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Disinflation시리즈의 일부 |
거시경제학 |
---|
디인플레이션(disinflation)은 인플레이션 비율의 감소로,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의 상승 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려지는 것이다.그것은 리플레이션의 반대이다.디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던 이전 기간보다 '소비자 물가 수준'의 상승세가 둔화될 때 발생한다.
처음부터 인플레이션율이 높지 않다면 디플레이션은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수준의 하락이다.예를 들어, 1월의 연간 물가상승률이 5%이고 2월의 물가상승률이 4%인 경우, 물가는 1% 상승하지만, 여전히 4% 상승하고 있다.현재 이율이 1%이고 다음 달에 -2%일 경우, 가격은 3% 즉 [1%-(-2)%] 하락하고 있으며, 연 2%의 비율로 하락하고 있다.
원인들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인플레이션이 한 국가의 경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의 공급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는 공감대가 널리 퍼져 있다.인플레이션은 총수요 초과로 인해 경제가 과열될 때도 발생할 수 있다(이것을 수요-풀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디플레이션의 원인은 반대로 통화 공급의 증가율의 감소 또는 경기 사이클 수축(경기 후퇴)이다.만약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더 엄격한 통화 정책을 시행한다면, 즉 정부가 유가증권을 팔기 시작하면, 경제에서 돈의 공급이 감소한다.이러한 통화 공급의 축소를 양적 긴축이라고 한다.불황기에는 기업 간 고객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소매업자들은 더 이상 높은 가격을 고객에게 전가할 수 없습니다.가장 큰 이유는 중앙은행이 긴축 통화 정책을 채택하면 화폐에 접근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에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상품 수요는 감소해도 상품 공급은 변하지 않는다.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고,[1] 이는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반대로, 디플레이션은 실제로 가격이 [2]하락할 때 발생한다.
실업률이 자연성장률보다 낮으면 물가 상승률이 높아진다.그러나 자연 성장률 이상의 실업률은 디인플레이션으로도 알려진 인플레이션율의 감소로 이어진다.이것은 사람들이 실업 상태일 때 쓸 돈이 적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것은 간접적으로 경제의 통화 공급 감소를 의미한다.
일본의 경기 침체의 예
경기 침체의 가장 좋은 예는 일본이다.1990년 일본의 생산 증가율은 5.2%, 실업률은 2.1%, 물가상승률은 2.4%였다.그러나 1992년 생산 증가율은 1.0%로 떨어졌고 실업률은 2.2%, 인플레이션율은 1.7%로 낮아졌다.2000년의 생산 증가율은 2.8%, 실업률은 4.7%, 인플레이션율은 -1.6%[3]였다.
연도 | 출력 증가율(%) | 실업률(%) | 물가상승률(%) |
---|---|---|---|
1990 | 5.2 | 2.1 | 2.4 |
1991 | 3.4 | 2.1 | 3.0 |
1992 | 1.0 | 2.2 | 1.7 |
1993 | 0.2 | 2.5 | 0.6 |
1994 | 1.1 | 2.9 | 0.1 |
1995 | 1.9 | 3.1 | –0.4 |
1996 | 3.4 | 3.4 | –0.8 |
1997 | 1.9 | 3.4 | 0.4 |
1998 | -1.1 | 3.4 | –0.1 |
1999 | 0.1 | 4.1 | –1.4 |
2000 | 2.8 | 4.7 | –1.6 |
2001 | 0.4 | 5.0 | –1.6 |
2002 | -0.3 | 5.4 | –1.2 |
2003 | 2.7 | 5.3 | –2.5 |
2004 | 3.0 | 5.0 | –1.8 |
디플레이션과 구별되는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율이 0이 될 때까지 디플레이션이 계속되면 경제는 디플레이션 시기로 접어들어 생산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 가격이 하락한다.예를 들면, 2008년 10월의 미국 소비자 물가는 1.01% 하락(디플레이션)했지만, 연간 총인플레이션율은 연 4.94%에서 [4]3.66%로 간단하게 저하(디플레이션)되었다.따라서 그 시점에서 디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구별은 단순히 월 단위 또는 연 단위 중 하나를 지칭했다.1년간 물가는 3.66% 상승한 반면, 한 달 동안 물가는 1.01% 하락했습니다.
