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클

FANCL
팬클
사용 가능한 구조
PDBOrtholog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FANCL, FAAP43, PHF9, POG, 판코니빈혈보완군 L, FA보완군 L
외부 IDOMIM: 608111 MGI: 1914280 HomoloGene: 9987 GeneCard: FANCL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1114636
NM_018062
NM_001374615

NM_001277273
NM_025923

RefSeq(단백질)

NP_001108108
NP_060532
NP_001361544

NP_001264202
NP_080199

장소(UCSC)Chr 2: 58.16 ~58.24 MbChr 11: 26.34 ~26.42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E3 유비퀴틴-단백질 연결효소 FANCL은 FANCL [5]유전자에 의해 인체 내에서 암호화되는 효소이다.

기능.

DNA 이중 가닥 손상 재조합 복구 - 몇 가지 중요한 단계입니다.ATM(ATM)은 DNA 이중 가닥 절단에 의해 모집되고 활성화되는 단백질 키나제이다.DNA 이중 가닥 손상은 판코니 빈혈 코어 복합체(FANCA/B/C/E/F/G/L/M)[6]도 활성화한다.FA 코어 콤플렉스는 다운스트림타깃 FANCD2 및 FANCI를 [7]중단합니다.ATM은 CHEK2를 활성화(인산염)하고 FANCD2[8] CHEK2는 BRCA1을 [9]인산화한다.BRCA1 및 RAD51[10]갖춘 유비쿼티드 FANCD2 복합체.PALB2 단백질은 [11]허브로 작용하여 DNA 이중 가닥 절단 부위에 BRCA1, BRCA2, RAD51을 결합시키고, 또한 RAD51-RAD51C-RAD51D-XRC2(DBC2)의 구성원인 RAD51C와 결합한다.BCDX2 단지는 피해 현장의 RAD51 모집 또는 [12]안정을 담당합니다.RAD51은 이중 가닥 절단 수복 중 DNA의 상동 재조합 수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 과정에서 단일 가닥이 염기쌍의 상동성 DNA 분자의 가닥에 침입하는 ATP 의존성 DNA 가닥 교환이 일어난다.RAD51은 프로세스의 호몰로지 및 가닥 페어링 단계 검색에 관여합니다.

모든 판코니 빈혈(FA) 보완 그룹에서 돌연변이 결함에 대한 임상 표현형은 유사하다.이러한 표현형은 진행성 골수 기능 상실, 암 발병성 및 전형적인 선천성 [13]기형으로 특징지어진다.주요 세포 표현형은 DNA 손상에 대한 과민성, 특히 가닥간 DNA 가교이다.[14]FA 단백질은 다단백질 경로를 통해 상호작용한다.DNA 간 교배는 FA 단백질과 유방암 감수성 유전자 1(BRCA1)의 배열을 포함한 상동 재조합에 의해 복구되는 매우 해로운 손상이다.

판코니 빈혈(FA) DNA 복구 경로는 DNA 가닥간 교차 링크(ICL)의 인식 및 복구에 필수적이다.이 경로의 중요한 단계는 RING E3 연결효소 FANCL에 의한 FANCD2의 모노비퀴트화이다.FANCL은 3개의 도메인, E2 결합효소와 상호작용하는 RING 도메인, 기판 상호작용에 필요한 중심 도메인 및 [15]FANCB와 상호작용하는 N말단 E2-like Fold(ELF) 도메인을 포함한다.FANCL의 ELF 도메인은 FANCL과 유비퀴틴 사이의 비공유 상호작용을 중개하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ELF 도메인은 척추동물 세포에서 효율적인 DNA 손상 유도 FANCD2 모노비퀴티션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하며,[16] 이는 FANCL에 의한 FANCB 및 유비퀴틴 결합의 중요한 기능을 시사한다.

