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다니
Dardani언어들 | |
---|---|
팔레오발칸어군 |
다르다니인(/ˈ드 ɑː드 ə나 ɪ/; 고대 그리스어: δ ρδάνιοι, δ άρδα νοι; 라틴어: 다르다니) 또는 다르다니인은 팔레오-발칸 민족으로, 그곳에 정착하여 다르다니라고 이름 지어진 지역에 살았습니다. 그들은 발칸 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이었고, 그들의 사회는 매우 복잡했습니다.[3] 다르다니족은 중앙 발칸 반도의 민족들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민족적 요소였으며, 몇 세기 동안 이 지역에서 지속적인 존재감을 유지했습니다.[4][5]
고대의 전통은 다르다니족을 일리리아 민족으로 여겼습니다.[6][7][8][9][10] 스트라보는 특히 갈라브리 부족과 투나타에 부족을 다르다니 부족으로 언급하면서 다르다니 부족을 일리리아 3대 부족 중 하나로 묘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두 부족은 아르다이에이 부족과 아우타리아에 부족입니다.[11][12] 다르다니아인들은 다르다니아에서 그들 자신의 독특한 지리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따랐기 때문에, 몇몇 고대 사료들은 그들 자신의 사회 정치적 형성을 구성했던 동부 아드리아해의 중부와 남부 해안과 그 배후 지역에 거주하는 일리리아인들과 그들을 구별하기도 합니다. 고대 작가들에 의해 '일리리아 왕국'으로 언급되었습니다.[10][6][13] 다르다니족은 트라키아의 이웃들과도 관계가 있었습니다.[14][15][16] 다르다니아의 동쪽 지역에는 트라키아인의 이름이 있었고, 다르다파라와 퀘메다바와 같은 트라키아와 다키아인의 지명도 여러 곳에서 등장하지만,[17] 나머지는 일리리아인의 이름이 지배적이었습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작가들은 다르다니아인과 트라키아인을 동일시하지 않았으며 스트라보는 이들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습니다.[19]
다르다니아 왕국은 기원전 4세기부터 고대 사료에 따르면 다르다니아인들이 그들의 남동쪽 이웃인 마케도니아와 기원전 2세기까지 벌인 전쟁에 대해 증언했습니다.[14] 마케도니아 왕들의 역사에 대한 주요 자료인 역사가 저스틴은 기원전 346년에서 343년 말 사이에 '다르다니와 다른 이웃 민족들'이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 맞서 싸웠던 '엘리야 전쟁'을 말합니다.[20][21] 켈트족의 발칸 반도 침공으로 마케도니아인들과 페이오니아인들의 상태가 약화된 후, 다르다니아인들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이 이 지역에서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진 페이오니아 지역과 남부 일리리아인들의 일부 영토까지 그들의 주를 확장했습니다. 다르다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인들을 공격하기 위해 모든 기회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압박했습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인들은 빠르게 회복하여 국가를 공고히 했고, 다르다니인들은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상실했습니다. 서쪽 국경에 일리리아(아르디아-라바테안) 국가가 강화된 것도 이웃에 대한 다르단의 호전적인 행동을 제한하는 데 기여했습니다.[22]
다르다니인들은 로마의 프로콘술에 맞서 싸웠고, 아마도 기원전 39년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 기원전 29/8년에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에게 패배했을 것입니다.[14] 그들은 로마의 모에시아 지방에 포함되었습니다. 서기 86년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가 모에시아 지방을 모에시아 슈페리어와 모에시아 인페리어로 분할한 후, 다르다니 지방은 모에시아 슈페리어 남부에 위치했습니다.[23][14] 플라비우스 왕조 치하의 다르다니안 영토의 스쿠피에 로마 식민지가 세워졌습니다. 서기 2세기에 다르다니 사람들은 여전히 브리그란트(latrones dardaniae)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제국 후기에 그들의 영토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를 포함한 많은 로마 황제들의 고향이었습니다.[14]
이름.
다르다니족의 민족명은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 다르다니, 다르다니오이, 다르다니로, 라틴어에서는 다르다니로 증명되었습니다.[24] 그들의 영토에 사용된 용어는 다르다니케(δα ρδα νική)였습니다. 다르디라는 어원은 다르디안 지역과 트로이-다르디안 지역 밖에서 여러 다른 고대 민족어, 개인 이름, 토포니어로 증명됩니다: 다다스, 오프라에토르 에피라트룸; 마케도니아-엘리미오트 왕자의 이름인 δ ερδιενις; 테살리아의 δ ερδι알파, 레스보스의 δ ερδενις; 고대 아풀리아 다르디, 다우니아 부족 데르덴시스 지역, δ알파 ρδ알파 νον, 다우니안 촌락 접미사 -다르어의 ano는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에게 공통적으로 쓰였습니다.[26]
갈라브리/갈라브리오이와 투나태/투나타이 두 주요 다르단 부족의 이름은 각각 팔레오발칸 프로방스의 아풀리아(이탈리아 남동부)에 있는 메사픽 칼라브로이/칼라브리와 다우니오이/다우니와 연결되어 있습니다.[27][15]
어원
다르단-(민족명: δ άρδ알파 νοι/다르다니; 토포명: ρδ알파 νική알파 δ/다르다니)이라는 이름은 전통적으로 알바니아어로 '배'를 뜻하는 다르단 ë와 같은 뿌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알바, 다르단, 다르단, 농부. 로마 시대부터 다르다니족과 가까운 부족이나 다르다니아에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 피루스타에(Pirustae)라는 민족명은 다르다니(cf)를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라틴피루스 "배")는 알바니아 다르드 ë와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854년 요한 게오르크 폰 한(Johann Georg von Hahn)은 다르다니(Dardanoi)와 다르다니아(Dardania)라는 이름이 알바니아어 "배, 배-나무"와 관련이 있다고 처음으로 제안했습니다. 이는 과일이나 동물과 관련된 토포니엄이 해당 지역에서 알려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제안됩니다(cf). 알 델레, 델름 ë "양" 몬테네그로 울친주 달마티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알브. 델레. ujk, ulk "wolf" 등).[31][32] 다르드 ë와 같은 어근으로 형성된 알바니아의 전형적인 토포니움은 다르드-이(서기 1467년), 다르드네쉬-이(1431년), 다르드하시(1431년), 다르다스(1467년), 다르드 ë-아(1417년), 다르다, 다르드 ë-아(1431년) 등으로 증명되었습니다. 베랏의 다르하, 코르자의 다르하, 리브라즈드의 다르하, 푸카의 다르하, 포가데크의 다르하, 미르디타의 다르하, ë르메트의 다르드 ë스 등 알바니아의 여러 지역에서 현대의 토포니움이 발견됩니다. 푸카의 다르다는 1671년 기독교 보고서와 베네치아 지도 제작자의 1688년 지도에 다르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르다는 또한 디브라 구의 북부에 있는 알바니아 부족의 이름이기도 합니다.[32][28]
알바니아어의 어원, 인도유럽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알바니아의 다르드 ë와 그리스 ἄχερδος인 ἀχράς "야생 배"와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학자들에 의해 일반적인 인도-유럽 뿌리가 잠정적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ĝʰ르-드-가시나무 덤불; *(n)ĝʰ∂르디스; *ĝʰ르즈드 ⁽ʰ⁾-가시나무, 곡물, 보리. 그러나 이러한 연관성은 알바니아어와 그리스어에 대한 고대의 일반적인 발카노-에이지어 기질 단어를 가정할 때만 생각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습니다.[34][35][36] 제안된 인도-유럽 뿌리 *d ʰeregh - "가시식물"은 *d ʰ 또는 ĝʰ-e ₂-로 재구성된 원시-알바니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명확하지 않습니다. 보다 최근에는 알바니아의 다르드 ë를 위해 알바니안 원시인 *다르다가 재구성되었으며, 그 자체는 "떠내고, 붓고, 쏟고, 분비하고, 주조(금속)" <PAlb *derda의 파생물입니다. 고대 알바니아어 텍스트에서 어근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dardh. 알바니아어의 의미 발달은 알바니아어의 원형에 가까운 라트비아어의 "딸랑딸랑" 라트비아어의 "딸랑딸랑", "얼룩", "구글구글"에 가까운 "알바니어 *다르다"가 계속됩니다. 또한 인도-유럽 병행에서도 *peisom "pear" < *peis-).[37] 고대 다르다니 지역에서 특히 발견되는 크루셰보(Krušvo)와 관련된 다른 용어들이 다르다 토포니어의 남슬라브어 번역본으로 제안되었습니다.
