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검열
Censorship in North Korea시리즈의 일부 |
북한의 인권 |
---|
시리즈의 일부 | ||
국가별 검열 | ||
---|---|---|
나라들. | ||
| ||
「 」를 참조해 주세요. | ||
북한의 검열은 세계에서 가장 극단적인 것 중 일부이며, 정부는 통신을 엄격히 통제할 수 있다.북한은 국경없는 기자회의 연례 언론자유 지수에서 2020년 꼴찌로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모든 매체는 북한 정부에 의해 소유되고 통제된다.따라서 북한의 모든 매체는 조선중앙통신으로부터 그들의 소식을 받는다.언론은 그들의 자원의 많은 부분을 정치적 선전과 김일성, 김정일,[1][failed verification] 김정은의 개인숭배를 홍보하는데 할애한다.김정은 정부는 여전히 언론과 [2]정보에 대한 절대적인 권위와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
역사
김일성(1948~1994년 지도자)
김일성은 1912년 4월 15일 유럽과 일본 제국주의가 [3]최고조에 달하던 시기에 김성주라는 평범한 남자로 태어났다.김일성의 재임 기간은 수용소와 가혹한 [4]검열과 같은 인권 유린으로 특징지어졌다.김일성의 정책은 2017년 9월 현재 여전히 유효하다.2017년 현재 모든 북한 지역 매체는 국가가 운영하고 있다.승인된 [5]채널만 수신하도록 라디오 및 TV 세트가 변경됩니다.
김일성 치하에서 북한의 가장 큰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 지원은 소련이었다.보도에 따르면,[6] 조셉 스탈린은 1948년 북한을 이끌기 위해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김일성을 손으로 뽑았다고 한다.건국 후 김일성은 집중지도운동을 시작했다.이것은 북한 주민의 정치적 의견을 결정하기 위한 인구 조사였다.소련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김일성 체제하에서였다.오늘날 북한에서 보여지는 학위 검열의 시작은 주요 산업의 국유화, 노동 개혁, 그리고 개인 소유의 토지 압류였다.북한은 2017년 [7]현재 김일성 주변에 개인숭배를 유지하고 있다.
1946–현재: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의 국영 통신사이다.조선중앙통신은 1946년 12월 5일에 설립되었다.이 기관은 외국 언론들이 소비하고 인용할 수 있도록 북한 정부의 견해를 발표한다.웹사이트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노동당과 북한 정부를 대변한다.이는 북한 정부가 [8]국외에서 자신의 견해를 발표하는 주요 방법이다.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의 모든 뉴스를 책임지고 사진을 배포한다.그들의 콘텐츠는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일본어로 제공됩니다.2011년 1월 1일부터, 이 사이트는 비디오도 제공하기 시작했다.조선중앙통신은 북한 선전을 자주 방송한다.북한은 또한 미국과 비교한 우주 프로그램과 생활 수준과 같은 북한의 업적도 보고했습니다.이 주장들은 [citation needed]거짓으로 판명되었다.조선중앙통신은 미국과 한국의 [9]"제국주의"에 관한 기사를 자주 발행한다.조선중앙통신은 한국의 홍보 및 멀티미디어 회사 역할을 하며, 선전과 다르지 않은 뉴스를 제공한다.한국 국방부는 통신사의 생산물의 중요성을 해석하려는 독자 그룹을 유지하고 있다.조선중앙통신이 지속적으로 다루는 주제 중에는 미국과 일본의 행동을 비난하는 것뿐만 아니라 김정은과 김정일의 유명인과 인격을 홍보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그들의 2,000명의 직원들은 그들의 나라에 유리한 보고를 확실히 하기 위해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다.
장성택은 김정은 다음으로 북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혔는데, 그가 처형되기 전에는 그가 정부에게 "반혁명가"로 비쳤기 때문이다.2013년 그가 사망한 후 중앙통신사에 의해 35,000개의 한국어 원본 보도가 삭제되었고 그의 이름은 중앙통신사의 가장 큰 검열 단속 [10][failed verification]중 하나에서 삭제되었다고 보도되었다.
