 보피 (밀란) (22) |
1942–43 | 토리노(2) | 리보르노 | 유벤투스 시시탈리아 | 실비오 피올라 (라지오)(21) |
1944 | 캄피오나토 알타 이탈리아 스페지아 칼초 (탐구) | |||
1945 | ||||
1945–46 | 토리노(3) | 유벤투스 | 밀라노 | 굴리엘모 가베토 (토리노) (22) |
1946–47 | 토리노 (4) | 유벤투스 | 모데나 | 발렌티노 마졸라 (토리노) (29) |
1947–48 | 토리노(5) | 유벤투스/밀란/트리에스티나 | 지암피에로 보니페르티 (유벤투스)(27) | |
1948–49 | 토리노(6) | 인테르나치오날레 | 밀라노 | 이스트반 니어스 (Internazionale)(26) |
1949–50 | 유벤투스 (8)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군나르 노르달(밀란)(35) |
1950–51 | 밀라노 (4) | 인테르나치오날레 | 유벤투스 | 군나르 노르달 (밀란)(34) |
1951–52 | 유벤투스 (9)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존 한센 (유벤투스) (30) |
1952–53 | 인테르나치오날레(6) | 유벤투스 | 밀라노 | 군나르 노르달 (밀란) (26) |
1953–54 | 인테르나치오날레(7) | 유벤투스 | 피오렌티나/밀란 | 군나르 노르달 (밀란) (23) |
1954–55 | 밀라노 (5) | 우디네세 | 로마 | 군나르 노르달 (밀란) (26) |
1955–56 | 피오렌티나(1) | 밀라노 | 인테르나지오날레/라지오 | 지노 피바텔리 (볼로냐)(29) |
1956–57 | 밀라노 (6) | 피오렌티나 | 라치오 | 디노 다 코스타 (로마) (22) |
1957–58 | 유벤투스 (10) | 피오렌티나 | 파도바 | 존 찰스 (유벤투스) (28) |
1958–59 | 밀라노 (7) | 피오렌티나 | 인테르나치오날레 | 안토니오 발렌틴 안젤리요(Internazionale)(33) |
1959–60 | 유벤투스 (11) | 피오렌티나 | 밀라노 | 오마르 시보리 (유벤투스) (28) |
1960–61 | 유벤투스 (12)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세르히오 브리헨티 (샘프도리아)(27) |
1961–62 | 밀라노 (8) | 인테르나치오날레 | 피오렌티나 | 호세 알타피니 (밀란) 아우렐리오 밀라니 (피오렌티나) (22) |
1962–63 | 인테르나치오날레(8) | 유벤투스 | 밀라노 | 하랄드 닐슨 (볼로냐) 페드로 만프레디니 (로마) (19) |
1963–64 | 볼로냐 (7) | 인테르나치오날레 | 밀라노 | 하랄드 닐슨 (볼로냐) (21) |
1964–65 | 인테르나치오날레(9)† | 밀라노 | 토리노 | 산드로 마졸라 (Internazionale) 알베르토 올랜도 (피오렌티나) (17) |
1965–66 | 인테르나치오날레(10) | 볼로냐 | 나폴리 | 루이스 비니시오 (비첸차) (25) |
1966–67 | 유벤투스 (13) | 인테르나치오날레 | 볼로냐 | 기기 리바 (카글리아리) (18) |
1967–68 | 밀라노 (9)# | 나폴리 | 유벤투스 | 피에리노 프라티 (밀란) (15) |
1968–69 | 피오렌티나(2) | 칼리아리 | 밀라노 | 기기 리바 (카글리아리) (21) |
1969–70 | 칼리아리(1) | 인테르나치오날레 | 유벤투스 | 기기 리바 (카글리아리) (21) |
1970–71 | 인테르나치오날레(11) | 밀라노 | 나폴리 | 로베르토 보닌세그나 (Internazionale)(24) |
