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피질
Cingulate cortex천공피질 | |
---|---|
세부 사항 | |
의 일부 | 대뇌피질 |
동맥 | 전뇌 |
정맥 | 상궁정맥동 |
식별자 | |
라틴어 | 코텍스 칭구리스, 회교 신구리 |
약어 | CG |
메슈 | D006179 |
NeuroNames | 159 |
NeuroEx ID | 버넥스_798 |
TA98 | A14.1.09.231 |
TA2 | 5513 |
FMA | 62434 |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
정관 피질은 대뇌 피질의 내적 측면에 위치한 뇌의 한 부분이다. 응고피질은 말뭉치 바로 위에 있는 응고된 회반죽 전체를 포함하며, 이것이 계속되어 응고된 설상구균이 된다. 정강 피질은 보통 변연엽의 일부로 간주된다.
그것은 시상하부와 신피질로부터 입력을 받고, 천막을 통해 뇌피질에 투영된다. 그것은 변연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감정 형성과 처리,[1] 학습,[2] 그리고 기억과 관련이 있다.[3][4] 이 세 가지 기능의 결합은 동기적 결과를 행동과 연결시키는 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한다(예를 들어, 어떤 행동이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유도하여 학습을 초래한다).[5] 이 역할은 우울증이나[6] 정신분열증과 같은 질환에서 정맥피질을 매우 중요하게 만든다.[7] 집행기능과 호흡기 조절에도 역할을 한다.
어원
cingulate라는 용어는 라틴어 cingulatus에서 유래되었다.[citation needed]
구조
뇌 사이토건축학을 바탕으로 브로드만 영역 23, 24, 26, 29, 30, 31, 32, 33으로 나뉜다. 26, 29, 30 지역은 보통 회고전 지역이라고 불린다.
전측응고피질
이는 콘스탄틴 폰 이코노코와 베일리, 폰 보닌의 브로드만과 LA의 24, 32, 33 지역에 해당한다. 그것은 말뭉치의 게누 아래에 위치한 하위 유전자 영역(Brodmann 영역 25)에 의해 전방으로 계속된다. 그것은 농경학적으로 사이토 건축학적으로 중요하다. 그것은 통나무와 부루퉁한 부분이 있다. 전측방정맥피질(전측방정맥피질)은 유전적 전측방정맥피질(genu 근처)과 중간정맥피질에서 더 세분될 수 있다. 전측 응고 피질은 주로 인트라라미나 중간선 탈라믹 핵으로부터 그것의 다른 축들을 받는다. (탈라무스 참조) 전방의 핵은 마밀로-탈라믹의 추론을 받는다. 모세혈관 뉴런은 수경에서 액손들을 수신한다. 전체는 파페즈 회로로 알려진 변연계통에 신경회로를 형성한다.[8] 전측두엽 피질은 전측핵으로 축선을 보내고, 정강을 통해 다른 브로카의 변연 부위로 보낸다. ACC는 오류 및 충돌 감지 프로세스에 관여한다.
후측응고피질
이는 폰 이코노코와 베일리, 폰 본인의 브로드만 LP 23, 31 구역에 해당한다. 그것의 세포 구조는 세밀하다. 뒤이어 소뇌피질(영역 29)이 나타난다.[citation needed] Dorsally는 세분화된 31구역이다. 후측 정맥 피질은 태음부(태음부 참조)의 표피핵(또는 거짓으로 우월한 핵 LD-[citation needed])으로부터 그것의 다른 차축의 상당 부분을 받고, 그 자체가 소음부로부터 차축을 받는다. 따라서 어느 정도 파페즈의 회로를 복제한다. 또한 해마의 수경으로부터 직접 조부모를 받는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후측 응고피질 저혈당증(18F-FDG PET 포함)이 정의되었다.