다른 뿌리들은 몇몇 학자들에 의해 Dardan-이라는 이름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산스크리트어 dardurá- "frog", "파이프", 리투아니아어 dard ́트 ė티 "딸랑딸랑", "딸랑딸랑"(그러나 Orel은 알바니아어 derdh와 연결된 의성어 형태로 간주하므로 위의 dardh ë), Greek δάρδα · μ έλισσα "bee", 때때로 μ όλυσ μα "염색", δ α ίνει α ολύνει · μ ρδ "염색"으로 해석되며, 헤시키우스 (5세기)의 후기 고증과 비정상적인 의미론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또 다른 연결고리는 PIE 어근 *dere ĝh - "hold", "strong"과 함께 만들어졌는데, 이 어근은 알바니아어의 특징인 유성 구개음의 음운 변화와 일치하지 않게 진화했을 것입니다.
알바니아 PIE의 가장 초기 형태에서 *g ̑h가 *d ʑ로 바뀌었고 그에 따라 나중에 *dz로 바뀌었기 때문에 원래 *g ̑h를 포함하는 어원을 기반으로 비판하는 의견은 그리스어/라틴어 문서에서 /d/ 대신 /z/, /s/, 또는 유사한 문자로 철자를 썼어야 합니다. 이는 "헨바네"(henbane)라는 원시 알바노이드 용어의 증명에 의해 반박됩니다.[41]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의 약리학자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 (1세기)에 의해 "트라키아-다키아"라는 식물명으로 언급되었고, 알바니아어 diell "sun"과 어원상으로 분명한 연관이 있습니다. (diellina "henbane"은 라틴어의 sol "sun"과 함께 solanum이라고 불리는 속에 속하며, 잎이 노랗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 지어졌습니다.) 유성 구개음 벨라 * ĝ(h)-가 치간 dh 또는 치간 dh로 변환되는 특징적인 알바니아어 음운 변화를 나타내며, 구개음 마찰음으로 대표되는 중간 단계를 지나 치간 dh, 치간 마찰음 dz, 그리고 더 나아가 최종 단계 d ð(예: * ȷ́(h)- > ʑ [d ð] > dz > d ʑ > dh/d: Alb. dielli < PAlb. *dðiella < *dziella- < EPAlb. *ȷ́élu ̯a- < PIE * ǵʰélh ₃u ̯o- "노란색, 금색, 밝은/빛나는"). 이 현상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이 자신들에게 생소했던 알바니아의 원시 부속서를 필사할 때의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실제로 고대 문헌에서 치아와 시빌란트를 모두 사용하여 철자를 번갈아 쓰는 팔레오발칸어의 많은 유사한 예들은 알바니아어의 초기 단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Albanoid 방언들에 대한 에릭 햄프의 논문을 강력하게 지지합니다. 다르다니아, 일리리아 지방, 파에니아, 상모에시아, 다키아 서부, 트라키아 서부의 역사적 지역을 포함한 발칸 반도의 중서부 지역에서 사용됩니다.[42]
고대 사료에 나오는 이름
다르다니족의 이름은 일리아드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는데, 다르다누스는 아나톨리아의 에게 해 연안에 다르다누스를 세운 다르다누스와 그의 백성들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인데, 다르다넬스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발칸반도와 아나톨리아의 다른 민족 이름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에네티와 에네토이, 브라이스와 프리지. 이러한 유사점은 단순히 이름의 상관관계보다 더 가까운 연관성을 나타냅니다. 현재의 설명에 따르면, 그 연관성은 '바다 민족'의 공격이 동부 지중해 주변의 기존 강대국들 중 일부를 괴롭혔던 청동기 시대 말 (기원전 1200년경)에 일어난 대규모 사람들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43]
고대 역사학에서 발칸 반도의 다르다니족은 기원전 3세기에 마케도니아와의 전쟁을 묘사한 폴리비우스에 의해 기원전 2세기의 민족으로 언급됩니다.[44] 다르다니아인을 언급하는 헬레니즘과 로마 고대의 역사가들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스트라보, 살루스트, 아피안,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 등입니다. 아피안 (2세기)이 보고한 신화적 전통에 따르면, 일리리우스 (ἰ λλυριός)의 아들들 중 한 명인 다르다노스 (δ άρδα νος)는 다르다노스 (δ άρδα νοι)의 시조라고 합니다. 고대 사료에서 다르다니족은 일리리아인의 한 사람으로 언급되거나 다르다니 지역의 뚜렷한 집단으로 언급됩니다. 이와 같이 다르다니인들은 민족언어학적 관점에서 보면 일리리아인이었지만 다르다니에서 그들만의 독특한 지리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따라왔습니다.[47]
기원전 1세기 후반 로마에서는 새로운 사상적 담론이 형성되었습니다. 호레이스와 오비드 같은 시인들에 의해 전파되어 트로이 다르다니안의 후손이라고 주장되는 로마인들에게 영광스러운 트로이의 과거를 건설해 주었습니다. 트로이의 기원 이야기가 그들의 기원에 대한 로마의 공식적인 이야기가 되기 몇 년 전에, 로마인들은 발칸 반도에서 다르다니족과 갈등을 겪었습니다.[48] 이것은 공개적인 담론에서 로마 군대가 로마인의 조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사람들과 싸우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문제를 만들었습니다. 기원전 1세기의 역사적인 다르다니의 이미지는 마케도니아 변경지역을 급습하여 대처해야 하는 일리리아 야만인들의 이미지였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모에시라고 알려진 사람의 이름이 로마의 자료에 등장했습니다. 모에시는 서기 14년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사망한 이후 세 개의 고대 사료에서만 언급됩니다. 그 이름 자체는 소아시아의 미시안들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49] 그 선택은 트로이 시대 미시아인들이 트로이 시대 다르다니아인들과 가까이 살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로마 담론에서 다르다니의 이름이 로마인의 조상과 연결되면서, 실제 다르다니는 로마 문학에서 다른 이름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아우구스투스 사후 발칸반도와 관련된 그들의 이름은 정치적인 문제가 되었습니다. 아우구스투스가 죽은 후, 새로운 황제는 그의 의붓아들이자 발칸 반도에서 가장 고위 로마 장군인 티베리우스였습니다. 티베리우스는 로마의 발칸 반도 정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황제로서 그는 로마의 신화적인 시조들의 이름으로 지어진 다르다니아인들의 정복자로 묘사될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다르다니와 다르다니의 새로운 이름을 만드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이 결정과 다르다니족과 다르다니족에 대해 모에시아와 모에시라는 이름을 행정적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피안과 같은 작가들은 이 이름의 원래 사용을 지속했습니다.[49] 다르다니아라는 이름은 행정적 맥락에서 이 시기 이후 수백 년 동안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오직 서기 3세기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서 재현되었습니다.[50]
역사
출현
다르다니의 핵심 지역을 형성한 오늘날 코소보의 영토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왔습니다. 룬익과 블라쉬 ë는 신석기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장소들 중 두 곳입니다. 기원전 3,000년 후반에 인도유럽조족들이 이주하여 기존의 신석기인들과 함께 이 지역에 정착했습니다. 농업과 소 사육의 새로운 관행이 이 시기에 나타나고 코소보에 새로운 정착지가 형성됩니다. 신석기 시대의 사람들과 PIE 사용자들의 공존과 혼합은 블라쉬 ë, 코리쉬 ë, 포그라지 ë, 바르디 마드, 토파닉 ë 등의 정착지에서 청동기 시대(기원전 2100-1100)에 발달한 물질 문화를 탄생시켰습니다.
