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폰소 멘데스
Afonso Mendes아폰소 멘데스 | |
---|---|
태어난 | 1579년 6월 18일 |
죽은 | 1659년 6월 21일 | (80세)
국적 | 포르투갈어 |
직업 | 예수회 신학자 |
로 알려져 있다. |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
아폰소 멘데스 신부(Afonso Mendes, 1579년 6월 18일 ~ 1659년 6월 21일)는 포르투갈 예수회 신학자, 1622년부터 1634년까지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였다. E.A.에서. 월리스 버지는 이 남자의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의견을 "강직하고, 비타협적이며, 편협하고, 편협한" 의견으로 표현해 왔으며,[1]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2] 멘데스의 저술로는 에티오피아의 풍습과 상태를 묘사한 에스피오피아(Ethiopicae)가 있다.
교육
멘데스는 산토 알레호에서 태어났다.[3] 예수회에 입학하여 사제 서품을 받고 코임브라 대학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예술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에티오피아로의 여행
멘데스는 가톨릭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수세니오스 황제의 호의에 따라 교황 우르반 8세에 의해 에티오피아 총대주교로 임명되어 1623년 3월 에티오피아로 떠났다.[4] (최초의 가톨릭 선교사들은 1557년에 에티오피아에 도착하였다.)
에티오피아로의 여행은 길고 힘들었다. 멘데스의 일행은 그해 9월에 포르투갈 모잠비크에 이르렀고, 겨울 날씨로 인해 지체되었다가 1624년 5월 28일에야 고아에 도착했다.[5] 고아에서 더욱 준비를 마친 총대주교는 디우(여로니모 로보가 합류한 곳)를 경유하여 베일룰로 항해하여 1625년 5월 2일 베일룰에 도착했다.[6] 홍해의 이 항구는 에티오피아 황제의 신하였던 아파르 왕에 의해 통제되었다. 에티오피아의 주요 출입항인 마사와는 당시 에티오피아와 유럽의 이익에 적대적인 오스만 제국에 의해 통제되었다. 일행은 사막을 건너 에티오피아 고원으로 들어가 멘데스가 리스본을 떠난 지 2년여 만인 1625년 6월 21일 가톨릭 선교활동의 근거지인 프레모나에 도착했다.[7]
에티오피아의 경력
1626년 2월 11일 공개 기념식에서 수세니오스 황제와 멘데스 총대주교는 로마 교황청의 영장성을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천주교를 국교로 삼았다.[8]
멘데스는 토요일 안식일과 잦은 단식을 포함한 많은 지역 관행을 비난했다. 그는 또한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그들의 자녀들이 지옥에 있다고 여자들에게 말했다. 많은 왕녀들이 개종을 거부하고 예수회 사명을 불안정하게 하기 위해 일했다.[9][10] 그는 또한 많은 가톨릭 사제들에게 서품을 하사했고 미사를 포함한 라틴어 원문을 현지어로 번역했다.[11]
한동안 개종했다. 리처드 판커허스트는 뎀비야와 웩게라 주민 10만 명이 가톨릭으로 개종했다고 보도했다.[12]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협박, 투옥, 전투를 통해 개종해야 했다.[11]
그러나 강제적인 변화에 대한 투쟁과 반란이 공공의식 며칠 만에 시작되었고, 곧 황제의 아들 파실리데스는 토착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편을 들었다.
여러 해 동안의 내전 끝에, 그리고 1632년 6월 7일 전투에서 자기 자신의 군인들이 지역민들에게 한 일에 의해 황폐해진 수세니오스 황제는 1632년 6월 14일 칙령을 철회하고, 가톨릭 신앙을 따를 사람들은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허락되었지만, 아무도 더 이상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선언문을 발표하였다.[11] 멘데스 총대주교는 이것이 실로 그의 보호자인 황제의 실제 의지임을 확인했다.[13]
아버지의 뒤를 이어 파실리데스는 처음에는 가톨릭의 위계를 프레모나에 국한시켰고, 그 후 1634년에는 멘데스(이티오피아에서 9년간 근무한 사람)와 대부분의 가톨릭 선교사들을 에티오피아에서 추방했다.[11]
1633년 3월 29일, 멘데스는 어려움으로 가득 찬 여행인 에티오피아에서 그의 여행을 시작했다. 그들이 에티오피아 마사와에 있는 오스만 나입에 도착했을 때, 나입족은 그들을 수아킨에 있는 상관에게 보냈는데, 파샤는 인도로 진행하기 전에 일행에게 몸값을 지불하라고 강요했다. 4300명의 파타카(멘데스가 지역 반얀 상인들로부터 빌린 것)의 몸값을 지불했음에도 불구하고, 파샤는 마지막 순간에 총대주교 멘데스, 사제 2명, 성직자 3명, 그리고 그의 하인 2명을 계속 유지할 것을 주장했다. 이들은 멘데스가 몸값으로 8개 중 4000개를 더 모을 때까지 포로가 되어 있었고, 파샤는 1635년 4월 24일 그들을 디우행 배에 태웠다.