전측 응결회 입력
마카크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역행추적 실험 결과, 탈하부의 복측핵(VA)과 복측핵(VL)이 각막의 운동 영역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 회향의 회향부(Brodmann 영역 26, 29, 30)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회향전상 과립피질 A, 회향전상 과립피질 B, 회향전상 이색전피질 B, 회향전피질이다. 해마 형성은 촘촘한 돌출부를 A와 B로 되뇌이고, 역행성 이형성피질에는 더 적은 돌출부를 보낸다. 후추골막은 투영법을 A와 B로 되뇌고 역추상 이형성피질로 보낸다. 등하하수체는 투영을 투영법적 과립피질 B로 보내고, 복측하수체는 투영을 역행법적 과립법 A로 보낸다. 엔토르히날 피질(Caudal parts)은 회음부 이상곡선 피질에 투영을 보낸다.[10]
전측 응결회 출력
로스트랄 정두엽(Brodmanns's area)은 로스트랄 상측두두두회, 중간두뇌전두피질 및 횡전두피질에 투영된다.[11] The ventral anterior cingulate (Brodmann's area 24) sends projections to the anterior insular cortex, premotor cortex (Brodmann's area 6), Brodmann's area 8, the perirhinal area, the orbitofrontal cortex (Brodmann's area 12), the laterobasal nucleus of amygdala, and the rostral part of the inferior parietal lobule.[11] 고양이의 앞쪽 응결 회에 밀 배아 아글루틴과 고추냉이 과산화효소 결합을 주입한 결과, 전측 응결회(Antercadish peroxidase)가 탈람 후측핵의 로스트랄 부분 및 풀바르의 로스트랄 끝과 상호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냈다.[12] 소두경은 재생성 이상곡선 피질과 재생성 과립피질 A와 B로부터 투영을 받는다. 파라수비쿨룸은 재생성 이상곡선 피질과 재생성 과립피질 A로부터 투영을 받는다. 망막 피질의 부위와 측면 부위는 재생성 이상구간 피질로부터 투영을 얻는 반면, 망막 내피질은 재생성 과립피질 A로부터 투영을 받는다. 역행성 이상곡선 피질은 경막 피질에 투영을 보낸다. 재생성 과립피질 A는 복강전두엽에 투영을 보낸다.[10]
후측 Cingulate Girus의 출력
The posterior cingulate cortex (Brodmann's area 23) sends projections to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Brodmann's area 9), anterior prefrontal cortex (Brodmann's area 10), orbitofrontal cortex (Brodmanns’ area 11), the parahippocampal gyrus, posterior part of the inferior parietal lobule, the presubiculum,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and the ret장미꽃의 [11]지방 회음피질 및 정뇌피질의 카우달 부분은 마카크원숭이에서[13] 정뇌피질(cingulate percule)을 통해 로스트랄 전전뇌피질(rostral frontal cortex)과 연결되어 있다. 복뇌 후두엽의 정뇌피질(reshus monks)에서 후두엽의 정뇌피질과 상호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4] 또한 내측후두정두피질은 정강후두막의 후측두엽과 연결되어 있다.[14]
기타 연결
전측방정맥류는 적어도 토끼에서는 후측방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후두정맥경화회(Phostural cingulate gyrus)는 재생성피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은 말뭉치의 등측 비장의 일부분이다. 전·후측 응결회 및 전엽피질은 소두관과 전두엽으로 투영을 보낸다.[15]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중요성
3차원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절차를 사용하여 로스트랄 전측 응결회(유전성 응결회)의 체적을 측정한다. (2003) 로스트랄 전측결막회(rostral anterior cingulate gyrus)가 남성보다 대조군(건강한) 암컷이 더 크지만, 이러한 성 차이는 조현병 환자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정신분열증을 가진 사람들은 또한 통제 대상보다 유전적 응고 교리 양이 적었다.[16]
헤이즈데다르 외 (2004)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 성격장애(SPD)를 앓고 있는 사람의 전·후방 응결회 포도당의 대사율을 연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포도당의 대사율은 대조군에 비해 조현병 환자의 왼쪽 전측방정회, 오른쪽 후측방정회 등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SPD를 가진 사람들이 조현병과 대조군을 가진 사람들 사이의 어딘가에서 포도당 대사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들은 실제로 왼쪽 후측 후측 응결회에서의 대사 포도당 비율이 더 높았다. 좌뇌전측상뇌의 부피는 대조군에 비해 조현병 환자의 부피가 줄었지만, SPD를 가진 사람과 조현병 환자의 부피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정신분열증과 SPD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장애로 나타난다.[17]
조현병 환자와 그들의 건강한 1, 2급 친족에서 앞쪽 계통의 회백질 부피에 대한 연구는 조현병 환자와 그 건강한 친척들의 백질 부피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열증을 가진 사람들은 2급 친척들보다 적은 양의 회백질을 가지고 있었지만 1급 친척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그들의 1급 건강한 친척들은 모두 2급 건강한 친척들보다 더 적은 양의 회백질을 가지고 있다. 정신분열증이 있는 사람들의 회색 물질 양이 줄어든 것은 유전자가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18]
후지와라 외 (2007) 조현병 환자의 전측두엽 교리 크기를 사회적 인식, 사이코패스학, 대조군과의 감정에 대한 기능과 상관관계를 갖는 실험을 했다. 전뇌의 크기가 작을수록 사회적 기능의 수준은 낮았고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이코패스학도 높았다. 전측두엽교합은 대조군에 비해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양자간 크기가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조현병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아이큐 테스트와 안면 자극과의 기본적인 시각적 능력에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19]