다르다니아 영토의 고고학 연구는 2000년 이후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현대 연구에서는 로마 이전의 다르다니아의 발전의 네 단계의 시기화를 활용하고 있습니다.[51]
-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 사이의 과도기적인 기원전 11-9세기
- 기원전 8-7세기, 철기 시대 1단계
- 지중해와의 접촉과 그리스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기원전 6-4세기, 철기시대 2단계
- 기원전 4-1세기, 헬레니즘 시대.
철기 시대에는 서부 발칸 반도에서 발달한 일리리아의 물질 문화인 Glassinac-Mat 문화가 출현하면서 주거지가 더욱 발전했습니다.[52] 고전 고대에 알려지게 된 다르다니족은 유리낙-매트 문화의 특정 집단 중 하나였습니다.[53]
브렌지카 문화는 다라니족의[54] 에트네조제에 참여한 비 일리리아인과 다코-트라키아인의 구성요소로 여겨집니다 브렌지카 문화는 코소보, 모라바 계곡, 산드작, 마케도니아 그리고 세르비아[55] 동남부에 나타납니다.
고전고대
다르다니아에서 부족 귀족과 도시 이전의 발전은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나타났습니다. 다르다니인들의 지중해 세계와의 접촉은 일찍부터 시작되어 철기 시대에 심화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세계와의 무역 관계는 기원전 7세기부터 형성되었습니다.[56] 원시 도시 개발은 도시 중심지의 생성과 장인의 출현으로 이어졌고, 기원전 4세기부터 다르단 정치가 발달하기 시작했습니다.[56] 고전적 자료들의 자료 문화와 설명들은 다르단 사회가 발전의 진전된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암시합니다.[3][57]
다르다니족은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의 반대파 중 하나로 언급되며, 아마도 그의 통치 초기에 그들과 이웃들을 제압한 필리포스 2세와 충돌했습니다.[21] 다다니 가문은 필립 2세가 사망할 때까지 침묵을 지켰고, 그 후 그들은 망명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알렉산더 대왕이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어 마케도니아 왕위에 오른 후 왕국과 군대의 완전한 지배권을 갖게 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폭동으로 인해 공개 전쟁이 일어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다르다니족은 알렉산더의 발칸 원정에 관한 고대 기록에 언급되지 않았습니다.[58] 다르다니족은 리시마코스의 제국 시기인 기원전 284년에서 기원전 281년 사이 디아도키 전쟁에서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피해간 것으로 보입니다. 그 후 다르다니족은 북쪽 국경의 마케도니아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습니다.[59]
기원전 279년, 켈트족의 대 침공 당시, 다르다니아는 그리스 신전들의 보물들을 약탈하기 위해 행해진 그들의 작전에서 여러 켈트 부족들에 의해 습격을 받았습니다.[59] 이 사건들 중에 이름을 밝히지 않은 다르다니안 왕은 침입한 켈트족에 대항하기 위해 2만 명의 군사와 함께 마케도니아를 돕겠다고 제안했지만, 켈트족의 힘을 과소평가한 마케도니아 왕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에 의해 거절당했습니다.[60][61][59] 델포이의 신탁에서 비로소 켈트족은 체포되어 패배했습니다. 그 후 그들은 다르다니를 지나 북쪽으로 물러났으나 다르다니족에 의해 완전히 멸망당했습니다.[62] 다르다니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은 기원전 3세기 후반부터 마케도니아인들에 대한 다르다니의 지속적인 전쟁을 설명하는 고대 사료에 나와 있습니다.[62]
켈트족의 발칸 반도 침공으로 마케도니아인들과 페이오니아인들의 상태가 약화된 후, 다르다니아인들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이 이 지역에서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진 페이오니아 지역으로 그들의 주를 확장했습니다.[22] 230년 롱가루스[63] 휘하의 다르다니족은 페이오니아인들로부터 바이라조라를 점령했습니다.[64] 마케도니아의 약점을 이용한 다르다니족은 229년 마케도니아를 공격해 데메트리오스 2세를 격파했습니다.[65] 마케도니아 군대를 상대로 대승을 거둔 다르다니는 마케도니아를 제대로 침공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에피루스의 아르디아인 확장과 유사한 마케도니아의 다르단 확장은 일리리아인들 사이의 일반적인 운동의 일부였을 수 있습니다.[66]
이 시기에 다르다니의 영향력이 커졌고, 다른 일리리아 부족들은 테우타를 버리고 롱가로스 휘하의 다르다니에 합류했고, 테우타는 에피루스에서 원정군을 철수해야 했습니다.[67] 필리포스 5세가 마케도니아의 왕위에 올랐을 때, 다르다니와 교전이 기원전 220년에서 219년에 시작되었고, 그는 기원전 217년에 그들로부터 바이라조라를 빼앗는데 성공했습니다. 211년과 209년에 마케도니아 왕위의 시늉을 하는 에어로푸스 휘하의 다르다니 군대가 리크니두스를 점령하고 마케도니아를 약탈하여 2만 명의 포로를 잡아들이고 필리포스 군대가 그들에게 도달하기 전에 후퇴하면서 교전이 계속되었습니다.[68]
아타마니아의 왕 플레우라투스와 함께 다르다니아의 바토는 로마의 집정관 술피키우스와 함께 필리포스 5세를 상대로 한 원정에 협력했습니다.[69] 기원전 183년경, 필리포스 5세는 마케도니아에 대한 다르다니아인의 공격을 위협받아, 바스타르네와 동맹을 맺고 마케도니아에서 가장 가까운 다르다니아 지역인 폴로그에 정착하도록 그들을 초대했습니다.[70] 다르다니아인들에 대항하는 바스타르네와 마케도니아인들의 공동 작전이 조직되었지만, 필리포스 5세가 죽고 그의 아들 페르세우스가 마케도니아에서 군대를 철수시켰습니다. 바스타르네는 엄청난 숫자로 다뉴브강을 건넜고, 마케도니아인들을 만나지는 못했지만, 그들은 계속해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클론디쿠스가 지휘하는 약 3만 명의 바스타르네가 다르다니족을 물리친 것 같습니다.[71] 기원전 179년, 바스타르네는 다르다니족을 정복했고, 그들은 나중에 174년에 그들을 몰아냈고, 몇 년 후 기원전 170년에 마케도니아인들이 다르다니족을 물리쳤습니다.[72] 마케도니아와 일리리아는 기원전 168년에 로마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73] 켈트족 출신의 부족인 스코르디스키족은 기원전 2세기 중반 다르다니족을 정복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그 후에도 다르다니족에 대한 언급은 오랫동안 없었습니다.[74]
로마 시대
일리리아와 마케도니아는 기원전 168년에 로마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73] 기원전 97년, 마케도니아 로마군에 패배한 다르다니족이 다시 언급됩니다.[75] 기원전 88년, 다르다니족은 스코르디시족, 메디아족과 함께 로마의 마케도니아 지방을 침공했습니다.[76][failed verification]
로마인들은 다르다니아에서 농업과 축산업, 광업과 야금업에 기반을 둔 고대 형성된 경제를 다양한 수공업과 무역에서 발견했습니다. 로마인들은 특히 다른 지방과 마찬가지로 광산의 개발과 도로 건설에 중점을 두었습니다.[77][78]
