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로 데 피구에로아, 로마노네스 제1백작
Álvaro de Figueroa, 1st Count of Romanones로마노네스 백작 | |
---|---|
스페인의 총리 | |
재직중 1912년 11월 14일 – 1913년 10월 27일 | |
모나크 | 알폰소 XIII |
선행자 | 마누엘 가르시아 프리에토 |
성공자 | 에두아르도 다토 |
재직중 1918년 12월 5일 – 1919년 4월 14일 | |
모나크 | 알폰소 XIII |
선행자 | 마누엘 가르시아 이 프리에토 |
성공자 | 안토니오 마우라 |
개인내역 | |
태어난 | 알바로 데 피구에로아 토레스소토마요르 1863년 8월 15일 스페인 마드리드 시스네로스 카사 |
죽은 | 1950년 9월 11일 스페인 마드리드 | (87세)
국적 | 스페인어 |
정당 | 자유당 |
배우자 | 카실다 알론소 마르티네스 마르틴 (1888 – 1950) |
아이들. | 7 |
모교 | 센트럴 대학교 콜레지오 디 스파게티나 |
서명 | |
알바로 데 피구에로아 이 토레스 소토마요르 로마노네스 제1대 백작(1863년 8월 9일~1950년 10월 11일)은 스페인의 정치인이자 사업가였다. 1912년부터 1918년 사이에 세 차례 총리를 지냈고, 원로원 의장, 중의원 의장, 마드리드 시장 등을 역임했으며, 여러 차례 각료직을 역임했다. 그는 자유당 소속이었다. 광범위한 정치 네트워크를 구축한 로마노스는 복구 기간 대부분 동안 과달라하라 지방의 정치 생활을 철저히 통제했다.[1] 그는 또한 많은 역사 에세이를 저술한 다작 작가였다.
전기
초년기
1863년 8월 15일 마드리드 플라자 데 라 빌라에서 카사 데 시스네로스(Casa de Cisneros)에서 태어난 그는 이그나시오 피게로아 이 멘디에타(아버지의 광산회사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은 백만장자)와 아나 데 토레스 이 로모(빌라메조르 후작의 딸)의 아들이었다.[2][3] 그의 형제들은 프란시스카, , 였다[4]
그는 어렸을 때 오른쪽 다리가 부러지고 평생 절름거리는 바루슈 사고를 당했다.[5] 그의 장애는 정기적으로 퀴플레, 농담, 캐리커쳐로 조롱받게 될 것이다.[6]
그는 1884년 마드리드 중앙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7] 1885년 2월 볼로냐 대학의 콜레지오 디 스파게나로 이사하여 1885년 12월까지 머물렀으며, 《Introzione allo studio del dirituzionale》이라는 논문을 읽음으로써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8] 하지만 그는 결코 법을 연습한 적이 없다.[8]
스페인의 정치
이 섹션은 검증을 위해 추가 인용구가 필요하다. "Alvaro – · · 책 · · (2021년 9월 (이 템플릿 |
1888년, 처음으로 과달라하라를 대표하여 하원의원이 되었고, 보궐선거에서 선출되어 빈자리를 메꾸었다.[9] 국회의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25세 연령이 수개월로 짧아진 그는 이런 상황을 숨긴 것으로 알려졌다.[10] 그 직후인 1888년 9월 21일 산 세바스티안에서 피게로아는 그레이스 장관과 마뉴엘 알론소 마르티네스 재판관의 딸과 결혼했다. 카실다 알론소 마르티네스와 함께 7명의 자녀를 둔 카실다, [파이], 알바로[에스 카를로스, 호세, 에두아르도, 아구스틴[11][n. 1]
그는 1889년 7월 의회 스캔들에 참여했는데, 입법부에서 팽팽한 몸싸움이 벌어지는 가운데, 베가 데 아르미조 후작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펠리페 두카즈칼 ]에게 지팡이를 휘둘렀다[13] 그는 로메로 로블레도에게 " 지팡이에 숨겨둔 강간범을 그렸다"[14]는 누명을 썼다.