김정일(1994~2011년 지도자)
김정일은 1994년 봄 그의 아버지 김일성에 의해 군 최고사령관 겸 최고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그해 말 7월에 김일성이 사망했다.김정일은 북한을 [11]통치하는 다음 김정일 왕조의 일원이 되었다.김정일은 아버지의 권위주의 체제와 엄격한 검열을 지지했다.그는 군사 선전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자유와 외부 정보에 대한 접근 부족으로부터 주의를 딴 데로 돌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시민들에게 극도로 군사화된 정부의 선전에 대한 접근권만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휴대폰과 DVD는 김정일 [12]정권 하에서 불법적으로 입수되었다.
1983년, 김정일의 책 언론인의 위대한 스승이 영어로 번역되었다.이 책에서 김정일은 기자들이 그들의 지도자의 가장 좋은 사진을 찍고, 그들의 지도자의 작품을 연구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그들의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을 심어주도록 지도한다.김정일은 이 책에 기자를 죽음에서 구하고 작가의 정치 에세이를 완벽하게 [13]편집했던 때를 상세히 묘사하면서 그의 놀라운 업적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2004-2008: 휴대전화 사용 금지
북한 정부는 외부 정보원이 북한 주민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1990년대 기근이 기승을 부린 이후 무역상들은 불법적으로 국경을 [14]넘어 식량과 물품을 반입하는 수단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했다.
2008년 12월 이집트의 한 기업이 북한을 3세대(3G) 통신망인 고려링크에 소개했다.인터넷 접속은 외국인 여행자나 [15]엘리트에게만 허용된다.2015년까지 300만 명의 북한 주민이 고려링크를 구독했다.고려링크 이용자는 가입 허가를 신청해야 하며 "당, 국가, 군 사이의 최소 8개 부처 및 단체의 통제와 감시를 받아야 한다."네트워크에서는, 국제 전화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고 있지 않습니다.사용자는 선전 메시지를 [16]수신할 수 있습니다.
2013년에는 월별 데이터 요금제로 외국인에게 3G 이동전화 인터넷 접속이 허용되었으며, USB 모뎀 또는 SIM [15]카드를 통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최근에는 외부정보에 대한 대체적 접근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자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대책이 [17]강화되고 있다.여기에는 불법 휴대폰이 중국의 모바일 [14]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국경 보안 강화도 포함된다.
이들 휴대전화는 국내에서 금지된 가혹한 판결에 대한 자세한 소식을 전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국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 외에도, 탈주자들이 그 나라의 극단적인 법에 대한 지식을 퍼뜨리는 데 위험이 존재한다.문자 메시지와 휴대전화 사진은 한국의 외부 기자와 활동가들에게 보내져 그 상황에 대한 지식을 전파한다.일부 북한 사람들은 정보를 보내고 이야기를 공유하며 언론인과 정보원 역할을 한다.김정은의 발목 수술과 그의 부인 리설주의 2012년 임신을 둘러싼 주요 뉴스 보도들이 이 [14]내부자들로부터 공개되었다.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을 통한 뉴스 애플리케이션이 뉴스 매체의 공통된 실타래가 되면서 북한은 더 많은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극소수의 상류층 시민들이 광명이라 [18]불리는 인트라넷에 접속할 수 있는 엄격한 통제된 사이버 공간이 한국 내에 존재한다.글로벌하지 않았던 월드 와이드 웹과는 달리, 이 독립된 자원은 산업, 대학 및 정부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합니다.정부의 감시와 필터링을 받는 채팅과 이메일을 통해 정보를 전파하는 데 사용되며, 엄선된 연구자, 선전가, 언론 종사자만이 일반인의 인터넷에서 제거된 국가 미디어와 항목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2011년~현재 지도자)
김정은은 2011년 [19]12월 28일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전임자들의 통치를 이어가며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했다.그는 그의 삼촌 장성택의 처형을 명령했고 그의 이복형 김정남의 [20]암살을 명령했다고 전해진다.