다르다니족이 실제로 기원전 28년에 독립을 잃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따라서 로마에 의한 다르다니의 최종 점령은 그들이 마침내 로마에 의해 정복된 서기 6년에 아우구스투스의 통치의 시작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르다니아는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에 의해 정복되었고 라틴어는 다른 많은 사람들이 정복되고 로마화됨에 따라 곧 부족의 주요 언어로 채택되었습니다.[79] 서기 86년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가 모에시아 지방을 모에시아 슈페리어와 모에시아 인페리어로 분할한 후, 다르다니 지방은 모에시아 슈페리어 남부에 위치했습니다.[23]
처음에 다르다니아는 별도의 로마 속주가 아니라 서기 87년에 모에시아 수페리오르 지방의 한 지역이 되었습니다.[80]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년)는 다르다니아를 니소스(Naissus)에 수도를 두고 별도의[80] 속주로 만들었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통치 기간(6세기)에 울피아나, 스쿠피, 스토비, 유스티니아나 프리마 등의 도시를 포함하는 비잔티움의 다르다니아 지방이 있었습니다.
폴리티
부족정부의 역사
다르단 정치는 기원전 4세기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56] 다르다니아 왕국은 기원전 4세기부터 고대 사료에 따르면 다르다니아인들이 그들의 남동쪽 이웃인 마케도니아와 기원전 2세기까지 벌인 전쟁에 대해 증언했습니다.[14][22] 다르다니 왕국은 많은 부족과 부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81] 스트라보는 갈라브리족과 투나타에족을 다르다니 부족으로 언급하고, 다르다니족을 일리리아 3대 민족 중 하나로 설명하고, 나머지 두 부족은 아르다이에이족과 아우타리아에족입니다.[11][12]
다르다니인들은, 그들의 모든 역사에서, 항상 다른 일리리아인들과 분리된 영역을 가지고 있었습니다.[82] 그들의 영토에 사용된 용어는 (δα ρδα νική)인 반면, 다른 부족 지역들은 "오타리아의 땅"에 대해 "오타리아톤 호라 (α ὐτα τῶν χώρα ρια)"와 같이 더 불특정한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 용어는 후기 로마 공화국에서 다르다니아의 정치적 지위를 반독립적인 국가로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83] 로마 정복 이전 다르다니의 영토에 대한 자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특히 마케도니아와 경쟁한 남쪽 범위에 대한 자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학자들은 다르다니 영토의 경계를 정의하기 위해 로마 시대에 제공된 정보를 사용합니다.[84]
기원전 3세기 초 이 지역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고대 사료들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다르단 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는 마케도니아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에게 침략한 켈트족에 대항하기 위해 2만 명의 군사를 제안했지만, 케라우노스는 이 제안을 거절했습니다.[59] 부족장 롱가루스와 그의 아들 바토는 로마와 마케도니아와의 전쟁에 참여했습니다.[85]
다르단 통치자들
- 마케도니아 왕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Ptolemy Ceraunos)에게 침략한 켈트족에 대항하기 위해 2만 명의 군사를 제안한 이름 없는 다르다누스 왕(기원전 3세기 초). 하지만 케라우노스는 이 제안을 거절했습니다.[59]
- 롱가루스;[86]
에투타([87]Etuta)는 다르다니아의 모누니우스 2세의 딸이자 아르다이에이의 일리리아 여왕이었습니다.[87] Some scholars believe that Illyrian rulers Bardylis,[88] Audata,[89] Cleitus (son of Bardylis),[90] Bardylis II,[91] Bircenna (daughter of Bardylis II),[92] and Monunios were Dardanian, however this is considered an old fallacy because it is unsupported by any ancient source, while some facts and ancient geographical locations go squarely against it.[93][94][95][96][97]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르딜리스는 다르다니아인이 아니더라도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다르다니아인들에게 모종의 헤게모니를 가졌을 것입니다.[98][99]
대외관계
오답 프레스
트라키아의 이웃 국가들과는 달리, 로마 이전 시대에는 다르다니인들은 헬레니즘화되지 않았습니다.[100] 그리스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은 야만인이었습니다. 이 편견 때문에 그들은 고대 그리스 로마 역사학에서 나쁜 언론을 받았습니다. 그 부족은 "극도로 야만적"으로 여겨졌습니다.[101][page needed][102] Claudius Aelianus와 다른 작가들은[who?] 그들이 일생 동안 세 번만[103] 목욕을 했다고 썼습니다. 태어날 때, 결혼할 때 그리고 죽은 후에. 스트라보는 그들을 야생적이고[104] 똥 언덕 아래의 더러운 동굴에 살고 있다고 말합니다.[105] 그러나 이것은 그리스인들의 관점에서 목욕이[102] 금전적 지위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청결과 관련이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노예제
로마 정복 당시 다르다니의 노예나 해방자들은 그들의 개인적인 이름에 의하면 분명히 팔레오발칸 출신이었습니다.[106] 개인의 이름은 대부분 "센트럴-달마티아형"이었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107]
문화
언어
다르다니 사람들은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87] 라도슬라프 카티치치는 고대 리부르니아를 제외한 옛 유고슬라비아의 대부분, 몬테네그로의 북부, 모라바의 서쪽에 위치한 중앙 일리리아어 지역에 다르다니어를 기초로 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아마도 북쪽의 판노니아까지 확장될 것입니다.[108][109]
이 지역의 동부는 트라코-일리안 접촉 지역에 있었습니다. 고고학 연구에서 일리리아식 이름은 다르다니아 서부(현재의 코소보)에서 우세하며, 다르다니아 동부(현재의 세르비아 남동부)에서 가끔 나타나는 반면, 트라키아식 이름은 동부에서 발견되지만 서부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들이 일리리아 부족이나 트라키아 부족이라는 것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두 집단 사이의 민족 언어적 관계는 대체로 불확실하고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5][110] 다르다니아의 지배 엘리트들의 이름을 포함한 일리리아어 이름들과 남부 일리리아어 이름들이 일치하는 것은 다르다니아의 일부 지역의 "인종화"를 암시합니다.[111][85]
