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462A -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462A
KR20220017462A KR1020227000025A KR20227000025A KR20220017462A KR 20220017462 A KR20220017462 A KR 20220017462A KR 1020227000025 A KR1020227000025 A KR 1020227000025A KR 20227000025 A KR20227000025 A KR 20227000025A KR 20220017462 A KR20220017462 A KR 2022001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od
protrusion
distal
proximal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십가트 울라
트레버 랑글리
다니엘 핼빅
브라이언 그리구스
프리트비 싱그
앤드류 두몬트
저스틴 비치스테인
데이비드 네트
제레미 오데가드
타샤 길룸
리안 아인스워스
Original Assignee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8464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0174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filed Critical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1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5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proxim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6Priming, e.g. purging, reducing backlash or clea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5/31505Integral with the syringe barrel, i.e. connected to the barrel so as to make up a single complete piece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3Dosing by single stroke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61M5/31536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1Single 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administered only once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e.g. including single stroke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61M2005/3139Finger grip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yringe barrel, e.g. using adapter with finge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08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provided on the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61M5/31536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 A61M2005/3154Blocking means to immobilize a selected dose, e.g. to administer equal doses limiting maximum permissible d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약물 물질 또는 유체를 포함한 다른 제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내부에 약물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 및 몸체 내에서 스토퍼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몸체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프라이밍 단계에서 및 후속 전달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디바이스가 정확하게 프라이밍될 수 있게 되고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정확하게 분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관련 분야의 참조
본원은 2019년 6월 5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2/857,678호 및 2019년 6월 12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2/860,481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개시의 양태는 정밀 투여량 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 예컨대, 주사기를 프라이밍(priming) 또는 달리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약물 물질 또는 기타 유체 물질의 정밀한 투여량을 적재, 보관, 수송 및/또는 전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체 약물 물질을 포함하는 약물 제품은 주사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액체 약물 제품의 부피의 정밀도 및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의료 전문가는 약물 물질의 승인되거나 처방된 부피가 약물을 요구하는 각 환자에게 일관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약물 물질을 환자에게 과다 투여 또는 과소 투여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환자에게 원치 않는 (또는 심지어 부정적인) 임상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약물 제품은 작은 부피(예컨대, 100 μL 미만)로 처방된다. 작은 부피에서, 주사에 대한 약물 물질의 정확한 투여량을 준비 및 전달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오류는 환자 내의 약물의 효능과 환자에 대한 후속 임상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체 약물 전달의 다른 양태는 주사를 통해 정확한 투여량 전달의 목표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예컨대, 주사기)로부터 분배될 약물의 정확한 투여량에 대해, 물질의 대응하는 정확한 부피가 디바이스 내에 적재되어야 한다. 더욱이, 적재된 디바이스의 취급, 보관, 포장 및/또는 수송은 디바이스로부터 약물 물질의 부주의한 방출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 추가로, 디바이스로부터 약물 물질을 투여하기 전에, 디바이스는 예컨대, 디바이스의 바늘과 배럴 내에서 기포 및 과잉 약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밍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를 부정확하게 프라이밍하는 것은 디바이스로부터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약물 물질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환자에게 전달되는 투여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또는 기포가 디바이스로부터 환자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종래 공보들, 즉 2018년 12월 20일에 발행된 WO2018/232408, 2018년 12월 13일에 발행된 WO2018/224640, 및 2018년 12월 13일에 발행된 WO2018/224644에 의해 충족되지 않은 필요를 다룬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2019년 6월 20일에 발행된 공보 WO2019/118588에 개시된 특징부와는 상이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특징부는,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에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및 플랜지 피스의 측부 개구와 함께 수용하기 위한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을 갖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는 서로에 대해 상이한 단면 프로파일 및/또는 형상을 각각 갖는 3개 이상의 섹션을 갖는 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특징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연장부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내부 홈을 갖는 칼라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연장부가 압축된 구성으로부터 확장된 구성으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허용하는 플랜지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는,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의 회전 배열에 기초하여 네크의 3개 이상의 섹션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플랜지 피스는 플랜지 피스를 주사기 몸체와 결합시키기 위해 주사기 몸체와 맞물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동 리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동 탭(ta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동 리브는 주사기 몸체의 상단 플랜지를 수용하기 위한 플랜지 피스의 립(lip) 및 측방향 개구의 근위에 위치될 수 있다. 가동 리브는 측방향 개구를 통해 상단 플랜지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동, 편향 및/또는 변형될 수 있으며, 상단 플랜지 상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여 주사기 몸체를 플랜지 피스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가동 탭은 립 및 측방향 개구의 원위에 위치될 수 있다. 