김정은은 극도의 검열을 통해 북한을 감시하고 있다.2020년 4월 현재 이 정권은 언론자유지수(국경 없는 기자) 순위에서 83.4점으로 최하위 100점으로 세계 180개국 순위에서 [21]꼴찌다.북한 언론인들은 노동당 소속이어야 하며 김정은의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보도를 조정해야 한다.외신은 환영받지 못하고 북한 [22]매체들의 희생양으로 쓰이기도 한다.WPK의 엄격한 지침을 따르지 않으면 투옥, 강제노동 또는 [23]사망에 이를 수 있다.
북한의 인권침해는 세계적인 우려를 낳고 있다.김정은 정권은 고문, 의문의 실종, 성폭력으로 악명이 높다.정부의 각 계층은 잠재적인 정치적 위협을 몰아내고 김정은의 이념을 전파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검열을 피하려는 사람들은 심각한 [23]결과에 직면하게 된다.
라디오 및 텔레비전 검열
북한에서 살 수 있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은 정부 주파수만 수신하도록 미리 설정돼 있고 장비가 조작되지 않도록 라벨로 밀봉돼 있다.세트를 조작하고 북한 외부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 행위이다.2003년의 정당 선거 운동에서는, 지역이나 마을의 각 당 조직의 수장이 [24]모든 라디오의 봉인을 확인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데일리NK에 따르면 단파 라디오를 통해 북한 소식을 방송할 수 있다.북한에서는 단파 라디오를 소지하는 것은 법에 위배되지만, [25]이 라디오들은 부패한 비밀경찰에 의해 압수되고 재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용한 오프닝:미 국무부가 의뢰해 인터미디어가 2012년 5월 10일 발표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의 북한 주민' 조사 결과 엄격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들, 특히 엘리트들은 정부가 허가한 언론 밖에서 뉴스나 다른 매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인터넷 접속이 제어되는 한편, 라디오나 DVD는, 일반적인 미디어 액세스이며, 국경 지역에서는 [26][27]텔레비전입니다.2005년경부터 북한에서 인기를 끌다가 2014년 합법화돼 한류(韓流·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한류·국제 대중문화의 국제적 인기 상승세)의 주역이 된 중국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노텔(일명 노텔)을 2가구 중 1가구까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북한으로.[28][29][30]
2011년 현재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북한에서 잘 팔리고 있으며 주로 개인용 컴퓨터로 [31]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보는 데 사용되고 있다.
북한은 국경없는 기자단이 매년 발표하는 언론자유지수 순위에서 최하위권이다.2002년부터 2006년까지 세계 최악의 국가로 꼽혔고,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80여 [32][33][34][35]개국 중 에리트레아 다음으로 꼴찌였다.2017년과 2018년에도 북한은 다시 [36]최악의 순위에 올랐다.2019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을 [37]제치고 2위부터 꼴찌로 평가되었다.2020년에는 다시 한번 [21]꼴찌가 되었다.
북한에서 언론인이 되려면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이념 검토와 엄격한 배경 조사를 거친 후, 그 학생은 대학 학장과 매니저들에 의해 선발된다.징집된 기자는 통상 4, 5년의 수습기간을 거친 뒤 평가를 거쳐 현역으로 배치된다.
북한에서 저널리즘은 당 지도부와 당 지도부를 모두 보호하고 옹호하는 일이다.정치활동가이자 군중을 동원할 수 있는 투사라는 역할이기 때문에 북한 언론인은 김일성 주석의 지지자이자 열렬한 정치운동가로 여겨져야 한다.북한 언론인들은 지속적으로 재교육을 받고 있다.
북한에서 언론인들의 재교육을 담당하는 조직은 '조선기자연맹'이다.기자들과 언론인들의 정치사상 교육기관 중 가장 강력하고 체계적인 조직이다.이 기구는 기자와 기자들을 철학, 경제, 세계사, 세계문학, 외국어에 대해 훈련시킨다.
북한 체제의 모순에 대해 논하는 것 자체가 반역이고 북한 사회에서 중대한 위반으로 취급된다.조선중앙방송 보도의 70% 이상이 김 위원장의 우상화와 선전 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다.나머지 보고서들은 미국, 일본, 한국의 붕괴를 비난하고 예측하는 데 쓰인다.