지난 수십 년간 다르다니어는 별개의 언어로 여겨졌으며 알바니아어의 역사상 중요한 언어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습니다.[112]
종교
로마의 ë에 있는 기원전 6세기와 5세기의 무덤에는 무덤에 놓인 긴 쇠창살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르다니 부족이 나중에 스미르 ë의 봉헌 기념비와 같은 다른 고고학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사후 세계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음을 나타냅니다. 무기에는 양날의 도끼(라브리스)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북부 일리리아 부족에서 유행했던 태양 숭배와 관련된 의식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음악
스트라보는 그들이 플루트와 코드 악기를 소유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음악에 관심이 있었다고 썼습니다.[105]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페르세우스의 "δα άρδ, νοι δα ρδ, δα νίωνες" 다르다니오이, 게오르크 아우텐리에쓰, "호메릭 사전"
- ^ 라틴어 사전
- ^ a b 샤셀 코스 2010, 페이지 626.
- ^ 윌크스 1992, 페이지 144.
- ^ a b 파파조글루 1978, 페이지 131
다르다니아인들... 일리리아인과 트라키아인 세계의 국경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그들의 개성을 유지했고, 그들이 군사적, 정치적으로 로마군의 공격을 받을 때에도, 그리고 고대 세계의 종말을 향해 갈 때에도, 그들 자신을 민족적 통합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발칸반도는 광범위한 민족적 동요에 관여하였고, 모든 중앙 발칸 부족 중 다르다니아인은 구 민족을 대신하는 새로운 민족의 탄생에 가장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 ^ a b 파파조글루 1978, 218쪽: "이 진술이 우리 문제에 중요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5세기 중반에 마케도니아 북쪽의 땅이 일리리아로 간주되었다는 것을 또한 확인시켜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헤로도토스에는 N. 불리치가 헤로도토스의 시대에 다르다니아인들의 영토가 일리리아로 간주되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하는 또 다른 진술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뉴브강 지류의 잘 알려진 부분의 한 구절로, 헤로도토스는 앵거스 강이 "일리안의 땅에서" 흐른다고 말합니다. 267 앵거스 강은 남부 모라바 강이나 이바르 강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그들의 상류에 있는 두 강 모두 다르다니아를 통해 흘렀기 때문에, 벌리치의 결론은 매우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위에서 말한 모든 것으로 볼 때 다르단인들의 민족적 기원에 대한 고대 작가들의 증거는 상당히 일치된 것으로 보이며, 그 해석은 특별한 어려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르단인들이 이웃인 아우타리아에와 아르다이에처럼 일리리아인이었다는 전통은 스트라보와 아피안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세 부족이 이웃이었을 때부터 오래된 전통임에 틀림없습니다. 스트라보 이전의 역사학자들(폴리비우스, 리비우스)과 이전의 사료를 베낀 역사학자들(저스틴,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에게서는 그 전통에 반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일리리아인과 함께 다르다니아인에 대한 언급은 일리리아인이라는 이름이 더 넓은 민족적 의미와 더불어 매우 일찍부터 더 좁은 정치적 의미를 획득했음을 보여줄 뿐입니다. 실제로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일리리아라는 이름이 일반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남부 모라바와 이바르의 근원을 둘러싼 마케도니아 북쪽의 땅들은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 사실은 고대의 전통이 다르단 사람들을 일리리아인으로 여겼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 자하리아데 2009, 81쪽; 92쪽: "다르다니아는 전통적으로 일리리아의 땅이었습니다. 다르다니인들은 스트라보와 아피안에 의해 일리리아인으로 간주되었고, 다른 학자들은 나중에 다르다니인들이 "무연고"당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동부 다르다니아에 있는 지명들의 대부분은 트라키아인으로 밝혀졌습니다. 아마도 서쪽으로 확장된 후 트라키아의 요소는 일리리아의 요소와 혼합된 것으로 보입니다. 트라키아인과 다르다니아인 사이의 민족적 변경은 북쪽의 다뉴브강이 다르다니아인의 땅 두 곳으로 갈라질 때까지 모라바 강에서 추적되었고, 동부는 상당히 "무연화"되었습니다.
- ^ 코소보: 짧은 역사 p. 363 '파파조글루가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고대 사료들은 다르단 사람들을 일리리아 사람들로 분류합니다. 그녀가 나중에 쓴 에세이 'Les Royaumes'에서 이 신원확인을 거부한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르다니아의 동쪽 지역에는 트라키아인의 이름들이 있었지만, 일리리아인의 이름들이 나머지 지역을 지배했습니다. 카티치는 이 이름들이 두 개의 다른 일리리아인의 "단조적인 지방"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고대 언어에서 그의 요약, 179-81쪽, 그리고 파파조글루의 증거, "Dardanska onomastika" 참조).
- ^ 윌크스 2012, 414쪽: "(그들의 이름은 '배'를 뜻하는 알바니아어인 다르드 ë와 같은 뿌리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트라키아인들과 소아시아인들과도 연결된, 바르다르 상류 계곡과 발칸 반도 남부의 코소보 지역에 거주했습니다."
- ^ a b 부이치치 2021, p. 505: "이 에피소드와 상관없이 일부 출처는 다르다니족을 일리리아의 나머지 지역과 분명히 구별하고 다르다니족과 일리리아의 땅을 구별합니다(폴립 2.6.4, 28.8.3; 리브 43.20.1). 일부는 그들이 일리리아 부족 중 하나일 뿐이라고 당연하게 여깁니다(Stab. 7.5.6, 12; 앱). 예. 1.2). 이곳은 이 주제를 자세히 분석하는 곳은 아니지만, 다르다니족은 분명히 인종적, 언어적으로 일리리아 세계의 일부이지만 지리적, 독특한 사회정치적 발전으로 인해 다른 일리리아 민족과 분리된 것 같습니다."
