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니타 비로사
Amanita virosa파괴천사 |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곰팡이 |
중분류: | 담자균류 |
클래스: | 한천균류 |
주문: | 아가리아목 |
패밀리: | 아마니타과 |
속: | 아마니타 |
종류: | A. 비로사 |
이항명 | |
아마니타 비로사 (사) 베르티용 |
아마니타 비로사 | |
---|---|
히메늄의 아가미 | |
캡이 볼록하거나 평평함 | |
히메늄은 무료입니다. | |
스티프는 고리와 음량을 가지고 있다. | |
포자 프린트는 흰색입니다. | |
생태는 균근이다 | |
편집성: 치명적 |
유럽에서 흔히 파괴천사 또는 파괴천사로 알려진 Amanita [1]virosa는 치명적인 담자균류이며, Amanita속에 속하는 많은 균들 중 하나이다.유럽에서 발생하는 A. virosa는 다양한 낙엽성 및 침엽수 나무와 관련이 있습니다.큰 열매체(즉, 버섯)는 여름과 가을에 나타나며, 뚜껑, 잎, 아가미는 모두 흰색입니다.
A. virosa의 미성숙 표본은 인간이 흔히 섭취하는 여러 식용 종과 닮아 우발적인 중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비전문가들에게는 작은 표본이 일반적인 포르토벨로 버섯과 비슷할 수 있지만, A. virosa의 단 하나의 뚜껑만으로도 성인 [2]인간을 죽이기에 충분하다.중독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몇 시간 후에 나타나는데, 이 사실은 이 곰팡이를 더욱 문제 삼는다.지리적 명칭과 함께, A. virosa는 알려진 모든 독버섯들 중 가장 독성이 강한 버섯들 중 하나이다. 그것의 주요 독성 성분인 α-아마니틴은 간과 신장을 손상시키며, 대개 치명적이다.
분류 및 명명
파괴천사의 통칭은 독성이 있는 아마니타의 여러 종, 유럽의 이 종, 북아메리카 동부의 아마니타 비스포리제라, 그리고 서쪽의 오크리에타에게 적용된다.A. virosa는 스웨덴의 Elias Magnus Fries에 의해 처음 수집되고 기술되었다.그것의 특별한 별명인 virosa는 라틴어 형용사 virosus 'toxic'([3][4]비교 바이러스)에서 유래했다.
Amanita virosa는 천사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흰색의 아마니타 종들과 매우 유사하며, 이것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혼란을 야기했다.이 특별한 이름은 북미에서 일어나는 전백색 파괴 천사에 적용되었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 천사들이 모두 Amanita bisporigera와 다른 희귀 종들에 속한다고 주장한다.Amanita verna가 유효한 종인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묘사
아마니타 비로사는 처음에 보편적인 베일로 덮인 하얀 달걀 모양의 물체로 나타난다.버섯은 자라면서 벗겨지지만, 뚜껑 가장자리에 너덜너덜한 베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캡은 처음에 삽입된 가장자리와 원추형이며, 이후 반구가 되어 최대 직경으로 평평해집니다.12cm(4+3µ4인치)이 모자는 종종 독특한 보스가 있습니다. 중앙의 색이 상아색일 수도 있지만 껍질을 벗기고 하얗게 할 수 있습니다.붐비는 프리 아가미는 흰색이고, 스티프와 볼바도 흰색입니다.이 얇은 스티프는 높이가 15cm(5.9인치)에 달하며 홈이 있는 고리가 달려 있습니다.포자는 흰색이고 포자는 달걀 모양의 원추형으로 길이는 7~10μm입니다.그것들은 요오드로 파란색을 물들인다.과육은 흰색으로 무를 연상시키는 맛으로 [5]수산화나트륨과 함께 밝은 노란색으로 변한다.
이 곰팡이는 식용 버섯인 아가리쿠스 아르벤시스와 캄페스트리스, 그리고 뚜껑이 열리고 아가미가 보이기 전의 퍼프볼(Lycoperdon spp.)과 비슷하기 때문에 미성숙한 곰팡이를 잡는 위험을 강조한다.
