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행의 역사

History of navigation
제라드샤겐이 1689년에 제작한 세계지도.

항행의 역사바다낚시의 역사, 즉 전통적 실천, 기하학, 천문학, 또는 특수 기구를 이용하여 그 위치와 항로의 확립을 통해 외해로 선박을 인도하는 기술이다. Many peoples have excelled as seafarers, prominent among them the Austronesians (Islander Southeast Asians, Malagasy, Islander Melanesians, Micronesians, and Polynesians), the Harappans, the Phoenicians, the Iranians, the ancient Greeks, the Romans, the Arabs, the ancient Indians, the Norse, the Chinese, the Venetians, the Genoese, the Hanseatic G에르만, 포르투갈인, 스페인인, 영국인, 프랑스인, 네덜란드인, 덴마크인.

고대

인도-태평양

기원전 3000년경부터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이주 및 확장을 보여주는 지도

인도-태평양에서의 항해는 기원전 3000년에서 1000년 사이의 기간 동안 동남 아시아 섬과 멜라네시아 섬으로 남쪽으로 확산된 대만에서 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해상 이주로 시작되었다. 그들의 첫 장거리 항해는 기원전 1500년경 필리핀에서 미크로네시아를 식민지화한 것이다. 기원전 약 900년까지 그들의 후손들은 통가사모아에 도달하면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6,000 킬로미터 이상을 퍼져나갔다. 이 지역에서는 독특한 폴리네시아 문화가 발달했다. 그 후 몇 세기 안에 폴리네시아인들은 하와이, 뉴질랜드, 이스터 섬 그리고 아마도 남아메리카에 도달했다. 폴리네시안 항해사들은 조류 관찰, 항성 항법, 파도와 붓기 사용 등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사용해 인근 육지를 탐지했다. 노래, 신화 이야기, 스타 차트는 사람들이 중요한 항해 정보를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한편 동남아시아의 아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약 1000년까지 중국, 인도 남부, 중동, 그리고 동부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최초의 진정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시작했다. 보르네오에서 온 정착민들은 AD 1천년 초까지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했고 AD 500년까지 식민지화했다.[1][2][Note 1]

지중해

지중해를 항해하는 선원들은 육지의 시야에 머무르고 바람과 그들의 경향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그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몇 가지 기술을 사용했다. 크레타미노안들은 천체 항법을 사용한 초기 서구 문명의 한 예다. 그들의 궁궐과 산꼭대기 은신처에는 특별한 별들의 상승과 설정뿐만 아니라 분수에 떠오르는 태양과 일치하는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3] 미노인들은 테라 섬과 이집트로 항해했다.[4] 이 두 여행 모두 미노안들을 위해 하루 이상 항해했을 것이고, 그들이 공터를 가로질러 밤길을 여행하게 했을 것이다.[4] 여기서 선원들은 배를 올바른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특정한 별들, 특히 Ursa Major 별자리의 위치를 사용하곤 했다.[4]

별을 이용한 항해, 즉 천체항행의 서면 기록은 칼립소오디세우스에게 곰(우르사 소령)을 왼편에 두라고 하는 호머의 오디세이(Odyssey)로 거슬러 올라가며 동시에 플레이아데스, 뒤늦게 설정되는 보에테스, 오리온의 위치를 관찰하여 바다를 횡단하는 오기아 섬에서 동쪽으로 항해하는 모습을 관찰한다.[5] 그리스 시인 아라투스는 기원전 3세기 자신의 파이나모나에우독소스가 쓴 별자리들의 위치를 상세히 적었다.[6] 묘사된 위치는 그리스 본토에서 아라투스 시대나 에우독소 시대에는 별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지만, 청동기 시대에는 크레타에서 온 하늘과 일치한다는 주장도 있다.[6] 이 별들의 위치 변화는 주로 극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의 축이 흔들리기 때문이다.[7] 기원전 1000년경에는 드라코 별자리는 폴라리스보다 북극에 더 가까웠을 것이다.[8] 이 극성들은 수평선 아래로 사라지지 않고 밤새도록 일관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항해하는 데 사용되었다.[7]

기원전 3세기에 그리스인들은 작은 곰인 우르사 마이너를 항해를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다.[9] AD 1세기 중반에 루칸은 항해에 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선원에게 질문하는 폼페이우스에 대해 쓰고 있다. 그 선원은 항해를 위해 원형 별을 사용했다는 그의 설명과 함께 대답한다.[10] 위도를 따라 항해하기 위해서는 선원이 하늘에서 그 정도 이상의 극지방 별을 찾을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11] 예를 들어 아폴로니우스알페우스 강 어귀에서 시라쿠스로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β 드라코니스를 이용해 항해했을 것이다.[11]

그리스 항해사 마살리아의 피테아스의 항해는 매우 길고 이른 항해에 특히 주목할 만한 예다.[12] 유능한 천문학자 겸 지리학자 [12]피테아스는 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그리스에서 서유럽과 영국 섬으로 모험을 했다.[12] 피테아스는 미드나잇 해,[Note 2] 극지방 얼음, 게르만 부족, 그리고 아마도 스톤헨지를 묘사한 최초의 알려진 사람이다. 피테아스는 또한 지리적인 상상력에 먼 '툴레'라는 사상을 소개했고 그의 설명은 달이 조수의 원인이라고 진술한 가장 이른 것이다.

인도에서 알렉산더 원정이 끝난 후 네아르코스인도에서 수사로 가는 축하 항해는 아리안의 계정인 인디카에 보존되어 있다. 키지쿠스의 그리스 항해사 에우독수스이집트헬레니즘 프톨레마이크 왕조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8세를 위해 아라비아해를 탐험했다. 나중에 스트라보 지리에 보고된 포세이도니우스에 따르면 인도양의 몬순풍계는 기원전 118년 또는 116년에 키지쿠스의 에우독수스에 의해 처음 항해되었다.[13]

항해방향으로 알려진 항해지도와 문자설명들은 기원전 6세기 이후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14] 입체 및 정자 투영을 사용한 항해도는 기원전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4]

1900년에 안티키테라 메커니즘안티키테라 난파선으로부터 복구되었다. 이 메커니즘은 기원전 1세기경에 만들어졌다.

