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곡선 나선형
Hyperbolic spiral쌍곡선 나선은 평면 곡선으로, 방정식으로 극좌표로 설명할 수 있다.
쌍곡선의 그것은 아르키메데스 나선형의 원 반대로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호주의 나선형이라고도 불린다.[1][2]
피에르 바리뇽은 1704년에 처음으로 곡선을 연구했다.[2] 후에 요한 베르누이와 로저 코테스도 곡선에서 일했다.
데카르트 좌표
극 방정식이 있는 쌍곡선 나선형
다음과 같이 데카르트 좌표(x = r cos φ, y = r sin φ)로 나타낼 수 있다.
하이퍼볼라는 좌표 축을 rφ-평면에 점근으로 가지고 있다. 쌍곡선 완화곡선(xy-plane에서)은 asy → ±3으로 원점에 점근한다. φ → ±0의 경우 곡선에 점근선이 있다(다음 섹션 참조).
극지방의 방정식과 φ부터).mw-parser-output .sfrac{white-space:nowrap}.mw-parser-output.sfrac.tion,.mw-parser-output.sfrac .tion{디스플레이:inline-block, vertical-align:-0.5em, font-size:85%;text-align:센터}.mw-parser-output.sfrac.num,.mw-parser-output.sfrac .den{디스플레이:블록, line-height:1em, 마진:00.1em}.mw-parser-output.sfrac .den{.Border-top:1px 고체}.mw-parser-output .sr-only{국경:0;클립:rect(0,0,0,0), 높이:1px, 마진:-1px, 오버 플로: 숨어 있었다. 패딩:0;위치:절대, 너비:1px}a/r, r)√x2+한 y2:방정식에 의한 표현을 가져옵니다.
기하학적 특성
점근균류
왜냐하면
곡선에는 등식 y = a를 갖는 점근법이 있다.
극지경사
극좌표계의 벡터 미적분학으로부터 극경사에 대한 황갈색 α = r r/r 공식과 곡선의 탄젠트와 해당 극원의 탄젠트 사이의 각도 α를 얻는다.
쌍곡선 완화곡선 r = a/sv의 경우 극 기울기는
곡률
극성 방정식 r = r(φ)을 갖는 곡선의 곡률은
r = a/properties 및 파생 r′ = -a/properties2 및 r″ = 2a/properties에서3 쌍곡선 완화곡선을 구한다.
호 길이
(r1( spiral), φ1(φ)과 (r2), φ2) 사이의 쌍곡선 완화곡선의 호 길이는 다음 적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섹터 영역
등식 r = a/scal을 갖는 쌍곡선 완화곡선의 섹터(위 다이어그램 참조) 영역은 다음과 같다.
반전
단위 원의 반전에는 (r, φ) ↦ (1/r, φ)의 간단한 설명이 극좌표 안에 있다.
원 역전이 있는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r = φ/a의 이미지는 방정식 r = a/φ을 갖는 쌍곡선 나선형이다. φ = 두 곡선이 단위 원의 고정점에서 교차한다.
원점에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r = φ/a의 오스카 원은 반지름 ρ0 = 1/2a(아키메데스 나선형 참조)와 중심(0, ρ0)을 가진다. 이 원의 이미지는 y = a 선입니다(원 반전 참조). 따라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의 역행과 함께 쌍곡선 나선형의 점증상(premptote)은 원점에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의 오스카 원이다.
- 예: 도표에는 a = π이 있는 예가 나와 있다.
나선형의 중심 투영
C0 = (0, 0, d) 지점에서 영상 평면 z = 0으로 중앙 투영을 고려하십시오. 이렇게 하면 점(x, y, z)을 d/d - z(x, y) 지점에 매핑한다.
파라메트릭 표현을 사용한 나선형 투영 아래의 이미지
커브다
극 방정식으로
쌍곡선 나선형을 묘사하고 있지
매개변수 t0 = d/c의 경우 쌍곡선 나선은 극을 가지며 나선은 점 V에서0 평면 z = d를 교차한다. 나선이 V에0 가까워질 때의 이미지가 쌍곡선 나선형의 점증상임을 계산해 확인할 수 있다.
참조
- ^ Bowser, Edward Albert (1880), An Elementary Treatise on Analytic Geometry: Embracing Plane Geometry and an Introduction to Geometry of Three Dimensions (4th ed.), D. Van Nostrand, p. 232
- ^ a b Lawrence, J. Dennis (2013), A Catalog of Special Plane Curves, Dover Books on Mathematics, Courier Dover Publications, p. 186, ISBN 9780486167664.
- 한스-조헨 바트슈, 마이클 삭스: 태셴부치 수학자 포멜른 퓌르 인제네셔 und Naturwissenschaftler, Carl Hanser Verlag, 2018, ISBN 34464570, 9783446457072, S. 410.
- 긴코 쓰지, 스테판 C. 뮐러: 나선형 및 보르티스: 문화, 자연, 과학에서 스프링거, 2019년 ISBN 3030057984, 9783030057985, S. 96.
- 피에르 바리뇽: 누벨형성 de Spirales – 예 II, Mémoires de l'Academie des science de l'Institut de France, 1704, 페이지 94–103.
- 프리드리히 그렐레: 베라크 F. 브레케, 1861년 하이퍼볼리스케 스피랄레, S. 215.
- Jakob Philip Kulik: Lehrbuch der Höurn Analysis, Band 2, In Commiss. 1844년 스피랄리니엔, S. 2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