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강 건너기
Crossing of the Rhine반달족, 알란족, 수에비족 등이 섞여 라인 강을 건너는 것은 전통적으로 406년 마지막 날(406년 12월 31일)에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1] 그 건널목은 후기 로마 제국의 가장 안전한 한계나 경계를 통과했고 그래서 그것은 제국의 쇠퇴기에 있는 기후적인 순간이었다. 그것은 북부 가울에서 로마 도시 파괴와 로마 시민 질서의 붕괴의 파장을 일으켰다. 그것은 결국 브리타니아 지방에서 세 명의 흉악범이 연이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라인 강을 건너는 것은 여러 게르만 부족이 스칸디나비아 남부와 게르마니아 북부에서 서쪽으로 남하한 이주기의 표식기일이다.
고대 출처
몇 개의 서면 계정은 그의 연도별 연대기에서 406년 12월 31일을 확정일로 하는 아키타인의 프로브란스 시선으로 보충하여 건널목을 기록하고 있는데, "아르카디우스와 프로부스의 여섯 번째 집정관에서 반달스와 알란스는 1월 칼날 전날 라인 강을 건넌 가울에 들어왔다."[2]
베들레헴에서 409년까지의 날짜로 쓰여진 제롬의 편지에는 관련된 야만족(콰디, 반달족, 사르마티아족, 알란스족, 게피스족, 헤르룰스족, 색슨족, 부르고뉴족, 알레만니족, 판노니아의 군대)의 긴 목록이 적혀 있다.[3] 그들 중 일부는 쿼디나 사르마티아인과 마찬가지로 역사나 문학 전통에서 따온 것이다.[4] 제롬은 현재 마인츠, 웜, 라하임, 아미앵, 아라스, 테루안, 투르나이, 스피어, 스트라스부르로 알려진 도시들을 약탈당한 것으로 나열하고 있다.[note 1]
그의 프랑크족 역사에서 6세기 역사학자 그레고리는 5세기 역사학자 레나투스 프로푸투루스 프리게리두스가 라인 강을 건널 무렵 라인 강 근방에서 벌어진 전쟁에 대해 잃어버린 구절 몇 개를 삽입했다.[note 2] "Frieridus fragment"[8]라고 학술적으로 불리는 이 본문은 건널목 이전의 상황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현대사학자 테베의 올림피오도로스는 건널목에 대한 설명을 썼는데, 이 중 소조멘, 조시무스, 포토우스의 인용구에서는 파편만이 살아남았다.[8]
해석
동기
라인 강 동쪽 둑에 처음 야만인들이 모인 것은 직접적인 증거도 없이 [10]훈족[9] 출신 난민들이나 라다게이소스가 고트족을 무찌른 잔당들이 뭉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월터 고파르트나 가이 할살 같은 학자들은 대신 야만인 집단이 흉노로부터 도망치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라인 강을 건넜다고 주장해 왔으나, 이탈리아를 보호하기 위해 라인 국경의 로마 가리스온이 약화되거나 철수했을 때 약탈하고 가울에 정착할 기회를 잡았다. 반면 피터 헤더(2009)는 이 가설이 '405년에서 408년 사이에 중부 다누비아 지방에서 출현한 침략자들의 대다수가 4세기에 그곳에 거주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로마군의 북서쪽 철수에 대한 증거 등 모든 증거를 설명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때는 약하다; '헌이 일으킨 혼란과 약탈'에서 벗어나는 것이 여전히 더 나은 설명이었다.[11]
반달-프랑크 전쟁
프리게리두스 파편에 따르면, 프랑크족과 반달족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는데, 그 속에서 프랑크족과 반달족은 패하고 있었다.[7] 맥도월(2016년)은 이 전쟁이 몇 번의 전투로 구성되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 전투에서는 프랑크족이 포에데라티로서 자신의 영토 및/또는 로마 개척지를 방어하려 했던 반면, 반달족은 동쪽 둑에서 프랑크족, 알레만니족, 부르군드족과 비슷한 포에데라티족 지위를 얻거나 라인 강을 건너려 했던 것이다.[12] 프리게리두스는 반달족이 이 군사작전에서 그들의 왕 고디기젤을 포함한 약 2만 명의 전사들을 잃었다고 말한다.[7] 반달족의 전쟁 상황이 절박해지고 있을 때 (그가 실수로 알라만니라고 이름 붙인) 알란족이 반달족을 구하러 왔고, 연합군은 결정적인 전투에서 프랑크족을 격파한 것으로 보인다.[7] 프리게리두스는 이 전투의 날짜도 정확한 장소도 언급하지 않고 다만 반달-프랑크 전쟁에 개입하기 위해 알란군이 라인 강에서 '떠나왔다'는 뜻만 내비쳤기 때문에 강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벌어진 것이 틀림없었다.[7] 맥도월은 이 마지막 전투가 '아마도 406년 여름이나 가을에 어느 정도 벌어졌을 것이며, 반달족과 그 동맹국들이 라인 중턱의 프랑크 영토로 이주할 수 있게 했다'[12]고 추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다음 선거 운동에서 더 좋은 날씨를 기다리기 위해 겨울 숙소에 머물러야 한다는 현대의 군사 논리에 맞서 프로스페르는 반달족과 알란족이 한겨울에 라인 강을 건넜다고 주장했는데, 그것은 맥도왈이 주장하는 바는 그들이 굶주리고 필사적이었을 때, 그리고 그들이 방금 정복한 땅들만이 이치에 맞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프랑크족 출신은 그들에게 모든 사람들에게 충분한 음식을 제공하기에 부족했다.[12]
