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노우 선서석
Keningau Oath Stone바투 셈파 케나우 | |
좌표 | 5°20′34.49″N 116°9′41.89″E/5.3429139°N 116.1616361°E좌표: 5°20′34.49″N 116°9′41.89″E / 5.3429139°N 116.1616361°E |
---|---|
위치 | 케나우, 사바 |
디자이너 | 가루콘 구룬 |
유형 | 메가리틱 |
재료 | 돌 |
에 전념 | 사바한 내무부와 말레이시아 정부 간 합의 |
케나우 선서석(말레이: Batu Sumpah Kennau)은 옛 영국령 보르네오 식민지였던 북보르네오(North Boreno)가 옛 식민지인 사라왁(Sarawak)과 다른 말라야 연방 주(Federation of Malaya)에 합류해 말레이시아를 형성한 용어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사바(Kenau)의 기념비적이다.[1]
역사
말레이시아의 형성에 대한 유보
말레이시아 연방의 최근 독립 국가인 말라야 연방, 브루나이의 영국 보호국, 북보르네오, 사라왁, 싱가포르의 영국 왕관 식민지로 구성된 말레이시아의 더 큰 연합을 구성하자는 제안은 각각의 영토에서 영향력 있는 공동체 지도자들의 초기 반대에 부딪혔다.
북보르네오 입법회(North Borneo)는 1962년 9월 12일 말레이시아를 결성하기 위한 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스티븐스가 작성한 20개항의 합의문을 제시하면서 마침내 말레이시아 협정문에 응하기로 합의했다.[2]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오랑 카야-카야로 알려진 사바의 전통적인 토착 족장들 사이에서는 새로운 연방 내에서 국가의 권리에 대한 상당한 우려와 유보심이 여전히 존재했다.[3]
석재에 설정된 보증서
원래의 석재 리트리버 중 한 곳 역시 현재 출처에 언급된 대로 페갈란이 아닌 모솔로고 세나강에서 석재를 회수함에 따라 석재 기원에 대한 시정을 요청하고 있다.[1]
일련의 논의와 협의 끝에, 주 입법 야당 지도자와 전통적 토착 지도자인 G. S. 순당과 연합 파석-모모군 카다잔 기구의 그의 동생 다투크 OKK 세도몬(이하 연합 파석 누카낭 국립 기구로 재조직)이 선서 요약본을 세우자는 제안이 있었다.말레이시아 정부가 말레이시아에 대한 내무부 국민의 [4]충성심을 거듭 강조하면서 사바에게 주는 보증서
반두칸, 바야요, 단굴라드, 세나강, 투아리드, 울루 리아완 등 케나우 주변 지역에서 채취·수집한 돌들이 많지만 적절하지 않고 쉽게 부서진다.케나우 지방관 리차드 린드(더 늦게 사바 국무장관이 됨)는 선서석 설치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캄풍 당굴라드(케닝가의 작은 마을) 인근 페갈란 강에서 적절한 바위를 채취하여 전설적인 북보르네오 경찰서의 전 병장 가루콘 구룬이 조각하였다.싱가포르의 가시크로프트 조선소에 의뢰해 만든 현판이 돌에 부착됐다.[3]
선서석 공개
케나우 선서석은 1964년 8월 31일 옛 케나우 구청 건물에서 공개되어 주례되었다.이 행사는 연방노동부 장관인 V. 마니카바사가삼이 주례를 맡았으며, 주정부 관리들과 연합카다잔 기구의 무함마드 푸아드 스티븐스, G. S. 순당, 아자마인 두라만 키닝가우 경찰서장, 기타 전통적 원주민 추장들이 목격했다.[3]
보볼리안(전통 사제)이 동물 제물을 바치는 마닝골리그 의식을 두순족의 전통 신앙에 따라 행하여 보증을 묶었다.[4]
2010년 말레이시아의 날
2010년 말레이시아의 날을 기념해 제프리 키팅안 당수가 이끄는 파르티 키딜란 라키트 당수는 기념비에서 마닝골리그 의식을 재연했다.희생된 수탉은 목을 베었음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살아있는 것으로 밝혀졌다.키팅안은 이것이 "말레이시아 협정의 모든 조항이 영예로운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상징적인 의미일 수 있다"[5]고 말했다.