껍질을 벗기는 능력은 버섯이 자라기 쉽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이것은 이 종의 잠재적인 치명적인 실수입니다.희귀성이 [6]원인일 수 있지만 식용종과 더 가까운 이 균이 죽음의 상한보다 적은 수의 사망에 관여한 이유는 불분명하다.
분포와 서식지
Amanita virosa 삼림 지대에는, 너도 밤나무와 관련 특히, 여름과 가을에 이끼 낀 땅에 발견된다.[5]대부분의 Amanita종 특정한 나무들의 뿌리를 두고ectomycorrhizal 관계를 형성한다.
독성
Amanita virosa는 독성이 매우 강하며, 버섯 [2]독극물의 원인이 되어 왔습니다.밀접하게 연관된 죽음의 모자(A. paloides)처럼, 그것은 팔로톡신뿐만 아니라 매우 독성이 강한 아마톡신을 포함합니다.일부 당국은 식탁에서 채취한 곰팡이와 같은 바구니에 담지 말고 [7][8]만지지 말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아마톡신은 비슷한 구조의 적어도 8개의 아미노산 고리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들은 1941년 하인리히 오에 의해 분리되었다. 뮌헨 [9]대학의 윌란드와 루돌프 할러마이어.아마톡신 중 α-아마니틴이 주성분이며, β-아마니틴과 함께 독성 [10][11]효과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그들의 주요 독성 메커니즘은 메신저 RNA, 마이크로RNA, 그리고 작은 핵 RNA의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인 RNA 중합효소 II의 억제이다.mRNA 필수 단백질 합성과 그에 따른 세포 대사가 중단되면 세포는 [12]죽는다.간은 다른 장기,[2] 특히 신장이 민감하지만 위장관에서 흡수된 후 처음 접하는 장기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는 주요 장기이다.
팔로톡신은 적어도 7개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7개의 유사한 펩타이드 고리를 가지고 있다.팔로이딘은 1937년 하인리히 빌랜드의 제자이자 사위인 표도르 리넨과 뮌헨 대학의 울리히 빌란트에 의해 격리되었다.팔로톡신은 간세포에 [13]매우 독성이 있지만 [12]내장을 통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파괴천사의 독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팔로이딘은 식용(및 원하는) 블러셔(아마니타 루베스켄스)[9]에서도 발견된다.또 다른 소량 활성 펩타이드 그룹은 6개의 유사한 단환형 [14]헵타펩타이드로 구성된 비로톡신이다.팔로톡신처럼 사람에게 섭취 [12]후 급성 독성을 보이지 않는다.
치료
아마니타 비로사의 섭취는 입원이 필요한 응급의료입니다.중독 치료에는 네 가지 주요 범주가 있습니다: 예비 의료, 지원 조치, 특정 치료, 그리고 간이식입니다.[15]
예비 치료는 활성탄 또는 위세척을 통한 위 오염 제거로 구성됩니다.그러나 섭취와 중독의 첫 증상 사이의 지연으로 인해, 환자가 섭취 후 몇 시간 후에 치료를 받기 위해 도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잠재적으로 이러한 [15][16]개입의 효과를 감소시킨다.대사산증, 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및 [15]응고 장애의 보정과 위장관 단계의 수분 손실에서 발생하는 탈수 치료를 위한 지원 조치가 제시된다.