위치
제롬은 자신의 침입으로 황폐해진 도시 리스트에서 먼저 마인츠(모곤티아쿰)를 언급하고 있는데, 당시 마인츠 강을 건너는 로마식 돌기둥 다리가 있었는데, 그 다리는 폰스 인제니오사(Pons Inseniosa)라고 불렸으며, 반달족은 굶주리고 있었을지도 모른다(한겨울에 라인 강을 건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따라서 플루를 위해 마인츠를 급습하기로 했다.식량 공급에 더하여, 맥도월 (2016)과 같은 학자들이 라인 강을 건널 수 있는 장소였다고 추측하는 이유다.[12] 벌레(Vangionum)와 스트라스부르(Argentoratum)는 라인 강에 있는 다른 두 개의 로마 도시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남쪽으로의 초기 횡단도 똑같이 그럴듯하게 보일 수 있다(만약 그것이 필요하지도 않은 서쪽 둑에서 도시를 약탈하는 것과 함께 있었다고 가정한다면, 이 도시들 사이에 언제든지 약탈될 수 있었다). 405/6 건널목과 제롬의 409 편지). 반면 북쪽의 니메겐(노비오마거스)과 쾰른(콜로니아)의 하류 강 요새는 마인츠의 바로 서쪽에 위치한 트리에르(아우구스타 트레버룸)가 그랬듯이 야만인들이 그대로 방치한 것이 분명했다.[13] 제롬은 370년까지 트리어(Trier)에 살았기 때문에 침략자들이 자신의 옛 고향을 공격했다면 신고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그는 그런 언급은 하지 않는다.[14]
겨울왕국?
건널목을 쉽게 만드는 얼어붙은 라인(Line)은 어떤 현대의 출처에서도 증명되지 않고, 18세기 역사가 에드워드 기브본(Edward Gibbon)이 만든 그럴듯한 추측이었다. 그 후 많은 작가들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얼어붙은 라인강을 언급했지만, 기본 자신에게는 반달족, 알란족, 수비가 그렇게 쉽게 라인 강을 건널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설일 뿐이었다.[12] 또한 그들이 로마 라인 다리를 사용했거나 이주하는 민족들이 단순히 배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12]
언가드 라인?
라인 강을 가로지르는 이란-게르마니아계 악단들이 왜 로마 쪽에서 조직화된 군사적 저항을 받지 않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일반적인 가설은 로마의 장군 스틸리코가 402년 라인 국경의 성전들을 고갈시켜 이탈리아의 알라리치 1세의 비시가토스식 침략에 직면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1] 고파트는 스틸리코를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시인 클라우디안(died c. 404)의 글을 근거로 이 가설을 찬동했다; 장군은 고트족이 이탈리아에서 쫓겨날 때까지 당분간 라인강 변방의 방어를 로마 포에데라티인 프랑크족과 알라만니족에게 맡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나아가 프리게리두스 파편은 프랑크족이 처음에 라인 강을 건너는 것을 막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알란족이 싸움에 가담하자 더 이상 제지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8] 그러나 헤더(2009년)는 이 시기에 서북쪽에서 로마군이 철군했다는 증거가 미약하다고 지적했다.[11]
베인스와 쿨리코프스키가 제안한 대안적 데이트
마이클 쿨리코프스키의 2000년 논문은 전통적인 역사학에서 "기술적으로 어려운 사건들의 연속"이 그가 기브본과 서로 의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현대 역사학자들의 계정을 우회하고 문학의 근원을 재분석했다는 것을 발견했다.[15] 그의 결론은 405년 12월 31일 라인강의 한겨울 횡단 날짜는 벨기카, 가울, 브리타니아에서의 사건 연대를 보다 일관성 있게 제시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먼 H. 베인즈가 내세웠던 논쟁의 부활인 쿨리코프스키의 데이트 이론은 앤서니 버리의 강력한 도전을 받았다.[16]
프로스퍼 계정 문제
쿨리코프스키는 어떻게 406이 선정되게 되었는지를 설명했다. 프로부스를 공동 콘술로 하는 아르카디우스의 여섯 번째 영사는 406에 해당한다. 프로스페르는 라다가이수스의 이탈리아 침공을 406년에 실제로 일어난 그의 죽음과 함께 전년의 주요 사건으로 지적하고, 콘스탄티누스 3세의 즉위 이듬해(407)에 정확하게 배속하였다. 쿨리코프스키는 "세 개의 출품작들은 연관되어 있으며, 함께 일종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관측했다. 그는 "퍼블리시티는 연대기를 쓰고 있었고 장르는 공백기를 혐오했다. 그가 선택한 장르가 3년에 한 번씩 출품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프로스퍼는 단지 그의 일련의 사건들을 한 해에 한 건씩 나누어 주었다. 그는 연대기의 다른 곳에서도 같은 일을 한다"[17]고 말했다.