페니키아와 카르타고

페니키아인들과 그들의 후계자인 카르타고인들은 특히 뛰어난 선원들로, 목적지에 더 빨리 도착하기 위해 해안에서 점점 더 멀리 항해하는 법을 배웠다. 그들을 도운 한 가지 도구는 소리 나는 무게였다. 이 도구는 종 모양으로 돌이나 납으로 만들어졌으며 에는 긴 밧줄이 달려 있었다. 바다로 나갈 때, 선원들은 물이 얼마나 깊은지 판단하기 위해 소리나는 무게를 낮출 수 있었고, 따라서 그들이 육지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탈로는 전문 선원들이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사할 수 있는 침전물을 바닥에서 집어들었다. 네비게이터 한노는 기원전 500년 지브롤터 해협을 항해해 아프리카의 대서양 연안을 탐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정대적어도 세네갈까지 도달했다는 데는 일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15] 한노 탐험의 가장 먼 한계가 카메룬산이었는지 기니의 890m(2910피트) 가쿨리마산이었는지는 합의가 부족하다.[16]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노의 해상 여행 제한은 더 북쪽에 있었을지도 모른다. 15세기 초까지 "유럽 항해에서 더하기 힘들거나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한계"였던 차우나르 곶 남쪽 지역에서 돌아오는 여행에 대한 많은 어려움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

남중국해와 인도양에서는 항해사가 상당히 일정한 몬순 바람을 이용해 방향을 판단할 수 있었다.[19] 이로 인해 일년에 두 번 긴 편도 항해가 가능해졌다.[19] 캉타이의 260 CE 책에는 시리아까지 여행할 수 있는 말을 실어 나르기 위해 포라고 불리는 7척의 돛을 단 배들이 묘사되어 있다. 그는 또한 큰 포도로 한 달 며칠이 걸린 섬들(혹은 군도) 사이의 장마 무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20] 기원전 1000년경 누산타란 오스트로네시아는 탄자 돛정크 돛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돛의 발명은 바람을 거슬러 항해하는 그들의 능력 때문에 아프리카의 서부 해안을 항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21][22][23][24] Ca. AD 200년 한 왕조, 추안(정크선)은 중국에서 개발된다. 중국인들은 남해안을 방문한 말레이인들에게서 정크 리그를 배웠다.[23][24][Note 3] ca. 50-500 AD 말레이자바 무역 함대가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했다. 또한 노동자와 노예로 마안다야크족도 함께 데려왔다.[25][26][27] 말라가시 언어는 동남 바리토어에서 유래했으며, 마안니아어는 말레이어와 자바어의 외래어가 무수히 많은 가장 가까운 친척어이다.[28][29] 말레이계와 자바인도 서기 8세기에 가나에 도달했다.[30]

중세 항해 시대

18세기 페르시아인 아스트롤라베는 영국 케임브리지휘플 과학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아이슬란드 대련, 아마도 아이슬란드 중세 선돌은 시야가 가려질 때 하늘에 태양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아랍 제국항해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무역망이 서쪽의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동쪽의 인도양과 중국해로 확장되어 있었으며,[31] 나일강,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을 제외하고는 이슬람 지역의 항해 가능한 강이 드물었기 때문에 해상 운송이 매우 중요했다. 이슬람 지리학과 항법 과학은 자기 나침반과 카말이라고 알려진 초보적인 기구를 사용하여 천체 항해고도와 위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카말 자체는 간단하게 만들 수 있었다. 그것은 직사각형의 뼈나 나무로 된 조각으로 9노트의 연속된 줄이 달려 있었다. 아랍인들이 개발한 또 다른 기구는 사분면이었다. 또한 천체 항법 장치로서, 그것은 원래 천문학을 위해 개발되었고 나중에 항법으로 전환되었다.[32] 그 시대의 상세한 지도와 결합하면, 선원들은 해안을 따라 치마가 아니라 바다를 건너 항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서양을 항해한 기록은 없으며, 그들의 활동은 지중해, 홍해, 페르시아만, 아라비아해와 건너 벵골만까지 집중되었다.[33] 이슬람 선원들은 지중해로 가는 라덴 돛과[citation needed] 3마스트 대형 상선의 이용과 개발에 대한 책임도 있었다. 포르투갈인들이 장거리 여행을 위해 개발해 사용했던 캐러벨선의 기원은 훗날 이베리아인들이 15세기 이후부터 13세기까지 안달루스의 탐험가들이 사용했던 콰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4]

인도와 인근 육지 사이의 바닷길은 수세기 동안 통상적인 무역 형태였으며, 인도 문화가 동남아시아 사회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데 책임이 있다. 강력한 해군은 마우리아, 사타바하나, 초라, 비야야나가라, 칼링가, 마라타, 무굴 제국의 해군을 포함했다.

바이킹은 양극화와 선스톤을 이용하여 완전히 흐린 하늘에서도 태양을 위치시킴으로써 그들의 배를 항행할 수 있게 했다. 이 특별한 광물은 탄소로 만들어진 11세기 초 뉴펀들랜드 최북단에 있는 L'Anso Medors의 노르웨이의 정착지가 잠시 정착된 후 몇 세기 후인 13-14세기 아이슬란드에서 여러 문서 출처에서 언급되었다.[35]

1040년에서 1117년 사이 중국에서는 자기 나침반이 개발되어 항해에 응용되고 있었다.[36] 이것은 날씨가 하늘의 시야를 제한했을 때 마스터들이 항해를 계속하게 한다. 건조함에서 회전 바늘을 사용하는 진정한 마린너의 나침반은 1300년 이전에 유럽에서 발명되었다.[19][37]

포톨란 차트라고 불리는 항해 차트는 13세기 말에 이탈리아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38] 그러나 1489년까지 영국 선박에 항해도를 사용했다는 보고가 없다는 등 이들의 이용이 빠르게 확산되는 것 같지는 않았다.[38]

탐험시대

로베르토 알마기아에[39] 따르면 "중세의 지도술의 가장 위대한 기념으로 여겨지는" 프라 마우로 지도베네치아 수도사 프라 마우로(Fra Mauro)가 1457년에서 1459년 사이에 만든 지도다. 양피지에 그려진 원형 평면도인데, 직경 2m 정도의 나무틀에 세팅되어 있다.
십자선은 현대 해양 육분의 고대 전구체였다.
"항행의 빛" 1608년 네덜란드 항해 안내 책자에는 나침반, 모래시계, 바다 아스트롤라베, 지상 및 천체 글로브, 칸막이, 야곱의 지팡이와 아스트롤라베가 나와 있다.
17세기 초에 아메리카 대륙의 꽤 정확한 지도들이 그려지고 있었다.