북한 기자들은 긍정적인 시각으로 북한을 반영하는 기사를 쓰면서 시간을 보낸다.김정일은 다른 관점에서 글을 쓴 사람들을 처벌하곤 했다. "단어는 자신의 [38]생각을 묘사한다."
재교육 후, 15년 이상 근무하고 큰 기여를 한 언론인은 '유명한 언론인'이라는 칭호를 받는다.[39]
2006년 국경없는 기자단 인터넷 데스크 책임자인 줄리앙 페인(Julien Pain)은 북한을 13대 인터넷 [41]적국으로 세계 최악의 인터넷 [40]블랙홀로 지목했다.
북한에서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다.일부 고위 관계자만이 글로벌 [42]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엄격하게 감시되는 소수의 컴퓨터가 제공됩니다.다른 시민들은 [43]광명이라고 불리는 국가 인트라넷에만 접속할 수 있다.광명 콘텐츠는 한국전산센터에서 [44]주관합니다.외국인들은 3G [45][46]전화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하지만,[47] IT 산업은 성장하고 있고 북한 내에서 인터넷 접속은 증가하기 시작하고 있다.
2014년부터 출시된 안드로이드 기반 태블릿 컴퓨터인 북한 울림은 높은 수준의 보안 감시와 제어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태블릿은 사용자가 연 앱의 스크린샷을 촬영하여 검색 [48]내역을 저장합니다.
「」도 .
- ^ "Kim Jong Il's leadership, key to victory". Naena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0, 2007. Retrieved January 27, 2006.
- ^ "North Korea ranked the world worst in Freedom of Press". Voice of America. Retrieved February 12, 2015.
- ^ Scholtz, Suzanne. "North Korea under communism". Victims of communism. www.victimsofcommunism.com. Retrieved 28 September 2017.
- ^ Hyun Sik, Kim. "The Secret History of Kim Jong-il". Foreign policy. www.foreignpolicy.com. Retrieved 28 September 2017.
- ^ "North Korea". Freedom House. Freedom Hou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September 2015. Retrieved 27 September 2017.
- ^ Robertson, Phil. "Kim Il-sung's catastrophic rights legacy". HRW. HRW. Retrieved 27 September 2017.[영구 데드링크]
- ^ Richardson, Christopher (16 February 2015). "North Korea's Kim Dynasty". The Guardian. Retrieved 27 September 2017.
- ^ Harlan, Chico. "In North Korea, the State-Run News Agency Is the Weapon of Choice". Washington Post. Retrieved 5 October 2017.
- ^ Weiser, Martin (31 October 2016). "On Reading North Korean Media: The Curse of the Web". SinoNK.com. Sino-NK. Retrieved 5 October 2017.
- ^ "Korean Central News Agency". NorthKoreaTech.org. North Korea Tech. Retrieved 5 October 2017.
- ^ Linton, Stephen (1996). "North Korea under the Son". The Washington Quarterly. 19 (2): 3–17. doi:10.1080/01636609609550194.
- ^ Lee, Kristine (2011). "No Revolution Here". Harvard International Review. 33 (2): 8–9. Retrieved 3 October 2017.
- ^ Barrett, Liz Cox (2013). "Elements of Gangnam style". Columbia Journalism Review. 51 (5): 48. Retrieved 3 October 2017.
- ^ a b c Sang-hun, Choe (26 March 2016). "North Koreans Rely on Smuggled Cellphones to Connect to the Outside World".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 October 2017.
- ^ a b Tong-hyung, Kim; Youkyung, Lee. "Look At How Bizarre North Korea's 'Internet' Is". BusinessInsider.com. Business Insider. Retrieved 3 October 2017.
- ^ "North Korea Encouraging Internet, Cellphone Use so it can Better Spy on Citizens". GlobalNews.ca. Global News. Retrieved 2 October 2017.
- ^ Ki-cheol, Kim. "New Ban on Select Cell Phones in North Korea". NewFocusIntl.com. New Foc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February 2019. Retrieved 3 October 2017.
