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맨십
Gamesmanship게임맨십은 게임이나 스포츠에서 심각한 이점을 얻거나 얻기 위해 의심스러운 방법(기술적으로 불법은 아니지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것은 "걸리지 않고 규칙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것,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능한 어떤 의심스러운 방법이라도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1] 스포츠맨십과는 반대로 (즉,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승리하는 것)을 위해 경기를 한다는 생각에서 유래한 말로 유추할 수 있는데, 스포츠맨날 스포츠맨십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 용어는 스티븐 포터의 유머러스한 1947년 책인 게임맨십의 이론과 실천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이언 코스터는 1939년에 출판된 그의 자서전 책 "프렌즈 인 아스픽"에서 이언 코스터에 의해 이전에 사용되었는데,[2] 이 책은 프란시스 메이넬의 것으로 여겨졌다.
추정된 기원
포터는 게임맨십의 기원을 자신과 철학자 C. E. M. Joad가 자신보다 훨씬 젊고 건강한 두 남자와 경쟁하는 테니스[3] 시합이라고 언급한다. 서브를 반환하자 요아드는 백라인에서 12피트 뒤쪽으로 공을 네트에 꽂아 넣었다. 상대팀이 다음 서브를 준비하고 있는 동안, 조아드는 '볼이 들어가든 아웃이 되든, 확실하게 말해달라'[4]는 고른 어조로 골대를 가로질러 전화를 걸었다. 젊고 예의 바른 대학생들이었던 그들의 상대는 그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겠다고 했지만, 조아드는 거절했다. 그들은 어리고 공손했기 때문에, 그들의 예절과 스포츠맨십이 문제라는 요아드의 가벼운 제안은 극히 빗나가고, 남은 대회 기간 동안 그들을 산만하게 했다. 포터와 조드는 계속해서 경기에서 승리했다.
기술
일반적인 게임 기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상대 플레이의 흐름을 끊는 것(포터는 '한 가지 규칙만 있다; BREAK THE FLOW'[5]를 주장했다.)
- 상대에게 게임을 덜 진지하게 받아들이게 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과대평가하게 하는 것
- 의도적으로 상대방보다 유리한 "실수"를 하는 것
첫 번째 방법은 더 높은 수준의 스포츠에서 더 흔하지만, 마지막 두 가지는 아마추어 게임에서 더 강력하다.
흐름을 끊는 것
"흐름 파괴"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다트에서는 플레이어가 일부러 오랜 시간을 들여 다트보드에서 다트를 꺼낸다.
- 부상을 가장하여 경기를 지연시키거나 광고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 숙련된 게임맨은 이 전술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이 심장 결함과 같은 훨씬 더 심각한 상태를 겪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기 전에, 경기가 얼마 동안 열릴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 당구나 스누커에서는 일부러 상대의 시야에 서 있다가 상대가 시야에서 빠져나온다는 미명 아래 총을 쏘려고 할 때 갑자기 움직인다. 마지막 순간 다소 과장된 민첩성으로 올바른 자세로 도약하고, 고개를 숙인 채 뻣뻣하게 서 있다.[6]
- 상대 선수를 방해할 수 있는 다른 사람에 대해 불평하여 상대 선수를 혼란스럽게 한다. 항상 훌륭한 게임맨이 훌륭한 스포츠맨이 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던 포터는 이런 접근을 추천했다. 예를 들어, 상대가 당구를 쏘려고 한다면, 안절부절못하고 휘파람을 부는 것은 나쁜 게임이지만, 관중들에게 '상대방을 대신하여, 구경꾼들과 함께, 짜증스러움을 단순화하라'[7]고 큰 소리로 요청함으로써 그를 산만하게 하는 것은 좋은 게임이다.
- 포인트를 획득할 때는 상대방과 직접 눈을 마주치지만, 실점할 때는 항상 직접적인 눈 접촉을 피한다.
- 크리켓에서는 오른손잡이 장갑 두 개를 들고 나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을 허비했다.
- 야구에서는 타자가 투구 전달 직전 타임아웃을 불러 투수의 흐름을 방해한다.
- 야외 경기에서 질 때, 넓은 관심을 전달하고 상대에게 지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제안하기 위해 식물학이나 조류학 같은 것에 대해 깊고, 정보에 입각한 아마추어 이상의 관심을 가장한다. 이로 인해 상대는 관심을 늦추거나, 어쨌든 승리의 만족감을 강탈할 수 있다. 포터는 이것을 '자연적인 햄펫'이라고 불렀다.게임맨을 위한 정원 또는 꽃을 좋아하는 시기'[8]를 참조하십시오.