아마톡신 중독에 대한 확실한 해독제는 없지만, 몇몇 특정한 치료법이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정확한 메커니즘은 [17]알려지지 않았지만 고용량의 연속 정맥주사 페니실린 G가 유익하다고 보고되었고, 세팔로스포린에 대한 실험은 [2][18]유망하다.축복을 받은 엉겅퀴(Silybum Marianum)의 추출물인 실리비닌 정맥주사가 데스캡 중독의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실리비닌은 간세포에 의한 아마톡신 흡수를 방지하여 손상되지 않은 간조직을 보호한다.또한 DNA의존성 RNA중합효소를 자극하여 RNA합성을 [19][20][21]증가시킨다.N-아세틸시스테인은 다른 [22]치료법과 함께 가능성을 보여왔다.동물 연구는 아마톡신이 간 글루타치온을 [23]고갈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N-아세틸시스테인은 글루타치온 전구체 역할을 하므로 글루타치온 수치 감소와 그에 따른 간 [24]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사용된 해독제 중 어떤 것도 사전 무작위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았으며, 오직 일화적 지원만 이용할 수 있다.실리비닌과 N-아세틸시스테인은 가장 잠재적인 이점을 [15]가진 치료제인 것으로 보인다.활성탄의 반복 투여는 장간 [25]순환 후 위장관으로 되돌아오는 모든 독소를 흡수함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다.독소 제거를 강화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시험되었다; 혈액 [26]투석, 혈액 융합,[27] 플라스마페레시스,[28] 복막[29] 투석과 같은 기술들은 때때로 성공을 거두었지만 전반적으로 결과를 [12]개선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환자 간 부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간 이식 수술 흔히 있는 유일한 선택 죽음을 막기 위해.아마 톡신 중독에 간 이식이 잘 짜여진 선택이다.[30][31일][32]이것은 복잡한 문제 그러나 이식을 스스로 분명하다는 합병증과 사망. 환자들이 이식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간의 면역 억제를 요구합니다.[15]사건, 증상의 시작과 같은 기준에 관한 재판정, prothrombin 시간(부분 트롬보 플라스틴 시간), 혈청 빌리루빈, 존재의 뇌병증에 결정에 어느 시점이 장기 이식이 필요한 생존을 위하다.[33][34][35]증거는, 비록 생존율이 현대의 의학 치료법을 적당한 심각한 환자들을 사람들은 상처를 영구적인 간 손상 회복하셨나 절반의 중독에 의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그러나 후속 연구에서 버섯 섭취한 후 36시간 이내에 치료는 대부분의 생존자들 아무런 후유증 없이 회복을 보여 주었다.[36]
조사.
Amanita virosa 추출물을 시험관에서 배양된 슈도 모나스 aeruginosa과 황색 포도상 구균에 항균성 효능이 있다.[37]또한 트롬빈에 억제 활동을 보여 주었다.[38]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tandardized Common Names for Wild Species in Canada". National General Status Working Group. 2020.
- ^ a b c d e Benjamin, Denis R (1995).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 a Handbook for Naturalists, Mycologists, and Physicians. New York: W.H. Freeman. pp. 198–241. ISBN 978-0716726494.
- ^ Simpson, D.P. (1979). Cassell's Latin Dictionary (5 ed.). London: Cassell Ltd. p. 883. ISBN 978-0-304-52257-6.
- ^ Nilson, Sven; Olle Persson (1977). Fungi of Northern Europe 2: Gill-Fungi. Penguin. p. 54. ISBN 978-0-14-063006-0.
- ^ a b Zeitlmayr, Linus (1976). Wild Mushrooms:An Illustrated Handbook. Hertfordshire: Garden City Press. pp. 62–63. ISBN 978-0-584-10324-3.
- ^ Ramsbottom J (1953). Mushrooms & Toadstools. Collins. p. 39. ISBN 978-1-870630-09-2.
- ^ Jordan, Peter; Wheeler, Steven (2001). The Ultimate Mushroom Book. London: Hermes House. p. 99. ISBN 978-1-85967-092-7.
- ^ Carluccio A (2003). The Complete Mushroom Book. London: Quadrille. p. 224. ISBN 978-1-84400-040-1.
- ^ a b Litten, W. (March 1975). "The most poisonous mushrooms". Scientific American. 232 (3): 90–101. Bibcode:1975SciAm.232c..90L. doi:10.1038/scientificamerican0375-90. PMID 1114308.
- ^ Köppel C (1993). "Clinical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mushroom poisoning". Toxicon. 31 (12): 1513–40. doi:10.1016/0041-0101(93)90337-I. PMID 8146866.
- ^ Dart, RC (2004). "Mushrooms". Medical toxicology. Philadelphia: Williams & Wilkins. pp. 1719–35. ISBN 978-0-7817-2845-4.
- ^ a b c d Karlson-Stiber C, Persson H (2003). "Cytotoxic fungi - an overview". Toxicon. 42 (4): 339–49. doi:10.1016/S0041-0101(03)00238-1. PMID 14505933.
- ^ Wieland T, Govindan VM (1974). "Phallotoxins bind to actins". FEBS Lett. 46 (1): 351–53. doi:10.1016/0014-5793(74)80404-7. PMID 4429639. S2CID 39255487.
