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발루스
Bubalus부발루스 |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코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아르티오닥틸라속 |
패밀리: | 보브과 |
하위 패밀리: | 보비나에 |
하위 트리뷰: | 부발리나 |
속: | 부발루스 C. H. 스미스, 1827년 |
모식종 | |
부발루스부발리스 리나이어스, 1758년 | |
종 | |
부발루스(Bubalus)는 1827년 찰스 해밀턴 스미스가 제안한 아시아 보바인의 속이다.부발루스와 싱세루스는 진정한 버팔로인 부발리나를 소급한다.
동물학 명칭의 국제 강령과 가축을 종, 아종, 종 또는 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여러 해 동안 논란이 되어 왔으며 작가들 사이에 일관성이 없었다.[1]식량농업기구의 심사원들은 국내 물소 개체수를 품종으로 간주한다.[2]
부발루스 종은 국내 물소(B. bubalis), 야생 물소(B. arnee), 타마로우(B. mindornis), 저지대 아노아(B. dempressicornis), 산악 아노아(B. cumellesi)로 구성되어 있다.[3]후자의 두 아노아 종은 부발루스 내에서 하위 유전자를 형성하도록 제안되었다.[4]
특성.
스미스는 부발루스를 매우 단단한 팔다리와 작은 이슬줄기와 길고 가는 꼬리를 가진 덩치에 비례하여 낮게 묘사했다; 머리는 강한 볼록한 모양의 좁은 이마, 큰 눈과 깔때기 모양의 귀를 가지고 있다; 뿔은 평평하게 눕거나 뒤쪽으로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옆으로 구부러진다; 암컷 우달루스는 네 개의 젖가슴을 가지고 있다.[5]Lydekker는 등줄기가 13쌍의 갈비뼈로 거의 곧게 뻗어 있고, 꼬리가 터프되어 호크에 닿을 정도며, 뿔은 그들 길이의 대부분에 대해 다소 두드러지게 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두개골의 낮은 곳에 위치하며, 주둥이가 넓고, 성인의 머리카락은 희박하다고 덧붙였다.[6]
종
이 속은 다음과 같은 생물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7]
이미지 | 학명 | 분배 |
---|---|---|
국내 물소 B. 부발리스 리나이어스, 1758년 |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 중국의 국내, 남아메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에 야생 개체군이 존재함 | |
야생 물소 B. 아르네 커, 1792년 | 인도 아대륙 및 동남아시아 | |
로우랜드 아노아 우울증 스미스, 1827년 | 술라웨시 인 인도네시아 | |
타마로 민도렌시스 허드, 1888년 | 필리핀의 민도로 | |
마운틴 아노아 B. 채플레시 우웬스, 1910년 | 술라웨시 |
유효한 이름
2013년 Catalogue of Life의 체크리스트는 Bubalus 속 5종의 비노미나로 나열된다.
- 부발루스부발리스 리나이어스, 1758년
- 부발루스강박증 스미스, 1827년
- 부발루스 메피스토펠레스 홉우드, 1925년
- 부발루스민도렌시스 허드, 1888년
- 부발루스 채플레시 우웬스, 1910년
Bubalus arnee는 여기에 나열되어 있지 않다.[8]
통합분류정보시스템은 동일한 5종의 비노미나를 유효한 것으로 표시하며, 또한 부발루스 부발리스의 유효한 6종의 아종으로 표시한다.[9]
- 부발러스 부발리스 아르네 커, 1792년
- 부발루스부발리스부발리스부발리스부발리스 리나이어스, 1758년
- 부발루스부발리스풀부스 블랑퍼드, 1891년
- 부발루스 부발리스 케라바우 피칭거, 1860년
- 부발루스부발리스미고나 데라니야갈라, 1952년
- 부발루스 부발리스 테라파티 그로브스, 1996년
화석종
- Bubalus brevicornis - 1936년, 젊은
- Bubalus Cebuensis (Cebu tamaraw) - 크로프트, 헤이니, 플린 및 바우티스타, 2006[10]
- 부발루스 푸디 - 궈, 2008 - (부발루스 완시조키의 아종일 가능성이 있음)
- 부발러스 그로베시 - 로지, 2017년[11]
- 부발루스 메피스토펠레스(짧은 뿔 물소) - 홉우드, 1925년[12]
- Bubalus murrenis (유럽 물소) - Berckhemer, 1927년[13]
- 부발루스 팔래오케라바우(긴 뿔 자바 물소) - E. 두부아, 1908년[14]
- 부발루스 플라티세로스 - Lydekker, 1877년
- 부발루스 테일하르디 - 1932년 영
- 부발루스 완시조키 - 샤르딘, 1928년
- 부발루스 영이 - 1957년 주와 슈
참고 항목
참조
- ^ Gentry, A.; Clutton-Brock, J. & Groves, C. P. (2004). "The naming of wild animal species and their domestic derivatives" (PDF).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1 (5): 645–651. doi:10.1016/j.jas.2003.10.006.