요약
정신분열증이 있는 사람들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전측두엽에 차이가 있다. 전측두엽교합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19] 앞쪽 응고회 속의 회백질의 부피는 조현병 환자의 부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7][18] 건강한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큰 회전 전측 응고선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성적인 크기의 차이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없다.[16] 포도당의 대사율은 좌측 전측방정회 및 우측 후측방정회보다 낮았다.[17]
응고피질의 변화 외에도 더 많은 뇌 구조는 대조군에 비해 정신분열증 환자의 변화를 보여준다. 조현병 환자의 해마는 같은 연령대의 대조군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20] 마찬가지로 조현병 환자에 대한 종적 연구에서도 카우다이트와 푸타멘의 부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21] 회백질의 부피는 적은 반면, 조현병 환자는 측면과 제3심실의 크기가 더 크다.[22]
역사
Cingulum은 라틴어로 "벨트"를 의미한다. 그 이름은 아마도 이 피질이 상당 부분 말뭉치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을 것이다. 응고피질은 브로카(1878년)의 "대엽 변비"의 일부로서, 상등응고부(supracallosa)와 하등 해마부(infracalosal)로 구성되어 있다.[23] 변연엽은 브로카에 의해 피질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었는데, 첫째는 난연하지 않기 때문이고, 둘째는 계리가 파라사지트(횡방향 계리피케이션과 대조됨)로 방향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기생충상회오리피케이션은 비원산종에서 관찰되기 때문에 변연엽은 따라서 "최상"으로 선언되었다. 피질의 다른 부분들과 마찬가지로, 경계와 명칭에 관한 불일치가 있었고 계속 있었다. 브로드만(1909)은 세분성을 바탕으로 영역 24(전방 단면)와 23(후방 단면)을 더욱 구분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폰 이코노코(1925년) 계통에 이어 터미네랄아 아나토미카(1998년)[24]에 변연엽의 일부로 포함되었다.[25]
추가 이미지
참조
- ^ Hadland, K. A.; Rushworth M.F.; et al. (2003). "The effect of cingulate lesions on social behaviour and emotion". Neuropsychologia. 41 (8): 919–931. doi:10.1016/s0028-3932(02)00325-1. PMID 12667528. S2CID 16475051.
- ^ "Cingulate binds learning". Trends Cogn Sci. 1 (1): 2. 1997. doi:10.1016/s1364-6613(97)85002-4. PMID 21223838. S2CID 33697898.
- ^ Kozlovskiy, S.; Vartanov A.; Pyasik M.; Nikonova E.; Velichkovsky B. (10 October 2013).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ingulate Cortex and Neuropsychological Memory Tests Performance".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86: 128–133. doi:10.1016/j.sbspro.2013.08.537.
- ^ Kozlovskiy, S.A.; Vartanov A.V.; Nikonova E.Y.; Pyasik M.M.; Velichkovsky B.M. (2012). "The Cingulate Cortex and Human Memory Processes". Psychology in Russia: State of the Art. 5: 231–243. doi:10.11621/pir.2012.0014.
- ^ Hayden, B. Y.; Platt, M. L. (2010). "Neurons in Anterior Cingulate Cortex Multiplex Information about Reward and Action". Journal of Neuroscience. 30 (9): 3339–3346. doi:10.1523/JNEUROSCI.4874-09.2010. PMC 2847481. PMID 20203193.
- ^ Drevets, W. C.; Savitz, J.; Trimble, M. (2008). "The 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mood disorders". CNS Spectrums. 13 (8): 663–681. doi:10.1017/s1092852900013754. PMC 2729429. PMID 18704022.
- ^ Adams, R.; David, A. S. (2007). "Patterns of anterior cingulate activation in schizophrenia: A selective review".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3 (1): 87–101. doi:10.2147/nedt.2007.3.1.87. PMC 2654525. PMID 19300540.
- ^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Elsevier Saunders. p. 363. ISBN 978-14160-6257-8.
- ^ McFarland, N. R.; Haber, S. N. (2000). "Convergent Inputs from Thalamic Motor Nuclei and Frontal Cortical Areas to the Dorsal Striatum in the Primate".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0 (10): 3798–3813. doi:10.1523/JNEUROSCI.20-10-03798.2000. PMC 6772665. PMID 10804220.
- ^ a b Wyass, J. M.; Van Groen, T. (1992). "Connections between the retrosplenial cortex and the hippocampal formation in the rat: A review". Hippocampus. 2 (1): 1–11. doi:10.1002/hipo.450020102. PMID 1308170. S2CID 14385024.