가동 탭은 주사기 몸체를 수용하는 플랜지 피스에 응답하여 이동, 편향 및/또는 변형될 수 있으며, 주사기 몸체 상에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여 주사기 몸체를 플랜지 피스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원에 도시되고 기재된 다양한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고, 이는 공보 WO2019/118588에 개시된 그러한 특징부와는 상이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본원에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몸체 내측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 로드, 플런저 로드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및 몸체 상의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1 위치에 있을 때,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1 정지점으로 제한하고,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2 정지점으로 제한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내에 배치된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은 스토퍼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스토퍼와 몸체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몸체 내에 배치되는 약물 물질을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플런저 로드의 제1 정지점으로의 원위 이동은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고, 플런저 로드의 제2 정지점으로의 원위 이동은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돌출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플런저 로드를 비트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차단 구성요소의 근위측 내에 공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공동은 돌출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된다.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가 공동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위치되어,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이 공동 내로 돌출부를 이동시키게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공동은 제1 공동이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차단 구성요소의 근위측 내에 제2 공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공동은 돌출부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된다. 제1 및 제2 공동은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중심 길이방향 축의 반대편 측부들에 위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몸체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고, 플런저 로드는 차단 구성요소의 개구를 통과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 단부에서 작동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돌출부는 작동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작동부는 플런저 로드의 나머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포함한다. 돌출부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측면에서부터 연장되고, 작동부는 작동부의 근위 단부 상의 엄지 패드 및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측면에 있는 외부 표면 상의 링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차단 구성요소 상의 근위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고, 작동부는 부분적으로 근위 칼라 내측에 끼워맞추어진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는 작동부에서부터 원위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한다. 각 연장부의 일부분은 제1 정지점 내에서 한 쌍의 개구들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차단 구성요소의 하단 벽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인덴트(indent)를 포함한다. 각 연장부의 일부분은 제2 정지점으로의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차단 구성요소에 대한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 시에 하나 이상의 인덴트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차단 구성요소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내부 홈을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은 연장부를 압축된 상태로부터 완화된 상태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의 회전 시에 한 쌍의 내부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홈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이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로부터 제1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몸체에 활주식으로 결합되고, 몸체가 차단 구성요소에 활주식으로 결합될 때 몸체의 상단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내부 리브를 포함한다. 한 쌍의 내부 리브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상단 플랜지 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몸체에 활주식으로 결합되고, 몸체가 차단 구성요소에 활주식으로 결합될 때 몸체의 슬리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동 탭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동 탭은 차단 구성요소 내의 슬리브를 수용할 때 측방향으로 편향이 가능하며,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슬리브 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핑거 플랜지들 각각은 차단 구성요소의 파지를 증가시키는 미리한정된 패턴을 갖는 텍스처 표면(textured surface)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몸체 내측에서 스토퍼에 결합된 원위 단부, 및 엄지 패드를 갖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를 갖는 플런저 로드, 작동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몸체 상에 배치된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차단 구성요소는 근위 칼라를 포함한다. 돌출부 및 차단 구성요소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1 정지점으로 제한하고, 돌출부 및 차단 구성요소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2 정지점으로 제한한다. 근위 칼라는 돌출부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 시에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돌출부 및 차단 구성요소는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제1 구성에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제1 정지점과 제2 정지점 사이의 차이는 스토퍼가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부터 약물 제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방출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동일하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복수의 돌출부는 작동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이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a) 플런저 로드가 제1 정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비-사용 상태에서부터 프라이밍된 상태로; (b) 돌출부 및 차단 구성요소가 제2 구성으로 될 때까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라이밍된 상태에서부터 전달 상태로; 및 (c) 플런저 로드가 제2 정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달 상태에서 사용된 상태로 변경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는 작동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배치된 네크를 포함하고, 네크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구성요소의 개구와 인터페이스(interface)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네크는 전달 상태에서부터 프라이밍된 상태로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구성요소 내의 개구와 추가로 인터페이스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며, 그 중에서도 몸체 내측의 스토퍼에 결합된 원위부; 몸체 외측에 배치된 대체로 원통형 작동부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대칭 구성에서 작동부의 반대편 측부들에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에 결합된 차단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차단 구성요소는 작동부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칼라 및 근위방향-대면(proximally-facing) 개구들을 갖는 칼라 내의 2개의 공동을 포함한다. 