- ^ Vetter, János (January 1998). "Toxins of Amanita phalloides". Toxicon. 36 (1): 13–24. doi:10.1016/S0041-0101(97)00074-3. PMID 9604278.
- ^ a b c d e Enjalbert F, Rapior S, Nouguier-Soulé J, Guillon S, Amouroux N, Cabot C (2002). "Treatment of amatoxin poisoning: 20-year ret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40 (6): 715–57. doi:10.1081/CLT-120014646. PMID 12475187. S2CID 22919515.
- ^ Vesconi S, Langer M, Iapichino G, Costantino D, Busi C, Fiume L (1985). "Therapy of cytotoxic mushroom intoxication". Critical Care Medicine. 13 (5): 402–6. doi:10.1097/00003246-198505000-00007. PMID 3987318. S2CID 23016936.
- ^ Floerscheim, G.L.; Weber, O.; Tschumi, P.; Ulbrich, M. (August 1982). "Die klinische knollenblatterpilzvergiftung (Amanita Phalloides): prognostische faktoren und therapeutische massnahmen (Clinical death-cap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prognostic factors and therapeutic measures.)". Schweizerische Medizinische Wochenschrift (in German). 112 (34): 1164–77. PMID 6291147.
- ^ Neftel, K.; et al. (January 1988). "(Are cephalosporins more active than penicillin G in poisoning with the deadly Amanita?)". Schweizerische Medizinische Wochenschrift (in German). 118 (2): 49–51. PMID 3278370.
- ^ Hruby K, Csomos G, Fuhrmann M, Thaler H (1983). "Chemotherapy of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with intravenous silibinin". Human Toxicology. 2 (2): 183–95. doi:10.1177/096032718300200203. PMID 6862461. S2CID 19805371.
- ^ Carducci, R.; et al. (May 1996). "Amanita_phalloides (cmd-click)">Silibinin and acute poisoning with Amanita phalloides". Minerva Anestesiologica (in Italian). 62 (5): 187–93. PMID 8937042.
- ^ Jahn, W. (1980). "Pharmacokinetics of {3H}-methyl-dehydroxymethyl-amanitin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liver, and the influence of several drugs". In Helmuth Faulstich, B. Kommerell & Theodore Wieland (ed.). Amanita toxins and poisoning. Baden-Baden: Witzstrock. pp. 80–85. ISBN 978-3-87921-132-6.
- ^ Montanini S, Sinardi D, Praticò C, Sinardi A, Trimarchi G (1999). "Use of acetylcysteine as the life-saving antidote in Amanita phalloides (death cap) poisoning. Case report on 11 patients". Arzneimittel-Forschung. 49 (12): 1044–7. doi:10.1055/s-0031-1300549. PMID 10635453.
- ^ Kawaji A, Sone T, Natsuki R, Isobe M, Takabatake E, Yamaura Y (1990). "In vitro toxicity test of poisonous mushroom extracts with isolated rat hepatocytes". The Journal of Toxicological Sciences. 15 (3): 145–56. doi:10.2131/jts.15.145. PMID 2243367.
- ^ Chyka P, Butler A, Holliman B, Herman M (2000). "Utility of acetylcysteine in treating poisonings and adverse drug reactions". Drug Safety. 22 (2): 123–48. doi:10.2165/00002018-200022020-00005. PMID 10672895. S2CID 25061940.
- ^ Busi C, Fiume L, Costantino D, Langer M, Vesconi F (1979). "Amanita toxins in gastroduodenal fluid of patients poisoned by the mushroom, Amanita phalloid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0 (14): 800. doi:10.1056/NEJM197904053001418. PMID 423916.
- ^ Sabeel AI, Kurkus J, Lindholm T (1995). "Intensive hemodialysis and hemoperfusion treatment of Amanita mushroom poisoning". Mycopathologia. 131 (2): 107–14. doi:10.1007/BF01102888. PMID 8532053. S2CID 23001126.
- ^ Wauters JP, Rossel C, Farquet JJ (1978).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treated by early charcoal haemoperfusion". British Medical Journal. 2 (6150): 1465. doi:10.1136/bmj.2.6150.1465. PMC 1608737. PMID 719466.
