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현종
Hyeonjong of Joseon조선 현종 朝鮮顯宗 조선 현종 | |||||||||
---|---|---|---|---|---|---|---|---|---|
조선의 왕 | |||||||||
군림하다 | 1659–1674 | ||||||||
전임자 | 조선 효종 | ||||||||
후계자 | 조선 숙종 | ||||||||
태어난 | 청나라 선양 | 14년 3월 1641년 3월||||||||
죽은 | 1674년 9월 17일 조선왕조 한성 창덕궁 | (33세)||||||||
매장 | |||||||||
아내 | 명성황후는 청풍 김 씨 가문의. | ||||||||
| |||||||||
집 | 전주 이씨 집 | ||||||||
아버지 | 조선 효종 | ||||||||
어머니 | 덕수 장씨 인선왕후 | ||||||||
서명 |
한국이름 | |
한글 | 현종 |
---|---|
한자 | 顯宗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현종 |
매쿠네-라이샤워 | 현종 |
출생명 | |
한글 | 이연 |
한자 | 李棩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이연 |
매쿠네-라이샤워 | 이연 |
예의명 | |
한글 | 경직 |
한자 | 景直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경직 |
매쿠네-라이샤워 | 경직 |
조선의 현종(1641년 3월 14일 ~ 1674년 9월 17일)은 조선 왕조의 18대 왕으로, 1659년부터 1674년까지 재위하였다. 그의 치세는 특히 장례식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를 놓고 우리나라 정파들 사이에 심한 갈등이 주로 두드러졌다.
전기
배경
현종은 1641년 효종의 장남으로 이연(李 born)으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여전히 청나라 포로로 중국에 있었고, 따라서 1644년 청나라가 명나라를 격파하고 정식으로 수도를 북경으로 옮기기 전에 선양에서 태어났다. 1645년 아버지와 함께 귀국하여 1651년 황태자가 되었다.
효종 장례 갈등 (Yesong 논란)
1659년 효종이 죽자 현종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조선의 통치자로 즉위하였다. 그의 재위 기간 중 첫 번째 쟁점은 전임자의 장례식에 관한 것이었다. 보수적인 서구 세력과 진보적인 남방 세력은 인조의 둘째 부인인 장렬왕후가 유교적인 형태의 장례식에 따라 얼마나 오랫동안 장의를 입어야 하는지에 대해 시비를 걸었다. 송시열을 단장으로 하는 서양인들은 그녀가 단지 1년 동안만 장의를 입으면 된다고 주장했고, 남부 사람들과 그들의 지도자 허적은 3년의 기간을 원했다. 이러한 갈등은 실제로 가계를 계승한 누군가의 둘째 의붓아들이 사망할 때 유교적 장례요건에 대한 이전 기록이 없었기 때문에 일어났다. 서양인들은 둘째 의붓아들을 위해 이 관습을 따르기를 원했고, 남방 사람들은 효종이 실제로 인조의 뒤를 이어 왕명을 계승하였기 때문에 3년간의 장례식을 치를 만하다고 생각했다.
최종 결정은 젊은 현종의 몫이었다. 그는 서양인들을 주요 파벌로 유지하는 1년 기간을 시행하는 것을 선택했다. 그러나 동시에 현종은 서인이 왕권을 위협하는 것을 막기 위해 허적을 총리직에서 해임하지 않았다. 남방인과 서양인 사이의 불화는 장례 문제로 극심하게 격화되었다; 일찍이 1623년 북방인이 함락된 후 서양인과 남방인은 효종의 주도로 정치적 동맹을 맺었으나, 장례 문제에 대해서는 양방이 난치질을 하여 공동의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앞면
현종은 처음에는 서양인의 1년 시기와 타협하고 남파인 허적을 총리로 삼아 두 파벌의 균형을 유지하였고, 두 파벌은 일시적으로 평화로운 관계를 재개하였다. 그러나 1674년 효종의 아내이자 현종의 어머니인 인선왕후가 사망하자 다시 장례 문제가 불거졌다. 남방인들은 재의왕후가 장례의복을 1년 동안 입기를 원했고 서양인들은 9개월의 기간을 선호했다. 이번에는 현종이 남인의 말을 듣고 그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남인파가 서구인을 둘러싼 주요 정파로 자리 잡았다. 장례 논란은 1675년 현종이 사망한 이후에도 계속되었고, 이후 현종의 후계자인 숙종이 이 문제에 대한 모든 논쟁을 금지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 논쟁은 심지어 현종 시대의 공식 역사 출판에도 영향을 미쳤다; 처음에는 주로 남부인들이 썼지만 나중에는 서양 역사학자들이 수정했다.
업적
현종 때인 1666년 네덜란드인 헨드릭 하멜이 13년 이상의 포로생활을 마치고 한국을 떠났다. 그는 네덜란드로 돌아와 조선 왕조와 한국에서의 경험에 관한 책을 썼는데, 이 책은 많은 유럽인들에게 이 왕국을 소개했다.
현종은 조선이 청나라의 지류국가가 된 이후 극복하기 어려운 효종의 북벌 계획을 저지하였다. 더욱이 명나라에 대한 일련의 승리 후 청나라는 저항하기 어려운 세력이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종은 7년 전쟁과 두 차례의 병자호란으로 황폐해진 효종의 군비확충과 재건을 계속하였다. 그는 또한 천문학과 인쇄를 장려했다. 그는 또한 친척들과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의 결혼을 법적으로 금지했다. 1674년 사망하였고, 아들 숙종이 뒤를 이었다.
가족
- 아버지: 조선의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 1659년 6월 23일) (조조 효)
- 어머니: 덕수 장씨 문중 인선왕후 (1619년 2월 9일 ~ 1674년 3월 19일) (인기훈장)
- 할아버지 : 장유(1587~1638) (장)
- 할머니:안동 김씨 일가의 부인 김씨.
- 파트너 및 각 문제:
- 명성황후는 청풍 김 씨의(136월 1642년 – 1월 21일 1684년)(명성왕후 김씨)clan.[1]
그의 완전한 사후이름
- 현종 소효 영경 돈덕 수성 순문 수문 경인 창효 대왕
- 현종소휴연경돈덕수성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
- 顯宗昭休衍慶敦德綏成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
대중문화의 현대적 묘사
- 1981년 KBS1 TV 시리즈 대명에서 서영진이 그렸다.
- 2012년 MBC TV 시리즈 The King's Doctor에서 한상진이 연기했다.
- 전인택이 2013년 SBS TV 시리즈 장옥정, 사랑으로 산다.
참고 항목
참조
- 메모들
- 원천
- 현종 (in Korean). Doosan Encycl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