그는 1889년 마드리드 시의원으로 선출되었다.[15] 부에나비스타와 오디엔시아의 구역을 책임지고, 산 일데폰소 학파의 후원자, 아바토아르, 마켓스, 투루파레스 앤 워크스의 서비스 이사로 활동한 후, 피게로는 1892년에 사무소로 사직했다.[15]
그는 1892년 알베르토 보슈 이 푸스테게라스 시장을 그의 의회에서 모욕적인 비난을 퍼부었고,[16] 그래서 화가 난 사람들은 1892년 7월 10일 르가네스에서 열린 결투를 요구했다[17] 그 전투원들은 두 발을 넘어갔다.[18] 는 또한 발데글레시아스 후작과 다시 한번 결투를 벌였다[19]
1894년에 그는 마드리드의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사가스타 정부에서 공교육미술부 장관(1901–1902)을 지냈다. 1901년 초등교육 교사의 봉급(지방자치단체에 따라 달라짐)을 국가 예산에 편입시켜 교사의 경제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교육에서 캐시키모의 영향력을 억제하였다.[20] 1903년에 그는 정치 신문인 디아리오 유니버셜을 창간했다.
1905년과 1906년 자유당 정부에서 그는 개발부 장관(농업, 산업, 상업 및 공공사업을 포함하는 포멘토), 법무 및 내무부 장관이었다. 그는 호세 카날레하스가 자유당 정상을 차지하는데 공헌하였고, 그 보답으로 1909년 공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1912년 중의원(콘그레소 데 로스 디푸타도스)의 대통령직에 추대되었다.
카날레하스 암살 이후 자유당의 저명한 인물 중 한 사람이 되었고, 총리(1912–1913)에 임명되었다. 그는 프랑스와 모로코에 관한 조약에 대해 협상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친프랑스적 입장을 취했는데, 이로 인해 에두아르도 다토 정부의 공식 중립 선언과 보수파의 친독적 입장이 충돌하게 되었다. 그는 다시 총리가 되자(1915~1917) 스페인의 외교정책을 동맹국들과 더욱 가깝게 바꾸고 스페인 선박들이 스페인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는 독일 잠수함 '무능'에 의해 어뢰를 맞고 친독 보수언론의 공격을 받는 사건을 계기로 독일과 대치하던 중 결국 사임했다.
안토니오 마우라의 연립정부를 지도·법무부 장관으로, 마누엘 가르시아 프리에토 정부(1918년)에 국무장관을 겸임한 직후인 1918년 12월 잠시 정부를 주재했는데, 카탈로니아의 자치주의 시위와 노동 갈등으로 무너졌다. 그는 1919년 4월 8시간 근무령을 발령하고 교체되었다.
1923년 9월 13일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났을 때, 그는 마누엘 가르시아 프리메토의 자유주의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1922–1923)을 지냈고, 1923년 원로원 의장이 되었다.
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정권 시절에는 '산주아나다'라는 음모에 가담해 벌금형을 선고받았지만 정계에 관여하지 않았다.
후안 바우티스타 아즈나르 카바냐스 정부에서 국무장관에 임명되었으나, 1931년 선거에서는 군주제가 인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알폰소 13세에게 스페인을 떠날 것을 권고하였다.
로마노스는 니케토 알칼라 자모라와 그의 혁명위원회에게 개인적으로 이야기했고, 왕실의 생명에 대한 보증을 대가로 군사적 개입 없이 임시공화정부에 대한 평화적인 정권 이양에 동의했다.
만년
제2공화국 시절 과달라하라 부대표로 남아 있었다.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산 세바스티안(San Savastián)에서 자신의 사업을 책임지는 것을 발견했고, 그는 프랑스 대사의 도움으로 프랑스로 건너갔다. 그는 국민당 지역에 1937년, 프란시스코 Franco,[21]의 된 열렬한 지지자까지만 해도 그는 자문 의견은 Illegitimacy은 고건 파워스의 7월 18일 1936년에, 비상 대책 법률 보고서는 Francoist 정부에 의해 부르고스에 의뢰해의 구성원의,"국가 반란"legitimate기 위해 노력하고 이사했다.—the 1936년 쿠데타—폭행이 수반하는 바로 그 범죄, "반란의 방조"[22]와 같은 왜곡된 주장을 통해.
전쟁이 끝난 후 그는 회고록을 썼고, Real Academy de Bellas Artes de San Fernando의 총장이자 역사학회와 법학회의 회원이었다.
그는 1950년 9월 11일 마드리드에서 사망했다.[23]
작업 및 보기
로마노네는 다작 작가였고 제2공화국 시절 회고록을 썼다. 그는 정치 작품과 수필뿐만 아니라 몇 편의 전기를 썼다.