15세기 초 포르투갈의 상업 활동은 유럽인들에게 실질적인 항해에서 뚜렷한 진보의 한 시대를 이루었다.[19] 인판테 헨리케(Henry the Navigator)가 보낸 이러한 탐험과 무역 원정은 먼저 1418년 포르토 산토 섬(마데이라 인근)을 발견했고, 1427년 아조레스를 재발견했으며, 1447년 케이프 베르데 제도, 1462년 시에라리온을 발견하게 되었다.[19]

경험적 관찰 해양 항해, 매핑 바람과 해류에 모여와 결합하여,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장거리 해양성 navigation,[40]의 후, 16세기 초, 바다를 가지고 네트워크 대서양, 인도와 미국 서부 태평양 해양을 충당, 북 대서양 a로부터 앞서 나갔다Snd미국, 일본, 동남아시아로.

포르투갈의 대서양 항해 캠페인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된 체계적인 과학적 대형 프로젝트의 가장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이 연구 프로그램은 예외적인 능력을 가진 여러 남자를 모집했고, 목적의 집합이 명확했으며, 성공이나 그 밖의 다른 항해를 통해 실험적인 확인을 할 수 있었다.

초기 기간 - 포르투갈의 대서양 탐험: 두아르테 파체코 페레이라

navigating에서의 문제는, 돛만으로 다시의 카나리 군도(또는 남쪽으로 Boujdour의)의 남쪽에서 바람과 전류의 정권의 변화에:어디에 북동부 지역 거래가 불확실한 바람이 만나는 북 대서양 환류만을과 적도 해류[41]남쪽 아프리카의 북서 지방을 따라 추진할 것, 계수기 때문이다. 것돛단배를 해류에 맡기다 함께 만연된 전류와 바람은 북쪽으로의 진보를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런 맥락에서 포르투갈인들은 북대서양과 남대서양(각각 상반기와 후반에)의 해류와 무역풍(각각 15세기 말)의 두 개의 큰 볼타도 마르(말 그대로 바다의 방향을 바꾸지만 바다에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함)를 발견하여 신대륙에 도달하고 유럽으로 돌아오는 길을 닦았다. 서부 공해에서 아프리카를 일주하고, 역풍과 해류를 피해 미래의 발견 항해를 하는 것. 1427년 아조레스 섬의 '재발견'은 현재 아프리카 서부 해안에서 돌아오는 길(순서적으로 'volta de Giné'와 'volta da Mina'로 불림)에 앉아 있는 이 섬들의 높아진 전략적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에 불과하다(당시 '마르 다바가'라고도 불림). 1436년 아조레스는 귀환 경로의 서쪽 범위를 드러낸다.[43] 귀환 여행에 수반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15세기 말엽까지 지속되는 해안의 체계적 탐사와 탁 트인 바다 상태가 진행되었다. 그러한 체계적 기준의 초기 예는 항해사, 군사 지휘관, 학식 작가인 '에스메랄도 데 시테 오르비스'(1505-1508)의 두아르테 파체코 페레이라(Duarte Pacheco Pereir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스메랄도의 소개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 머리와 장소가 어떻게 다른 나라에 대해 놓여 있는가, 그리고일이 질서와 땅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해안은 더 안전하게 항해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이 에 대한 지식과 이것을 위해 매우 필요한 얕은 나무들이 어디에 놓여 있는가; 또한 또한 s.ounders는 진흙이나 모래, 돌, 조약돌, 날카로운 가장자리, 조개껍질, 또는 어떤 질인지, 그리고 얕은 해안선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들이 북동쪽과 해안선 사이라면, 조수간만의 거리가 얼마인지, 그리고 조수간만의 차이도 어느 곳에서 행해졌다. 우리 스페인에서 온 사람들처럼 남서쪽에서 온 사람들인가, 아니면 그들은 북쪽과 남쪽, 서쪽과 동쪽, 북서쪽과 남동쪽에서 온 사람들인가? 항구와 강 유역의 출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또한 극지방으로부터 몇 도 떨어져 있고 몇 도 떨어져 있는 지와 몇 도에 해당하는 위도를 알 수 있다. 적도; 그리고 이 에티오피아(아프리카) 사람들의 성격과 그들의 생활 방식 그리고 나는 이 땅에서[44] 가질 수 있는 상업에 대해서도 이야기 할 것이다.

관찰을 위한 저장소는 '로티로스' 또는 해양 루트맵이었다. The earliest Roteiro known is part of a collection of several manuscripts by Valentim Fernandes (1485) with the coast up to the delta of the Niger river in present day Nigeria, followed by the 'Esmeraldo...' (1505-08) cited above; several 'roteiros' included in the 'Livro de Marinharia e Tratado da Agulha de Marear' (Treatise of Seamanship and of the magnetic needle) by João de Lisboa (1514); roteiros included in the 'Regimento de Navegacão...' (Regiment of Navigation) by André Pires (1520); roteiros for Brazil by Pero Lopes de Sousa (1530-32), Roteiro da Carreira da Índia' (Route-book of the travel to/from India) by Diogo de Afonso (1536); and the roteiros by D. 주앙카스트로(아래 참조): 리스본 투 고아(1538), 고아 투 디우(인도 북서쪽)(1538-39), 홍해(1541년)[47]

탐색의 범위는 제2장 제2페이지의 '에스메랄도...'에 다시 보고된다.

"… 1498년 폐하께서 우리에게 바다의 위대함을 지나 서쪽 지역을 탐험하라고 명하셨던 우리 주군의 해; 적도에서 북극(…)까지 위도 70도에서 20여 근에 이르는 크고 인접한 섬들이 있는 아주견고한 땅을 발견하여 탐험하셨습니다.유럽이나 아프리카의 어느 곳에서든 남극점(…)을 향해 모든 해양을 직선으로 가로지르고, 경도 36도의 항해 규칙으로 서쪽을 향해 직선으로 횡단하는 위도 t도 "도당 18리그의 항로 계수 6백 48리그"라고 말했다.

특히 1497년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가 취항한 노선과 1500년 페드로 알바레스 카브랄(Pedro Alvares Cabral)이 취항한 노선이 각각 출발의 계절에 적응한 노선과 크게 다를 때, 남대서양 공해의 탐사가 단 한 번의 항해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은 낮다.[50][51] 이 적응은 남대서양에서 매년 바람과 해류의 변화 주기에 대한 이해를 보여준다. 더욱이 서북대서양으로 밀고 들어오는 조직적인 탐험이 있었다(Teive, 1454; Vogado, 1462; Teles, 1474; Ulmo, 1486)[52] 일찍이 1493-1496년 동안 남대서양에 대한 선박 공급과 태양열 방출 표의 주문에 관한 문서들은 모두 잘 계획되고 체계적인 활동을 암시하고 있다.[53] 이 체계화된 지식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1494년 토르데시야 조약의 협상이었는데, 브라질에 대한 포르투갈의 주장과 대서양의 지배를 긍정하는 결과로 270개의 경계선을 서쪽(아조레스 서쪽 100개 리그에서 370 리그까지)으로 이동시켰다.

