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의 황제

Emperor of the Serbs
세르비아의 황제
제국주의
Divellion of Emperor Dušan.png
디벨리온 (황제의 개인 현수막)
Coronation of Emperor Dušan, in "The Slavonic Epic" (1926).jpg
두샨 천황 대관식, 슬라보닉 서사시 (1926년)
세부 사항
제1군주스테판 두샨
마지막 군주스테판 우로시 5세
포메이션1346년 4월 16일
폐지1371년 12월 2일
애포인터세습

Between 1345 and 1371, the Serbian monarch was self-titled emperor (tsar), the full title being Emperor of the Serbs and Greeks (Serbian Cyrillic: цар Срба и Грка, romanized: car Srba i Grka) later to Emperor of the Serbs and Greeks and Bulgarians (цар Срба и Грка и Бугара) in Serbian and basileus and autokrator of Serbia and Romania ["the land of the Romans"] (Greek: 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 in Greek. 이 호칭은 곧 "세르브족과 그리스인, 불가리아인과 알바니아인의 황제"로 확대되었다.[1][2][3] 세르비아 제국스테판 두샨(r. 1331–55)과 스테판 우로시 5세(r. 1355–71)의 두 군주만이 통치했다. 그 타이틀의 다른 두 명의 청구인은 중앙 그리스 테살리에서 통치했다.

설립 및 직함

1341–1347년의 비잔틴 내전을 틈타 세르비아 왕 스테판 뒤샨은 자신의 주를 남쪽으로 확장하여 세르비아테살로니카라는 거대한 요새 도시들을 제외하고는 1345년까지 알바니아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정복했다.[4] 이러한 권력의 성장은 세르비아를 발칸에서 사실상 지배적인 국가로 만들었고, 두샨의 제국주의적 야망을 부채질했다. 이미 1343년 초, 세르비아의 통치자는 "세르비아와 해양의 모든 영토와 그리스 [비잔틴] 영토의 체스트닉"에 자신의 타이틀을 올려놓았다.[5]

마케도니아 정복에 왕관을 쓴 세레스를 정복한 데 이어 1345년 11월이나 12월 스테판 뒤샨은 스스로 황제(바실러스)를 선언하며 비잔틴 제국 유산에 대한 주장을 펼쳤다.[6] 1346년 4월 16일, 그는 고등 세르비아 총대주교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가 참석한 집회에서 스코프제의 황제로 즉위하였다.[7] 그의 황실 직함은 불가리아와 다른 여러 이웃들과 교역 상대국들에 의해 인정되었지만 비잔틴 제국에는 인정되지 않았다. 제국 전통에 따르면 로마 제국의 황제인 단 한 명의 황제만이 존재할 수 있었다. 다른 이들은 시저스(계급 2위)일 뿐이다. 아토스 산은 그를 세르비아와 그리스인의 황제라기보다는 세르비아의 황제라 불렀다.[8] 세르비아의 헌장에서는 민족적 용어가 사용된다 – "세르비아와 그리스인의 황제"(세르비아어: црора рра рра ра / / 자동차 Srba i Grka)[9]

In Greek, the title was "basileus and autokratōr of Serbia and of Romania" (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 로마니아(로마니아, 즉 로마인의 땅, 비잔틴 제국의 땅)의 사용과 일반적인 비잔틴 공식인 "로마니아"의 사용은 아마도 의도적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비록 그의 법전 두샨은 콘스탄티누스 대왕 시대부터 모든 비잔틴 황제에 대한 직접 승계를 주장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에큐메니컬 파의 소유는 부족했다.비잔틴 통치자에게 완전한 합법성을 부여한 삼두정치 특히 비잔티움인들이 두샨의 황실 직함을 인정하게 되었을 때, 그것은 400년 전에 불가리아 차르 시메온과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세르비아를 위한 적절한 것이었다. 현대의 비잔틴 작가들은 또한 두샨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가 왕으로 통치했던 조상 세르비아 땅과 두샨(그리고 그보다 먼저 스테판 밀루틴)이 기존의 비잔틴 행정부를 계속 사용했던 '루마니아에 있는' 정복된 땅도 분명히 구별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성이 실제로 얼마나 분명한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근대 세르비아 역사학에 의한 두샨의 사자화와는 대조적으로-두샨의 제국 선언은 세르비아 교회에서 결코 신성화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세르비아에서는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는 그의 공식 전기만이 중세 세르비아인 사이에 왜 존재했는지를 알 수 있다.바이안 통치자들은 결코 완성되지 않았다.[10]

On his early Western-style coinage, issued between his proclamation as emperor and his coronation, Dušan continued to use the abbreviated Latin title Rex Rasciae ("King of Rascia"), and simply added the title I[m]p[erator] Roma[niae] ("Emperor of Romania"), but also I[m]p[erator] Ro[ma]io[ru]m ("Emperor of the Romans"). 대관식이 끝난 후 왕의 칭호는 떨어졌다.[11]

모나크스

1355년 스테판 뒤샨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테살리에 있는 우로시 5세의 삼촌 시메온 우로시는 그의 아들 존 우로시가 계속해서 경쟁적으로 이 타이틀을 차지했다. 1371년 후계자 없는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죽음과 함께 네만지치 왕조의 본선이 소멸되면서 황실의 칭호는 구식이 되었다. 세르비아 제국의 몰락국가가 제국주의를 제외한 다양한 칭호를 보유하면서 거물들이 통치하는 지방으로 분열되는 것을 보았다. 1527년, 헝가리-세르비안 사령관이었던 조반 네나드는 황제로 분장했다.