각각의 공동은 2개의 돌출부들 중 하나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는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예비-사용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들 및 공동 개구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들 및 공동 개구들은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차단 구성요소는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작동부의 측부 상에 리브형 표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 및 몸체를 갖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에서부터 물질을 분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플런저 로드의 전진이 정지부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 몸체 내로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켜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정지부는 몸체에 결합된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전진을 저지하기 위해 돌출부에 맞닿는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플런저 로드 상의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 내의 공동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플런저 로드의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를 비트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를 가압하여 돌출부를 개구 내로 돌출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본 방법은 돌출부가 공동의 원위측에 맞닿을 때까지 돌출부를 공동 내로 전진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돌출부가 공동의 원위측에 맞닿을 때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분배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몸체 내측에 배치된 스토퍼,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는 스토퍼에서부터 근위 방향으로 몸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는 슬리브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스토퍼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몸체에 대하여, (a) 단지 슬리브만, 또는 (b) 단지 플런저 로드만, 또는 (c) 슬리브 및 플런저 로드 둘 모두가 함께하는 것 중에서 하나의 원위 전진이 스토퍼를 프라이밍 위치로 전진시킨다. 스토퍼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몸체에 대하여, (a) 단지 슬리브만, 또는 (b) 단지 플런저 로드만, 또는 (c) 슬리브 및 플런저 로드 둘 모두가 함께하는 것 중에서 다른 하나의 원위 전진이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슬리브의 근위부와 몸체의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거식 차단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차단 구성요소는 몸체에 대한 슬리브의 원위 전진을 방해한다. 차단 구성요소를 제거한 후 몸체에 대한 슬리브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킨다. 차단 구성 요소는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 클립이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를 슬리브에 결합하는 제거식 로킹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몸체에 대해 함께 슬리브 및 플런저 로드 둘 모두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킨다. 로킹 구성요소를 제거한 후 몸체에 대한 플런저 로드만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킨다. 투여량 완료 위치에서, 플런저 로드의 근위 단부는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맞닿아서, 플런저 로드가 몸체에 대하여 더 이상 원위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거식 로킹 구성 요소는 핀, 탭, 또는 막대(bar)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 상에 배치된 돌출부 및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슬리브의 내부 벽 상에 배치된 내부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몸체에 대한 플런저 로드만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키고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가 슬리브의 내부 돌출부에 접촉하게 한다.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가 슬리브의 내부 돌출부에 접촉한 후, 몸체에 대한 플런저 로드 및 슬리브 둘 모두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압축가능 돌출부가 플런저 로드 상에 배치되고, 개구는 플런저 로드 상의 돌출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슬리브의 내부 벽 상에 배치된다. 몸체에 대한 플런저 로드만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킨다. 플런저 로드의 압축가능 돌출부가 슬리브의 개구 내로 들어갈 때까지 플런저 로드의 근위 후퇴는 슬리브를 플런저 로드로 결합시킨다. 몸체에 대하여 함께 결합된 플런저 로드 및 슬리브 둘 모두의 원위 전진은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슬리브가 플런저 로드에 결합되었을 때, 근위-원위 축을 따르는 슬리브 및 플런저 로드의 총 길이는 플런저 로드 단독의 길이보다 길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슬리브는 핑거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단 스토퍼가 완료 위치에 있으면, 정지부는 슬리브 또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차단하도록 크기설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및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부 및 몸체의 근위 단부 외측에 배치된 근위부를 갖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근위부는 원위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에 대한 방해 위치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부터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방지하는 방해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허용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부착된 칼라를 추가로 포함한다. 칼라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둘러싼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칼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칼라 돌기부(projection)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칼라 돌기부가 내부로 돌출되는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원주방향 경로 및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를 포함한다. 방해물은 칼라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는 채널의 원주방향 경로 내에 배치되었을 때,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방지한다.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를 비틀어 칼라 돌기부를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와 정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채널은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로부터 오프셋되고, 원주방향 경로에 의해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에 연결된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칼라 돌기부가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은 플런저 로드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칼라는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몸체 사이에 배치된 회전식 정렬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정렬 구성 요소는 채널을 포함하고, 채널은 플런저 로드 돌기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된다. 방해물은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 돌기부의 윈위 축방향 경로를 차단하는 채널의 벽을 포함한다.