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오드화 세슘

Caesium iodide
요오드화 세슘
Caesium iodide
CsI 결정
Kristall-CsI(Tl) mit Skala.jpg
섬광 CsI 결정
CsCl polyhedra.png
결정구조
Caesium-iodide-3D-ionic.png
이름
IUPAC 이름
요오드화 세슘
기타 이름
요오드화 세슘
식별자
3D 모델(JSmol)
켐스파이더
ECHA InfoCard 100.029.223 Edit this at Wikidata
EC 번호
  • 232-145-2
펍켐 CID
RTECS 번호
  • FL0350000
유니
  • InChi=1S/Cs.HI/h;1H/q+1;/p-1 checkY
    키: XQPRBTXXXVTKB-UHFFFAOYSA-M checkY
  • InChi=1/Cs.HI/h;1H/q+1;/p-1
    키: XQPRBTXXXVTKB-REWHXWOFAA
  • [Cs+] [I-]
특성.
CsI
어금질량 259.809 g/198[2]
외관 백색 결정체 고체
밀도 4.51 g/cm3[2]
녹는점 632°C(1,170°F, 905K)[2]
비등점 1,280 °C(2,340 °F, 1,550 K)[2]
848 g/L(25°C)[2]
자기 감수성(magnetic susibility)
-82.6·10cm−63/190cm[3]
1.9790(0.3µm)
1.7873(0.59 µm)
1.7694(0.75µm)
1.7576(1µm)
1.7428(5µm)
1.7280(20µm)[4]
구조
CsCl, cP2
221번[5] Pm3m
a = 0.4503 nm
0.0913nm3
공식 단위(Z)
1
큐빅(Cs+)
큐빅(I)
열화학
52.8 J/몰·K[6]
123.1 J/몰·K[6]
−346.6 kJ/mol[6]
-340.6 kJ/mol[6]
위험
GHS 라벨 표시:
GHS07: Exclamation markGHS08: Health hazardGHS09: Environmental hazard
경고
H315, H317, H319, H335
P201, P202, P261, P264, P270, P271, P272, P273, P280, P281, P301+P312, P302+P352, P304+P340, P305+P351+P338, P308+P313, P312, P321, P330, P332+P313, P333+P313, P337+P313, P362, P363, P391, P403+P233, P405, P501
플래시 포인트 불연성
치사량 또는 농도(LD, LC):
2386mg/kg(도덕, 랫드)[1]
관련 화합물
기타 음이온
플루오르화 세슘
염화 세슘
브로마이드 세슘
아스타타이드 세슘
기타 양이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 루비듐
요오드화 프랑슘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check 이버라이시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요오드화 세슘 또는 요오드화 세슘(화학 공식 CsI)은 세슘요오드이온 화합물이다. 형광 투시 장비에서 발견되는 X선 영상 증강 튜브의 입력 인광체로 자주 사용된다. 요오드화합물 세슘은 극한의 자외선 파장에서 매우 효율적이다.[7]

합성 및 구조

이중벽 탄소 나노튜브 에서 자라는 단원자 세슘 할리드 와이어.[8]

벌크 세슘 요오드화합물은 입방형 CsCl 결정 구조를 가지지만 나노미터 두께의 CsI 필름은 기질 재료에 따라 구조 유형이 달라진다. 즉, Mica의 경우 CsCl이고 LiF, NaBr 및 NaCl 기판에서는 NaCl이다.[9]

요오드화 세슘 원자 사슬은 이중벽 탄소 나노튜브 안에서 자랄 수 있다. 그러한 사슬에서 나는 질량이 더 작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마이크로그래프에서 Cs 원자보다 더 밝게 보인다. 이 차이는 Cs 원자(양), 내부 나노튜브 벽(음), I 원자(음)의 전하 차이로 설명되었다. 그 결과 Cs 원자는 벽에 끌리고 나노튜브 축을 향해 밀리는 I원자보다 더 강하게 진동한다.[8]

특성.