성숙기 - 포르투갈의 인디케이터 탐사: 주앙카스트로

16세기 초까지 리스본과 인디크사이의 정기적인 항해들이 있었다. 대서양에 대한 지식은 억양으로 발전했고, 체계적인 탐험이 인디케인으로 옮겨갔다. 이 활동에는 학계(수학계, 우주학자) 페드로 누네스와 탐험가 주앙카스트로(나비게이터, 군사령관, 인도의 부로이)를 중심으로 설립된 주목할 만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그러한 인물들에는 안드레레센데(스콜라), 조앙 바로스(크로스), 그리고 아마도 그가 포함되었다. 다미앙고이스(외교관, 학자, 에라스무스의 친구).[54] 페드로 누네스(1502-1578)의 이론적 저작은 2차원 지도 위에 표현된 구체 표면의 두 점 사이의 최단 코스인 록소드로믹 곡선의 수학적 결정을 얻어 메르카토르 투영법의 확립을 위한 길을 열었다.[55][56] 페드로 누네스는 포르투갈 항해는 모험적인 노력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nam se fezeram indo a acertar: mas partiam os nossos mareantes muy ensinados e prouidos de estromentos e regras de astrologia e geometria que sam as cousas que os cosmographos ham dadar apercebidas (...) e leuaua cartas muy particularmente rumadas e na ja as de que os antigos vsauam" (were not done by chance: but our seafarers departed well taught 그리고 우주비행사들이 제공할 문제인 점성술의 기구와 규칙과 기하학을 제공했다. 그리고 그들은 더 이상 고대인들이 사용하지 않고 정확한 경로로 차트를 만들었다.[57]

누네스는 1527년부터 조종사와 선원들의 지시에 개인적으로 관여하는 것에 신빙성이 있다.[55] 더구나 카스트로가 여러 서한에서 밝힌 바와 같이 주앙 드 카스트로의 체계적인 작업을 위한 도구와 지시를 개발한 것은 누네스였다.[58][59]

주앙 카스트로의 작품은 인도양(1538), 특히 페르시아 만홍해(1538-9, 1541년)가 있는 아라비아 바다를 따라 이루어졌다.[60] 해안, 항해, 바람과 조류에 대한 그의 연구는 엄격하고 정확하지만, 그가 기념하게 된 것은 대서양과 인도양에서의 지상 자력에 관한 그의 연구다.

"D. 요아오 카스트로는 현상 탐지에 성공하는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는데, 특히 자기와 기내에 있는 자침과 관련된 실험이었습니다. 페드로 누네스에게 그러한 지식은 물론 그가 여행에서 행한 모든 관찰의 직접적인 영감이라고 가정해야 한다. 1538년 8월 5일 D. 주앙 드 카스트로는 모잠비크의 위도를 결정하기로 결정했고, 바늘의 놀라운 불안감을 지시하는 원인을 찾았다; 바늘의 일탈을 주목하면서, 마치 그가 이 현상을 처음 알고 있는 것처럼 항해사에 기록되어 있는 니에프의 데니스 기욤(1666)보다 128년 전에 발견했다. 1538년 12월 22일 바사임 부근에 있는 그의 요점은 4세기 후에 확인된 특정 암석의 근접성 때문에 바늘의 변형이 있었던 자석현상이 지역적 매력이라고 불렸다. D. 주앙 드 카스트로는 자기분열의 변화가 지리적 경맥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이론을 반박했다. 그의 논평은 16세기 대서양과 인도양에서 자석분해 가치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록으로, 지상 자석 연구에 유용하다. 그것은 이번 세기 유럽 실험 과학의 성격하나로서,연구의 중요성과 항해를 연결시켰다."[61]

포르투갈의 왕 요한 2세는 항해 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이러한 노력을 계속했다.[19] 이 그룹은 태양 열화표를 계산하고, 교차 스탭을 위한 좋은 대체품이라고 믿으면서 마린의 아스트롤라베를 개선했다.[19] 이 자원들은 항해사가 그의 위도를 판단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19] 하집부르 하가돌이라는 제목을 가진 히브리어로 천문학/물리학에 관한 특출한 논문을 쓴 카스티야 유대인 아브라함 자쿠트는 1492년 포르투갈로 도망쳤다. 그는 1496년 레이리아의 인쇄기, 비우르 루호트(Biur Luhoth) 또는 라틴어 알마나흐 영페르진(Almanach Everguum)으로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곧 라틴어와 스페인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 있었다. 천문학적인 표 몇년 동안(ephemerides)1497년에 1500개,는 수도 있어 악기와 함께 새로운 위원의 만들어진 금속 아니라 나무로 before[표창 필요한](고, 완벽한 포르투갈산 발견의 시작에서 생겨난)에 바스쿠 다 가마, 페드로 페드루 알바르스 카브랄에 그들의 항해를 위한 인도(또한.를 통과하는 남아메리카(남미)는 열린 대서양(서남대서양 포함) 주변과 인도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인들은 그들의 배를 안내하기 위해 인도양에서 수십 년 동안 현지 조종사들을 고용해야 했다.[62]

15세기와 16세기에는 카스티야 왕관과 당시 '통합' 스페인의 왕관도 유럽의 세계 탐험과 식민지 확장의 선봉에 섰다. 스페인 왕관은 1492년부터 바다를 가로지르는 무역로를 개설했는데, 특히 1492년부터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대서양 횡단 원정을 카스틸을 대신하여 열었다. 스페인의 찰스 1세 휘하의 카스틸 왕관도 1521년 세계 일주 여행의 첫 원정을 후원했다. 이 사업은 포르투갈의 항해사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끌었고 스페인 바스크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완성했다. 탐험의 여행은 스페인과 미국 사이의 대서양과 필리핀을 거쳐 아시아 태평양과 멕시코 사이의 태평양을 가로질러 번창하는 무역으로 이어졌다. 후에, 안드레스 우르다네타는 북태평양의 볼타 do do mar back 항해를 발견했다.