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정렬 구성요소를 회전시켜 플런저 로드 돌기부의 원위 축방향 경로로부터 채널의 벽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결합된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식 정렬 구성요소는 핑거 플랜지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플랜지 피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해물은 플런저 로드에 대해 방해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플랜지 피스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거식 캡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캡의 제거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할 수 있게 한다. 투여량 완료 위치에서,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플랜지 피스에 접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제거식 캡은 방해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덮는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된 칼라를 추가로 포함한다. 칼라는 프라이밍된 위치를 넘어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 시에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개구를 한정한다. 방해물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에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탭을 포함하고, 탭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칼라의 개구 내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칼라 개구의 깊이는 플런저 로드가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일치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탭을 제거하거나 탭을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의 측부 내로 압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탭은 제1 탭이고, 여기서 방해물은 제1 탭의 돌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방해물은 방해 위치에 있을 때 몸체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탭을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는 탭에서부터 근위방향으로 배치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고, 기하학적 형상은 탭이 방해 위치에 있을 때 탭을 지나 원위방향으로 전진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방해물의 변위는 탭을 당겨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탭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플랜지 피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탭의 일부분이 플랜지 피스의 공동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방해물의 변위는 탭을 파괴하여 약물 전달 디바이스에서 탭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방해물은, 방해 위치에서,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몸체의 사이에서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거식 차단 구성요소에 의해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플랜지 피스를 포함한다.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차단 구성요소를 제거하고 플랜지 피스를 몸체의 근위 단부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태양에서, 플런저 로드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방해물은, 방해 위치에서, 돌기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돌기부의 원위 이동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차단하는 단부를 갖는 레버를 포함한다. 방해 위치로부터의 방해물의 변위는 레버를 작동시켜 레버의 단부를 돌기부로부터 원위에 있는 그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투여량 완료 위치를 지나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은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몸체에 결합된 플랜지 피스의 일부분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및 몸체에 부착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개구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슬리브를 통과하는 플런저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플런저 로드는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 단부 부분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는 준비 위치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 몸체 내로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는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은 돌출부와 개구의 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지된다.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에 대한 저지를 극복하기 위해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슬리브 내의 개구는 제2 개구이고, 슬리브는 제2 개구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제3 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준비 위치에서,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는 제1 개구 내에 배치되고,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은 돌출부와 제1 개구의 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지된다.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이 프라이밍된 위치를 지난 후,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가 제3 개구 내에 배치되고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이 방지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이며, 플런저 로드는 제1 돌출부의 반대편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 상에 원위방향으로 축방향 압력을 인가하면서 제1 및 제2 돌출부들을 서로 압박하는 것은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에 대한 저지를 극복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슬리브의 근위 단부는 나팔형 개구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를 준비 위치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것은 나팔형 개구 내로 그리고 슬리브를 통해 돌출부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돌출부가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개구 내로 연장될 때까지 돌출부는 슬리브의 내부와 플런저 로드 사이에서 압축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돌출부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돕기 위해 윈위방향으로 테이퍼지는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 단부 부분 및 회전가능 요소를 포함하는 플런저 로드, 및 몸체에 부착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플런저 로드가 내부로 전진될 수 있는 근위 개구를 포함한다. 회전가능 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은 프라이밍된 위치로의 플런저 로드의 전진을 야기한다. 일단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게 되면, 회전가능 요소의 추가 회전이 저지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회전가능 요소는 캠 레버를 포함한다. 일단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게 되면, 플런저 로드가 몸체 내로 눌러지며 플런저 로드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의 내부는 근위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근위 나사 부분을 포함한다. 회전가능 요소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근위 나선형 경로를 따라 돌출부가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단 돌출부가 칼라의 근위 나사 부분의 단부에 도달하면,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일단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게 되면, 플런저 로드가 몸체 내로 축방향으로 눌러지며 플런저 로드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칼라의 내부는 원위 나사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원위 나사 부분의 스레드(thread)는 근위 나선형 경로로부터 오프셋되고, 그의 반대편에 원위 나선형 경로를 형성한다. 돌출부와 원위 나선형 경로와의 정렬은 플런저 로드를 프라이밍된 위치에 배치한다. 