커리어 인 고아
그들은 한 달 후에 디우에 이르렀고, 멘데스는 즉시 고아로 계속 갔고, 거기서 그는 그의 회복을 위한 군사적 지원을 구하지 못했다.[14]
그는 여생을 고아에서 보낸 것으로 보이며, 그곳에서 에티오피아 역사와 지리에 관한 책과 에티오피아의 예수회 선교사 '에티오피아 아에티오피아'를 썼다.[15] 그의 라틴어로 된 편지와 연례 보고서는 Rerum Aethiopicarum Scriptores Occidentales[16] 시리즈의 다른 책들에 나타나 있으며 많은 책들이 영어로 번역되었다.[4]
평판
멘데스는 에티오피아에서 예수회 임무의 실패에 대해 자주 비난을 받는다.[1] 실제로 예수회 선교사가 실패한 다른 나라는 일본뿐이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예수회 조직이 자신들의 명령을 수행만 하던 멘데스를 자신들의 발 앞에 놓인 실패를 피하기 위해 비난했다는 주장도 제기돼 왔다.[2][17] [11]
"스콜라들은 수스니오스를 개종시킨 페드로 파에스를 관계를 구축한 관용적인 지식인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고, 멘데스를 문화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종교적 관행을 주장하여 관계를 파괴한 편협한 강경파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달리 주장해 왔다. 1930년대에 포르투갈의 학자 파울루 듀랑(Paulo Durang)은 17세기 환경에서는 예수인들이 거들먹거리는 태도에 대한 비난보다는 편협하다는 비난에 대해 덜 걱정했다고 지적했다. 수십 년 후, 메리드 월드 아레가이는 멘데스가 로마에서 상관의 눈에 느슨하고 약해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의 자필 편지와 보고서]는 멘데스가 사실 성격에 의한 강경파가 아니라 새크라 콘그레가티오 데 선전 파이데의 새로운 선교 감독 기관에서 전해 내려오는 새로운 규칙을 시행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11]
멘데스 자신도 에티오피아 왕족 여성들을 탓했다. 예를 들어, 그는 황제의 딸 벵게라윗을 "주교 피구라 네스타 트라게디아"(이 비극의 주요 인물[예수교도의 실패])[4]라고 묘사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월리스 버즈, 에티오피아의 역사: 누비아와 아비시니아, 1928년(오스테르후트: 인류학 간행물, 1970), 페이지 390
- ^ a b 메리드 월드 아레가이, 에티오피아 선교 팩터에 나오는 "이디오피아 예수회 선교 활동의 유산": 유럽공관이 에티오피아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엄의 논문, ed. Getatchew Haile, Samuel Rubenson 및 Aasulv Lande(프랑크푸르트: Verlag, 1998); 에르베 페넥, 데스 제수이테스 아우 로이아움 뒤 프뢰레 장(에티오피): Stratégies, Rencontres Et Tentials D'implantation 1495–1633(파리: Fundasang Calouste Gulbenkian, 2003).
- ^ Cardoso, Luiz (1747). Diccionário ou Noticia Histórica de todas as Cidades, Villas, Lugares (...) (in Portuguese). Retrieved 1 November 2011.
- ^ a b c Belcher, Wendy Laura (2017). The Jesuits in Ethiopia (1609-1641): Latin Letters in Translation. Translated by Wright, Jessica; Grek, Leon.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108799.
- ^ Téllez, Balthazar (1710). The Travels of the Jesuits in Ethiopia. J. Knapton. p. 224.
- ^ Tellez, Travels, 페이지 225
- ^ 멘데스가 디우에서 프레모나로 가는 여정은 도널드 M이 번역한 제로니모 로보, 제로니모 로보의 <트레타리오>에 묘사되어 있다. 록하트(런던: Hakluyt Society, 1984), 페이지 71–153
- ^ 테레즈, 트래블즈
- ^ Belcher, Wendy Laura (2013). "Sisters Debating the Jesuits: The Role of African Women in Defeating Portuguese Proto-Colonialism in Seventeenth-Century Abyssinia". Northeast African Studies. 13 (1): 121–166. doi:10.14321/nortafristud.13.1.0121. ISSN 0740-9133.
- ^ M. 곤살베스 다 코스타, "Introsschang," Tourtahrio e Outros Escritos Inéditos (포르토: Civilizasang, 1971), 40, 49.
- ^ a b c d e f 레오나르도 코헨, 에티오피아의 예수회 (1609년-1641년)의 "문자의 소개": 번역의 라틴어 편지. 비즈바덴: 하라소위츠 베라크, 2017년 1월 1일
- ^ Pankhurst, The Ethiopians: A History (Oxford: Blackwell, 2001), 페이지 107
- ^ 제임스 브루스, 나일강의 근원을 발견하기 위해 여행하다(1805판), 제3권 403피트
- ^ Tellez, Travels, 페이지 260
- ^ 멘데스, 알폰소. 탐험대 아에티오픽아과. 카밀로 베카리 편집 15권 제8권과 9권, Rerum Aethiopicarum Scriptores Occidentales a Saeculo Xvi Ad Xix. 로마: 1908년 C. de Luigi용으로 인쇄됨.
- ^ 베카리, 카밀로, 에드 관계자들 Epistolae Variorum. 15권. 제10권 14호, Rerum Aethiopicarum Scriptores Occidentales a Saeculo Xvi Ad Xix. 로마: C. de Luigi, 1910.
- ^ 레오나르도 코헨, 안드레우 마르티네스 다알레스-모네르, "이디오피아로 가는 예수회 선교(16~17세기): 분석적 참고 문헌 목록" Aethiopica 9(2006): 1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