디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율의 감소이다.디플레이션 기간 동안에도 가격은 여전히 오르고 있지만, 더 낮은 비율로 상승하고 있다.일반적인 가격 수준은 여전히 상승하고 있지만, 더 느린 속도로 화폐 및 기타 화폐 항목의 실질 가치 파괴율이 낮아집니다.
디플레이션은 통화 및 기타 통화 항목의 실질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일반적인 물가 수준(부적 인플레이션율)의 지속적인 하락이다.통화와 다른 통화 항목은 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항상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 비해 디플레이션 기간 동안 항상 가치가 더 높다.디플레이션은 화폐와 다른 화폐 항목의 실질 가치를 증가시킨다.
디인플레이션, 필립스 곡선 및 희생비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Phillips 곡선과 디인플레이션 사이의 관계는 δ-δtt-1=-dispulationtn(u-u)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ө는t 금년도 물가 상승률t-1, year는 전년도 물가t 상승률, u는 실제n 실업률, u는 자연 실업률이다.②는 실업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는 파라미터입니다.이 방정식의 L.H.S(왼쪽)는 인플레이션율의 변화이다.위의 방정식은 인플레이션율의 변화가 실제 실업률과 자연 실업률(u-utn)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설명한다.실제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보다 높을 때 인플레이션율은 감소한다.자연실업률이 실제 실업률보다 높을 때 물가상승률이 높아진다.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려면 방정식의 왼쪽이 음수이고 항(u-utn)이 양수여야 합니다.수학적으로:
utn > = 디플레이션t un < u = 고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율의 감소와 실업률 증가율은 서로 관련이 있지만, 그 관계는 디플레이션 속도에 의존하지 않는다.간단히 말해서, 인플레이션율은 오랜 세월에 걸쳐 낮은 비율로 실업률을 증가시킴으로써 늦춰질 수 있고, 또는 몇 년에 걸쳐 높은 세월에 걸쳐 실업률을 증가시킴으로써 빠르게 디플레이션을 달성할 수 있다.몇 년 동안의 실업률을 합하면 똑같다.
이 현상은 포인트 연도의 초과 [5]실업률의 도움을 받아 설명할 수 있다.1년간 1%포인트의 실직률과 자연실업률의 차이입니다.예를 들어, 자연 실업률이 9%라고 가정하자. 5년 연속 실업률이 15%인 것은 초과 실업률의 5배(15-9 = 6, 5*6 = 30)에 해당한다.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15%에서 10%로 낮추어 인플레이션율이 5%에 해당하고 1년 내에 인플레이션율도 감소시키려 한다고 가정합니다.식 ө--tt-1=-u(u-utn)물가상승률을 5%로 낮추려면 자연률보다 10% 높은 실업률을 1년간 유지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R.H.S.는 -5%에 해당하며 인플레이션율은 1년 이내에 10% 감소한다.이 현상에 따라 5년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자연률보다 1%(10/5) 높은 실업률이 요구되고 있다.위의 현상에서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초과 실업의 포인트 연수는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5%이다.
비용은 항상 인플레이션을 줄이는데 관여한다.이것은 희생비율로 설명된다.희생비율은 시간 경과에 따른 인플레이션율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비용이다.그것은 인플레이션 감소에 대한 GDP의 총 손실 비율이다.예를 들어, 중앙 은행이 4년 동안 인플레이션율을 20%에서 12%로 낮추려고 한다고 가정합니다.이 비율을 달성하려면 경제가 첫 해에 타당성 12% 미만, 두 번째 해에 타당성 9% 미만, 세 번째 해에 타당성 6% 미만, 네 번째 해에 타당성 5% 미만인 생산 수준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자.따라서 GDP의 총손실은 32%(12%+9%+6%+5%)이며, 인플레이션율의 감소는 8%이다.따라서 희생비는 4(32/8)입니다.