FANCL(FANCA, FANCB, FANCC, FANCE, FANCF, FANCG FANCM)을 포함한 핵복합체는 FANCD2 단백질이 모노유화 [6]아이소폼으로 활성화되기 위해 필수적이다.정상, 돌연변이 없는 세포 FANCD2는 DNA 손상에 반응하여 모노유비화된다.활성화된 FANCD2 단백질은 BRCA1(유방암 감수성 단백질)과 이온화 방사 유도 포시 및 감수성 염색체의 시냅토네마 복합체에서 함께 국재한다(그림:이중 가닥 손상 재조합 수리)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15392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0004018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Entrez Gene: FANCL Fanconi anemia, complementation group L".
  6. ^ a b D'Andrea AD (2010). "Susceptibility pathways in Fanconi's anemia and breast cancer". N. Engl. J. Med. 362 (20): 1909–19. doi:10.1056/NEJMra0809889. PMC 3069698. PMID 20484397.
  7. ^ Sobeck A, Stone S, Landais I, de Graaf B, Hoatlin ME (2009). "The Fanconi anemia protein FANCM is controlled by FANCD2 and the ATR/ATM pathways". J. Biol. Chem. 284 (38): 25560–8. doi:10.1074/jbc.M109.007690. PMC 2757957. PMID 19633289.
  8. ^ Castillo P, Bogliolo M, Surralles J (2011). "Coordinated action of the Fanconi anemia and ataxia telangiectasia pathways in response to oxidative damage". DNA Repair (Amst.). 10 (5): 518–25. doi:10.1016/j.dnarep.2011.02.007. PMID 21466974.
  9. ^ Stolz A, Ertych N, Bastians H (2011). "Tumor suppressor CHK2: regulator of DNA damage response and mediator of chromosomal stability". Clin. Cancer Res. 17 (3): 401–5. doi:10.1158/1078-0432.CCR-10-1215. PMID 21088254.
  10. ^ Taniguchi T, Garcia-Higuera I, Andreassen PR, Gregory RC, Grompe M, D'Andrea AD (2002). "S-phase-specific interaction of the Fanconi anemia protein, FANCD2, with BRCA1 and RAD51". Blood. 100 (7): 2414–20. doi:10.1182/blood-2002-01-0278. PMID 12239151.
  11. ^ Park JY, Zhang F, Andreassen PR (2014). "PALB2: the hub of a network of tumor suppressors involved in DNA damage responses". Biochim. Biophys. Acta. 1846 (1): 263–75. doi:10.1016/j.bbcan.2014.06.003. PMC 4183126. PMID 24998779.
  12. ^ Chun J, Buechelmaier ES, Powell SN (2013). "Rad51 paralog complexes BCDX2 and CX3 act at different stages in the BRCA1-BRCA2-dependent homologous recombination pathway". Mol. Cell. Biol. 33 (2): 387–95. doi:10.1128/MCB.00465-12. PMC 3554112. PMID 23149936.
  13. ^ Walden, Helen; Deans, Andrew J. (2014). "The Fanconi anemia DNA repair pathway: structural and functional insights into a complex disorder". Annual Review of Biophysics. 43: 257–278. doi:10.1146/annurev-biophys-051013-022737. ISSN 1936-1238. PMID 24773018.
  14. ^ Deans, Andrew J.; West, Stephen C. (2011-06-24). "DNA interstrand crosslink repair and cancer". Nature Reviews. Cancer. 11 (7): 467–480. doi:10.1038/nrc3088. ISSN 1474-1768. PMC 3560328. PMID 21701511.
  15. ^ van Twest, Sylvie; Murphy, Vincent J.; Hodson, Charlotte; Tan, Winnie; Swuec, Paolo; O'Rourke, Julienne J.; Heierhorst, Jörg; Crismani, Wayne; Deans, Andrew J. (2017-01-19). "Mechanism of Ubiquitination and Deubiquitination in the Fanconi Anemia Pathway". Molecular Cell. 65 (2): 247–259. doi:10.1016/j.molcel.2016.11.005. ISSN 1097-4164. PMID 27986371.
  16. ^ Miles JA, Frost MG, Carroll E, Rowe ML, Howard MJ, Sidhu A, Chaugule VK, Alpi AF, Walden H (2015). "The Fanconi Anemia DNA Repair Pathway Is Regulated by an Interaction between Ubiquitin and the E2-like Fold Domain of FANCL". J. Biol. Chem. 290 (34): 20995–1006. doi:10.1074/jbc.M115.675835. PMC 4543658. PMID 26149689.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