카톨릭 신자였지만, 그는 종교적 편협성에 반대했고 또한 그가 종종 종교 당국과 충돌했던 성직자들의 영향력에 반대했다. 1905년 민혼법이 제정되면서 결혼하는 사람들은 종교를 선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그 예다. 그는 교황청과 외교 관계를 회복했지만 정교 분리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명예
그는 볼로냐 대학의 법학 박사로서 왕립 역사 아카데미와 왕립 도덕 정치 과학 아카데미의 일원이었다. 산 페르난도 아테네오 마드리예뇨의 회장, 벨라스 아르테스 데 산 페르난도 레알 학회 이사.
그는 1893년 로마노네 백작, 1911년 스페인의 그란데가 되었고, 1922년 예베 7대 백작이 되었다.
참조
- 정보 참고 사항
- ^ 그의 손자 카를로스 피게로아는 1956년 하계 올림픽에서 스페인을 위해 경쟁했다.[12]
- 인용구
- ^ 모레노 루손 1996년 145쪽 165쪽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27.
- ^ Anton del Olmet & Toresl 1922, 페이지 24–25; Moreno Luzon 1996, 페이지 147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26–27.
- ^ Anton del Olmet & Toresl 1922, 페이지 34, Cabello Carro 2013, 페이지 38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348.
- ^ 콘데 이 디아즈 루빈 & 산치즈 루이즈 2008, 페이지 356.
- ^ a b 니에토 산체스 2012 페이지 369.
- ^ Anton del Olmet & Toresl 1922, 페이지 49, Moreno Luzon 1996, 페이지 146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49–50.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62–63.
- ^ "Carlos Figueroa Olympic Results".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4-18. Retrieved 2012-02-14.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71.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71, 75.
- ^ a b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79.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83–84.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83–87.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87.
- ^ Anton del Olmet & Tores Bernal 1922, 페이지 89.
- ^ 스캔론 1987, 페이지 202.
- ^ 루이즈 2005 페이지 1
- ^ 아로스테기 2000, 페이지 40.
- ^ 프랑세스 1951 페이지 7.
- 참고 문헌 목록
- Antón del Olmet, Luis; Torres Bernal, José de (1922). Los grandes españoles. Romanones. Madrid: Imprenta de Juan Pueyo.
- Aróstegui, Julio (2000). "Política y administración en el régimen de Franco". El franquismo, el régimen y la oposición: Actas de las IV Jornadas de Castilla-La Mancha sobre Investigación en Archivos. 1. pp. 35–68. ISBN 84-931658-1-6.
- Cabello Carro, Paz (2013). "Inicio de las políticas de conservación del Patrimonio Histórico en 1900 y creación de la Dirección General de Bellas Artes en 1915". Patrimonio Cultural y Derecho (17): 35–70. ISSN 1138-3704.
- Conde y Díaz-Rubín, José Ignacio; Sanchiz Ruiz, Javier (2008). "Referencias bibliográficas" (PDF). Historia genealógica de los títulos y dignidades nobiliarias en Nueva España y México. I. México: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pp. 331–428. ISBN 978-970-32-4999-2.
- Francés, José (1951). "Semblanza y loa del conde de Romanones". Academia: Boletín de la Real Academia de Bellas Artes de San Fernando. Madrid: Real Academia de Bellas Artes de San Fernando. 1: 5–15. ISSN 0567-560X.
- Moreno Luzón, Javier (1996). "El conde de Romanones y el caciquismo en Castilla (1888–1923)" (PDF). Investigaciones Históricas: Época Moderna y Contemporánea (16): 145–166. ISSN 0210-9425.
- Nieto Sánchez, Carlos (2012). San Clemente de Bolonia (1788–1889) (PDF).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ISBN 978-84-9031-158-5.
- Ruiz, Julius (2005). Franco's Justice: Repression in Madrid After the Spanish Civil War. Oxford: Clarendon Press. ISBN 0-19-928183-1.
- Scanlon, Geraldine M. (1987). "La mujer y la instrucción pública de la ley Moyano a la II República" (PDF). Historia de la Educación: Revista Interuniversitaria. Salamanca: Ediciones Universidad de Salamanca (6): 93–208. ISSN 0212-0267.
이 기사는 스페인어 위키피디아 기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알바로 데 피구에로아 이 토레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