나침반, 교차스태프 또는 아스트롤라베, 폴라리스 고도에 대한 교정법, 초보 항해도 등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당시 항해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도구였다.[19]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에 관한 노트에서 누렌베르크의 요하네스 베르너는 1514년에 크로스 스탭은 매우 고대의 악기였지만 배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썼다.[38]

1577년 이전에는 배의 활파 크기나 바다거품이나 각종 부유물의 통로를 관찰하는 것보다 더 진전된 배의 속도를 판단하는 방법이 언급되지 않았다.[63] 1577년에는 좀 더 발전된 기술이 언급되었는데, 바로 칩 로그였다.[19] 1578년, 배의 수선 아래에 장착된 바퀴의 회전수를 세어 배의 속도를 판단하는 장치에 특허가 등록되었다.[19]

경도의 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 보관이 필요하다.[38] 1530년경에는 현대 기법의 전조가 탐구되고 있었다.[38] 그러나 이들 초기 항해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시계는 모래시계나 모래시계였다.[38] 모래시계는 1839년까지 영국 왕실 해군시계 타이밍을 위해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38]

탐색과 교역의 증가와 함께 항행 데이터의 지속적인 축적은 중세 시대를 통한 볼륨 생산의 증가로 이어졌다.[14] "루티어"는 1500년경 프랑스에서 제작되었다. 영국인들은 그들을 "루터"[14]라고 불렀다. 1584년 루카스 와게너는 슈피겔 데르 지바에르드트(The Mariner's Mirror)를 출판했는데, 이 책은 수 세대에 걸친 항해사들의 그러한 출판물의 모델이 되었다.[14] 그들은 대부분의 선원에 의해 "와그고너"로 알려져 있었다.[14]

1537년 페드로 누네스는 자신의 트라타도스페라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항해 문제에 관한 두 가지 독창적인 논문을 포함시켰다. 처음으로 그 과목은 수학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접근되었다. 이 출판물은 새로운 과학적 규율을 낳았다. "항법 또는 과학 항법".

1545년 페드로 메디나는 영향력 있는 아르테나베가르를 출판했다. 이 책은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영어로 번역되었다.[38]

1569년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Gerardus Mercator)는 그러한 지도로 투영세계 지도를 최초로 발간하여 일정한 궤도를 직선으로 표시하였다.메르카토르 투영법은 18세기 이후부터 항해도에 널리 사용될 것이다.[64]

1594년, 존 데이비스는 80페이지에 달하는 "The Seeman's Secrets"라는 팜플렛을 출판했는데, 이 팜플렛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훌륭한 항해를 묘사하고 있다.[65] 탐험가 세바스티안 카봇은 1495년 북대서양을 횡단할 때 훌륭한 원법을 사용했다고 한다.[65] 데이비스는 또한 17세기부터 19세기에 육탄트가 채택될 때까지 지배적인 악기들 중 하나가 된 데이비스 사분면의 버전을 세계에 주었다.

1599년 에드워드 라이트메르카토르 투영의 수학적 기초를 설명하는 페드로 누네스의 작품을 번역한 <내비게이션슈페르테 에러>를 발표하여,[66]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책은 왜 이 투영법을 통해서만 일정한 방향성이 도표상의 직선에 해당하는지를 분명히 했다. 또한 일부 계측기의 시차 오차 위험, 현대 차트의 위도 및 경도 추정 결함 등 다른 오류 발생원을 분석했다.

1599/1600년 에드워드 라이트의 세계 차트 1599는 영국인이 영국 항해용으로 그린 메르카토르 투영 아래 최초의 지도였다. 이 지도에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자신의 개인 도장을 소지한 유일한 왕국인 추밀도새가 눈에 띄게 표시되어 있다. 몰리눅스 1592 지구는 그녀의 프리비 실이 있는 유일한 지도책이다. 둘 다 노바 알비온을 식별하는데, 선장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1577-1580년, 40도선 상공에서 여왕을 위해 주장하였다.

1631년, 피에르 베르니에는 1분간의 아크까지 정확한 그의 새로 발명된 사분면을 묘사했다.[65] 이론적으로, 이 정도의 정확도는 항해자의 실제 위치로부터 1해리 이내에 위치선을 제공할 수 있다.

1635년 헨리 겔리브란드는 자기 변동의 연간 변화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다.[67]

1637년, 리차드 노우드는 반경이 5피트인 특수 제작된 천문학적 분리대를 사용하여 체인으로 1해리 길이를 측정했다.[68] 그의 2,040야드의 정의는 현대 국제 단위계(SI)의 정의인 2,025.372야드에 상당히 가깝다. 노우드는 또한 59년 전인 1576년에 자석 딥이 발견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68]

현대

에드먼드 할리의 1701 지도 북쪽에서 온 자기 변이 도표

1714년 영국 해양 위원회에서는 경도 발견이 두드러졌다.[69] 1828년까지 존재했던 이 단체는 항해 문제 해결에 대한 보조금과 보상을 제공했다.[69] 1737년과 1828년 사이에 위원들은 10만1000파운드를 지출했다.[69] 영국 정부도 북서항로의 발견에 2만 파운드, 북극 위도 내에서 항해할 수 있는 항해사에게 5천 파운드 등 이 시대의 항해 성과에 대해 상당한 보상을 제공했다.[69] 18세기에 널리 보급된 매뉴얼은 존 바로우가 쓴 《Navigatio Britannica》로, 1750년 3월 & 페이지까지 출판되어 1787년에 여전히 광고되고 있다.[70]

아이작 뉴턴은 1699년경에 반사 사분면을 발명했다.[71] 그는 1742년에 출판된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를 위해 악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썼다. 이 시간 경과로 인해, 존 해들리토마스 고드프리 대신 이 발명에 대한 공로가 종종 주어졌다. 옥탄트는 결국 이전의 교차 스탭데이비스 사분면을 대체했고,[69] 위도 계산을 훨씬 더 정확하게 하는 즉각적인 효과가 있었다.

정확한 경도 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돌파구는 해양 크로노미터의 발명과 함께 나왔다. 바다에서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1714 경도 상은 요크셔 목수 존 해리슨이 수상했다. 그는 1730년에 프로젝트를 제출했고, 1735년에 중력이나 배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역회전 가중 보를 바탕으로 시계를 완성했다. 그의 첫 번째 두 개의 해시편 H1과 H2(1741년 완성)는 이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그는 그것들이 원심력에 대한 근본적인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것은 바다에서 그것들이 충분히 정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해리슨은 1761년 훨씬 작은 H4 크로노미터 디자인으로 정밀 문제를 해결했다. H4는 직경 12cm의 대형 포켓 시계와 많이 닮았다. 1761년 해리슨은 경도 2만 파운드의 상금으로 H4를 제출했다. 그의 디자인은 온도 보상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제어되는 빠른 비팅 밸런스 휠을 사용했다. 이러한 기능은 안정적인 전자 오실레이터가 매우 정확한 휴대용 시편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 사용하였다. 1767년 경도 위원회해리슨 씨의 시간 관리 원칙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다.

