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싯 법
Act of Tilsit틸시트의 법(리투아니아어: 틸로스 악타스)는 리투아니아 마이너 국가평의회(리투아니아어: 1918년 11월 30일 Mažos Lietuvos tautinė taryba).[1] 서명국들은 리투아니아 마이너와 리투아니아 페레스트를 단일 리투아니아 국가로 통일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프러시아 리투아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동프로이센의 북부 지역을 독일 제국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네만 강 북쪽에 있는 동프로이센의 일부, 메멜 시까지의 메멜 영토(Klaipdada)는 베르사유 조약에 의한 폴란드 노력에 의해 분리되어 국제 연맹의 감독하에 놓였다. 이 행위가 서명된 틸싯 마을을 비롯해 네만 강 남쪽에 위치한 동프로이센의 나머지 지역은 독일 내에 남아 있었다.
이 법은 친리투아니아 성향의 주요 지도자 빌헬름 스토로스트와 빌헬름 가이갈랏에 의해 서명되지 않았다. 후자는 프러시아 리투아니아 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그 자리를 거부하였다.[2] 그는 총서기 에르드모나스 시모나티스로 교체되었다. 이 법은 리투아니아 마이너보다는 리투아니아 공화국에서만 널리 발표되었다. 다른 사실들 중에서도, 그것은 주로 리투아니아 국가평의회의 의견을 널리 제시하기 위한 "쇼" 문서임을 시사한다.[3]
결국, 틸싯 법은 1923년 일어난 클라이프다 반란을 계기로 중요한 선전 도구가 되었고, 그 후 메멜 영토(클라이프다 지방)가 리투아니아에 합병되었다.[1] 1939년 3월, 리투아니아는 강제로 클라이프다 지역을 나치 독일에 양도해야 했다. 틸싯법 서명자 중 일부는[1] 나중에 반역죄로 나치에 의해 핍박을 받았고, 시모나티스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지만 살아남았다.
참조
- ^ a b c Šilas, Vytautas (1998). "Mažlietuvių apsisprendimo aktas". Mokslas ir Gyvenimas (in Lithuanian). 11–12 (491–492). ISSN 0134-30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27. Retrieved 2007-10-15.
- ^ Aleknavičius, Bernardas (2004). "Nors nuritintas akmuo..." Mokslo Lietuva (in Lithuanian). 2 (292). ISSN 1392-71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17. Retrieved 2007-10-18.
- ^ (리투아니아어) Vasilijus Safronovas Tilžs akto mįslės 2008-12-05 Wayback Machine ("Kulturos barai" Nr.11)
추가 읽기
- A.A. Gliožaitis "Tilžs akto reikshmm" ("Voruta", 1998, 1999 No 43-47)
- 알기스 A. Regis, "Tilžs aktas" ("Lietuvių dienos"), No 1 (361, 1986)
- 페트라스 치지카스 "틸트레스 아크타스 - 빌티 아크타스" ("보루타", 제23호 (521호, 2002년)
- 로무알다스 오졸라스 "틸리s스 아크타스: 교류타티보스 ir 임페라티바이" ("도넬라이치오 žemė", 2004년 1-2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