1971–72 | 유벤투스 (14) | 밀라노/토리노 | 로베르토 보닌세그나 (Internazionale) (22) | |
1972–73 | 유벤투스 (15) | 밀라노 | 라치오 | 주세페 사볼디 (볼로냐) 파올리노 풀리치 (토리노) 잔니 리베라 (밀란) (17) |
1973–74 | 라치오(1) | 유벤투스 | 나폴리 | 조르지오 치날리아 (라지오) (24) |
1974–75 | 유벤투스 (16) | 나폴리 | 로마 | 파올리노 풀리치 (토리노) (18) |
1975–76 | 토리노 (7) | 유벤투스 | 밀라노 | 파올리노 풀리치 (토리노) (21) |
1976–77 | 유벤투스 (17)‡ | 토리노 | 피오렌티나 |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토리노) (21) |
1977–78 | 유벤투스 (18) | 비첸차/토리노 | 파올로 로시 (비첸차) (24) | |
1978–79 | 밀라노(10) | 페루자 | 유벤투스 | 브루노 지오다노 (라지오) (19) |
1979–80 | 인테르나치오날레(12) | 유벤투스 | 토리노 | 로베르토 베테가 (유벤투스) (16) |
1980–81 | 유벤투스 (19) | 로마 | 나폴리 | 로베르토 프루초 (로마) (18) |
1981–82 | 유벤투스(20) | 피오렌티나 | 로마 | 로베르토 프루초 (로마) (15) |
1982–83 | 로마(2) | 유벤투스 | 인테르나치오날레 |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16) |
1983–84 | 유벤투스(21)# | 로마 | 피오렌티나 |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20) |
1984–85 | 헬라스 베로나(1) | 토리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미셸 플라티니 (유벤투스) (18) |
1985–86 | 유벤투스 (22) | 로마 | 나폴리 | 로베르토 프루초 (로마) (19) |
1986–87 | 나폴리(1) | 유벤투스 | 인테르나치오날레 | 피에트로 파올로 비르디스 (밀란) (17) |
1987–88 | 밀라노 (11) | 나폴리 | 로마 | 디에고 마라도나 (나폴리) (15) |
1988–89 | 인테르나치오날레(13) | 나폴리 | 밀라노 | 알도 세레나 (Internazionale) (22) |
1989–90 | 나폴리 (2)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마르코 판 바스턴 (밀란) (19) |
1990–91 | 샘프도리아(1)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잔루카 비알리 (샘프도리아) (19) |
1991–92 | 밀라노 (12) | 유벤투스 | 토리노 | 마르코 판 바스턴 (밀란) (25) |
1992–93 | 밀라노 (13) | 인테르나치오날레 | 파르마 | 주세페 시뇨리 (라지오)(26) |
1993–94 | 밀라노 (14)† | 유벤투스 | 샘프도리아 | 주세페 시뇨리 (라지오) (23) |
1994–95 | 유벤투스 (23) | 라치오 | 파르마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피오렌티나) (26) |
1995–96 | 밀라노 (15) | 유벤투스 | 라치오 | 이고르 프로티 (바리) 주세페 시뇨리 (라지오)(24) |
1996–97 | 유벤투스(24) | 파르마 | 인테르나치오날레 | 필리포 인자기 (아탈란타) (24) |