- ^ a b 스트라보의 지리 -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239
- ^ a b Hammond 1966, 239-241쪽.
- ^ 샤셀 코스 2005, 페이지 122.
- ^ a b c d e f g Wilkes 2012, 페이지 414.
- ^ a b 샤셀 코스 2010, 625쪽.
- ^ Shukriu 1996, p. 20.
- ^ 블라디미르 게오르기예프(게오르기예프), 라포르투릴 딘트레 림빌레 다크 ă, 트랙 ă ş 프리지안 ă, "스튜디오 클라시체" 저널, II, 1960, 39-58.
- ^ 코소보: 짧은 역사 p. 363 '파파조글루가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고대 사료들은 다르단 사람들을 일리리아 사람들로 분류합니다. 그녀가 나중에 쓴 에세이 'Les Royaumes'에서 이 신원확인을 거부한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르다니아의 동쪽 지역에는 트라키아인의 이름들이 있었지만, 일리리아인의 이름들이 나머지 지역을 지배했습니다. 카티치는 이 이름들이 두 개의 다른 일리리아인의 "단조적인 지방"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고대 언어에서 그의 요약, 179-81쪽, 그리고 파파조글루의 증거, "Dardanska onomastika" 참조).
- ^ Shukriu 1996, p. 41.
- ^ Wilkes 1996, pp. 120–121.
- ^ a b 부이치치 2021, 페이지 504.
- ^ a b c 스티프체비치 1989, 38-39쪽.
- ^ a b 페트로비치 2019, 23-24쪽.
- ^ 파파조글루 1969, 페이지 201.
- ^ a b 파파조글루 1978, 523쪽
- ^ 발리우 2012, 69쪽.
- ^ 발리우 2012, 68쪽.
- ^ a b c Demiraj 1997, 121쪽.
- ^ 발리우 2012, 81쪽.
- ^ Darlishta 2019, 65쪽.
- ^ Wilkes, John (1992). The Illyrians. Wiley. p. 244. ISBN 9780631146711. "개개의 민족들의 이름은 '제비'(cf. 알바니아의 키가 큰 사람)의 타울란티(taulantii) 또는 '장어맨'의 에르첼레이(Erchelei), '달팽이맨'의 첼리도니(Chelidoni)와 비슷한 방식으로 형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델마타에의 이름은 알바니아어로 '양' delm ë), 다르단어로 '배'(dardh ë)와 연결되어 나타납니다.
- ^ a b 엘시 2015, 310쪽.
- ^ Darlishta 2019, 38쪽.
- ^ a b Demiraj 1997, 페이지 121–122.
- ^ 엘시 1998, 71쪽
- ^ a b 발리우 2012, 페이지 77–78.
- ^ a b 오렐 1998, 56, 60쪽.
- ^ 발리우, 베자드(2012). 오노마스티카에 코소베즈: Ndermjet은 정체성을 위협했습니다 [코소보의 의성어: 신화와 정체성 사이] (PDF). 시대 73쪽. ISBN 978-9951040556.
- ^ 사비치 2022.
- ^ Cr ăciun 2023, pp. 79–80.
- ^ Cr ăciun 2023, pp. 79–81.
- ^ a b Cr ăciun 2023, pp. 77–81.
- ^ Wilkes 1992, p. 145, Crossland 1982, p. 849, Papazoglu 1969, pp. 101–104, Stipchevich 1989, pp. 22–23.
- ^ Buqinca 2021, pp. 522–524.
- ^ 부킨카 2021, 216쪽.
- ^ 윌크스 1992, 페이지 92.
- ^ 부이치치 2021, 페이지 505.
- ^ 보테바 2021, 410쪽.
- ^ a b Boteva 2021, p. 411
- ^ 라마 2021, 페이지 114.
- ^ 알라즈 2019, 18페이지
- ^ 알라즈 2019, 14쪽.
- ^ Alaj 2019, p. 15
- ^ BRNJICA Cultural Group Milorad Stoji의 지역적 특성] 베오그라드 고고학 연구소 '최근까지 BRNJICA Cultural Group (또는 Cultural Group Donja Brnjica – Gornja Stra'ava)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주로 네크로폴리스를 중심으로 15개 정도의 현장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합니다.1 정착지 및 거주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었습니다.2 브렌지카 공동체의 총 고고학적 수집품은 300개 미만에 달했으며 대부분 도자기 그릇이었습니다.3 이 문화 집단은 발칸-다누브 복합 지역과 언어학자들이 다코-모에시안으로 표시하는 요소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면서, 청동기 시대 전체를 통해 확실하게 따라야 할 긴 진화의 마지막 단계인 »로 특징지어졌습니다. 따라서 이 집단의 발견은 다르다니 민족 발생에서 비 일리리아적 요소와 동일시될 수 있었습니다.«4'
- ^ 브란지카 문화단 밀로라드 스토지의 지역적 특성] 베오그라드 고고학 연구소
- ^ a b c Shukriu 2008, p. 9.
- ^ 가브릴로비치 비타스 2021, 페이지 3.
- ^ Vujčić 2021, pp. 504–505.
- ^ a b c d e Petrovich 2006, 8쪽.
- ^ Robert Malcolm Errington (1990). A History of Macedo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60. ISBN 978-0-520-06319-8.
- ^ Hammond 1988, 253쪽
- ^ a b Petrovich 2006, 9쪽.
- ^ Hammond 1988, 338쪽
- ^ 에링턴 1990, 185쪽.
- ^ 마케도니아 5권 헬레니즘 문화와 사회의 역사, 로버트 말콤 에링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90, ISBN 0-520-06319-8, ISBN 978-520-06319-8 페이지 174
- ^ Eckstein 2008, pp. 34–35.
- ^ Hammond 1988, 335쪽
- ^ Hammond 1988, 404쪽
- ^ Hammond 1988, 420쪽
- ^ Hammond 1988, p. 470
- ^ Hammond 1988, 페이지 491
- ^ Mócsy 2014, p. 10.
- ^ a b 파파조글루 1978, 173쪽.
- ^ Mócsy 2014, p. 12.
- ^ Mócsy 2014, p. 15.
- ^ Wilkes 1992, 페이지 140
... 트라보가 말한 대로, 3세기 초 켈트족 스코르디시에 의해 그들이 차례로 정복될 때까지, 트리발리족을 희생시킨 아우타리아에.
- ^ 마이클 로스토프체프, 로마제국의 사회경제사 (Oxford 1957), 242-243
- ^ Kosova의 선사와 골동품 역사, Edi Shukriu, 18쪽
- ^ https://www.balkaninstitut.com/pdf/izdanja/B_XXXVII_2007.pdf[맨 URL PDF]
- ^ a b Wilkes 1992, 210쪽
여기서 다르다니아의 옛 이름은 다키아의 모에시아 프리마와 함께 모에시아에서 형성된 새로운 속주로 나타납니다(트라야누스의 옛 속주가 아니라... 비록 그 선은 확실하지 않지만, 다르다니아인의 대부분이 일리리쿰에서 제외되었고 모에시아 지방의 일부가 될 것이라는 것은 거의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
- ^ Papazoglu 1978, 445쪽
다르다니안 왕국이 상당한 수의 부족과 부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가정은 스트라보의 다음과 같은 진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파파조글루 1978, 216쪽
- ^ Dzino 2008, p. 188.