선서석 이전 및 명판 복원
2014년 9월 16일 말레이시아의 날 기념식에서 이 돌의 비문이 훼손된 것으로 밝혀졌다.'케라자안 말레이시아 자민'(말레이시아 정부 보증서)이라는 글자는 '바투 셈파 페린가탄 멩기쿠트 팔람바가안'(헌법상 기념선서석)이라는 제목 아래쪽에서 삭제됐다.[6][7][8]
2015년 7월 6일 이 비문의 원판이 캄풍아핀아핀 주민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이 상패는 나중에 사바 주의 제프리 키팅안 의원에게 넘겨졌다.[9]한편 제프리는 다음 사바주 입법회에서 무사 아만 사바 총리에게 현판을 넘겨주기로 했다.[10]그러나 제프리의 여동생인 조안나 키팅안 사바 박물관장은 새로 발견된 명판의 독창성에 의문을 표시했다.[11]
2015년 1월 30일, 선서석을 잃어버린 단어를 되찾은 채 게나우 토지 조사부 구내로 이전하자는 제안이 있었다.[12]선서석은 2016년 2월 키나우유적박물관으로 이전하는 것이 제안돼 국가유산으로 고시될 예정이다.[13]
연방정부로부터의 복구에 대한 높은 비용 사유와 함께 계속해서 이전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바한 정치인들에 의해 비판 받아왔고 그들은 연방정부가 약속을 지킬 의사가 없다고 인식해왔다.[14][15]그러나 끈질긴 지연에도 불구하고, 총리실의 조지프 쿠럽 장관은 '케라자안 말레이시아 자민'[16]의 사라진 말과 함께 돌의 복원과 이전을 다짐했다.약 10억 2천 5백만 달러가 연방 정부에 의해 케나우 유산 박물관 근처의 부지로 이전되도록 할당되었다.[17]모하메드 나즈리 압둘 아지즈 말레이시아 관광문화부 장관은 이번 이전으로 더 많은 사람들과 관광객들이 선서석의 이면에 숨겨진 역사를 감상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전 이후 국가문화재보호법(1997년)에 따라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18]
2018년 9월 선서석은 사라진 세 단어를 복원한 채 게노유적박물관으로 옮겨졌다.[19][20]
명판 비문
케나우 선서석에 부착된 명패에 새겨진 글씨는 [21]옛 철자 체계로 쓰여진 말레이어로 되어 있다(1972년 이전 철자 개혁).
바투 셈파 페링가탄 멘기쿠트 팔람바가안
- 우가마 베바스 달람 사바
- 타나호2 달람 사바 디 쿠아사 올레 케라잔 사바
- 아다트 이스티아다트 아낙 라야트 디호르마트칸 단 디펠리하라 올레 케라잔
세발렉 푸라 라야트2 사바 디 인테리어 베르셈파 타아트 세티아 카파다 케라잔 말레이시아
번역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헌법에 따른 위령비
- 사바의 종교의 자유
- 사바 정부는 사바에 있는 땅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 정부에 의해 존중되고 유지될 토착 풍습과 전통
답례로 사바족 내무부 사람들이 말레이시아 정부에 충성 서약속
참고 항목
참조
- ^ a b "Forgotten men who laboured over oath stone". Bernama. The Star. 19 September 2018. Retrieved 22 January 2019.
- ^ A J Stockwell, ed. (2004), British Documents on the End of Empire, B, vol. 8, Norwich, UK: TSO (The Stationery Office), pp. 386 [141], ISBN 0-11-290581-1, retrieved 16 September 2010
- ^ a b c Madi, Emin (29 November 2010). "The story behind Keningau's Oath Stone". Bernama. BERNAM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December 2010. Retrieved 29 November 2010.
- ^ a b Jumat, Rozie (18 September 2010). "Batu Sumpah Atau Sumpah-Sumpah?". Sabahkini (in Malay). Sabahkini. Retrieved 29 November 2010.
- ^ "Sacrifical Batu Sumpah rooster survives ritual". Daily Express. Daily Express (Sabah). 19 Octo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1. Retrieved 29 November 2010.
- ^ Vanar, Muguntan (19 September 2014). "Oath Stone tampered with". The Star (Malaysia). Retrieved 6 July 2015.
- ^ Sokial, Sandra (19 September 2014). "Sabah leaders see red over omitted words on historical Batu Sumpah". The Rakyat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14. Retrieved 6 July 2015.
- ^ Fernandez, Joe (19 September 2014). "Pairin upset Batu Sumpah was tampered with". Free Malaysia 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15. Retrieved 6 July 2015.
- ^ "Hand over oath stone to police – DAP". The Borneo Post. 6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5. Retrieved 6 July 2015.
- ^ "Plaque to be handed over during State Assembly". New Sabah Times. 6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5. Retrieved 6 July 2015.
- ^ "Kitingan suggests oath stone plaque in Kitingan's hands may not be the original". Kinabalu Today. 6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5. Retrieved 6 July 2015.
- ^ Lee, Stephanie (30 January 2015). "Joseph Kurup: Oath Stone to be relocated". The Star (Malaysia). Retrieved 15 February 2016.
- ^ "Nazri announces National Heritage Site and 'Kerajaan Malaysia Jamin' to be reinstated". The Borneo Post. 13 Febr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16. Retrieved 15 February 2016.
- ^ "No excuse for delay on Oath Stone: Jeffrey". Daily Express. 15 September 2016. Retrieved 18 September 2016.
- ^ "Restoring Oath Stone shouldn't cost million$: Sipaun". Daily Express. 18 September 2016. Retrieved 18 September 2016.
- ^ "Oath Stone will be restored, pledges Kurup". Daily Express. 20 September 2016. Retrieved 22 September 2016.
- ^ Stephanie Lee (2 May 2017). "Sabah's Oath Stone to get a permanent home". The Star. Retrieved 6 May 2017.
- ^ Uhim Wong; James Sarda (3 May 2017). "RM1m Oath Stone relocation soon". Daily Express. Retrieved 4 May 2017.
- ^ Stephanie, Lee (12 September 2018). "A home for oath stone at last". The Star (Malays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8. Retrieved 21 April 2019.
- ^ Johan Aziz (4 January 2019). "Warisan praised for restoring words". Daily Ex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19. Retrieved 22 January 2019.
- ^ Haji Omar, Asmah (1989). "The Malay Spelling Reform". Journal of the Simplified Spelling Society. 1989–2: 9–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0. Retrieved 29 November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