1757년, 존 버드는 최초의 육분의 1을 발명했다. 이것은 데이비스 사분면과 팔판트를 항법용 주요 기기로 대체했다. 육분의 1은 달 거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팔분의 1에서 파생되었다. 달 거리 방법으로, 선원들은 그들의 경도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다. 일단 18세기 후반에 크로노미터 생산이 성립되면, 정확한 경도 측정에 크로노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실행 가능한 대안이 되었다.[69][72] 크로노미터는 19세기 후반까지 널리 사용되는 루나르를 대체했다.[63]

1891년에 무선 전신기의 형태로, 무전기가 해상의 배 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73]

1899년 R.F. 매튜스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도움을 요청한 최초의 선박이었다.[73]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라디오를 사용하는 것은 "영국의 올리버 로지 경, 프랑스의 안드레 블론델, 미국의 드 포레스트, 피카르드, 스톤, 이탈리아의 벨리니와 토시"[74]에 의해 조사되었다. 스톤 라디오 & 텔레그래프 회사는 1906년 레바논 해군 함정에 초기 시제품 무선 방향 탐지기를 설치했다.[74]

1904년경에는 항해자들이 시간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선박에 신호를 보내고 있었다.[75] 미 해군 수로국은 1907년까지 해상의 선박에 항해 경고를 보내고 있었다.[75]

이후 개발에는 모호한 특징을 식별하는 해양 표지판 역할을 하기 위해 해안 가까이에 등대부표를 배치하고, 위험을 강조하며, 긴 항해 후 해안 일부에 접근하는 선박의 안전한 통로를 가리키는 것이 포함되었다. 1912년 Nils Gustaf Dalén[76] 등대의 가스 축전기와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된 자동 밸브를 발명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21년에는 최초의 라디오비콘이 설치되었다.[75]

최초의 원형 선박용 레이더 시스템은 1937년 4월 USS 리어리에 설치되었다.[77]

11월 18일 1940년 날 미스터 앨프리드 L. 루미스 나중에 장거리 항법 장비(장거리 항법 시스템)로 방사선 연구소는 매사추세츠 Technology,[78]과 11월 1,1942년 첫번째 장거리 항법 장비 시스템 작업에 4역 betw 수 있게 됐다에 의해서 발전했다. 전자 항법 시스템을 위한 초기의 이런 제안을 했다.een 체서피크 캡스[78]노바 스코샤

1943년 당시 알려진 세계 해류얼음팩에 대한 미국의 군사지도.

1957년 10월 소련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를 발사했다.[79]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스푸트니크의 도플러 이동에 대한 일련의 측정을 통해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산출했다.[79] 이 팀은 스푸트니크와 다음 우주 위성인 스푸트니크 2호탐험가 1호를 계속 감시했다. 1958년 3월, 지구 표면에서 알려지지 않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알려진 위성 궤도를 사용하면서 역방향으로 작업하는 아이디어가 탐구되기 시작했다.[79] 이는 TRANS 위성 내비게이션으로 이어졌다.[79] TRANS 위성은 1960년에 극궤도에 올려졌다.[79] 7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이 시스템은 1962년에 가동되었다.[79] 3개의 위성의 판독값을 이용하는 항해사는 약 80피트의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79]

1974년 7월 14일 최초의 원형 Navstar GPS 위성이 궤도에 진입했지만 발사 직후 시계가 고장 났다.[79] 세슘 시계로 재설계된 항법 기술 위성 2호는 1977년 6월 23일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79] 1985년까지 최초의 11 위성 GPS 블록 I 별자리는 궤도에 올랐다.[79]

비슷한 러시아 글로나스(GLONASS) 시스템의 위성이 1982년부터 궤도에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스템은 2010년까지 24 위성 별자리를 완성할 것으로 예상된다.[79] 유럽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은 2011/12년까지 30개의 위성을 갖춘 갈릴레오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79]

통합교량시스템

전자 통합형 교량 개념이 미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계획을 주도하고 있다.[80] 통합 시스템은 다양한 선박 센서로부터 입력을 받고, 전자적으로 위치 정보를 표시하며, 사전 설정된 항로에서 선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80] 네비게이터가 시스템 관리자가 되어 시스템 사전 설정 선택, 시스템 출력 해석, 선박 응답 모니터링 등을 한다.[80]

메모들

  1. ^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마다가스카르에 도달하는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며, 빨라도 기원전 100년 전이다(Blench, "장거리 접촉을 위한 민족학적 증거", 페이지 432). 가장 최근의 것은 7세기 CE(Adelaar, "The Indian Migascar", 페이지 15).
  2. ^ 여름에는 밤이 매우 짧고 하지에 해가 지지 않는 프리지드 구역의 이론적 존재는 이미 알려져 있었다. 이와 비슷하게 영원한 눈과 어둠의 나라(하이퍼보레아인들의 나라)에 대한 보고가 몇 세기 동안 지중해까지 이어져 왔다. 피테아스는 북극의 첫 번째 과학 방문자 겸 기자다.
  3. ^ 이 시대 중국 선박은 본질적으로 충적(강)으로, 10세기 송나라 때까지 진정한 대양 함대를 건설하지 않았다. 유네스코의 한 연구는 중국인들이 한 왕조 기간 동안 사각 돛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12세기에야 중국인들은 말레이 정크 돛을 채택했다.