- ^ Jander S, Bischoff J, Woodcock BG (2000). "Plasmapheresis in the treatment of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II.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Therapeutic Apheresis. 4 (4): 308–12. doi:10.1046/j.1526-0968.2000.004004303.x. PMID 10975479.
- ^ Langer M, Vesconi S, Iapichino G, Costantino D, Radrizzani D (1980). "The early removal of amatoxins in the treatment of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Klinische Wochenschrift (in German). 58 (3): 117–23. doi:10.1007/BF01477268. PMID 7366125. S2CID 39522161.
- ^ Klein AS, Hart J, Brems JJ, Goldstein L, Lewin K, Busuttil RW (February 1989). "Amanita poisoning: treatment and the role of liver transplantation".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86 (2): 187–93. doi:10.1016/0002-9343(89)90267-2. PMID 2643869.
- ^ Pinson CW, Daya MR, Benner KG, Norton RL, Deveney KE, Ascher NL, Roberts JP, Lake JR, Kurkchubasche AG, Ragsdale JW (May 1990). "Liver transplantation for severe Amanita phalloides mushroom poisoning". American Journal of Surgery. 159 (5): 493–9. doi:10.1016/S0002-9610(05)81254-1. PMID 2334013.
- ^ Ganzert M, Felgenhauer N, Zilker T (2005). "Indication of liver transplantation following amatoxin intoxication". Journal of Hepatology. 42 (2): 202–9. doi:10.1016/j.jhep.2004.10.023. PMID 15664245.
- ^ O'grady, John G.; Alexander, Graeme J.M.; Hayllar, Karen M.; Williams, Roger (August 1989). "Early indicators of prognosis in fulminant hepatic failure". Gastroenterology. 97 (2): 439–445. doi:10.1016/0016-5085(89)90081-4. PMID 2490426.
- ^ Panaro, Fabrizio; Andorno, Enzo; Morelli, Nicola; Casaccia, Marco; Bottino, Giuliano; Ravazzoni, Ferruccio; Centanaro, Monica; Ornis, Sara; Valente, Umberto (April 2006). "Letter to the editor: Liver transplantation represents the optimal treatment for fulminant hepatic failure from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Transplant International. 19 (4): 344–45. doi:10.1111/j.1432-2277.2006.00275.x. PMID 16573553. S2CID 39474194.
- ^ Escudié L, Francoz C, Vinel JP, Moucari R, Cournot M, Paradis V, Sauvanet A, Belghiti J, Valla D, Bernuau J, Durand F (2007). "Amanita phalloides poisoning: reassessment of prognostic factors and indications for emergency liver transplantation". J. Hepatol. 46 (3): 466–73. doi:10.1016/j.jhep.2006.10.013. PMID 17188393.
- ^ Giannini L, Vannacci A, Missanelli A, Mastroianni R, Mannaioni PF, Moroni F, Masini E (2007). "Amatoxin poisoning: A 15-year retrospective analysis and follow-up evaluation of 105 patients". Clinical Toxicology. 45 (5): 539–42. doi:10.1080/15563650701365834. PMID 17503263. S2CID 37788880.
- ^ Janeš, Damjan; Kreft, Samo; Jurc, Maja; Seme, Katja; Štrukelj, Borut (2008). "Antibacterial Activity in Higher Fungi (Mushrooms) and Endophytic Fungi from Slovenia". Pharmaceutical Biology. 45 (9): 700. doi:10.1080/13880200701575189. S2CID 84940020.
- ^ Doljak, B.; Stegnar, M.; Urleb, U.; Kreft, S.; Umek, A.; Ciglarič, M.; Štrukelj, B.; Popovič, T. (2001). "Screening for selective thrombin inhibitors in mushrooms". Blood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12 (2): 123–8. doi:10.1097/00001721-200103000-00006. PMID 11302474. S2CID 28411589.
원천
- Benjamin, Denis R. (1995).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 a handbook for naturalists, mycologists and physicians.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ISBN 978-0-7167-2600-5.
- Jordan Peter; Wheeler Steven. (2001). The Ultimate Mushroom Book. London: Hermes House. ISBN 978-1-8596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