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슬 (플라토)

Epistles (Plato)

플라톤에피슬(그리스어: ἐπιττοαααί; 라틴어: Epistolae[1])은 플라토닉 말뭉치에 전통적으로 포함된 13글자의 연속이다. 그들의 진정성은 어느 정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학문적인 합의는 시간이 지나면서 오락가락했다. 그것들은 "현대까지 일반적으로 진품으로 받아들여졌다"[2] 그러나 19세기 말에 이르러 많은 문헌학자(리차드 벤틀리, 크리스토프 마이너스, 프리드리히 아스트 등)는 플라톤에 의해 실제로 쓰여진 글자는 하나도 없다고 믿었다. 이제 퍼스트를 제외한 모든 편지에는 그 진위를 옹호하는 사람들이 있다. 열두번째위작이라고 널리 간주되고 있으며, 제5회, 제9회도 다른 사람들보다 지지자가 적다.[3]

에피슬은 주로 플라톤의 시러큐스 시절과 정치 인물 디온디오니시오스에 대한 그의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들은 비록 몇몇, 특히 제7편지들이 플라톤의 철학의 교리에 대한 제스처를 취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철학적이라기보다는 전기적이라 할 수편지, 특히 제7편지들은 플라톤의 철학의 교리에 대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번째와 일곱 번째만이 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철학적인 대화 내 주요 인물이다.

진정성

플라톤에 의해 실제로 쓰여졌다고 가장 일반적으로 주장되는 두 글자는 7번째 글자와 8번째 글자로, 이것이 공개 문자여서 발명이나 위조의 결과일 가능성이 적다는 가정 하에 쓰여진다. 이것은 공개 서신의 진위를 찬성하는 가정 때문에가 아니라, 공개 서신의 진위를 반대하는 가정 때문이다: 전자 서신의 보존, 보급, 그리고 궁극적으로 후자의 출판은 어떤 종류의 설명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전자 서신의 보존은 놀랍지 않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7편지조차도 최근 말콤 스코필드,[5] 마일스 버니예트,[6] 줄리아 아나스 같은 저명한 학자들에 의해 거짓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7] 조지 보아스는 일곱 번째를 포함한 모든 서간들은 거짓이며,[8] 결론 또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테렌스 어윈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주장한다.[9] 반면 그로트, 레이더, 노보트니, 하워드, 블럭은 퍼스트만 배척하고 벤틀리는 그 모든 것을 받아들였다.[3]

다른 글자들은 학자들의 다양한 수용 수준을 즐긴다. 6번째, 3번째, 11번째 글자가 나머지 글자의 가장 큰 지지를 받고 있고, 4번째, 10번째, 13번째, 2번째 글자가 그 뒤를 잇고 있다; 5번째, 9번째, 12번째 글자가 진짜라고 생각하는 학자는 더 적지만, 첫번째 글자가 가짜라고 주장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3]

"만약 에피슬이 진실한 것이라면, 그리고 몇몇 위대한 학자들과 역사가들이 그렇게 주장한다면, 우리는 다른 고대 철학자들보다 플라톤의 삶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 에피슬을 제외하면 우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대화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 외에 우리는 플라톤 시대에 아카데미의 일원이었던 헤르모도로스의 권위에 관한 한두 가지 진술이 있는데, 이것들은 우리에게 출발할 수 있는 일정한 고정점을 준다. 후기생명은 거의 완전히 신화적인 것이다. 현재 분실된 오래된 자료에서 파생된 한두 가지 잘못된 사실을 담고 있을 수 있지만, 그들의 일반적인 성격은 첫 번째 경우 그것들을 무시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다. 반면에 에피슬은 이 신화로부터 자유로워, 플라톤의 친조카인 슈푸시포스가 이미 그에게 기적적인 출산을 인정했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만약 그렇다면, 에피슬이 위작이라면, 그것들은 적어도 냉정하고 지식이 풍부한 작가의 작품이며, 애티클 사투리를 사용한 것은 그가 플라톤의 동시대인이었음을 증명한다. 50년이 지난 지금, 자기처럼 언어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가짜 대화 중 가장 오래되고 성공한 대화조차도 매번 자기 자신을 배신한다. 우리는 사실 서피슬의 위조자가 거의 비할 데 없는 문학적 솜씨를 가진 사람임에 틀림없다고까지 말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서피슬이 속한다고 공언한 바로 그 시기에 플라톤의 문체를 그렇게 많이 재현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비록 우리가 가지고 있는 차이점들의 그늘만 가지고는 있지만 말이다.좀 더 정교한 문학 작품과 대조되는 문자로 발견하기를 기대할 수 있다. 나는 어떤 중요한 글자도 모두 플라톤의 것이라고 믿고, 그러므로 나는 그것들을 이용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 납득이 가지 않는 저명한 학자들이 있기 때문에, 그럴 일이 생기면 독자에게 경고하겠다. 에피슬의 일반성은 벤틀리, 코벳과 같은 학자들과 그로트, E와 같은 역사가들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마이어 실제로 플라톤의 대부분의 설명은 플루타르크의 '디온의 삶'을 대신 언급하는 관습에 의해 위장되어 있지만, 실제로 플라톤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은 그들에게 의존한다. 그러나 플루타르크는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에피슬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불법적인 탈피다. 제1서출은 그 자체로 서 있다는 것을 덧붙여야겠다. 내 판단으로는, 그것은 실수로 현재의 위치에 놓였다. 진정한 4세기 편지지만, 작가가 누구였든 플라톤에게 물려줄 생각은 전혀 없었다고 생각한다. 나는 그가 디온이었거나 디온에게 전가할 의도도 없다고 생각하오."[10]