참고 항목

인용

  1. ^ Bellwood, Peter; Fox, James J.; Tryon, Darrell (2006).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ISBN 9781920942854.
  2. ^ Mahdi, Waruno (1999). "The Dispersal of Austronesian boat forms in the Indian Ocean". In Blench, Roger; Spriggs, Matthew (eds.).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One World Archaeology. 34. Routledge. pp. 144–179. ISBN 0415100542.
  3. ^ 블룸버그, 1678:793
  4. ^ a b c 블룸버그, 1997:77
  5. ^ 호머, 오디세이 273-276
  6. ^ a b 블룸버그, 1997:72
  7. ^ a b 테일러, 1971:12
  8. ^ 테일러, 1971:10
  9. ^ 테일러, 1971:43
  10. ^ 테일러, 1971:46-47
  11. ^ a b 빌릭, 2009:126
  12. ^ a b c 분버리 & 비즐리 1911, 페이지 703.
  13. ^ 스트라보의 지리 - 제2권 제3장 라쿠스쿠르티우스.
  14. ^ a b c d e f 보우디치, 2003:2.
  15. ^ 도널드 하든, 페니키아인, 펭귄 책, 하몬즈워스 168쪽
  16. ^ B.H. Warmington, op. cit, 79페이지
  17. ^ 존 로크, "존 로크의 작품: 9권 9권" 항행의 역사, 페이지 385 C.와 J. 리빙턴, 1824년
  18. ^ 로버트 커 F.R.S. & F.S.- 보이저즈와 여행사의 일반 역사 및 수집 체계적 순서로 정리됨: 바다와 육지에 의한 항법, 발견 및 상업의 기원과 진척의 완전한 역사 형성, 초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에딘버러(1755-1813)
  19. ^ a b c d e f g h i j k 마틴 1911, 페이지 284.
  20. ^ Christie, Anthony (1957). "An Obscure Passage from the "Periplus: ΚΟΛΑΝΔΙΟϕΩΝΤΑ ΤΑ ΜΕΓΙΣΤΑ"".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 345–353. doi:10.1017/S0041977X00133105 – via JSTOR.
  21. ^ Mahdi, Waruno (1999). "The Dispersal of Austronesian boat forms in the Indian Ocean". In Blench, Roger; Spriggs, Matthew (eds.).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One World Archaeology. 34. Routledge. pp. 144–179. ISBN 0415100542.
  22. ^ Hourani, George Fadlo (1951). Arab Seafaring in the Indian Ocean in Ancient and Early Medieval Times.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 a b 셰퍼, 린다 노른(1996년). 동남 아시아 해안에 1500. M.E. 샤프.
  24. ^ a b Johnstone, Paul (1980). The Seacraft of Prehist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795952.
  25. ^ Dewar, Robert E.; Wright, Henry T. (1993).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Journal of World Prehistory. 7 (4): 417–466. doi:10.1007/bf00997802. hdl:2027.42/45256. S2CID 21753825.
  26. ^ Burney DA, Burney LP, Godfrey LR, Jungers WL, Goodman SM, Wright HT, Jull AJ (August 2004). "A chronology for late prehistoric Madagascar". Journal of Human Evolution. 47 (1–2): 25–63. doi:10.1016/j.jhevol.2004.05.005. PMID 15288523.
  27. ^ 쿠마르, 앤(1993) 앤서니 리드(ed), 앤서니 리드동남아시아 과거 연구(sigapore: 싱가포르)에서)의 'Dominion Over Palm and Pine: 초기 인도네시아 해양 도달' 동남아연구소 101-122.
  28. ^ 오토 크리. 달, 말가체마안잔: 언세이론 언어학자, 에게데-인스티튜트 아브핸들링거, 3번(Oslo: Egede-Instituttet, 1951), 페이지 13.
  29. ^ 술라웨시 차용어들도 있는데, 애들라르가 마다가스카르로 이주하기 전에 접촉한 것으로 보고 있다. K. 알렉산더 아델라르 "인도네시아의 마다가스카르 이주: Making Sense of the Multidisciplinary Evidence”, in Truman Simanjuntak, Ingrid Harriet Eileen Pojoh and Muhammad Hisyam (eds.), Austronesian Diaspora and the Ethnogeneses of People in Indonesian Archipelago, (Jakarta: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2006), pp. 8–9.
  30. ^ Dick-Read, Robert (2005). The Phantom Voyagers: Evidence of Indonesian Settlement in Africa in Ancient Times. Thurlton.
  31. ^ Subhi Y. Labib(1969), "중세 이슬람의 자본주의", 경제사학 저널 29(1), 페이지 79-96.
  32. ^ ThinkQuest: 라이브러리, "Early Navigation Instruments", https://library.thinkquest.org/C004706/contents/1stsea/nap/page/n-2.html# 웨이백머신에 보관2011-08-08
  33. ^ 크리스티데스, 바실리오스(1988) "중세의 역사와 해군기술은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이다. 비잔티온. 58(2): 309–332. JSTOR 44171055.
  34. ^ 존 M. 홉슨 (2004) 동부 문명의 기원, 141페이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ISBN 0521547245.
  35. ^ Boissoneault, Lorraine (23 July 2015). "L'Anse Aux Meadows & the Viking Discovery of North America". JSTOR Daily.
  36. ^ 리수화 "오리진 드 라 부솔 11. 아이만트 엣 부솔," 이시스, 45권, 제2권, 1954년 7월, 페이지 181
  37. ^ 프레데릭 C 레인, "나침반 발명의 경제적 의미," 68권, 3권 (1963년 4월), p.615ff.
  38. ^ a b c d e f g h 마틴 1911, 페이지 285.
  39. ^ 알마기아, 바티칸 도서관에서 프라 마우로(Fra Mauro)의 또 다른 지도 사본에 대해 토론하는 중: 로베르토 알마기아, 기념비적인 카르토그래피카 바티카, (Rome 1944) I:32-40.
  40. ^ 케네스 맥스웰, 나체열대: 제국과 다른 악당에 관한 에세이, 16페이지, 루트리지, 2003, ISBN 0-415-94577-1
  41. ^ https://ksuweb.kennesaw.edu/~jdirnber/oceanography/LecCurrents/LecCurrents.html (1911.13/13/06/1911)
  42. ^ https://kids.britannica.com/students/assembly/view/166714 (13/06/114 참조)
  43. ^ 카를로스 칼리나스 코레아, 아르테 드 나베가르 나 에포카 도스 데코브리멘토스, 콜리브리, 리스보아 2017; ISBN 978-989-689-656-0
  44. ^ “ho que toca ha cosmografia e marinharia por extenso espero dizer (…) ... como jaz um promontorio ou lugar com outro e isto porque esta obra leve hordem e fundamento e ha costa mais seguramente se possa navegar e o mesmo as conhesensas das terras e asy honde estam as baixas que para isto he muito necessario saber se; tambem das sondas que á em alguns lugares em quanta altura som e asy as deferensas dos fundos .s. se he vasa ou area, ou pedra, ou saibro, ou harestas, ou burgao ou de que calidade ha tal fonda he e sendo conhecida quantas leguas aveera daly a terra e o mesmo as marés, se som de nordeste he sudueste asy como as de nossa espanha, ou se som do norte, o sul, ou de lest e oest, ou de noroest e suest, as quais para entrarem e sairem nas barras, e bocas dos Rios som forsadamente necessarias; e asim as alturas de cada hum dos pollos por onde se pode saber quantos graaos se cada lugar apartam e ladeza da equinocial e tambem a natureza da jente desta ethiopia e ho seu modo de viver e asy direi do comercio que nesta terra pode haver”
