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오르화 세슘
Caesium fluoride이름 | |
---|---|
IUPAC 이름 플루오르화 세슘 | |
기타 이름 플루오르화 세슘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33.156 |
EC 번호 |
|
펍켐 CID | |
RTECS 번호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sF | |
어금질량 | 151.903 g/201[1] |
외관 | 백색의 결정체. |
밀도 | 4.64 g/cm3[1] |
녹는점 | 703°C(1,297°F, 976K) |
비등점 | 1,251 °C(2,284 °F, 1,524 K) |
573.0 g/100 mL(25 °C)[1] | |
용해성 |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피리딘 및 에탄올에서 불용성 메탄올에서 191 g/100 mL. |
자기 감수성(magnetic susibility) | -44.5·10cm−63/190cm[2] |
굴절률(nD) | 1.477 |
구조 | |
세제곱, cF8 | |
Fm3m, 225번[3] | |
a = 0.6008nm[3] | |
격자 부피(V) | 0.2169 nm3[3] |
공식 단위(Z) | 4 |
팔면체 | |
7.9 D | |
열화학 | |
열 용량 (C) | 51.1 J/몰·K[4] |
성 어금니 엔트로피 (S | 92.8 J/몰·K[4] |
의 성 엔탈피 대형화 (ΔfH⦵298) | -553.5 kJ/mol[4] |
기브스 자유 에너지 (ΔfG˚) | -525.5 kJ/mol[4] |
위험 | |
산업안전보건(OHS/OSH): | |
주요 위험 | 독성의 |
GHS 라벨 표시: | |
위험 | |
H301, H311, H315, H318, H331, H361f | |
P201, P202, P260, P261, P264, P270, P271, P280, P281, P301+P310, P301+P330+P331, P302+P352, P303+P361+P353, P304+P340, P305+P351+P338, P308+P313, P310, P311, P312, P321, P322, P330, P332+P313, P361, P362, P363, P403+P233, P405, P501 | |
NFPA 704(화재 다이아몬드) | |
플래시 포인트 | 불연성 |
안전 데이터 시트(SDS) | 외부 MSDS |
관련 화합물 | |
기타 음이온 | 염화 세슘 브로마이드 세슘 요오드화 세슘 아스타타이드 세슘 |
기타 양이온 | 플루오르화 리튬 플루오르화 나트륨 불소화칼륨 불화 루비듐 플루오르화 프랑슘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NVERIFI (?란 ? | |
Infobox 참조 자료 | |
세슘 플루오르화 또는 세슘 플루오르화물은 CsF라는 공식을 가진 무기 화합물로, 저광학 백염이다. 불소 세슘은 유기합성에 불소 음이온의 원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슘은 또한 모든 비방사성 원소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성을 가지고 있고 불소는 모든 원소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성을 가지고 있다.
합성 및 특성
불소 세슘은 불산(HF)과 세슘 수산화물(CsOH)의 반응에 의해 준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소금은 재분해하여 정화할 수 있다. 반응은 다음과 같다.
- CsOH + HF → CsF + H2O
같은 반응을 이용해 불소 세슘을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불산 세슘 탄산염(CsCO23)을 불산염으로 처리하고, 다시 한번 결과 소금은 재분해하여 정화할 수 있다. 반응은 다음과 같다.
- Cs2CO3 + 2 HF → 2 CsF + H2O + CO2
CsF는 유기용매에서 불소나트륨이나 불소칼륨보다 용해성이 높다. 무수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물이 흡수된 경우 바쿠오에서 2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면 건조하기 쉽다.[6] CsF는 825°C에서 1킬로파스칼, 999°C에서 10kPa, 1249°C에서 100kPa의 증기압에 도달한다.[7]
탄소 나노튜브 안에서 원자 한두 개 정도의 두께를 가진 CsF 체인을 재배할 수 있다.[5]
구조
플루오르화 세슘은 할라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Cs와 F가− 염화나트륨에서 Na와+ Cl처럼− 가장 가까운 입방체 포장을 의미한다.[3]
유기합성에서의 응용
CsF는 분리가 심하기 때문에 관련 염분보다 불소의 반응성이 더 높다. CsF는 TBAF(Tetra-n-butylammonium fluoride)와 TASF(TASF)의 대안이다.