- 테니스에서는 서브를 할 때 서브와 리시버를 기다리는 사이에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서브를 받을 때 서버가 산만해지는 방식으로 위치를 잡거나, 상대가 성공적인 주행을 경험할 때 의료적인 시간을 빼앗는다.[9]
- 럭비 리그에서:
- 스크럼에 포장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시간 낭비
- 경기 전이나 하프타임 이후에 경기장에 도착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상대 팀은 경기가 시작되거나 재개되기 전에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 미식축구에서, 경기 승리 혹은 경기 타이를 위한 필드 골이나 PAT가 정상적인 경기 흐름을 깨기 전에 타임 아웃을 선언한다. 이것은 키커를 "빙"하거나 "동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스프린트 달리기 이벤트에서, 출발 블록에 정착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려 다른 선수가 잘못된 출발을[10] 하도록 유도함
상대가 너무 많이 생각하게 함
상대가 너무 많이 생각하거나 게임을 충분히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도록 고안된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상대가 자신의 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호한 조언을 하는 것. 비록 포터가 '일부 당국에 따르면 그 조언은 매우 진실하고 완벽하게 실용적이어야 한다'고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어드바이시맨십"에서는 '어려운 조언은 분명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11]
- 다음 날, 묵시적으로 강한 상대와 시합하기 위해 상대의 조언을 구하는 것.
- 게임이 "그냥 내 스포츠가 아니다"고 주장하거나, 선수가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것보다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하는 것.
- 미식 축구에서, 상대 키커에게 결정적인 킥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과도한 시간을 주기 위해 한 개 이상의 타임아웃을 하는 매우 일반적인 관행; 대부분은 필드 골이나 추가 포인트, 때로는 잠재적인 측면 킥. 그 의도는 키커가 실수를 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받게 하고 바라건대 자기충족적인 예언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을 흔히 "키커의 아이싱"이라고 한다. 이 전략의 일반적인 변형은 공이 끊기기 직전에 타임아웃을 호출하여 플레이를 중지할 시간이 부족하고 상대 키커가 같은 킥을 두 번 시도해야 하는 것이다.
- "빙"은 비록 덜 자주 사용되기는 하지만 농구에서도 사용된다. 선수가 자유투를 쏘는 후반 상황에서 상대 팀이 타임아웃을 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이것은 보통 "사격자 아이싱"이라고 불린다.
- 선수가 실제 보유한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제시하는 역접근법도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가 샷을 하는 동안 휘파람을 크게 부는 등 단순한 산만함에 눈살을 찌푸리지만, 직접 샷을 할 때는 상대가 가지고 있지 않은 정도의 조심성 없는 분리를 하는 것이 좋은 게임이다.
기타
- 선수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거나 서로에 대한 경험이 있다면 거짓말과 다른 대화 주제를 사용할 수 있다. 레슬링이나 많은 전투 스포츠에서, 그것은 상대방이 부상을 입고 있는 사지를 목표로 할 수 있다.
의도적인 "실수"
이점을 얻기 위해 고안된 의도적인 "실수"의 예:
- 브리지에서는 '반대자들이… 반대자들의 입찰 양식에 대한 실무적 판단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어차피 손이 비어 있을 것을 알고 고의적인 비행을 한 다음 혼란스러운 입찰에 임한다.[12]
- 포커에서는 고의적으로 차례를 지키지 않고 올려 플레이어가 무료 카드를 내도록 유도한다.
- 야구는 의도적으로 공을 떨어뜨려 베이루너들에게 포스 플레이( 내야 플라이 룰을 정함)를 만들어낸다.
위의 모든 것들은 부정행위에 매우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게임술의 남용자는 대부분의 심각한 스포츠와 게임 토너먼트에서 불이익을 받을 뿐만 아니라 "나쁜 스포츠"로 간주될 것이다.
국제수비권총협회 사격실무규정에는 경쟁우위를 획득할 목적으로 취한 불법행위는 '권한행실패'로 벌칙이 명시돼 있어 선수 시간에 20초를 더한다. 이 벌칙은 거의 주어지지 않는데, 부분적으로는 매우 주관적인 성격 때문이다.
축구, 사커
협회 축구에서는 상대편 선수가 부상을 당하면 퇴장시키는 것이 좋은 스포츠맨십으로 여겨지고, 공을 던질 때는 일부러 퇴장시킨 상대팀에게 다시 차거나 던지는 것도 이런 상황에서 좋은 스포츠맨십으로 간주된다. 이런 상황에서 공을 찬 측면으로 공을 다시 넘기기보다 투신 후 부상당한 선수 동료들이 공을 지키는 게임맨십이 생긴다. 불법적이거나 스포츠 규칙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심하게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2006년 FIFA 월드컵 16강전에서 이미 수많은 주의와 심지어 4장의 레드카드로 얼룩진 경기가 이런 사건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는 고공행진의 사례가 발생했다. 또한 1998-99년 FA컵 5라운드에서 아스널과 셰필드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 아스널의 결승골은 (고의적인 행동보다는 오해의 결과로) 너무 논란이 많았다. 비록 아스널이 2차전에서 같은 점수인 2-1로 승리했지만 셰필드 유나이티드는 이를 받아들였다.[13]
플레이의 흐름을 끊으려는 플레이맨십의 또 다른 예로, 비록 감지될 경우 비신사적인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는 법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더 이상 게임맨십이 아니다. 2006년 월드컵 기간 동안 부상이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 프리미어리그는 선수, 감독, 심판들에게 06/07 시즌 현재 관습을 종료할 것을 요구했고, 대신 경기 중 휴식 시간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심판만을 선호했다.