1997–98 | 유벤투스 (25) | 인테르나치오날레 | 우디네세 | 올리버 비에호프 (우디네세) (27) |
1998–99 | 밀라노 (16) | 라치오 | 피오렌티나 | 마흐시오 아모로소 (우디네세) (22) |
1999–2000 | 라치오(2) | 유벤투스 | 밀라노 | 안드리 셰브첸코 (밀란) (24) |
2000–01 | 로마(3) | 유벤투스 | 라치오 | 에르난 크레스포 (라지오) (26) |
2001–02 | 유벤투스(26) | 로마 | 인테르나치오날레 | 데이비드 트레제게트 (유벤투스) 다리오 후브너 (피아첸차) (24) |
2002–03 | 유벤투스(27) | 인테르나치오날레 | 밀라노 | 크리스티안 비에리 (Internazionale)(24) |
2003–04 | 밀라노 (17) | 로마 | 유벤투스 | 안드리 셰브첸코 (밀란) (24) |
2004–05 | 미수상 | 밀라노 | 인테르나치오날레 | 크리스티아누 루카렐리 (리보르노) (24) |
2005–06 | 인테르나치오날레(14) | 로마 | 밀라노 | 루카 토니(피오렌티나)(31) |
2006–07 | 인테르나치오날레(15) | 로마 | 라치오 | 프란체스코 토티 (로마) (26) |
2007–08 | 인테르나치오날레(16) | 로마 | 유벤투스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유벤투스)(21) |
2008–09 | 인테르나치오날레 (17) | 유벤투스 | 밀라노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Internazionale) (25) |
2009–10 | 인테르나치오날레 (18)* | 로마 | 밀라노 | 안토니오 디 나탈레 (우디네세) (29) |
2010–11 | 밀라노 (18) | 인테르나치오날레 | 나폴리 | 안토니오 디 나탈레 (우디네세) (28) |
2011–12 | 유벤투스(28) | 밀라노 | 우디네세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밀란) (28) |
2012–13 | 유벤투스(29) | 나폴리 | 밀라노 | 에딘손 카바니 (나폴리)(29) |
2013–14 | 유벤투스 (30) | 로마 | 나폴리 | 시로 임베디빌레 (토리노) (22) |
2014–15 | 유벤투스(31) | 로마 | 라치오 | 마우로 이카르디 (Internazionale) 루카 토니 (헬라스 베로나) (22) |
2015–16 | 유벤투스(32) | 나폴리 | 로마 | 곤살로 이과인(나폴리)(36) |
2016–17 | 유벤투스(33) | 로마 | 나폴리 | 에딘 제코 (로마) (29) |
2017–18 | 유벤투스(34) | 나폴리 | 로마 | 마우로 이카르디 (Internazionale) 시로 임베디빌레 (라지오)(29) |
2018–19 | 유벤투스(35) | 나폴리 | 아탈란타 | 파비오 콸리아렐라 (샘프도리아)(26) |
2019–20 | 유벤투스(36) | 인테르나치오날레 | 아탈란타 | 시로 임베디빌레 (라지오) (36) |
2020–21 | 인테르나치오날레(19) | 밀라노 | 아탈란타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유벤투스) (29) |
2021–22 | 밀라노(19) | 인테르나치오날레 | 나폴리 | 시로 임베디빌레 (라지오)(27) |
퍼포먼스
클럽
다음 표는 챔피언쉽의 우승자들을 묘사하는 각 클럽의 실적을 나열한 것이다.16개의 클럽이 챔피언이 되었다.
볼드(bold)는 현재 상위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클럽을 가리킨다.