마르쿠스 공국
Kulikowski noted a contradiction between Prosper's date and the assertions made by a fragment of Olympiodorus of Thebes, Zosimus's New History (vi.3.1) and Orosius that the Rhine crossing and the presence of barbarians in Gaul provoked the usurpation of Marcus in Britannia: the latter occurred in the course of 406, thus preceded the 31 December 406 날짜, 그러므로 라인 건널목은 더 일찍 일어났을 것이다. 쿨리코프스키가 제안한 405년 12월 31일의 날짜는 라인 강을 건넌 후 가울에 야만인이 주둔하는 것에 대한 두려운 반응으로 특징지어졌던 브리타니아 최초의 침략자들의 갈채를 담고 있다.[18]
스틸리코의 무행동
전통적인 날짜인 406년 12월 31일을 염두에 두고, 때때로 일리리아에서의 야망에 초점을 맞춘 그의 전략에 귀속되는 스틸리초의 무작용으로 많은 것이 만들어졌다. 쿨리코프스키의 날짜는 405년 12월 31일이며, 마침내 극복하지 못한 라다게이수스의 군대(406)와 투시아에서 완전히 점령된 스틸리쵸를 406년 8월까지 처형한 것을 발견한다.[19]
여파
아쿠아에 플라비아에의 히다티우스 주교에 따르면, 야만인들은 409년 9월이나 10월에 스페인으로 건너갔다. 라인 강을 건널 때와 스페인을 침공할 때 가울에 있는 반달족, 알란족, 수에비의 행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8] 투어의 그레고리는 단지 '반달족이 자신들의 나라를 떠나 건데릭 왕 밑에서 가울에 쳐들어왔다'고만 언급한다. 그리고 가울이 완전히 버려졌을 때, 그들은 스파인 가족을 위해 만들었다. 수비, 즉 [알란스]가 그들을 따라 갈리시아를 사로잡았다.'[7] 쿨리코우스키는 제롬의 편지에 근거하여 반달족, 알란족, 수에비족은 적어도 409년 봄(제롬의 편지의 가장 이른 날짜)까지는 북부 가울에 머물렀을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왜냐하면 제롬이 열거한 야만족들에 의해 약탈당한 거의 모든 도시들이 북쪽에 위치해 있었고, 툴루즈(톨로사)의 남부 도시들은 그렇게 많은 pa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침략자들을 물리칠 수 있었고, 그들은 아직 스페인으로 건너가지 않았다.[13]
참고
- ^ "무수히 많은 사바지 부족들이 가울의 모든 곳을 지배했다. 알프스와 피레네 산맥 사이, 라인 강과 바다 사이, 온 나라가 쿼디, 반달스, 사르마티아, 알란스, 게피드, 헤르룰스, 색슨스, 부르고뉴, 알레만니, 그리고—알라스!의 무리들에 의해 공동의 위용을 위해 황폐화되었다.—판노니아인까지. "아수르는 그들과도 함께 한다." [=시편 83:8 참조] 한때 귀족이었던 모군티아쿰[=마인츠]의 도시가 함락되어 파괴되었다. 교회에서 수천 명이 학살당했다. 오랜 포위공격 끝에 방기눔[=벌레]의 백성은 격퇴되었다. The powerful city of Remorum [=Rheims], the Ambiani [=Amiens], the Altrebatæ [=Arras], the Morini [=Thérouanne] on the skirts, Tornacum [=Tournai], the Nemetæ [=Speyer], and Argentoratus [=Strasbourg] have fallen to Germania: while the provinces of Aquitaine and of Novempopulania, of Lugdunensis [=Lyon] and Narbonensis [=Narbonne] are, with the ex몇 개의 도시, 하나의 보편적인 황폐의 광경 칼이 없는 자들은 기근이 들게 되고 나는 엑수페리우스 주교의 공덕에 지금까지 떨어지지 않고 있는 툴루즈의 눈물 없이는 말할 수 없다. 심지어 스파인들도 사이므리의 침략을 기억하면서 매일같이 파멸의 위기에 처해 있고, 또 다른 사람들은 실제로 한번의 불행을 겪는 반면, 그들은 계속해서 기대 속에서 고통을 겪는다." – 제롬, 아게루치아에게 보내는 편지 123편지([5][6]c. 409).