- ^ Franceschi-Bicchierai, Lorenzo. "Here's What Making Cell Phone Calls in North Korea Sounds Like". Vice.com. Vice. Retrieved 3 October 2017.
- ^ "North Korea Profile-Leaders". BBC News.
- ^ Goldman, Russell. "DNA Confirms Assassination Victim Was Half Brother of Kim Jong-un, Malaysia Says". The New York Times.
- ^ a b "2020 World Press Freedom Index". Reporters Without Borders.
- ^ Sedaghat, Nouran. "NORTH KOREA EXPOSED: CENSORSHIP IN THE WORLD'S MOST SECRETIVE STATE". Canadian Journalists for Free Expression.
- ^ a b "Report on Human Rights Abuses or Censorship in North Korea". U.S. Department of State.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 ^ "Radio gives hope to North and South Koreans". CNN Asia. February 27, 2008. Retrieved April 28, 2010.
- ^ Kevin Kane (5 March 2007). "Private Citizens Liberating North Korea with Shortwave Radio". Daily NK. Retrieved 10 July 2014.
- ^ "Illicit access to foreign media is changing North Koreans' worldview, study says". The Washington Post. Associated Press. May 10,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5, 2018. Retrieved May 10, 2012.
- ^ Nat Kretchun; Jane Kim (May 10, 2012). "A Quiet Opening: North Koreans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PDF). Inter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2, 2012. Retrieved May 10, 2012.
The primary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ability of North Koreans to access outside information from foreign sources through a variety of media,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personal sourc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exposure on North Koreans' perceptions of the outside world and their own country was also analyzed (10 years ago).
- ^ Pearson, James (March 27, 2015). "The $50 device that symbolizes a shift in North Korea". Reu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7, 2015. Retrieved June 30, 2017.
- ^ "Cheap Chinese EVD player spreads S. Korean culture in N. Korea". Yonhap. October 22,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 2015.
- ^ "Diffusion de la vague coréenne "hallyu" au Nord par TV portable". Yonhap (in French). October 22, 2013.
- ^ "North Korea's Nascent Consumerism". Asia Sentinel. 19 March 2012. Retrieved 12 April 2017.
- ^ "Worldwide press freedom index". Reporters Without Bord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8, 2012. Retrieved January 9, 2008.
- ^ "World Press Freedom Index". Voice of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5, 2016. Retrieved February 12, 2015.
- ^ "Map". 2014 World Press Freedom Index.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4. Retrieved 21 April 2016.
- ^ "Map". 2016 World Press Freedom Index.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6. Retrieved 21 April 2016.
- ^ "North Korea". Reporters Without Borders. 2017. Retrieved 2017-04-28.
- ^ "2019 World Press Freedom Index RSF". Reporters Without Borders.
- ^ "North Korea controls over foreign countries' press" (in Korean). June 20, 2007.
- ^ "What would be the role of the journalist in North Korea, the country remarked as the lowest in Freedom of Press?". Seunguk Ba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5. Retrieved December 20, 2014.
- ^ "The Internet Black Hole That Is North Korea". The New York Times. October 23, 2006.
- ^ "List of the 13 Internet enemies". Reporters Without Bord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 2008. Retrieved January 9, 2008.
- ^ "Freedom of the Press: North Korea". Freedom House. Retrieved 15 July 2014.
- ^ Eric Talmadge (23 February 2014). "North Korea: Where the Internet has just 5,500 sites". Toronto Star. Associated Press. Retrieved 15 July 2014.
- ^ Sedaghat, Nouran. "North Korea exposed: Censorship in the world's most secretive st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9, 2015.
- ^ "North Korea to offer mobile internet access". BBC. 22 February 2013. Retrieved 15 July 2014.
- ^ Caitlin Dewey (26 February 2013). "Instagrams from within North Korea lift the veil, but only slightly". Washington Post. Retrieved 15 July 2014.
- ^ Lee, Jean H. (2011-07-25). "North Korea's 'Digital Revolution' Under Way". Associated Press. Retrieved 2011-08-08.
- ^ Williams, Martyn (3 March 2017).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A Closer Look at North Korea's Ullim Tablet". 38 North.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Retrieved 6 March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