돌출부가 원위 나선형 경로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의 회전은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야기한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 몸체 내측에 배치된 스토퍼, 및 제1 근위 단부 부분 및 제1 근위 단부 부분보다 더 좁은 제1 원위 단부 부분을 갖는 제1 플런저 로드를 포함한다. 제1 원위 단부 부분은 제1 길이를 갖는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제2 근위 단부 부분 및 근위 단부 부분보다 더 좁은 제2 원위 단부분을 갖는 제2 플런저 로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원위 단부 부분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부착된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핑거 플랜지는 몸체의 근위 개구와 정렬된 관통 구멍을 갖는다. 관통 구멍은 제1 또는 제2 근위 단부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지 않고 각각의 제1 및 제2 원위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제1 근위 단부 부분이 핑거 플랜지에 맞닿을 때까지 관통 구멍을 통한 제1 원위 단부 부분의 전진은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밀어낸다. 제2 근위 단부 부분이 핑거 플랜지에 맞닿을 때까지 관통 구멍을 통한 제2 원위 단부 부분의 전진은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밀어낸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서,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방법은 몸체를 차단 구성요소에 결합하는 단계 - 여기서 차단 구성요소는 플랜지 피스임 -, 및 플런저 로드가 미리조립된 상태에서 몸체 내측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근위 이동이 억제되도록 플런저 로드를 차단 구성요소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 로드는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제1 정지점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약제의 프라이밍 투여량이 몸체로부터 방출되게 된다. 돌출부가 차단 구성 요소와 맞물릴 때, 차단 구성요소는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1 정지점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는, 플런저 로드가 제1 정지점에 있는 동안,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되어 차단 구성요소로부터 돌출부를 분리시키고 그리고 돌출부가 차단 구성요소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제2 정지점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약제의 전달 투여량이 몸체로부터 방출되게 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에서, 본 방법은 몸체의 상단 플랜지를 차단 구성요소의 개구 내로 삽입하여 차단 구성요소의 탭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편향시키고 차단 구성요소의 리브가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탭은 몸체 상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고, 리브는 상단 플랜지 상으로 원위 힘을 인가하여 몸체를 차단 구성 요소에 고정시킨다. 본 방법은 미리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 로드를 차단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해 차단 구성요소의 측부 개구 내로 플런저 로드의 연장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는 플런저 로드를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제1 정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장부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편향시켜 연장부가 측부 개구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가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하여 돌출부를 차단 구성요소의 슬롯과 정렬시킬 때 연장부가 차단 구성요소의 내부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가 슬롯과 정렬될 때 연장부는 차단 구성요소 내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플런저 로드가 제2 정지점으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장부는 차단 구성요소의 내부를 따라 인덴트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개시된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들은 본 개시의 상이한 양태들을 도시하며, 적절한 경우,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조물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및/또는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부호들은 유사하게 지정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조물, 구성요소, 및/또는 요소의 다양한 조합이,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 이외에, 고려되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기재되고 도시된 많은 실시예들이 있다. 기술된 디바이스 및 방법은 임의의 단일 양태나 그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러한 양태 및/또는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 및/또는 순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기술된 발명의 각각의 양태 및/또는 그의 실시예는 단독으로, 또는 기술된 발명의 다른 양태들 및/또는 그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으로 채용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소정의 순열들 및 조합들은 본원에서 별도로 논의 및/또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f 내지 도 2t는 도 1a 내지 도 1e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의 추가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c 내지 도 3f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g 내지 도 4j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k 내지 도 4s는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들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4t 내지 도 4x는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의 예시적인 네크 부분 및 플랜지 피스의 개구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4y 및 도 4z는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 로드들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다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8f 및 도 8g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차단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d 내지 도 10g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의 변형을 조립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도 10d 내지 도 10g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e에 예시적인 방법의 양태들의 확대도을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다이알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및 다이알을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및 다이알을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회전 로크 기구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스냅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범프 특징부를 갖는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가시적 피드백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e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e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g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하나의 그러한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7a 내지 도 27h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z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들을 시용하는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0 및 도 31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2 및 도 33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40c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시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1a 내지 도 41d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플랜지 피스들을 도시한다.
