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비덴시니

Globidensini
글로비덴시니
Globidens dakotensis.jpg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다코텐시스(아래 그림)의 두개골
과학적 분류 e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파충류
주문: 스쿼마타
슈퍼 패밀리: 모사사우루스상과
패밀리: 모사사우루스과
서브패밀리: 모사사우루스아과
부족: 글로비덴시니

글로비덴시니족 또는 글로비덴타티니는 백악기 후기다양한 해양 스쿼메이트 집단인 모사사우루스족이다."글로비덴신" 또는 "글로비덴신 모사사우루스"로 알려진 이 부족의 구성원들은 북미, 유럽, 아프리카[1]아시아에서 회수되었다.이 부족에는 Globidens속(지금까지 가장 잘 [2]연구된 속), Carinodens속,[3][4] Igdamanosaurus속, Haranasaurus속[5], Xenodens속 [6]등이 있다.위턱과 숫자의 특징 때문에 부족에서 카리노덴크세노덴의 위치가 불확실하다; 몇몇 연구자들은 그들이 모사사우리니[6]더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백악기 말기에, 일련의 적응으로, 노브와 같은 [7]이빨로 특징지어지는 글로비덴시니 내의 고도로 특화된 모사사우르스는 성공적으로 십이지동 생활 방식의 틈새를 되찾을 수 있었다.이 틈새는 플라코돈트십이지장성 어룡 그리피아가 멸종한 이후로 대부분의 중생대 동안 점유되지 않았다.화석 기록에서 Globidensini의 희귀성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데, 아마도 서식지의 선호(심층수), 다른 형태의 타포노믹 편견 또는 [8]애초에 많은 수의 개체군을 설립할 수 없는 십이지장 생활 방식 때문일 것이다.앙골라에서는 인코네라무스 [9]껍데기의 멸종과 동시에 사라졌습니다.

튼튼한 치아는 때때로 프로그나토돈속플레시오틸로사우루스와 비교되기도 하는데, 이 두 속 모두 부족에 포함된다.이 속들은 아마도 그러한 포함이 [10]시사하는 것만큼 글로브덴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이 부족의 어원은 글로비덴스속(라틴 글로버스 = "globis" + 라틴어 dens = "globis")에서 유래했다.

묘사

독특한 구형 치아를 보여주는 Globidens dakotensis의 재구성된 두개골.

전체적으로 글로비덴신은 중간 크기의 모사사우르스로, 글로비덴 자체의 길이는 약 6미터에 달했다.글로비덴스, 카리노덴스, 이그다마노사우루스의 이빨은 매우 튼튼하고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다른 모든 모사사우루스와 다르다.대부분의 모사사우루스속은 물고기와 두족류처럼 부드럽고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위해 적응된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다.비록 일부는 갑옷을 입은 먹잇감의 등껍질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이 분명히 있었지만, 글로브든과 그 친척들만큼 전문화된 것은 없었다.글로비덴은 튼튼하고 강력한 두개골과 암모나이트, 이매패류, 작은 거북이와 같은 동물의 등껍질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반구형 이빨을 결합했다.

러셀(1967년)은 당시 글로비덴스골학이 너무 잘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족에 대한 적절한 진단을 내놓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비덴스모사사우루스아과의 다른 종족과 구별하고 글로비덴스클리다스테스[11]후손으로 간주하는 뚜렷한 특징 때문에 새로운 부족을 세웠다.

보다 최근에 제안된 정의는 Globidensini를 Mosaurus hoffmannii[10]아닌 Globidens dakotensis를 포함하는 가장 포괄적인 분류군으로 진단하는 분기 기반 정의이다.

턱 역학

Globidens속Prognathodon속(때로는 Globidensin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음)은 강력한 턱 근육 구조에 적응하고 있습니다.상완골 회골의 길이와 두개골의 총 길이 사이의 비율은 이전에 모사사우르스의 물림 힘에 대한 즉석 측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속들(Globidens dakotensis의 0.27과 Proganathodon overtoni의 0.22와 Mosmannas의 다른 모사사우루스 오버토니와 P. 포화자)에 비해 상당히 높다.0.19).[8]

종과 분류법

글로비덴시니

레퍼런스

  1. ^ "Fossilworks: Gateway to the Paleobiology Database". fossilworks.org. Retrieved 17 December 2021.
  2. ^ Russel, Dale (1975). "A new species of Globidens from South Dakota, and a review of globidentine mosasaurs". Fieldiana Geology. 33 (13): 235–256.
  3. ^ 슐프, 앤 S. 등"앙골라 마스트리히티안산 모사사우르 신소재로 프로그나토돈속의 계통발생, 분포 및 고생태학에 관한 기록입니다."마스트리히트 모사사우르스에서요Publaties van naturhistorisch Genootschap in Limburg 45.1 (2006) : 57 - 67 . [ 1 ]
  4. ^ 린드그렌, 요한"스웨덴 남부 캄파니아 하층(중백기 상부)에 사는 수수께끼의 모사사우루스(렙틸리아, 모사사우루스과)의 치근과 척추 형태학." 덴마크 지질학회 회보 52.17(2005) e25. [2]
  5. ^ Kaddumi, Hani F. (2009). "A new durophagous mosasaur (Squamata: Mosasauridae) from the Maastrichtian Muwaqqar Chalk Marl Formation of the Harrana Fauna". Fossils of the Harrana Fauna and the Adjacent Areas. Amman: Eternal River Museum of Natural History. pp. 36–48. OCLC 709582892.
  6. ^ a b Longrich, N.R.; Bardet, N.; Schulp, A. S.; Jalil, N (2021). "Xenodens calminechari gen. et sp. nov., a bizarre mosasaurid (Mosasauridae, Squamata) with shark-like cutting teeth from the upper Maastrichtian of Morocco, North Africa". Cretaceous Research. doi:10.1016/j.cretres.2021.104764.
  7. ^ 마틴, J.E. 2007십이지장모사사우르스의 새로운 종인 Globidens(스쿼마타:미국 사우스다코타 중부의 백악기 후기 피에르 셰일 그룹의 Mosasauridae.마틴, J.E.와 패리스 D.C.(에드)의 167-176페이지, 다코타 후기의 백악기 해양 퇴적물의 지질학과 고생물학.미국지질학회, 특별논문 제427호 (글로비든스 슈르마니)
  8. ^ a b Schulp, Anne S.; Jagt, John W. M.; Fonken, Frans (2004-09-10). "New material of the mosasaur Carinodens belgicu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Netherlan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4 (3): 744–747. doi:10.1671/0272-4634(2004)024[0744:NMOTMC]2.0.CO;2. ISSN 0272-4634.
  9. ^ Polcyn, Michael J.; Jacobs, Louis L.; Schulp, Anne S.; Mateus, Octávio (March 2010). "The North African Mosasaur Globidens phosphaticus from the Maastrichtian of Angola". Historical Biology. 22 (1–3): 175–185. doi:10.1080/08912961003754978. ISSN 0891-2963.
  10. ^ a b Madzia, D., Cau, A. (2017년)계통수 '취약점' 추론 : Wayback Machine 2017-09-17 Mosasauroid 명명법 적용.PeerJ 5: e3782
  11. ^ Russell, Dale. A. (6 November 1967). "Systematics and Morphology of American Mosasaurs" (PDF). Bulletin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June 2016. Retrieved 22 Sept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