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소마과

Crossosomataceae
크로스소마과
Crossosoma californicum.jpg
크로소마칼리포니쿰
과학적 분류 e
왕국: 플랜태
Clade: 기관지 식물
Clade: 혈관배양액
Clade: 유디코트
Clade: 로지드
주문: 크로스소마목
패밀리: 크로스소마과
영어[1]

크로스소마과(Crossosomataceae)는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의 건조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4개 관목으로 이루어진 작은 과이다.이 과는 [2]과거 최대 10종을 포함했지만 2021년 현재 6종이 여전히 알려져 있다.[3][4][5][6]십자종은 키가 50cm에서 5m까지 다양할 수 있는 관목 같은 식물로 줄기를 둘러싼 작은 교대로 된 잎 또는 작은 돌기로 [7]뭉쳐 있는 잎을 가지고 있다.그러나 아파헤리아는 반대 [3]잎을 가지고 있다.크로스소마는 보통 양성애자이고 5개의 꽃잎이 [7]넥서리 디스크에 붙어있는 하얀 꽃을 가지고 있지만, 벨라스코아에서는 꽃은 캄파뉴컬이고 넥서리 [3]디스크가 극도로 감소합니다.

레퍼런스

  1. ^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2. ^ Christenhusz, M. J. M. & Byng, J. W. (2016).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Phytotaxa. 261 (3): 201–217. doi:10.11646/phytotaxa.261.3.1.
  3. ^ a b c Calderon, Graciela; Rzedowski, Jerzy (1997). "Velascoa (Crossosomataceae), un género nuevo de la Sierra Madre Oriental de México" [Velascoa (Crossosomataceae), a new genus from the Sierra Madre Oriental of Mexico]. Acta Botanica Mexicana (in Spanish). 39: 53–59. doi:10.21829/abm39.1997.776.
  4. ^ a b Mason, Charles T., Jr.; Yatskievych, George (15 January 2015). "Crossosoma bigelovii".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9: Magnoliophyta: Picramniaceae.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ISBN 9780195340297.
  5. ^ a b Mason, Charles T., Jr.; Yatskievych, George (15 January 2015). "Glossopetalon".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9: Magnoliophyta: Picramniaceae.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ISBN 9780195340297.
  6. ^ a b Allen, Maya L.; Ayers, Tina (25 October 2021). "A Revised Classification of Glossopetalon (Crossosomataceae) Based on Restriction Site-Associated DNA Sequencing". Systematic Botany. 46 (3): 562–572. doi:10.1600/036364421X16312067913417.
  7. ^ a b 리처드슨, P. (1970년)크로스소마과의 형태학.I. 리프, 줄기 및 노드토레이 식물 클럽 회보, 97(1), 34-39. doi:10.2307/2483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