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목표

Goal

목표 또는 목표는 개인 또는 집단이 상상하고 계획하고 달성하기 위해 약속하는 미래 또는 원하는 결과에 대한 아이디어입니다.[1] 사람들은 기한을 정해 제한된 시간 내에 목표에 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목표는 대략 목적이나 목표, 반응을 안내하는 예상 결과, 또는 물리적 대상이나 추상적 대상하나대상이 내재적 가치를 갖는 목적이나 목적과 유사합니다.

목표설정

유엔본부의 밀레니엄 개발목표 포스터

목표 설정 이론은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공식화되었으며 조직 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불려 왔습니다.[2] 에드윈 A. 로크와 게리 P. 목표 설정 이론의 아버지인 라담은 2002년에 그 이론의 핵심 발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제공했습니다.[3] 요약하면, Locke와 Latham은 진행 상황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한, 특정하고 어려운 목표가 쉬운 목표나 "최선을 다하라"는 지시보다 더 높은 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4]

Locke and Latham에 따르면, 목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칩니다.[3]

  1. 목표는 목표 relevant 활동에 직접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입니다.
  2. 어려운 목표는 더 큰 노력으로 이어집니다.
  3. 어려운 목표가 노력을 연장하는 지속성을 증가시키고,
  4. 목표는 간접적으로 각성을 유도하고, 과업 relevant 지식과 전략을 발견하고 활용합니다.

목표와 성과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첫째, 목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인이 헌신해야 합니다. 참여적 목표 설정은 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참여 자체가 성과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것은 아닙니다.[3] 또한 자기 효능감은 목표 몰입도를 높입니다.[5] 목표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목표와 관련하여 진행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는 피드백이 필요합니다.[3] 이 피드백은 긍정적이고 즉각적이며 그래픽적이며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피드백을 제공하면 기준점을 설정하고 "표준과 비교하여 행동 반응을 알린다"(Stajkovic A.D. and Sergent, K, Cognitive Automation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일부 코치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 가능하며 관련성이 있는 SMART(시간 제한) 목표를 수립할 것을 권장하지만, 모든 연구자가 이러한 SMART 기준이 필요하다고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6] SMART 프레임워크는 목표 난이도를 기준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Locke and Latham의 목표 설정 이론에서는 과제를 수행한 사람들의 평균 사전 성과를 기반으로 난이도 90 백분위 내에서 목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7][3]

목표는 장기, 중간 또는 단기가 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입니다.[8] 단기적 목표는 비교적 단기간에, 장기적 목표는 장기적으로, 중간적인 시기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행동 단계에 대한 사고방식 이론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출발하기 전에 먼저 원하는 최종 상태가 무엇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Peter Golwitzer의 사고방식 단계 이론은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거쳐야 하는 두 단계가 있다고 제안합니다.[9] 첫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기준을 명시하고 그것을 끝까지 보겠다는 약속에 따라 어떤 목표를 설정할지 결정함으로써 자신의 목표를 정신적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두 번째 단계는 계획 단계로, 개인이 원하는 행동 세트를 결정하고 원하는 최종 상태 또는 목표에 가장 잘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10]: 342–348

목표특성

목표의 특정 특성은 목표를 정의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동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목표의 특성은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개인적인 특성과 함께 목표 달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 중요성은 목표의 매력, 강도, 관련성, 우선순위 및 기호에 따라 결정됩니다.[10][page needed] 중요도의 범위는 높음에서 낮음까지입니다.
  • 난이도는 목표를 달성할 확률에 대한 일반적인 추정에 의해 결정됩니다.[10][page needed]
  • 구체성은 목표가 질적인 것이라면 결정되며 모호함에서 정확하게 명시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10][page needed]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목표는 낮은 수준의 하위 목표보다 모호합니다. 예를 들어, 성공적인 직업을 갖기를 원하는 것은 석사 학위를 얻기를 원하는 것보다 모호합니다.
  • 시간 범위는 목표의 지속 시간과 근위(즉각)에서 원위(지연)까지의 범위에 따라 결정됩니다.[10][page needed]
  • 의식 수준은 목표에 대한 사람의 인지적 인식을 말합니다. 인식은 일반적으로 원위 목표보다 근위 목표에서 더 큽니다.[10][page needed]
  • 목표의 복잡성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하위 목표가 필요한지와 한 목표가 다른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10][page needed] 예를 들어, 대학을 졸업하는 것은 많은 하위 목표(성적을 잘 내는 것과 같은)를 가지고 있고, 의미 있는 취업을 하는 것과 같은 다른 목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목표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개인목표