도시별
도시 | 선수권 대회 | 클럽 |
---|---|---|
토리노 | 43 | 유벤투스(36), 토리노(7), |
밀라노 | 38 | 인테르나치오날레(19), 밀라노(19) |
제노바 | 10 | 제노바(9), 샘프도리아(1) |
볼로냐 | 7 | 볼로냐 (7) |
베르첼리 | 7 | 프로 베르첼리 (7) |
로마 | 5 | 로마(3), 라치오(2) |
플로렌스 | 2 | 피오렌티나(2) |
나폴리 | 2 | 나폴리 (2) |
칼리아리 | 1 | 칼리아리(1) |
카살레 몬페라토 | 1 | 카살레(1) |
노비 리구레 | 1 | 노비즈(1) |
베로나 | 1 | 헬라스 베로나(1) |
지역별
지역 | 선수권 대회 | 클럽 |
---|---|---|
피에몬트 주 | 52 | 유벤투스(36), 토리노(7), 프로 베르첼리(7), 카살레(1), 노비스(1) |
롬바르디 | 38 | 인테르나치오날레(19), 밀라노(19) |
리구리아 | 10 | 제노바(9), 샘프도리아(1) |
에밀리아로마냐 | 7 | 볼로냐 (7) |
라치오 | 5 | 로마(3), 라치오(2) |
캄파니아 | 2 | 나폴리 (2) |
투스카니 | 2 | 피오렌티나(2) |
사르디니아 | 1 | 칼리아리(1) |
베네토 | 1 | 헬라스 베로나(1) |
참고 항목
- 이탈리아의 축구
- 이탈리아의 축구 리그 시스템
- 세리에A 시즌 득점왕 카포칸노니에어상
원천
- Almanaco Illustraato del Calcio – La Storia 1898–2004, Panini Edizioni, Modena, 2005년 9월
- 카를로 치사, 라 그랑드 스토리아 델 칼초 이탈리아어(이탈리아 축구의 위대한 역사), 게린 스포티보, 2012–
- 2편: 1908–1910, 페이지 17–32, 게린 스포티보 #5 (마지오 2012), 페이지 83–98.
메모들
참조
- ^ a b "FIGC History – 1898". FIG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07. Retrieved 26 April 2007.
- ^ 치사, 페이지 18.
- ^ "La gran finale del Campionato Federale". La Stampa. 22 February 1908. p. 5. Retrieved 17 April 2012.
- ^ Giulio Corradino Corradini (7 June 1908). "Federazione acefala" (in Italian). La Stampa Sportiva. pp. 10–11.
- ^ Giulio Corradino Corradini (5 July 1908). "Ancora sulla questione dei Campionati. La parola ad un dissidente" (in Italian). La Stampa Sportiva. pp. 7–8.
- ^ Giulio Corradino Corradini (6 September 1908). "Vexata quaestio" (in Italian). La Stampa Sportiva. p. 4.
- ^ "La Finale di Campionato a Torino". La Stampa. 7 May 1908. p. 4. Retrieved 17 April 2012.
- ^ "Il F.C. Juventus vince il Campionato Italiano". La Stampa. 7 June 1909. p. 5. Retrieved 17 April 2012.
- ^ 치사, 페이지 24-25
- ^ "Italy – Championship History 1898–1923". rsssf.com. Retrieved 26 April 2007.
- ^ "FIGC History – 1913". FIG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07. Retrieved 26 April 2007.
- ^ "Juventus vs Milan". rsssf.com. Retrieved 26 April 2007.
- ^ a b c d "Italy – List of Champions". rsssf.com. Retrieved 26 April 2007.
- ^ Annuario 1931 페이지 18-19.
- ^ James Lawton (8 July 2006). "Italy are fabulously flawed".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07. Retrieved 17 April 2007.
- ^ Annuario 1931, 페이지 40. "일 캠피오나토 디 디 디디비전 나치오날레 디 디비소 적절한 세리에:A e B" (Divisione Nazionale의 챔피언십은 두 개의 세리에: A와 B"로 나뉜다.
- ^ John Foot (2006). Calcio – a history of Italian Football. Fourth Estate. ISBN 0007175744.
- ^ "Italy 1943/44 (War Championship)". rsssf.com. Retrieved 26 April 2007.
- ^ "Lo scudetto del '44 – 4a parte" (in Italian). Spezia Calcio 19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07. Retrieved 26 April 2007.
- ^ "Serie A quartet will stand trial". BBC Sport. 23 June 2006. Retrieved 26 April 2007.
- ^ "Italian trio relegated to Serie B". BBC Sport. 14 July 2006. Retrieved 26 April 2007.
- ^ WWI로 인해 챔피언십이 완료되지 않음, FIGC가 수여하는 타이틀
외부 링크
- (영어) 이탈리아 축구 협회
- (이탈리아어로) 전국 리그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