  45. ^ "Esmeraldo de Situ Orbis". Internet Archive. Retrieved 28 June 2020.
  46. ^ "Esmeraldo de Situ Orbis" (PDF). Biblioteca Nacional Digital (BND). Retrieved 28 June 2020.
  47. ^ Calinas Correia, Carlos (2017). A Arte de Navegar na Época dos Descobrimentos (1 ed.). Lisboa: Edicoes Colibri. pp. 82–83. ISBN 978-989-689-656-0.
  48. ^ ...hano de nosso senhor de mil quatrocentos noventa e oito donde nos vossa alteza mandou descobrir ha parte oucidental passando alem ha grandeza do mar ociano honde he hachada e naveguada huma tam grande terra firme com muitas e grandes Ilhas adjacentes a ella que se estende a satenta graaos de ladeza da linha equinocial contra o polo artico (…) e vay alem em vinte e oito graaos e meo de ladeza contra o pollo antratico (…) de qualquer outro lugar da europa e dafrica e dasia hatravesando alem todo ho oceano direitamente ha oucidente ou a loest segundo ordem de marinharia por trinta e seis graaos de longura que seram seiscentas e quarenta e oyto leguoas de caminho contando a dezoyto leguoas poraao.
  49. ^ "Esmeraldo de Situ Orbis". Internet Archive. Retrieved 29 June 2020.
  50. ^ 카를로스 비에가스 고고 쿠티뉴, As 프라임이라스 트라베시아 아틀란티카스 - 강연, Academic Portuguesa de Historia, 22/04/1942 - in: 아나이스 (APH) 1949, II 세리에, vol.2
  51. ^ 카를로스 비에가스 고고 쿠티뉴, A Viagle de Bartolomeu Dias, 아나이스 (Clube Milgily Naval) 1946년 5월
  52. ^ 카를로스 비에가스 고고 쿠티뉴, As 프라임이라스 트라베시아 아틀란티카스 - 강연, Academic Portuguesa de Historia, 22/04/1942 - in: 아나이스 (APH) 1949, II 세리에, vol.2
  53. ^ Luis Adang da Fonseca, Pedro Alvares Cabral - Uma Viague, INAPA, Lisboa, 1999, 페이지 48
  54. ^ Hooykaas, Reijer (1979). The Erasmian Influence on D. João de Castro. Coimbra: Imprensa de Coimbra.
  55. ^ a b 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Biographies/Nunes/ (13/06/114 참조)
  56. ^ W.G.L. 랜들스, "페드로 누네스와 록소드로믹 곡선의 발견, 또는 16세기에 지구본으로 항해하는 것이 평면도로 마주친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실패했는가," 레비스타 다 우니베르시다이드 코임브라, 35 (1989), 119-30.
  57. ^ 페드로 누네스 살라시엔스, 트라타도 다 에스페라, 캡. '카르타 데 마레아 콤 오 연대오 다 알투라' p.2 - https://archive.org/details/tratadodaspherac00sacr/page/n123/mode/2up (13/06/2011년 6월 13일)
  58. ^ Oliveira e Costa, Joao Paulo; Gaspar Rodrigues, Vitor Luis (2017). Construtores do Imperio (in Portuguese). Lisboa: Bertrand. pp. 268–271. ISBN 978-989-626-800-8.
  59. ^ Sanceau, Elaine (1954). Cartas de D. João de Castro (PDF). Lisboa: Agência Geral do Ultramar. Retrieved 29 June 2020.
  60. ^ Calinas Correia, Carlos (2017). A Arte de Navegar na Época dos Descobrimentos (1 ed.). Lisboa: Edicoes Colibri. pp. 82–83. ISBN 978-989-689-656-0.
  61. ^ Rangel, Artur José Ruando (2009). O magnetismo terrestre no roteiro de Lisboa a Goa: as experiências de D. João de Castro. Lisbon: Repositório da Universidade de Lisboa Communities and Collections Faculdade de Letras (FL) FL - Dissertações de Mestrado.
  62. ^ Semedo de Matos, Jorge (2015). "Tábuas Solares na náutica portugues dos séculos XV e XVI". In Contente Domingues, Francisco (ed.). D'Aquém, d'Além e d'Ultramar. Homenagem a António Dias Farinha. Lisboa: CHUL. pp. 1235–1250.
  63. ^ a b 5월, 윌리엄 에드워드, 해양항행의 역사, G. T. 파울리스 & 주식회사, 헨리 온 테임즈, 1973년 옥스퍼드셔 주, ISBN 0-85429-143-1
  64. ^ Brotton, Jerry (2012). A History of the World in Twelve Maps. Penguin UK. pp. chapter 7. ISBN 9781846145704.
  65. ^ a b c 마틴 1911, 페이지 287.
  66. ^ "내가 차트에서 찾아낸 오류들은, 특히 페트루스 노니우스에 의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사전에 밝혀져 왔다. 특히, 페트루스 노니우스에 의해, 이 책의 첫 장에서 대부분의 부분이 번역된 worde에 대해 거의 우려된다." - in: 에드워드 라이트
  67. ^ 마틴 1911, 페이지 288.
  68. ^ a b 마틴 1911, 페이지 289.
  69. ^ a b c d e f 마틴 1911, 페이지 290.
  70. ^ John Barrow(1735–1774)에 대한 ODNB 항목: 2011년 7월 18일 검색됨 구독 필요.
  71. ^ 뉴턴, I, "뉴턴의 옥탄트"(후기적 서술), 왕립학회의 철학거래, 제42권, 페이지 155, 1742
  72. ^ Roberts, Edmund (October 12, 2007) [First published in 1837]. "Chapter XXIV―departure from Mozambique".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 in the U. S. sloop-of-war Peacock ... during the years 1832-3-4 (Digital ed.). Harper & brothers. p. 373. Retrieved April 25, 2012. ...what I have stated, will serve to show the absolute necessity of having firstrate chronometers, or the lunar observations carefully attended to; and never omitted to be taken when practicable.
  73. ^ a b "Short History of Radio" (PDF). fcc.gov. Retrieved 2007-04-22.
  74. ^ a b Howeth, Captain Linwood S. (1963). "XXII". History of Communications-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Navy. Washington, D.C.: Bureau of Ships and Office of Naval History. pp. 261–265.
  75. ^ a b c 보우디치, 2002년 8시
  76. ^ "Gustav Dalén,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2: Biography". nobelprize.org. Retrieved 2007-04-17.
  77. ^ Howeth, Captain Linwood S. (1963). "XXXVIII". History of Communications-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Navy. Washington, D.C.: Bureau of Ships and Office of Naval History. pp. 443–469.
  78. ^ a b Howeth, Captain Linwood S. (1963). "Appendix A. Chronology of Developments in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History of Communications-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Navy. Washington, D.C.: Bureau of Ships and Office of Naval History. pp. 443–469.
  79. ^ a b c d e f g h i j k l Bedwell, Don (2007). "Where Am I?". American Heritage Magazine. 22 (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4-28. Retrieved 2007-04-20.
  80. ^ a b c 보우디치, 2002:1.

참조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