개인은 개인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학생은 시험에서 높은 점수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운동선수는 하루에 5마일을 달릴 수 있습니다; 여행자는 3시간 이내에 목적지에 도착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은퇴를 위한 저축 또는 구매를 위한 저축과 같은 재정적인 목표를 달성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목표를 관리하면 개인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이루고 싶은 것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무엇에 집중하고 개선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해주며, 종종 무의식적으로 그 목표에 우선순위를 두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목표 조정(목표 이탈 및 목표 재참여 역량)도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부분입니다.[11]

목표 설정 및 계획("목표 작업")은 장기적인 비전, 중간 미션단기적인 동기 부여를 촉진합니다. 의도, 욕구, 지식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자원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효율적인 목표 작업에는 자신의 노력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죄책감, 내적 갈등 또는 제한된 믿음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명확하게 정의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사람은 그 목표의 달성을 측정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길고, 어쩌면 어려워 보일 수도 있었던 일의 진전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목표달성

복잡하고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집중, 장기적인 근면, 노력이 필요합니다(목표 추구 참조). 어떤 분야에서든 성공하려면 성능이 떨어지거나 적절한 계획이 부족한 것에 대한 변명과 정당성을 포기해야 합니다. 즉, 성공에는 정서적 성숙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이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의 척도 또한 그 성취에 영향을 미칩니다.

장기적인 성과는 단기적인 성과에 의존합니다. 하루의 작은 순간들에 대한 감정 조절은 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개인의 목표달성과 행복

원하는 목표 달성, 자기 효능감과 성실성의 변화, 궁극적으로는 주관적 웰빙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습니다.[12] 목표 효능은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성공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목표 성실성은 자신의 목표가 자아의 핵심적인 측면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연구에 따르면 목표 효능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웰빙의 한 요인인 행복과 관련이 있으며 목표 성실성은 웰빙의 또 다른 요인인 의미(심리학)와 관련이 있습니다.[13] 여러 연구에서 장기적인 목표 달성과 주관적인 웰빙의 변화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인에게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주관적인 웰빙의 감정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14][15][16]

심리학자 로버트 에몬스는 인간이 행복에 주로 초점을 맞추지 않고 의미 있는 프로젝트와 활동을 추구할 때, 행복은 종종 부산물로 귀결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의미성 지표는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예측하는 반면, 의미성 부족은 심리적 고통과 같은 부정적인 상태를 예측합니다. 에몬스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의미의 네 가지 범주를 정리합니다. 그는 그들을 WIST, 즉 일, 친밀감, 영성, 초월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합니다.[17] 또한 내재적 목표보다 외재적 목표를 더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주관적 안녕감이 낮고 불안감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자율준수모형

자기 일치 모델은 목표의 시작부터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발생하는 단계의 순서를 살펴보는 모델입니다.[19] 개인에게 목표의 종류와 의미에 따라 목표달성의 가능성과 영향을 봅니다.[citation needed] 다양한 유형의 목표는 목표 달성과 목표 달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모델은 우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 다음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촉진하는 요인과 그 다음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주관적인 웰빙의 변화로 연결하는 요인을 분해합니다.