모나크 군림하다 평.
Serbian Emperor Stefan Dušan, cropped.jpg
스테판 두샨
1346년 4월 16일 – 1355년 12월 20일
UrosV.jpg
스테판 우로시 5세
1355년 12월 20일-2/4일 1371년 12월 4일
Loza Nemanjica Decani c 5 2.jpg
시메온 우로시
1359–1370 에피루스의 라이벌 황제, 그리고 후에 테살리.
Megala4.png
존 우로시
1370–1373 테살리의 라이벌 황제.

제목

스테판 두샨
  • 세르비아와 그리스 제국의 황제
    • (царь Срьблѥмь и Гркωмь), in 1349.[12]
    • (арр срьее рр),),ωωωω), 1349년(스코프제),[13] 1349년 9월.[14]
    • ([15]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
    • (арь срьлѥѥьь),),),),),),),),),), 1356년 12월 20일 부고.[16]
  • "Emperor of Serbs and Greeks and the Western Provinces" (царь Срблемь и Гркωмь и Западнимь Странамь), in 1349.[12]
  • 세르비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의 제국. („Царь Србљем, Грком и Блгаром”.)[17]
  • 세르비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알바니아인의 제국. („Царь Србљем, Грком, Блгаром и Арбанасом”.)[18]
  • 아토나이트 공동체의 "세르브스의 황제"[8]
  • "Emperor and Autocrat of Serbia and Romania" (Greek: 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 from a chrysobull to Iveron Monastery.[19]
  • "Emperor of all Serb and Greek lands, the Maritime Region, Arbania and the Western Provinces (цар свију српских и грчких земаља, Поморја, Арбаније и Западних Страна).
  • "Emperor of Greece and King of All Serb Lands and the Maritime" (царь грьчкїи и краль все срьбскїе земли и поморскїе), between 1347 and 1356.[20]
  • "Emperor of Serbia and the Maritime Region" (царь србкχ и пморски), between 1347 and 1356.[21]
  • 세르비아의 에피루스("아르타")와 테살리("Vlachia") 정복 후인 1348년 "아르샤루마니아의 황제, 아르타데스포트블라치아 백작"(라틴어: 임페레이터 락시 로마니, 디스포터스 라르타에 블라치아가 온다)"[22]가 있다.
스테판 우로시 5세
  • 세르비아와 그리스 제국의 황제
    • (црь срьее ррωω),),), 1357년.[23]
    • (ар ( срьее ирь),),), 1358년.[24]
    • (црь срье еррωωωω),[26] 1357년,[25] 1360년.
    • (арь србе [30]иркωωω),), 1357년,[27] 1362년,[28] 1365년,[29] 1356년과 1367년 사이에 두 번.


참고 항목

참조

  1. ^ Hupchick 1995, 페이지 141 없음: (
  2. ^ Clissold 1968, 페이지 98
  3. ^ White 2000, 페이지 246 없음:
  4.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10-26.
  5.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19.
  6.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26, 29.
  7. ^ 화창한 1994 페이지 309.
  8. ^ a b 화창한 1994년, 페이지 324.
  9. ^ Franjo Barišić (1986). Vizantijski izvori za istoriju naroda Jugoslavije. Naučna knjiga.
  10. ^ 막시모비치 2011, 페이지 333–336.
  11. ^ 소울리스 1984, 페이지 30.
  12. ^ a b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42.
  13.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42–145.
  14. ^ 1858년 미클로시치, 페이지 146–148.
  15.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49-152.
  16.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55.
  17. ^ Car, Car Dushan의 제3권: Istorijski 로마 이즈 XIV oga u tri knige, Car Dushan: Istorijski 로마 이즈 XIV oga oba u tri knige. 출판사 K의 블라단 조르셰비치 에디션 재인쇄. 스틸로스 122쪽
  18. ^ Car, Car Dushan의 제3권: Istorijski 로마 이즈 XIV oga u tri knige, Car Dushan: Istorijski 로마 이즈 XIV oga oba u tri knige. 블라단 조르셰비치, 판본 재인쇄, 출판사 K. 스틸로스 135쪽
  19. ^ Maffei, Paola; Varanini, Gian Maria (2014). Honos alit artes. Studi per il settantesimo compleanno di Mario Ascheri. III. Il cammino delle idee dal medioevo all’antico regime: Diritto e cultura nell’esperienza europea. Firenze University Press. p. 133. ISBN 978-88-6655-632-9. In una crisobolla dello stesso mese Stefano concedeva privilegi al monastero di Iveron sul monte Athos in qualità di 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Σερβίας καὶ Ῥωμανίας («imperatore e autocratore di Serbia e Romanía»)
  20.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54.
  21. ^ 1858년 미클로시치, 페이지 154-155.
  22. ^ 소울리스 1963, 페이지 272–273.
  23. ^ 미클로시치 1858쪽 158-159쪽
  24. ^ 1858년 미클로시치, 페이지 165-167.
  25. ^ 1858년 미클로시치, 페이지 155-156.
  26. ^ Miklosich 1858, 페이지 168–169.
  27. ^ Miklosich 1858, 페이지 160–163, 164–165.
  28.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69–171.
  29. ^ 1858년 미클로시치, 페이지 172-173.
  30. ^ 미클로시치 1858, 페이지 174.

원천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