- ^ "Renatus Profuturus Frigeridus, whom we have already mentioned, in his story of the capture and destruction of Rome by the Goths, says: "Meantime when Goare had gone over to the Romans, Respendial, king of the Alamanni, turned the army of his people from the Rhine, since the Vandals were getting the worse of the war with the Franks, having lost their 왕 고데기실, 그리고 약 2만명의 군대와 모든 반달족은 알라만니의 군대가 [주: 알라니[알라니]를 위한 알라만니는 제때에 그들을 도우러 오지 않았소." 그가 다른 나라의 왕들을 지명할 때 프랑크의 왕도 지명하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놀라운 일이다." – 투어의 그레고리는 프랑크의 역사 (2권 9장)에서 프리게리두스 (프리에리두스 단편)[7]를 인용했다.
참조
- ^ Jump up to: a b "The Roman Decline". Empires Besieged. Amsterdam: Time-Life Books Inc. 1988. p. 38. ISBN 0705409740.
For on the bitterly cold night of December 31, 406, there was apparently no Roman army on guard when a host of Vandal, Alan, Suevi and Burgundian warriors, with their families and possessions, crossed the frozen Rhine and headed southwest through Gaul. This time, Rome's frontiers had been breached by barbarians who meant to stay.
- ^ 아르카디오 6세 외 프로보, 완달리 외 할라니 갈리아스는 레노 수신기 II k 궤도를 돌린다. 이안; Kulikowski가 인용한 2000:328.
- ^ 제롬, 아게루치아 123.16: Quadus, Vandalus, Sarmata, Halani, Gipedes, Heruli, Soxones, Burgundiones, Alemanni et o Lugenda respublica! - hostes Pannoni! - hostes.
- ^ "Barbarians in Gaul, Usurpers in Britain" 브리타니아 31(2000:325–345) 페이지 326은 이것을 "긴하고 공상적인 목록"이며 "분명히 민족적 기교를 보여주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부른다.
- ^ Jerome (translated by Philip Schaff) (409). "Letter CXXIII. To Ageruchia".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Mathisen, Ralph W. (2003). People, Personal Expression, and Social Relations in Late Antiquity, Volume 2.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 101–102. ISBN 9780472112463. Retrieved 4 September 2020. (라틴 원문).
- ^ Jump up to: a b c d e f 투어의 그레고리, 프랑크족의 역사. 제2권. 제9장
- ^ Jump up to: a b c d e Goffart, Walter (2010). Barbarian Tides: The Migration Age and the Later Roman Empi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 95–98. ISBN 9780812200287. Retrieved 2 September 2020.
- ^ 피터 헤더, in: English History Review 110 (1995)
- ^ 드링크워터 1998
- ^ Jump up to: a b Heather, Peter (2009). "Why Did the Barbarian Cross the Rhine?". Journal of Late Antiqui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1): 3–29. doi:10.1353/jla.0.0036. Retrieved 2 September 2020.
- ^ Jump up to: a b c d e f MacDowall, Simon (2016). The Vandals. Barnsley: Pen and Sword. p. 37–43. ISBN 9781473880221. Retrieved 5 September 2020.
- ^ Jump up to: a b Davison, Christine Rachel (July 2013). Barbarian agency and imperial withdrawal: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political change in fourth- and fifth-century Trier and Cologne (PDF). Sheffield: University of Sheffield. p. 59.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Lanting, J. N.; van der Plicht, J. (2010). "De 14C-chronologie van de Nederlandse Pre- en Protohistorie VI: Romeinse tijd en Merovische periode, deel A: historische bronnen en chronologische thema's". Palaeohistoria 51/52 (2009/2010) (in Dutch). Groningen: Groningen Institute of Archaeology. p. 46. ISBN 9789077922736.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마이클 쿨리코스키, "Barbarians in Gaul, Usurpers in Britain" 브리타니아 31(2000:325–345)
- ^ 앤서니 버리(Anthony Birley), 2005년 옥스포드(Oxford) 페이지 458.
- ^ 쿨리코프스키 2000:329
- ^ 쿨리코프스키 2000:325
- ^ 피터 헤더, 고츠, 로마인 1991년 199-213
원천
- Drinkwater, John F, "우도독자 콘스탄티누스 3세 (407–411)와 조비누스 (411–413)", 브리타니아 29세 (1998), 269–98.
- Heather, Peter (2006).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954-3.
- 쿨리코프스키, 마이클, "갈의 바바리안, 영국의 우스퍼" 브리타니아 31(2000), 325–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