- ^ a b c Pandya, D. N.; Hoesen, G. W.; Mesulam, M. -M. (1981). "Efferent connections of the cingulate gyrus in the rhesus monke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42–42 (3–4): 319–330. doi:10.1007/BF00237497. PMID 6165607. S2CID 12274921.
- ^ Fujii, M. (1983). "Fiber connections between the thalamic posterior lateral nucleus and the cingulate gyrus in the cat". Neuroscience Letters. 39 (2): 137–142. doi:10.1016/0304-3940(83)90066-6. PMID 6688863. S2CID 34795697.
- ^ Petrides, M; Pandya, DN (Oct 24, 2007). "Efferent association pathways from the rostral prefrontal cortex in the macaque monkey".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7 (43): 11573–86. doi:10.1523/JNEUROSCI.2419-07.2007. PMC 6673207. PMID 17959800.
- ^ a b Cavada, C.; Goldman-Rakic, P. S. (1989). "Posterior parietal cortex in rhesus monkey: I. Parcellation of areas based on distinctive limbic and sensory corticocortical connections". The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287 (4): 393–421. doi:10.1002/cne.902870402. PMID 2477405. S2CID 5873407.
- ^ Adey, W. R. (1951).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Hippocampal Connexions of the Cingulate Cortex in the Rabbit". Brain. 74 (2): 233–247. doi:10.1093/brain/74.2.233. PMID 14858747.
- ^ a b Takahashi, T.; Suzuki, M.; Kawasaki, Y.; Hagino, H.; Yamashita, I.; Nohara, S.; Nakamura, K.; Seto, H.; Kurachi, M. (2003). "Perigenual cingulate gyrus volu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Biological Psychiatry. 53 (7): 593–600. doi:10.1016/S0006-3223(02)01483-X. PMID 12679237. S2CID 11482948.
- ^ a b c Haznedar, M. M.; Buchsbaum, M. S.; Hazlett, E. A.; Shihabuddin, L.; New, A.; Siever, L. J. (2004). "Cingulate gyrus volume and metabolism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Schizophrenia Research. 71 (2–3): 249–262. doi:10.1016/j.schres.2004.02.025. PMID 15474896. S2CID 28889346.
- ^ a b Costain, G.; Ho, A.; Crawley, A. P.; Mikulis, D. J.; Brzustowicz, L. M.; Chow, E. W. C.; Bassett, A. S. (2010). "Reduced gray matter in the anterior cingulate gyrus in familial schizophrenia: A preliminary report". Schizophrenia Research. 122 (1–3): 81–84. doi:10.1016/j.schres.2010.06.014. PMC 3129334. PMID 20638248.
- ^ a b Fujiwara, H.; Hirao, K.; Namiki, C.; Yamada, M.; Shimizu, M.; Fukuyama, H.; Hayashi, T.; Murai, T. (2007). "Anterior cingulate pathology and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A study of gray matter, white matter and sulcal morphometry" (PDF). NeuroImage. 36 (4): 1236–1245. doi:10.1016/j.neuroimage.2007.03.068. hdl:2433/124279. PMID 17524666. S2CID 25750603.
- ^ Koolschijn, P. C. D. M. P.; Van Haren, N. E. M.; Cahn, W.; Schnack, H. G.; Janssen, J.; Klumpers, F.; Hulshoff Pol, H. E.; Kahn, R. S. (2010). "Hippocampal Volume Change in Schizophrenia".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1 (6): 737–744. doi:10.4088/JCP.08m04574yel. PMID 20492835.
- ^ Mitelman, S. A.; Canfield, E. L.; Chu, K. W.; Brickman, A. M.; Shihabuddin, L.; Hazlett, E. A.; Buchsbaum, M. S. (2009). "Poor outcome in chronic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progressive loss of volume of the putamen". Schizophrenia Research. 113 (2–3): 241–245. doi:10.1016/j.schres.2009.06.022. PMC 2763420. PMID 19616411.
- ^ Kempton, M. J.; Stahl, D.; Williams, S. C. R.; Delisi, L. E. (2010). "Progressive lateral ventricular enlargement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MRI studies" (PDF). Schizophrenia Research. 120 (1–3): 54–62. doi:10.1016/j.schres.2010.03.036. PMID 20537866. S2CID 25389387.
- ^ 브로카, P(1878년). "Anatomie comparere des circonvolution braines: "Le grandrobe ledique et la scissure ledique dans la serie des mamifer". 인류가론지 레뷔. 1: 385–498
- ^ "Terminologica Anatomica". www.unifr.ch. Retrieved 2018-11-15.
- ^ 이코노, C, 코스키나스, G.N(1925). 시토아키테크토닉 데어른린데 데어워크센 멘첸. 윈: 스프링거 베를라크.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Cingulate_cortex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