자율준수목표

내재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또는 개인의 자아개념을 지지하기 위해 추구하는 목표를 자아일치적 목표라고 합니다. 자기 일치적인 목표는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고, 정신 분석가 도날드 위니콧이 개인의 "진정한 자아"라고 말한 것과 일치합니다. 이러한 목표는 개인에게 개인적인 의미를 가지며 개인의 자아 정체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자아 일치적인 목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노력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반면, 개인의 내적 추진력을 반영하지 못하고 외부 요인(예: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추구되는 목표는 개인의 비통합적인 영역에서 나타나고, 따라서 장애가 발생할 때 포기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20]

스스로 일치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성취로부터 더 큰 복지 혜택을 얻습니다. 성취-웰빙 효과는 욕구 만족, 즉 노력하는 기간 동안 축적되는 자율성, 역량 및 관련성에 대한 일상 활동 기반 경험에 의해 매개됩니다. 이 모델은 3개의 종단 데이터 세트에 만족스러운 적합도를 제공하고 자기 효능감, 실행 의도, 회피 프레이밍 및 라이프 스킬의 효과로부터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1]

또한 자기결정성 이론과 이 이론을 둘러싼 연구는 개인이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지만 그 목표가 자기를 지지하거나 자기 일치적이지 않으면 목표 달성에도 불구하고 웰빙 수준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22]

조직내 목표설정관리

조직에서 목표관리는 팀 구성원 개인의 목표를 인식하거나 추론하는 과정, 더 이상 관련성이 없는 목표를 포기하는 과정, 목표 간의 갈등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과정, 최적의 팀-협업과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일관성 있게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성공적인 상업 시스템의 경우, 최종 사용자(고객)가 사용할 수 있는 최상의 비용으로 최상의 상품 또는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만들어 이익을 도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citation needed] 목표 관리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성공을 위한 비rational 블록의 평가 및 해체
  • 시간 관리
  • 빈번한 재검토(consist성 점검)
  • 타당성 점검
  • 마일스톤 및 주요 목표 목표 조정

Jens Rasmussen과 Morten Lind는 기술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목표의 세 가지 기본 범주를 구분합니다. 다음은 다음과 같습니다.[23]

  1. 생산 목표
  2. 안전 목표
  3. 경제 목표

조직 목표 관리는 직원 개인의 목표와 목표를 지향하여 조직 전체의 비전과 전략적 목표에 부합합니다. 목표관리는 기업의 목표와 전략적 목표를 조직 전체에 걸쳐 각 개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which?] 조직에 제공합니다.[citation needed] 핵심은 모든 정보를 중추적인 출처에서 제공하고 각 개인에게 명확하고 일관된 조직 목표 메시지를 제공하여 모든 직원이 자신의 노력이 기업의 성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이해하는 것입니다.[citation needed]

비즈니스 관리의 목표 유형 예:

  • 소비자 목표: 시장/소비자가 원하는[24]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 제품 목표: 다른 제품에 비해 뛰어난 가치 제안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마도 품질, 디자인, 신뢰성 및 신규성과[25] 같은 요인 때문일 것입니다.
  • 운영 목표: 관리 기술, 기술 및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 2차 목표: 조직이 우선순위로[citation needed] 간주하지 않는 목표를 말합니다.