- ^ 파파조글루 1978, 187쪽
- ^ a b Wilkes 1992, 85쪽
다르단족이 일리리아인인지 트라키아인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어 왔으며, 한 견해에 따르면 이 지역은 원래 트라키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었고 그들은 오랜 기간 동안 일리리아인들과 직접 접촉했습니다. [...] 이러한 사태의 의미는 기존의 일리리아 인구에 대한 '트라키아화'(일부는 트라키아화)의 개념에서부터 그 정반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습니다. 후자는 다르다니아의 일리리아어 이름들과 그들의 서쪽에 있는 남부의 일리리아어 이름들, 롱가루스, 바토, 모누니우스, 에투타, 그리고 후기의 비문들, 에피카두스, 세르비아에두스, 투타, 타임즈, 그리고 신나의 이름들이 밀접하게 일치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 ^ a b Wilkes 1992, 페이지 86
... 다르다누스의 통치자들과 롱가로스와 바토와 모누니우스와 에투타의 이름을 포함하고, 이후의 비문에도 에피카두스와 세르비아에두스와 투타, 타임스와 신나가 있습니다. 다른 다르단 이름들은...
- ^ a b c 부킨카 2021, 페이지 133.
- ^ Phillip Harding (21 February 1985). From the End of the Peloponnesian War to the Battle of Ip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3. ISBN 978-0-521-29949-7.
Grabos became the most powerful Illyrian king after the death of Bardylis in 358.
- ^ Heckel 2006, 페이지 64
- ^ Wilkes 1996, p. 120
- ^ Heckel 2006, 페이지 86
- ^ Hammond 1988, p. 47
- ^ 카바네스 2002, 페이지 50–51, 56, 75.
- ^ 모텐슨 1991, 49-59쪽.
- ^ 레인 폭스 2011, 페이지 342.
- ^ 부이치치 2019, 페이지 115.
- ^ 부이치치 2021, pp. 501–504.
- ^ 부킨카 2021, 페이지 131, 133.
- ^ Buqinca, Arianit (2022). Dardanët e Ilirisë (VI - I p.e.s.) (in Albanian) (1st ed.). Prishtina: Instituti Albanologjik. p. 48. ISBN 978-9951-24-155-7.
- ^ 페트로비치 2019, 24쪽.
- ^ Aelian; Diane Ostrom Johnson (June 1997). An English translation of Claudius Aelianus' Varia historia. E. Mellen Press. ISBN 978-0-7734-8672-0.
- ^ a b 파파조글루 1978, 517쪽
다르다니 사람들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 대해가 아니라, 그들이 살면서 단지 세 번 목욕했을 뿐이라는 말이 나온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 예상대로 더러운 사람들에게가 아니라, 비참한 사람들(ἐπὶ τῶν φειδωλῶν)에게 적용되었습니다! 분명히 그리스인들에게 목욕을 하느냐 마느냐는 비용과 재정적인 수단의 문제에 불과했습니다.
- ^ 고전고유물사전(1898) "...일리아 민족인 다르단 사람들은 태어나서, 결혼해서, 죽은 후에 세 번만 목욕한다고 합니다."
- ^ James Oliver Thomson (1948).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Biblo & Tannen Publishers. pp. 249–. ISBN 978-0-8196-0143-8.
- ^ a b 스트라보, 7.5 "다르다니안 사람들은 너무 야생적이어서 똥 언덕 아래 동굴을 파고 그곳에 살지만 여전히 음악을 아끼고 플루트와 현악기를 모두 사용합니다."
- ^ 파파조글루 1978, 224쪽.
- ^ 파파조글루 1978, 245쪽.
- ^ 카티치치, 라도슬라프 (1964b) "Die Neuesten Forschungen über die in den Illlyrischen Provinzen"의 베낙 (1964a) 9-58 카티치, 라도슬라프 (1965b) "Zur frage der keltischen und panonischen Namengebieten im Römischen Dalmatien" ANUBIH 3 GCBI 1, 53-76
- ^ 카티치치, 라도슬라프 발칸 반도의 고대 언어들. 헤이그 - 파리 (1976)
- ^ Waldman, Carl; Mason, Catherine (2006).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Infobase Publishing. p. 205. ISBN 1438129181.
According to ancient sources, the Dardani, variously grouped but probably Illyrians, lived west of present-day Belgrade in present-day Serbia and Montenegro in the third century B.C.E, their homeland in the ancient region of Thrace (and possibly there since the eight century B.C.E).
- ^ Joseph Roisman; Ian Worthington (7 July 2011).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John Wiley & Sons. p. 301. ISBN 978-1-4443-5163-7.
- ^ 루사코프 2017, 페이지 555.
- ^ Shukriu 2008, p. 11.
- ^ Shukriu 2008, p. 10.
서지학
- Alaj, Premtim (2019). Les habitats de l'Age du fer sur le territoire de l'actuel Kosovo (Thesis). Université de Lyon.
- Baliu, Begzad (2012). Onomastikë dhe identitet [Onomastics and Identity] (PDF) (in Albanian). Era. ISBN 978-9951-04-071-6.
- Boteva, Dilyana (2021). Mitthof, Fritz; Cenati, Chiara; Zerbini, Livio (eds.). "Society and Myths: How was the Name of Moesia Invented?". Ad Ripam Fluminis Danuvi: Paper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Roman Danubian Provinces, Vienna, 11th–14th November 2015.
- Buqinca, Arianit (2021). Recherche sur les Dardaniens : VIe- Ier siècles av. J.- C. (Thesis) (in French). Université de Lyon. OCLC 1254025622.
- Cabanes, Pierre (2002) [1988]. Dinko Čutura; Bruna Kuntić-Makvić (eds.). Iliri od Bardileja do Gencia (IV. – II. stoljeće prije Krista) [The Illyrians from Bardylis to Gentius (4th – 2nd century BC)] (in Croatian). Translated by Vesna Lisičić. Svitava. ISBN 953-98832-0-2.
- Crăciun, Radu (2023). "Diellina, një bimë trako-dake me emër proto-albanoid" [Diellina, a Thracian-Dacian plant with a Proto-Albanoid name]. Studime Filologjike. Centre of Albanological Studies (1–2): 77–83. doi:10.62006/sf.v1i1-2.3089. ISSN 0563-5780.
- Crossland, R. A. (1982). "Linguistic problems of the Balkan area in late prehistoric and early classical periods". In J. Boardman; I. E. S. Edwards; N. G. L. Hammond; E. Sollberger (ed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Prehistory of the Balkans; and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world, tenth to eighth centuries B.C. Vol. III (part 1) (2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24969.
- Darlishta, Hana (2019). Овоштарската лексика на албанските говори во Македонија (Thesis). Ss. Cyril and Methodius University of Skopje.