본원에 기재되고 예시된 많은 실시예들이 있다. 본 개시는 임의의 단일 양태나 그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러한 양태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들 및/또는 순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양태들 각각 및/또는 그의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 및/또는 그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으로 채용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그러한 조합들 및 순열들의 많은 것이 본원에서 별도로 논의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2018년 12월 12일 출원된, 국제출원 PCT/US2018/065192의 양태들에 추가하여 및/또는 이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그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어,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가 단지 그러한 요소들만을 포함하지 않고, 그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 명백히 기록되지 않거나 그에 내재되지 않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예시적"은 "이상적"이 아닌 "예"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본원에서 "예" 또는 "예시적"으로서 기재된 실시예 또는 구현예는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하게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실시예(들)가 "이상적"이 아닌 하나의 "예"임을 반영하거나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임의의 순서, 수량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요소, 구조물, 단계 또는 공정을 다른 것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더욱이, 본원에서 일인칭 단수("a"와 "an")는 수량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참조된 품목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를 나타낸다. 추가로, "약", "대략", "실질적으로" 등의 용어들은 숫자 값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때,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 값의 +/- 10% 의 편차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액체 약물 물질, 액체 위약, 또는 투여량 형태로 분배될 수 있는 다른 액체와 같은 유체-함유 제품들의 임의의 유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물 물질"은 예컨대, 진통제, 스테로이드 또는 생물학적 제제와 같은 예컨대, 소분자 또는 큰 분자(large molecule)와 같은 활성 성분 또는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조된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생물학적 제제"는 세포와 같은 생태계 내에서 생성되는 큰 분자(예컨대, 15 kDa보다 큰, 30 kDa보다 큰, 50 kDa보다 큰, 75 kDa보다 큰, 또는 100 kDa보다 큰 크기를 가짐)를 지칭할 수 있다. 생물학적 제제는 단백질(예컨대, 항체), 핵산, 큰 당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한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소분자와는 달리, 생물학적 제제는 실험실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정량화될 수 없는 매우 복잡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물 제품"은 환자에게 포장, 수송, 전달 및/또는 투여를 위한 1차 패키징 구성요소로 배부된 약물 물질의 부피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1차 패키징 구성요소"는 약물 용기와 같은 약물 제품에 대한 패키징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이는 제형의 약물 물질과 직접 물리적 접촉하도록 설계되고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인간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를 패키징하기 위한 용기 폐쇄 시스템에 관한 산업 지침, 미국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평가 및 연구 센터, 생물학적 제제 평가 및 연구 센터(1999년 5월), 참조). 1차 패키징 구성요소의 예는 미리충전가능 주사기, 루어 주사기, 카트리지, 및 유리, 플라스틱, 기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또는 기타 재료로 제조된 약병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원위" 및 "원위방향으로"는 환자 전달 부위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또는 그의 방향으로 있는 위치(또는 디바이스의 부분)를 지칭하며, 용어 "근위"와 "근위방향으로"는 디바이스의 원위 위치/부분 반대편에 있는 사용자 단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또는 그의 방향으로 있는 위치(또는 디바이스의 부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몸체"는 디바이스의 일부분을 참조하여 사용될 때, 약물 물질의 부피를 수용하는 데 적합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몸체는 예를 들어, 배럴(예컨대, 주사기 배럴), 튜브, 실린더 또는 기타 디바이스의 부분을 수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는 또한 노즐, 바늘, 바늘 부착 부위 및/또는 원위 캡을 갖는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형적으로 예컨대, 안과용 약물 제품과 같은 소량의 투여량 부피를 갖는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큰 분자, 예컨대, 30 kDA 이상의 분자량을 포함하는 약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큰 분자의 단편(fragment)을 포함하는 약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항원-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약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항원-결합 분자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아플리버셉트(aflibercept), 알리로쿠맙(alirocumab), 아비시파르 페골(abicipar pegol), 베바시주맙(bevacizumab), 브로루시주맙(brolucizumab), 콘버셉트(conbercept), 두필루맙(dupilumab), 에볼로쿠맙(evolocumab), 토실리주맙(tocilizumab), 세르톨리주맙(certolizumab), 아바타셉트(abatacept), 리툭시맙(rituxi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사리루맙(sarilu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나킨라(anakinra),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페그필그라스팀(pegfilgrastim), 