목표변위

목표 이탈은 기업이나 조직의 원래 목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목표로 대체될 때 발생합니다. 새로운 목표가 원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배치된 메커니즘의 용량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조직에서 채택하는 새로운 목표는 일반적인 직원 분쟁을 줄이기 위한 구조를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과 같은 내부 문제에 점점 더 집중될 수 있습니다.[26] 어떤 경우에는 조직 내에서 전통적인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조직의 원래 목표가 부분적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위젯을 제조하는 회사는 인기 있는 자선 단체를 위해 모금 운동을 하거나 지역 카운티 박람회에 텐트를 설치함으로써 좋은 홍보를 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모금 운동이나 카운티 박람회 텐트가 성공적이라면, 회사는 이를 연례 전통으로 만들기로 선택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가장 자선적인 기금을 모금하거나 최상의 카운티 박람회 텐트를 갖추는 새로운 목표에 점점 더 많은 직원과 자원을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초기 문제가 해결되거나 초기 목표를 추구할 수 없게 되어 목표가 교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명한 예로는 소아마비 퇴치를 위한 기금으로 시작된 '다임즈의 행진'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아마비 백신으로 인해 질병이 효과적으로 통제되자 선천적 장애 퇴치를 위한 단체로 전환했습니다.[26]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Locke, Edwin A.; Latham, Gary 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SBN 978-0139131387. OCLC 20219875.
  2. ^ Miner, J. B. (2003). "The rated importance, scientific validity, and practical usefulness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ies: A quantitative review".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2 (3): 250–268. doi:10.5465/amle.2003.10932132.
  3. ^ a b c d e Locke, Edwin A.; Latham, Gary P. (September 2002) [2002].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a 35-year odyssey". American Psychologist. 57 (9): 705–717. CiteSeerX 10.1.1.126.9922. doi:10.1037/0003-066X.57.9.705. PMID 12237980. S2CID 17534210.
  4. ^ Stajkovic, Alexander D.; Locke, Edwin A.; Blair, Eden S. (September 2006). "A firs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med subconscious goals, assigned conscious goals, and tas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5): 1172–1180. doi:10.1037/0021-9010.91.5.1172. PMID 16953778.
  5. ^ Stajkovic, Alexander D.; Luthans, Fred (September 1998).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4 (2): 240–261. doi:10.1037/0033-2909.124.2.240.
  6. ^ Grant, Anthony M (September 2012). "An integrated model of goal-focused coaching: an evidence-based framework for teaching and practice" (PDF).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7 (2): 146–165 (147). doi:10.53841/bpsicpr.2012.7.2.146. S2CID 2559381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11-29. Whilst the ideas represented by the acronym SMART are indeed broadly supported by goal theory (e.g. Locke, 1996), and the acronym SMART may well be useful in some instances in coaching practice, I think that the widespread belief that goals are synonymous with SMART action plans has done much to stifle the development of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and use of goal theory within in the coaching community, and this poin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aching research, teaching and practice.
  7. ^ Locke, E. A., Chah, D., Harrison, S. & Lustgarten, N. (1989). "Separating the effects of goal specificity from goal level".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43 (2): 270–287. doi:10.1016/0749-5978(89)90053-8.{{cite journal}}: CS1 maint: 다중 이름: 저자 목록 (링크)
  8. ^ Creek, Jennifer; Lougher, Lesley (2008). "Goal setting". Occupational therapy and mental health (4th ed.). Edinburg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pp. 111–113 (112). ISBN 9780443100277. OCLC 191890638. Client goals are usually set on two or three levels. Long-term goals are the overall goals of the intervention, the reasons why the client is being offered help, and the expected outcome of intervention... Intermediate goals may be clusters of skills to be developed, attitudes to be changed or barriers to be overcome on the way to achieving the main goals... Short-term goals are the small steps on the way to achieving major goals.
  9. ^ 골위처, P.M. (2012) 행동 단계에 대한 사고방식 이론. P.A.M. Van Lange에서. A. W. Kruglanski, & E.T. 동기부여 과학 핸드북 (235-250쪽). 뉴욕: 길포드 프레스.