- Demiraj, Bardhyl (1997). Albanische Etymologien: Untersuchungen zum albanischen Erbwortschatz. Leiden Studies in Indo-European (in German). Vol. 7. Amsterdam, Atlanta: Rodopi. ISBN 9789042001619.
- Dzino, Danijel (2008). "Strabo 7, 5 and imaginary Illyricum". Athenaeum. Edizioni New Press. 96 (1): 173–192.
- Elsie, Robert (1998). "Dendronymica Albanica: A survey of Albanian tree and shrub names" (PDF). Zeitschrift für Balkanologie (34): 163–200.
- Elsie, Robert (2015).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Society and Culture. I.B.Tauris. ISBN 9780857739322.
- Eckstein, Arthur M. (2008). Rome Enters the Greek East From Anarchy to Hierarchy in the Hellenistic Mediterranean, 230–170 BC.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1-4051-6072-8.
- Errington, Robert Malcolm (1990). A History of Macedonia. Hellenistic culture and society. Vol. 5.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6319-8.
- Falileyev, Alexander (2020). "The Silent Europe La Europa silenciosa". Palaeohispanica (20): 887–919. doi:10.36707/palaeohispanica.v0i20.372. ISSN 1578-5386. S2CID 230710587.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1966). "The Kingdoms in Illyria circa 400-167 B.C.". The Annual of the British School at Athens. British School at Athens. 61: 239–253. doi:10.1017/S0068245400019043. JSTOR 30103175. S2CID 164155370.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1967). Epirus: the Geography, the Ancient Remains, the History and Topography of Epirus and Adjacent Areas. Clarendon Press. ISBN 0198142536.
-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1988). A History of Macedonia: 336-167 B.C.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14815-9.
- Heckel, Waldemar (2006). Who's Who in the Age of Alexander the Great: Prosopography of Alexander's Empire. Wiley. ISBN 978-1-4051-1210-9.
- Lane Fox, R. (2011). "Philip of Macedon: Accession, Ambitions, and Self-Presentation". In Lane Fox, R. (ed.). Brill's Companion to Ancient Macedon: Studies i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acedon, 650 BC – 300 AD. Leiden: Brill. pp. 335–366. ISBN 978-90-04-20650-2.
- Lewis, D. M.; Boardman, John (1994).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3348-4.
- Lippert, Andreas; Matzinger, Joachim (2021). Die Illyrer: Geschichte, Archäologie und Sprache. Kohlhammer Verlag. ISBN 9783170377103.
- Mócsy, András (2014) [1974]. Pannonia and Upper Moesia: A History of the Middle Danub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New York: Routledge. ISBN 9781317754251.
- Mortensen, Kate (1991). "The Career of Bardylis". The Ancient World. Vol. 22. Ares Publishers. pp. 49–59.
- Orel, Vladimir (1998).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ISBN 90-04-11024-0.
- Papazoglu, Fanula (1969). Srednjobalkanska plemena u predrimsko doba. Tribali, Autarijati, Dardanci, Skordisci i Mezi. Djela - Akademija nauka i umjetnosti Bosne i Hercegovine. Odjeljenje društvenih nauka (in Croatian). Vol. 30. Sarajevo: Akademija nauka i umjetnosti Bosne i Hercegovine.
- Papazoglu, Fanula (1978). The Central Balkan Tribes in pre-Roman Times: Triballi, Autariatae, Dardanians, Scordisci and Moesians. Amsterdam: Hakkert. ISBN 9789025607937.
- Petrović, Vladimir P. (2006). "Pre-roman and Roman Dardani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siderations". Balcanica (37): 7–23. doi:10.2298/BALC0637007P.
- Petrović, Vladimir P. (2019). Les voies et agglomérations romaines au cœur des Balkans: Le cas de la Serbie. Scripta Antiqua. Ausonius Éditions. ISBN 9782356133243.
- Rama, Zana (2021). "Dardania in late antiquity: An overview of 4th-6th century fortification in the territory of Kosovo". Archaeologia Adriatica. 14 (1). doi:10.15291/archeo.3392. S2CID 244293507.
- Rusakov, Alexander (2017). "Albanian". In Mate Kapović (ed.). The Indo-European Languages (2nd ed.). Routledge. ISBN 978-1-315-67855-9.
- Šašel Kos, Marjeta (2005). Appian and Illyricum. Narodni muzej Slovenije. ISBN 961616936X.
- Šašel Kos, Marjeta (2010). "Peoples on the northern fringes of the Greek world: Illyria as seen by Strabo". In Jean-Luc Lamboley, Maria Paola Castiglioni (ed.). L'Illyrie méridionale et l'Épire dans l'Antiquité V: Actes du Ve colloque international de Grenoble (8–11 octobre 2008). L'Illyrie méridionale et l'Épire dans l'Antiquité (V). Vol. 2. De Boccard Editions. pp. 617–629. ISBN 9782951943339.
- Savić, Danilo (2022). "Some Illyrian Ethnonyms and Their Supposed Albanian Cognates". Belgrade Linguistics Days. 1: 449–463. doi:10.18485/belida.2022.1.ch18. hdl:21.15107/rcub_dais_13349.
- Savić, M. M. (2015). "Material culture of Dardan's in pre-roman period". Baština (in Serbian) (39): 67–84.
- Shukriu, Edi (2008). "Prehistory and Antique History of Kosova" (PDF). Thesis Kosova.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October 2022. Retrieved 23 September 2020.
- Shukriu, Edi (1996). Dardania paraurbane: studime arkeologjike të Kosovës [Pre-urban Dardania: Archaeological Studies of Kosova]. Biblioteka "Fryma" (in Albanian). Vol. 13. Pejë: Dukagjini.
- Stipčević, Aleksandar (1989). Iliri: povijest, život, kultura [The Illyrians: history and culture] (in Croatian). Školska knjiga. ISBN 9788603991062.
- Gavrilović Vitas, Nadežda (2021). Ex Asia et Syria Oriental Religions in the Roman Central Balkans. Archaeopress Roman Archaeology. Vol. 78. Archaeopress Publishing LTD. ISBN 978-1-78969-914-2.
- Vujčić, Nemanja (2019). "The Army of Lysimachus after Corupedium". Antiquité Vivante / Živa antika. 69 (1–2): 109–122. doi:10.47054/ZIVA19691-2109v. ISSN 0514-7727. S2CID 245589829.
- Vujčić, Nemanja (2021). "The City of Pelion and the Illyrian War of Alexander".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61.
- Wilkes, John (1996) [1992]. The Illyrians. Wiley. ISBN 978-0-631-19807-9.
- Wilkes, John (2012). "Dardani". In Hornblower, Simon; Spawforth, Antony; Eidinow, Esther (eds.).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UP Oxford. p. 414. ISBN 978-0-19-954556-8.
- Zahariade, Mihail (2009). Ovidiu Țentea, Florian Matei-Popescu (ed.). The Thracians in the Roman Imperial Army: From the First to the Third Century A.D. The Center for Roman Military Studies. Vol. 1. Mega Publishing House.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Dardani(발칸)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