인터페론 베타-1a(interferon beta-1a), 인슐린 글라르긴 [rDNA 근원](insulin glargine [rDNA origin], 에포에틴 알파(epoetin alpha), 다르베포에틴(darbepoetin), 필리그라스팀(filigrastim), 골리무맙(golimumab), 에타네르셉트(etanercept), 상기 임의의 것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 중에서 VEGF 또는 안지오포이에틴-2(angiopoietin-2)에 대한 이중특이 항체와 같은 이러한 결합 도메인들의 조합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당뇨병성 안구 질환, 사후-주사 비감염성 내피성 내과염, 신생혈관 (습성) 노화-관련 황반 변성(AMD), 망막 정맥 폐색증(RVO)을 동반한 황반 부종, 당뇨병성 황반 부종(DME), 및 당뇨병성 망막증(DR)을 포함한 안과 질환에 대한 임의의 치료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VEGF 및/또는 ANG-2의 큰 분자 및 소분자 길항제, 예컨대 아필베르셉트,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bevacizumab), 콘베르셉트(conbercept), OPT-302, RTH258 (brolocizumab), 아비시파르 페골(페길화 설계된 안키린 반복 단백질(DARPin)), RG7716, 또는 그의 단편들 및 임의의 조합.(문장 미완성) 치료약제의 유리체내(IVT) 투여는 이러한 안과 질환(예컨대, 황반 변성, 망막 정맥 폐색증, 황반 부종, 망막병증 등)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일 수 있지만, IVT 투여는 약물 제품 개발, 투여 시술 및 부작용과 같은 다양한 과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량(10-100 μL)의 정확하고 정확한 전달을 제공하려면 용기 구성요소의 정밀한 설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투여량 전달의 부정확성(예컨대, 과다 투여 또는 과소 투여)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나 효능의 부족을 제공하여 예측불가능한 가변적인 임상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또한 약제의 의도된 유통 기한 및 효능을 증가시키도록 살균성의 안정적이고 안전한 조건에서 약제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 폐쇄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정확한 투여량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IVT 약물 제품은 주로 유리병 내에 제공되지만, 미리충전된 주사기는 투여량 준비에 필요한 단계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한 투여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에서 약제를 미리조립하는 것은 환자에게 전달을 위한 투여량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단계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품 개발 연구는 1차 용기 구성요소 특성화, 제형과의 재료 호환성, 제형 안정성, 충전 부피 측정, 추출가능/침출가능 및 종료 살균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추가로, 일회용 주사기 및 바늘과 같은 보조 구성요소의 신중한 선택, 및 투약 지침을 포함하는 상세한 투여 절차는 제품의 성공적인 투여를 보장할 수 있다. 약물 제품 및 투여 절차를 개선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안구염, 증가된 안구 압력 및 실리콘 부유물의 존재와 같은 안구 안전 우려가 보고되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이러한 안구 안전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에게 약제의 성공적인 투여를 보장하도록 상세한 투여 절차(예컨대, 프라이밍 지침, 투약 지침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또한 알레르기 반응의 치료 또는 진단과 같은, 화장품 응용 또는 의료 피부과학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약물 제품의 유리체내 주입을 포함하는 안구 치료 및 수술과 같은 다양한 안구 주입 절차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다양한 단백질 농도 및/또는 점도의 약물 제품, 예를 들어, 약 1 센티푸아즈 내지 약 10 센티푸아즈, 약 2 센티푸아즈 내지 약 9 센티푸아즈, 약 3 센티푸아즈 내지 약 8 센티푸아즈, 약 4 센티푸아즈 내지 약 7 센티푸아즈, 또는 약 5 센티푸아즈 내지 약 6 센티푸아즈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약물 제품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점도를 갖는 약물 제품도 고려된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로 정확한 투여량을 제공하는 것은 환자에게 전달되는 약물 제품의 단백질 농도 또는 점도에서 가능한 가변성을 감안할 때 중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 및 양태는 예를 들어. 약 1 μL 내지 약 200 μL, 약 10 μL 내지 약 190 μL, 약 50 μL 내지 약 150 μL, 약 75 μL 내지 약 125 μL, 약 90 μL 내지 약 110 μL, 또는 약 100 μL에 이르는 범위의 부피를 분배하는 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고, 투여량을 전달하는 등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최소 힘의 인가를 요구하도록 구성 및 작동할 수 있다. 최소 힘의 인가를 요구함으로써,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약물 제품의 일관된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의 제어를 촉진하고,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부주의한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촉진하여, 잠재적으로 환자에 대한 통증, 불안함 및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일부 제품의 경우, 특히 예컨대, 안과 또는 기타 약물 제품의 경우, 투여량 정확도가 특히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신뢰할 수 있게 정확한 투여량 또는 전달 부피를 설정하고 투여하는 정밀한 방법이 유익한 임의의 다른 액체 제품 또는 임의의 다른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제조, 포장, 충전 및/또는 제품들이 일부분이 될 수 있는 제품들(예를 들어, 약물 제품)과 관련된 공정에 따라 달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충전 및/또는 포장되기 전 또는 후에 살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예컨대, 블리스터 패키징(blister packaging)으로 충전 및 포장될 수 있고/있거나 당업계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에틸렌 산화물 또는 과산화수소(예컨대, 기화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방법과 같은 화학적 살균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예컨대, 2018년 3월 6일에 출원된 국제출원 PCT/US2018/02101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균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그의 전체 내용이 참고로 통합된다.