- ^ FAO(2013년).종에서 번식: 버팔로.유엔 식량 농업 기구인 로마 동물 다양성 정보 시스템
- ^ Minervino, A. H. H.; Zava, M.; Vecchio, D. & Borghese, A. (2020). "Bubalus bubalis: A Short Story".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 7: 570413. doi:10.3389/fvets.2020.570413. PMC 7736047. PMID 33335917.
- ^ Burton, J. A.; Hedges, S. & Mustari, A. H. (2005). "The taxonomic status,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the lowland anoa Bubalus depressicornis and mountain anoa Bubalus quarlesi" (PDF). Mammal Review. 35 (1): 25–50. doi:10.1111/j.1365-2907.2005.00048.x.[영구적 데드링크]
- ^ Smith, C. H. (1827). "Sub-genus I. Bubalus". In Griffith, E. (ed.). The animal kingdom arranged in conformity with its organization. Class Mammalia, Volume 5. London: Geo. B. Whittaker. pp. 371–373.
- ^ Lydekker, R. (1913). "Subgenus Bubalus". Catalogue of the ungulate mammals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p. 40.
- ^ Groves, C.; Grubb, P. (2011). Ungulate Taxonomy. Baltimore,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1421400938.
- ^ Roskov Y, Kunze T, Paglinawan L, Orrell T, Nicolson D, Culham A, Bailly N, Kirk P, Bourgoin T, Billargon G, Hernandez F, De Wever A, Eds(2013년).부발루스.종 2000 & ITIS 생활 카탈로그, 2013년 연간 체크리스트리딩, 영국
- ^ ITIS 결과: 2009년 3월 12일 웨이백머신에서 '부발러스'가 보관된 과학 이름을 검색하십시오.통합 분류 정보 시스템2014년 1월 액세스.
- ^ 크로프트, D. A., 헤이니, L. R., 플린, J., 바우티스타, A. P. (2006)새롭고 작은 부발루스의 화석 잔해 (Artiodactyla: Bovaea: 보비니)는 필리핀 세부섬 출신이다.Mamalogy 87(#5) 저널: 1037–1051.
- ^ Rozzi, Roberto (2017). "A new extinct dwarfed buffalo from Sulawesi and the evolution of the subgenus Anoa: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Quaternary Science Reviews. 157: 188–205. Bibcode:2017QSRv..157..188R. doi:10.1016/j.quascirev.2016.12.011.
- ^ Hopwood, A. T. (1925). "A new species of buffalo from the Pleistocene of China".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9. XVI (92): 238–239. doi:10.1080/00222932508633297.
- ^ 슈라이버, H.D., 멍크, W. (2002)브루찰부체나우(NE-Karlsruhe, SW-독일)의 플리스토세(Pleistocene)에서 나온 부발루스 머렌시스(Berckhemer, 1927)의 두개골 파편이다.Neues Jahrbuch für Geologie und Paléontologie (12): 737–748.
- ^ "Fossilworks: Bubalus palaeokerabau".
위키소스는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기사 '버팔로(동물)'의 전문을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