  10. ^ a b c d e f g Deckers, Lambert (2018). Motivati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5th ed.). New York: Routledge. ISBN 9781138036321. OCLC 1009183545.
  11. ^ Wrosch, Carsten; Scheier, Michael F.; Miller, Gregory E. (2013-12-01). "Goal Adjustment Capacities,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7 (12): 847–860. doi:10.1111/spc3.12074. ISSN 1751-9004. PMC 4145404. PMID 25177358.
  12. ^ Emmons, Robert A (1996). "Striving and feeling: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Gollwitzer, Peter M; Bargh, John A (eds.). The psychology of action: linking cognition and motivation to behavior. New York: Guilford Press. pp. 313–337. ISBN 978-1572300323. OCLC 33103979.
  13. ^ McGregor, Ian; Little, Brian R (February 1998).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2): 494–512. doi:10.1037/0022-3514.74.2.494. PMID 9491589.
  14. ^ Brunstein, Joachim C (November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5): 1061–1070. doi:10.1037/0022-3514.65.5.1061.
  15. ^ Elliott, Andrew J; Sheldon, Kennon M (November 1998). "Avoidance personal goals and the personality–illness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5): 1282–1299. CiteSeerX 10.1.1.433.3924. doi:10.1037/0022-3514.75.5.1282. PMID 9866188.
  16. ^ Sheldon, Kennon M; Kasser, Tim (December 1998). "Pursuing personal goals: skills enable progress but not all progress is beneficial" (PD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12): 1319–1331. doi:10.1177/01461672982412006. S2CID 143050092.
  17. ^ Emmons, Robert A. (2003), Keyes, Corey L. M.; Haidt, Jonathan (eds.), "Personal goals, life meaning, and virtue: Wellsprings of a positive life.",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05–128, doi:10.1037/10594-005, ISBN 978-1-55798-930-7, retrieved 2023-11-07
  18. ^ Kasser, Tim; Ryan, Richard M. (March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3): 280–287. doi:10.1177/0146167296223006. ISSN 0146-1672. S2CID 143559692.
  19. ^ Sheldon, Ken M; Eliott, Andrew J (March 1999). "Goal striving, need 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the self-concordance model"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3): 482–497. doi:10.1037/0022-3514.76.3.482. PMID 10101878.
  20. ^ Gollwitzer, Peter M (1990). "Action phases and mind-sets" (PDF). In Higgins, E Tory; Sorrentino, Richard M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2. New York: Guilford Press. pp. 53–92. ISBN 978-0898624328. OCLC 12837968.
  21. ^ Sheldon, Kennon M; Elliot, Andrew J (March 1999). "Goal striving, need 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the self-concordance model"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3): 482–497. doi:10.1037/0022-3514.76.3.482. PMID 10101878.
  22. ^ Ryan, Richard M (January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PDF). American Psychologist. 55 (1): 68–78. CiteSeerX 10.1.1.529.4370. doi:10.1037/0003-066x.55.1.68. PMID 11392867. S2CID 1887672.
  23. ^ Rasmussen, Jens; Lind, Morten (1982). "A model of human decision making in complex systems and its use for design of system control strategies" (PDF). Proceedings of the 1982 American Control Conference: Sheraton National Hotel, Arlington, Virginia, June 14–16, 1982. New York: American Automatic Control Council. OCLC 7613735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2-06. Retrieved 2015-02-06. Cited in: Wrench, Jason S (2013). "Communicating within the modern workplace: challenges and prospects". In Wrench, Jason S (ed.). Workplace communication for the 21st century: tools and strategies that impact the bottom line. Santa Barbara, CA: Praeger. pp. 1–38. ISBN 978-0313396311. OCLC 773022358.
  24. ^ Osterwalder, Alexander; Pigneur, Yves; Clark, Tim (2010). Business model generation: a handbook for visionaries, game changers, and challenger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SBN 9780470876411. OCLC 648031756.
  25. ^ Barnes, Cindy; Blake, Helen; Pinder, David (2009). Creating & delivering your value proposition: managing customer experience for profit. London; Philadelphia: Kogan Page. ISBN 9780749455125. OCLC 320800660.
  26. ^ a b Karen Kirst-Ashman, 인간 행동, 거시 사회 환경의 지역 사회, 조직 그룹(2007), 112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