디인플레이션 전략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해 정책 입안자들은 냉철한 정책과 점진적인 정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콜드 터키 정책은 목표를 향해 가능한 한 빨리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려고 한다.점진주의 정책은 느린 속도로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는데, 즉 이러한 정책들이 경제를 목표를 향해 천천히 움직인다는 것이다.
냉철한 정책은 충격효과를 낳아 충격이 크면 경제에 좋지 않을 수 있지만 정책 입안자의 신뢰를 쌓으면 경제에 좋을 수 있다.점진주의 정책은 정책 입안자들이 [6]정책을 실행할 때 새로운 정보를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인플레이션의 신뢰성과 비용
루카스 비판은 임금 설정자들이 그들의 기대를 형성할 때 정책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임금 설정자들이 정책 입안자들이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믿는다면, 그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를 낮추고, 이것은 장기 불황 없이 실제 인플레이션율의 하락으로 이어진다.이것은 기대 인플레이션이 오른쪽에 취해지는 위의 방정식의 도움을 받아 설명할 수 있다: δt= δ-ute(u-utn).임금결정자가 전년도의 물가상승률을 보고 그에 따른 기대치를 형성하면 일정기간 높은 실업률을 수용해야만 물가상승률을 낮출 수 있다.өte= if의t-1 경우, ө-ἀtt-1=-((u-utn).따라서 өt < > > > ut-1n) 단, 임금 설정자가 물가상승률이 9%에서 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면(즉, 과거보다 확실히 낮아질 것), 실업률이 자연 실업률에 머물러도 물가상승률은 5%로 떨어질 것이다t.
Thomas J. Sargent에 따르면 성공적인 디플레이션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통화 정책의 신뢰성이다.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는데 종교적으로 전념하고 있다고 느낄 경우 임금결정자들의 신념이 영향을 받는다고 명시되어 있다.임금 결정자들이 기대치를 형성한 방식은 신뢰성의 도움을 받아야만 바뀔 수 있다.신뢰의 관점은 빠른 디플레이션이 느린 디플레이션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신뢰성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업 비용을 감소시킨다.따라서 중앙은행은 빠른 디플레이션으로 나아가야 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tephan Smith FX, 디인플레이션, 2010년 11월 15일
- ^ investopedia.com - 디플레이션
- ^ 블랑차드, 올리비에(2000).거시경제학 (제2판)프렌티스 홀. ISBN0-13-013306-X.
- ^ 2000년 1월 물가상승률 - 현재
- ^ 블랑차드, 올리비에(2000).거시경제학 (제2판)프렌티스 홀.ISBN 0-13-013306-X. 194페이지
- ^ Dornbusch, Rudiger; Fischer, Stanley; Startz, Richard (2004). Macroeconomics. ISBN 9780072823400.
추가 정보
- Meltzer, A.H. (2006), "From Inflation to More Inflation, Disinflation, and Low Infl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96 (2): 185–188, doi:10.1257/000282806777211900, S2CID 3789479
- Goodfriend, M.; King, R.G. (2005), "The incredible Volcker disinflation",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2 (5): 981–1015, CiteSeerX 10.1.1.484.439, doi:10.1016/j.jmoneco.2005.07.001
- Calvo, G.A.; Celasun, O.Y.A.; Kumhof, M. (2003), "Inflation Inertia and Credible Disinflation-The Open Economy Case", NBER Working Paper No. 9557, doi:10.3386/w9557
- Siklos, P.L.; Waterloo, O.N.; Zhang, Y.; Ottawa, O.N. (2006), "Inflation, Disinflation, and Deflation in China: Identifying the Shocks Driving Inflation" (PDF), Western Economic Association Meetings in San Diego, California, and the Summer Workshop of the Hong Kong Institute for Monetary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3, retrieved 2008-11-17
- Guillermo Calvo; Carlos A. Vegh (1999), "Inflation Stabilization and BOP Crisis in Developing Countries", NBER Working Paper No. 6925, doi:10.3386/w6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