프리킥이 주어지면 수비팀 멤버들은 퇴각하면서 공을 주워 뒤로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침해가 될 공을 버리지 않으면서 빠르게 빼앗긴 프리킥을 막기 위해서다.
게임 외 사용
게임맨십(gamesmanness)이라는 용어는 또한 협상이나 선거와 같이 비게임 상황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기법에도 사용된다.
각 형태는 상대방을 위협하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데 사용되는 의심스러운 승리 방법 및/또는 심리적인 속임수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자주 사용된다. 엄밀히 말하면, 이러한 전술은 한 단계 발전된 것으로, 포터가 나중에 쓴 책에서 다른 누군가에게 한 단계 발전된 기술로 정의된다.
이 용어는 또한 "문학적인 게임술"에서와 같이 장난스러움을 의미하는 예술 이론에서도 나타난다.[14][15]
게임맨 대 순수한 선수
포터의 양날 아이러니는 그 게임맨 자신을 아끼지 않았다(예를 들면, 그는 저명한 주인공을 'Bzo, U, 홀더 (1947) 유고-슬래브 게임맨십 챔피언십'[16]이라고 교묘하게 이름 붙였다). 포터는 '게임맨의 길은 고되고, 훈련은 엄격하며, 진도가 느리고, 실망이 많다'고 거듭 인정했고, 그 결과 '게임맨십의 부지런한 학생은 게임 자체의 사소한 일, 예를 들어 샷을 배울 기회가 거의 없다'[17]고 인정했다. 그러나 그의 "상속자들" 중 한 명은 '게임 자체에 대한 지식이 때때로 게임맨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18]고 천박하게 인정한다.
그러므로 아마도 게임맨이 플레이하기에 가장 어려운 유형은 순수한 플레이에 탐닉하는 사람이다. 그는 그것에 굴복하고, 그것을 잘 해내고, 각각의 샷을 그 장점과 자신의 능력에 따라 연주하고, 전시주의의 흔적도 없이, 그리고 어떤 바이 플레이도 하지 않는다.[19] 그 책은 우울하게 결론짓는다. '우리 아마추어들은 사물의 재미를 위해 다양한 게임을 하겠다고 고집하는 젊은이들의 증가하는 위협에 맞서 싸워야 한다...만약 진실이 알려지면, 순수한 놀이에 너무 자유롭게 빠져드는 것.[18]
참고 항목
- 벼랑 끝 전술
- 부정행위
- 시스템 게임
- 스포츠맨십
- 다이빙(협회 축구)
- 플롭(농구)
- 매치 픽싱
- 원업맨십
- 스포츠맨답지 않은 행동
- 악당학교
- 슈퍼맥
- 내야 플라이 규칙
- 더 리그
- 규칙 변호사
- 썰매(크리켓)
메모들
- ^ 울프킨, 스톨, 벨러, 1994:92
- ^ 이언 코스터: 아스픽(London 1939), 페이지 49와 64의 친구들.
- ^ 벌링 로레이의 "Stephen Potter's Gamesmanness" Virginia Quarterly Review 1993 페이지 718-726 웨이백 기계에 2009-09-07 보관
- ^ 스티븐 포터, 게임맨십 이론 & 연습 (런던 1947) 페이지 17
- ^ 포터, 페이지 56
- ^ 포터, 페이지 79
- ^ 포터, 페이지 60
- ^ 포터, 페이지 72
- ^ Olle, Sarah (22 January 2020). "'That's a trick that she's done before': Caroline Wozniacki accuses Dayana Yastremska of gamesmanship". Fox Sports. Retrieved 23 January 2020.
- ^ Ghostarchive 및 Wayback Machine에 보관:
- ^ 45페이지와 123페이지의 포터
- ^ 포터, 페이지 86
- ^ "Arsene Wenger offers FA Cup rematch". Arsenal F.C. Retrieved 10 October 2012.
- ^ "In the Jaws of Life - Dubravka Ugresic".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5-27. Retrieved 2006-04-2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포터, 페이지 123
- ^ 포터, 페이지 51과 페이지 43
- ^ a b 포터, 페이지 117
- ^ 포터, 페이지 41
참조
- 게임맨십의 이론과 실천: '실제로 부정행위를 하지 않고 이기는 게임 기술'은 스티븐 포터가 쓴 책으로, 비록 포터가 유머러스하게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해야 하고, 항상 가장 먼저 좋은 스포츠맨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위의 내용들 중 대부분은 이 책에서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