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리오톡신

Iberiotoxin
이베리오톡신의[1] 아미노산 염기서열
Pyr - Phe - Thr - Asp - Val - Asp - Cys - Ser - Val - Ser - Lys - Glu - Cys - Trp - Ser - Val - Cys - Lys - Asp - Leu - Phe - Gly - Val - Asp - Arg - Gly - Lys - Cys - Met - Gly - Lys - Lys - Cys - Arg - Cys - Tyr - Gln - OH
이황화 교량:Cys7 - Cys28, Cys13 - Cys33, Cys17 - Cys35

이베리오톡신(IbTX)은 동인도 적색 전갈 핫텐토타 타물루스에서 정제된 이온 채널 독소다.이베리오톡신은 대전도 칼슘 활성 칼륨 채널을 통해 전류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화학

이베리오톡신은 37-아미노산 펩타이드다.공식은 CHNOS이다17927450557.[2]"칼륨 채널 독소 알파-KTX 1.3" 또는 IbTx로도 알려져 있다.완전한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정의되었으며, 차리브도톡신과 함께 68% 염기서열 호몰로지(sequence homology)를 나타낸다.[1]

대상 및 조치 모드

이베리오톡신은 높은 친화력(Kd ~ 1nM)으로 대전도 칼슘 활성 칼륨 채널(maxiK 또는 BK 채널)의 바깥 면에 결합한다.[3]채널 개방 확률과 개방 시간을 모두 줄여 전류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3]

독성

독은 주로 순환기 질환, 심근염, 심장병 ATPase의 변화와 같은 심폐 이상을 유발하며, 이러한 이상에 의해 결국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인도 시골에서는 전갈과 전갈의 독이 어린이 사망의 흔한 요인이다.독은 처음에는 일시적인 콜린거 자극(호흡, 과호흡, 염증, 프리아파스, 과호흡, 저혈압)을 일으키는데, 그 뒤에 지속적인 아드레날린 과다행동(고혈압, 빈맥, 심근부전)이 뒤따른다.아드레날린 위상은 아니지만 콜린러기 위상은 용량 의존적인 현상이다.[4]

치료

치료는 주로 증상이 나타난다.국소적인 통증은 침이 쏘인 부위에 디트로메틴을 주입하여 치료한다.저혈당증은 경구적 수분 보충 용액에 의해 교정된다.불안하고 혼란스러우며 비협조적인 환자에게 5% 덱스트로스 식염수를 투여한다.입원 중인 고혈압 환자들은 5mg아언어 니페디핀과 구강 프라조신 1회 복용량이 주어진다.고혈압 환자의 혈압은 언어적 니페디핀만으로 조절된다.폐외종 환자는 정맥 아미노필린, 정맥 중탄산나트륨, 구강 프라조신, 산소를 마스크로 받쳐 준다.[4]

참조

  1. ^ a b Galvez, A; Gimenez-Gallego, G; Reuben, JP; Roy-Contancin, L; Feigenbaum, P; Kaczorowski, GJ; Garcia, ML (199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unique, potent, peptidyl probe for the high conductance calcium-activated potassium channel from venom of the scorpion Hottentotta tamulu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5 (19): 11083–90. doi:10.1016/S0021-9258(19)38560-6. PMID 1694175.
  2. ^ Ferrat, G; Bernard, C; Fremont, V; Mullmann, TJ; Giangiacomo, KM; Darbon, H (2001). "Structural basis for alpha-K toxin specificity for K+ channels revealed through the solution 1H NMR structures of two noxiustoxin-iberiotoxin chimeras". Biochemistry. 40 (37): 10998–1006. doi:10.1021/bi010228e. PMID 11551195.
  3. ^ a b Candia, S; Garcia, ML; Latorre, R (1992). "Mode of action of iberiotoxin, a potent blocker of the large 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 Biophysical Journal. 63 (2): 583–90. Bibcode:1992BpJ....63..583C. doi:10.1016/S0006-3495(92)81630-2. PMC 1262182. PMID 1384740.
  4. ^ a b Bawaskar, HS; Bawaskar, PH (1992). "Management of the cardiovascular manifestations of poisoning by the Indian red scorpion (Hottentotta tamulus)". British Heart Journal. 68 (5): 478–80. doi:10.1136/hrt.68.11.478. PMC 1025191. PMID 1467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