베이스로
다른 용해성 플루오르화물과 마찬가지로 CsF는 HF가 약한 산이기 때문에 적당히 기초적이다. 플루오르화물의 낮은 핵소독성은 그것이 유기화학에서 유용한 기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8] CsF는 KF나 NaF보다 Knoevenagel 응축 반응에서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한다.[9]
Cs-F 채권형성
불소 세슘은 오르가노플루오린 화학에서 불소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불소화칼륨과 유사하게 CsF는 헥사플루오로아세톤과 반응하여 안정적인 과불화알카산화소 소금을 형성한다.[10] 불소화칼륨이 더 많이 사용되지만 전자결핍 아릴염화물을 아릴불소화(Halex process)로 변환한다.
디프로텍스트
Si-F 본드의 강도로 인해 불소는 탈화 반응, 즉 유기 합성에서의 Si-O 본드의 갈라짐 등에 유용하다.[11] CsF는 그러한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THF 또는 DMF에서 세슘 불소 용액은 다양한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을 공격하여 오르가노실리콘 불소와 카르바니온을 생성하며, 이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전기생물과 반응할 수 있다.[9]
주의사항
다른 용해성 플루오르화물과 마찬가지로 CsF도 적당히 독성이 있다.[12] 이는 매우 독성/부식성 불화수소산을 형성하기 때문에 산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세슘 이온(Cs+)과 염화 세슘은 일반적으로 독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3]
참조
- ^ a b c d Haynes, William M., ed.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nd ed.). Boca Raton, FL: CRC Press. p. 4.57. ISBN 1-4398-5511-0.
- ^ Haynes, William M., ed.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nd ed.). Boca Raton, FL: CRC Press. p. 4.132. ISBN 1-4398-5511-0.
- ^ a b c d Davey, Wheeler P. (1923). "Precision Measurements of Crystals of the Alkali Halides". Physical Review. 21 (2): 143–161. Bibcode:1923PhRv...21..143D. doi:10.1103/PhysRev.21.143.
- ^ a b c d Haynes, William M., ed.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nd ed.). Boca Raton, FL: CRC Press. p. 5.10. ISBN 1-4398-5511-0.
- ^ a b Senga, Ryosuke; Suenaga, Kazu (2015). "Single-atom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of light elements". Nature Communications. 6: 7943. Bibcode:2015NatCo...6.7943S. doi:10.1038/ncomms8943. PMC 4532884. PMID 26228378. (보조정보)
- ^ Friestad, G. K.; Branchaud, B. P. (1999). Reich, H. J.; Rigby, J. H. (eds.). Handbook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Acidic and Basic Reagents. New York: Wiley. pp. 99–103. ISBN 978-0-471-97925-8.
- ^ Lide, D. R., ed. (2005). "Vapor Pressure" (PDF).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6th ed.). Boca Raton (FL): CRC Press. p. 6.63. ISBN 0-8493-0486-5.
- ^ Greenwood, Norman N.; Earnshaw, Alan (1984). Chemistry of the Elements. Oxford: Pergamon Press. pp. 82–83. ISBN 978-0-08-022057-4.
- ^ a b Fiorenza, M; Mordini, A; Papaleo, S; Pastorelli, S; Ricci, A (1985). "Fluoride ion induced reactions of organosilanes: the preparation of mono and dicarbonyl compounds from β-ketosilanes". Tetrahedron Letters. 26 (6): 787–788. doi:10.1016/S0040-4039(00)89137-6.
- ^ Evans, F. W.; Litt, M. H.; Weidler-Kubanek, A. M.; Avonda, F. P. (1968). "Formation of adducts between fluorinated ketones and metal fluorides".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33 (5): 1837–1839. doi:10.1021/jo01269a028.
- ^ Smith, Adam P.; Lamba, Jaydeep J. S. & Fraser, Cassandra L. (2002). "Efficient Synthesis of Halomethyl-2,2'-bipyridines: 4,4'-Bis(chloromethyl)-2,2'-bipyridine". Organic Syntheses. 78: 82.; Collective Volume, vol. 10, p. 107
- ^ MSDS Fluoride for cesium fluoride Archived 2012-02-09 Archived in the Wayback Machine. www.hazard.com 2013-06-05 Wayback Machine Archived 2013-06-05 MSDS 날짜: 1993년 4월 27일. 2007년 9월 7일에 검색됨.
- ^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2012-03-13 염화 세슘 목록."www.jtbaker.com MSDS 날짜: 2006년 1월 16일. 2007년 9월 7일에 검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