경구 구조

각 글자의 번호를 매기는 것은 단지 전통적인 원고에 그들의 배치 때문이며, 어떤 분별력 있는 원칙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11] L. A. Post는 플라톤의 13개 서간에서 다음과 같이 생각되는 순서대로 그것들을 발표했다. 13번째, 2번째, 11번째, 10번째, 4번째, 3번째, 7번째, 8번째, 6번째(일반적으로 가짜로 인식되는 4개의 글자는 이 9개의 글자에 따라 배치된다.[12]

서간문의 부록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Four are addressed to Dionysius II of Syracuse (i, ii, iii, xiii), four to Dionysius' uncle Dion and his associates (iv, vii, viii, x), and five to various others (the Fifth to Perdiccas III of Macedon; the Sixth to Hermias of Atarneus, Erastus, and Coriscus; the Tenth to Aristodorus; the Eleventh to Laodamas; and the Ninth and Twelfth to Archytas).

첫 글자

첫번째 편지시라큐스의 디오니시오스 2세에게 보내졌고, 거의 확실히 위조된 것이다. 그 속에서 플라톤은 아마도 디오니시우스에 의한 자신의 무례한 해고를 불평하고 그에 대한 악한 종말을 예언한다. 그것은 주로 그것이 보존하고 있는 비극적인 시인들의 인용구 수 때문에 흥미롭다.

두 번째 편지

번째 편지시라큐스의 디오니시오스 2세에게 그가 플라톤과 그의 동료들에게 그를 비방하고 있다고 제기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평에 대한 답변으로 전달된다. 그 편지는 이러한 비방들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부인하며, 더 나아가 그들이 심지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런 다음 디오니시우스에게 정치인과 현자의 상호작용이 끊임없는 논의의 주제이기 때문에, 사후 그의 명성에 대한 우려가 플라톤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그를 기울여야 한다고 충고한다. 이 주제로부터 이 편지는 일부러 수수께끼 같은 '첫 번째'에 대한 논의로 바뀌는데, 플라톤은 디오니시오스에게 이 교리를 절대로 쓰지 말라고 경고하고, 그 내용을 기억에 남기는 즉시 이 편지를 불태우라고 경고한다. 제2편지는 "플라톤에 대한 글씨는 존재하지도, 영원히 존재하지도 않을 것이지만, 지금 그의 것이라고 하는 것들은 소크라테스가 아름답게 되고 새로워지는 것(ααλ αα." αα." ."." έέ.")"이라는 격언의 근원이다.[13]

R. G. 베리제2편지와 플라톤의 제7편지 사이의 갈등에 기초하여 제2편지는 거의 확실히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베리 자신의 결론은 그것의 어조와 내용이 결정적으로 비 플라토닉적이라는 것이다.[14] 그는 그것이 6번째 편지와 같은 저자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15]

세 번째 편지

제3편지시라큐스의 디오니시오스 2세에게 연설되는데, 그는 디오니시오스 2세가 자신의 폭정왕정으로 변모시키는 것을 막았고, 플라톤은 시라큐스의 모든 잘못된 행정의 책임이 있다고, 비즈라는 플라톤을 겨냥한 두 개의 중상모략을 호소하고 있다. 이 편지는 플라톤의 시라큐스에서의 활동을 재검증함으로써 응답하며, 공개편지의 풍미를 가지고 있다.