[10] 속 Csl의 용해성
т (°C) 0 10 20 25 30 40 50 60 70 80 90 100
S(wt%) 30.9 37.2 43.2 45.9 48.6 53.3 57.3 60.7 63.6 65.9 67.7 69.2

적용들

섬광기인 요오드화 세슘 결정의 중요한 적용은 실험 입자물리학에서 전자기 열량측정법이다. Pure CsI는 광 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빠르고 밀도가 높은 섬광 물질로 냉각과 함께 크게 증가한다.[11] 그것은 두 가지 주요 배출 성분을 보여준다. 하나는 310 nm 파장자외선 근방에 있고 하나는 460 nm의 자외선 근방에 있다. CsI의 단점은 고온 구배와 약간의 저습도다.

요오드화 세슘은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분광기에서 빔플리터로 사용된다. 그것은 보다 일반적인 브롬화 칼륨 빔플리터보다 더 넓은 전송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원적외선으로의 작동 범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광학 품질의 CsI 결정체는 매우 부드러우며 잘게 쪼개거나 광내기가 어렵다. 또한 대기 수증기와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게르마늄으로 코팅하고 건조기에 저장해야 한다.[12]

이미지 강화기 입력 인광 외에도 요오드 세슘은 평판 X선 검출기의 섬광 물질로서 의학에서도 자주 사용된다.[13]

참조

  1. ^ a b 요오드화 세슘.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2. ^ a b c d e 헤인즈, 페이지 4.57
  3. ^ 헤인즈, 4.132 페이지
  4. ^ 헤인즈, 페이지 10.240
  5. ^ Huang, Tzuen-Luh; Ruoff, Arthur L. (1984). "Equation of state and high-pressure phase transition of CsI". Physical Review B. 29 (2): 1112. Bibcode:1984PhRvB..29.1112H. doi:10.1103/PhysRevB.29.1112.
  6. ^ a b c d 헤인즈, 페이지 5.10
  7. ^ Kowalski, M. P.; Fritz, G. G.; Cruddace, R. G.; Unzicker, A. E.; Swanson, N. (1986). "Quantum efficiency of cesium iodide photocathodes at soft x-ray and extreme ultraviolet wavelengths". Applied Optics. 25 (14): 2440. Bibcode:1986ApOpt..25.2440K. doi:10.1364/AO.25.002440. PMID 18231513.
  8. ^ a b Senga, Ryosuke; Komsa, Hannu-Pekka; Liu, Zheng; Hirose-Takai, Kaori; Krasheninnikov, Arkady V.; Suenaga, Kazu (2014). "Atomic structure and dynamic behaviour of truly one-dimensional ionic chains inside carbon nanotubes". Nature Materials. 13 (11): 1050–4. Bibcode:2014NatMa..13.1050S. doi:10.1038/nmat4069. PMID 25218060.
  9. ^ Schulz, L. G. (1951). "Polymorphism of cesium and thallium halides". Acta Crystallographica. 4 (6): 487–489. doi:10.1107/S0365110X51001641.
  10. ^ 헤인즈, 페이지 5.191
  11. ^ Mikhailik, V.; Kapustyanyk, V.; Tsybulskyi, V.; Rudyk, V.; Kraus, H. (2015). "Luminescence and scintillation properties of CsI: A potential cryogenic scintillator". Physica Status Solidi B. 252 (4): 804–810. arXiv:1411.6246. Bibcode:2015PSSBR.252..804M. doi:10.1002/pssb.201451464. S2CID 118668972.
  12. ^ Sun, Da-Wen (2009). Infrared Spectroscopy for Food Quality Analysis and Control. Academic Press. pp. 158–. ISBN 978-0-08-092087-0.
  13. ^ Lança, Luís; Silva, Augusto (2012). "Digital Radiography Detectors: A Technical Overview" (PDF). Digital Imaging Systems for Plain Radiography. Springer. doi:10.1007/978-1-4614-5067-2_2. hdl:10400.21/1932. ISBN 978-1-4614-5066-5.

인용된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