버지는 진정성이 있다면 제3편지는 아마도 기원전 360년 플라톤의 시라큐스 3차 방문 이후, 그리고 아마도 기원전 357년 디온의 권력 장악 이후 쓰여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는 그러나 소크라테스사과7차 서신 모두와 유사하다고 말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생각한다.[16]

네 번째 편지

번째 편지는 삼촌인 디온시라큐스의 디오니시오스 2세의 축출로 되어 있다. 정치적 노력에 있어서 디온을 격려하지만, 덕의 중요성을 잊지 말라고 훈계한다. 브리지는 편지에서 아첨과 질책의 혼합을 발견하여 플라톤이 디온과 더 친근한 관계와 대립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심지어 그것이 공개적인 편지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그것의 진위성에 반하는 7번째 편지와의 충돌을 언급한다.[17]

다섯 번째 편지

다섯 번째 편지마케도니아의 페르디카스 3세에게 전달되며, 그에게 한 유프라에우스의 충고를 듣도록 충고한다. 그리고 나서 플라톤정치 금욕을 옹호하기 위해 계속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것의 진위를 의심한다.

여섯 번째 편지

여섯 번째 편지아타르네우스의 폭군 헤르미아스와 스셉시스(아타르네우스 근처 마을)에 거주하는 플라톤의 두 제자인 에라스투스와 코리스쿠스에게 보내 친구가 되라고 충고한다. 이 편지는 스트라보에 의해 후자의 삶에 대한 설명과는 달리 플라톤이 헤르미아스를 만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혜와 권력을 결합하는 가치, 그 저자에게 분쟁을 언급하는 효용, 그리고 그것을 읽고 다시 읽는 것의 중요성에 관한 제2편지와 유사한 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세 가지 부록 모두라고 결론짓는다.세스는 공공연히 낯선 신들에게 맹세를 해야 하고, 반 농담조로 맹세를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Burry는 6번째 편지가 확실하지 않다고 결론짓고, 그것의 저자와 2번째 편지를 공유한다.[15]

일곱 번째 편지

일곱 번째 편지디온의 동료들과 동료들에게 전달되는데, 아마도 기원전 353년 디온의 암살 이후일 것이다. 서간 중 가장 길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것은 아마 공개서한일 가능성이 높으며, 시라큐스에서 플라톤의 정치활동에 대한 방어와 더불어 철학의 본질, 형식론, 그리고 가르침에 내재된 문제들에 관한 긴 추론을 담고 있다. 그것은 또한 글쓰기에 어떤 중요한 것도 헌신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플라톤의 소위 "불문헌 교리"를 지지한다.

여덟 번째 편지

여덟 번째 편지디온의 동료들과 동료들에게 전달되며, 아마도 일곱 번째 편지 이후 몇 달 후에 쓰여졌을 것이지만 디온의 암살자 칼리푸스히파리누스에 의해 쫓겨나기 전에 쓰여졌을 것이다. 그것은 디온과 디오니시우스 젊은이의 정당들 사이의 타협을 권고한다. 디온과 디오니시우스, 전자는 민주주의를, 후자는 폭정을, 후자는 폭정을. 그 타협은 법에 의해 제한되는 군주제가 될 것이다.

아홉 번째 편지

9번째 편지아르키타스에게 전달된다. 브리지는 그것을 "우리가 기꺼이 플라톤에게 귀속하지 않을 것이며 그의 특파원이 보존할 것 같지 않은 무색하고 평범한 유출"이라고 묘사한다.[18] 키케로플라톤에 의해 쓰여진 것을 증명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19]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것을 문학적 위작이라고 여긴다.

열 번째 편지

번째 편지는 다른 무명의 아리스토도로스에게 전달되는데, 그는 아마도 후자의 망명 기간 동안 디온에게 충성을 다했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 단순히 도덕적인 용어로 철학을 취급하는 것은 지적 자질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이 플라톤이 부리를 취급하여 그 편지를 위조라고 선언하는 것에는 충분히 이질적인 것이다.[20] 어떤 경우에도 그것은 스테파누스 페이지화에서 9개의 줄을 덮는 맨 세 문장으로 구성된다.

열한번째 편지

열한번째 편지는 새로운 식민지를 위한 법률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요청한 라오다마 한사람에게 전달된다. 플라톤의 고령화에 대한 편지의 언급은 대화에서 유명한 소크라테스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소크라테스라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 소크라테스가 목졸라 죽었다는 이유로 여행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면, 브리지는 편지의 진위를 허락할 것이다.[21]

열두 번째 편지

12번째 편지아르키타스로 보내졌다. * 10번째 글자(4문장, 스테파누스 페이지 12행 포함)보다 약간 길며, 가짜로 간주된다. 플라톤에게 몇 편의 논문을 보내준 아르키타스에게 감사하며, 그 후 그것은 효과적으로 칭찬한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는 이 편지를 12번째 편지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아르키타스의 편지뿐만 아니라, 그의 저명철학자들의 삶과 의견에도 보존하고 있다.[22] 이 편지는 피타고라스루카니아의 오셀로스의 편지들을 가리킨다. 오셀로스에게 귀속된 글들은 기원전 1세기부터 위작된 것이기 때문에, 12번째 편지 역시 아마도 위작일 것이며, 같은 위조자에 의해서도 플라톤의 권위로 그 논문들을 도장 찍으려고 의도된 것일 것이다.[23]

13번째 편지

13번째 편지시라큐스의 디오니시오스 2세에게 전달되며, 성격상 사적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제시된 플라톤의 초상화는 제7편지의 무관심하고 다소 냉담한 철학자가 베리에게 그 진위를 의심하게 하는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24]

메모들

  1. ^ 앙리 에스티엔(ed.), 플라토니스 오페라 퀘이 엑스트라 옴니아, 제3권, 1578권, 페이지 307.
  2. ^ 글렌 모로(Glenn Morrow)가 쓴 플라톤의 서간, 1962년, 페이지 5
  3. ^ a b c 플라톤, "Letres", Luc Brisson, Flammarion, 2004, 페이지 70.
  4. ^ 베리, 서간 소개 390 대 2
  5. ^ 그리스 로마 정치 사상의 "플라토 & 실용 정치" 말콤 스코필드, ed. 스코필드 & C. 로위(캠브리지: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0), 299–302.
  6. ^ 미발표 원고인 마일스 버니예트(Myles Burnyeat)는 플라톤 주 말콤 스코필드에서 인용한 "제2의 산문 비극: 사이비 플라토닉 에피슬 7세의 문학적 분석"이다.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6), 44n19.
  7. ^ 줄리아 안나스, "클래식 그리스 철학" 그리스 옥스포드 역사, 헬레니즘 세계 에서, 에드. 보드맨, 그리핀, 머레이(Oxford: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1년), 285년.
  8. ^ 조지 보아스, "플라톤 전기의 팩트와 전설" 453–457.
  9. ^ 테렌스 어윈, "The Intelligent Background," The Cambridge Companion to Plato, Ed. R. 크라우트(캠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2), 78-79n4.
  10. ^ Burnet, John (1920). Greek Philosophy Part 1 Thales to Plato. St. Martin’s Street, London: Macmillan And Co., Limited. pp. 205–206. 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11. ^ 매장, 서간 소개, 385
  12. ^ 포스트, 플라톤의 서간 13편
  13. ^ 플라톤, 세컨드 레터, 314c.
  14. ^ 베리, 에피슬레 2세, 398년
  15. ^ a b 베리, 에피슬 6세 454–5
  16. ^ 베리, 에피슬레 3세, 422–3
  17. ^ 베리, 에피슬 440–1
  18. ^ 591년, 서시스트 9세
  19. ^ 키케로, 드 피니버스, 보노룸 말룸, i. 14; 드 오피스티스, i. 7.
  20. ^ 베리, 에피슬 X, 597.
  21. ^ 601년, 서편 12세
  22.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저명한 철학자들삶과 의견, 아르키투스의 삶, iv
  23. ^ 607년, 서피슬 12세
  24. ^ 베리, 에피슬 13세, 610–3

참조

  • 보아스, 조지. (1949) "플라톤 전기의 팩트와 전설", "철학적 리뷰 57 (5): 439-457.
  • 베리, R. G. (1929; 재인쇄 1942) 플라톤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클리토폰, 메넥세노스, 에피슬스, 롭 클래식 도서관의 편집자 겸 번역자. MA의 캠브리지: 하버드 대학 출판부.
  • 무어 블런트, 제니퍼(1985) 플라토니스 에피툴레. 터브너.
  • 포스트, L. A. (1925년) 플라톤의 서간 13편. 옥스퍼드 대학

추가 읽기

  • Harward, John (July–October 1928). "The Seventh and Eighth Platonic Epistles". The Classical Quarter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Classical Association. 22 (3/4): 143–154. doi:10.1017/S0009838800029608. JSTOR 635998.
  • Post, L. A. (April 1930). "The Seventh and Eighth Platonic Epistles". The Classical Quarter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Classical Association. 24 (2): 113–115. JSTOR 636598.
  • Levison, M.; Morton, A. Q.; Winspear, A. D. (1968). "The Seventh Letter of Plato". Mind. Mind Association. 77 (307): 309–325. doi:10.1093/mind/lxxvii.307.309. JSTOR 2252457.
  • 캐스키, 엘리자베스 그윈(1974), "Again - 플라톤의 일곱 번째 편지," 고전적 문헌학 69(3): 220–2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