미리충전된 주사기 또는 약병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주사기와 같이,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는 물질의 원하는 부피를 정확하게 적재하고,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고, 디바이스로부터 과도한 부피의 약물 물질을 방출하고, 및/또는 디바이스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는 데 반드시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소량의 약물 물질(예컨대, 약 500 μL 이하, 약 300 μL 이하, 약 250 μL 이하, 약 200 μL 이하, 약 150 μL 이하, 약 100 μL 이하, 약 50 μL 이하, 약 25 μL 이하, 예컨대 약 25 μL 내지 약 50 μL, 약 50 μL 내지 약 100 μL, 약 25 μL 내지 약 100 μL, 약 50 μL 내지 약 150 μL, 약 100 μL 내지 약 250 μL, 약 100 μL 내지 약 150 μL, 약 150 μL 내지 약 250 μL, 약 200 μL 내지 약 250 μL, 약 200 μL 내지 약 500 μL, 또는 약 250 μL 내지 약 500 μL)을 수용하는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에서, 또한 육안 그대로 디바이스에 있는 약물 물질의 정확한 투여량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종래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 시장에서, 특히 주사기 시장에서, 사용자가 주사기(예컨대, 미리충전된 또는 충전가능/재충전가능 주사기)에서 소량의 제품을 전달하기 위해 정밀하게 설정하고, 주사기를 프라이밍하고, 주사기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고, 및/또는 주사기 내의 투여량 부피가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하거나 보장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조업자, 약물 제품 공급자, 의료 전문가 및/또는 환자에게, 투여량 투여 디바이스를 정확하게 제조, 충전 또는 달리 준비하고,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고, 디바이스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고, 투여량을 확인하고, 및/또는 환자에게 디바이스로부터 투여량을 투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예컨대, 디바이스에 대한 투여량 라인의 배치에서의 오류 또는 편차, 디바이스 기하학적 형상에서의 편차(예컨대, 주사기 네크의 기하학적 형상의 편차), 구성요소 제조 공차에서의 편차, 및/또는 제품의 전달 전에 투여량 라인을 설정하는데 있어서의 편차 또는 오류와 같은, 디바이스 제조 또는 사용의 오류 또는 편차를 방지하거나 경감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정밀도 및 정확도를 가지고 투여량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개인에게 특별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나이든 개인, 어린아이, 또는 정확한 투여량을 설정하는 데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을 도울 수 있다.
본원에는 기재된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 및 특히 주사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 또는 양태는 기성 제품을 수정하기 위해 기존의 주사기 몸체 부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투여량 전달 디바이스의 개발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 또는 양태는 제조 중에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주사기는 미리충전되거나 충전가능/재충전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프라이밍 및 투여량 전달 요소, 예컨대, 플런저 및/또는 스토퍼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회전 부품, 나사 부품, 스프링, 기어, 디텐트(detent), 채널, 홈 등을 갖는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사람의 오류를 감소시키고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의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대경과 같은 시각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상에 투여량 측정 마커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달 디바이스에 제공되거나, 그에 부착되거나 달리 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양태들(예컨대, 슬리브, 채널, 차단 구성요소, 돌출부, 디텐트, 나사 부품, 그립, 시각, 촉각 또는 청각 지시기 등)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들과 조합되어, 단일 디바이스에서 특징부들의 다양한 조합들 및 순열들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의 하나의 유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거나,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의 대체적인 개략적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일부 디바이스는, 예컨대, 플런저 로드 및 스토퍼가 함께 부착될 수 있도록 스토퍼와 맞물리는, 볼-팁된 단부(ball-tipped end)를 갖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기술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들 및 스토퍼들의 다수의 및/또는 상이한 구성들이 본원에 개시된 각 실시예들의 각각에 대해 적절하게 있을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전술한 볼-팁된 플런저 로드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는 스토퍼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에 스토퍼 근처에, 그 옆에, 또는 그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스토퍼를 향하는 플런저 로드로부터의 압력이 스토퍼를 밀어 낼 수 있지만, 플런저 로드의 후퇴, 비틀림 또는 다른 이동이 스토퍼가 마찬가지로 후퇴하거나, 비틀리거나, 달리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는 스레드, 클립 또는 접착제에 의해 스토퍼에 부착될 수 있거나, 스토퍼와 함께 단일 부재일 수 있다(예컨대, 스토퍼와 함께 단일 금형으로 제조되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의도된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미용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소아, 노인 또는 상이한 능력의(differently-abled) 환자에게 사용하도록 제조 및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어린이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어린이 친화적인 색상, 만화 이미지 또는 기타 미용적 특징부, 또는 식별 및/또는 사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대비 색상, 텍스처 표면 또는 기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는 의도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설계된 글자, 라벨 또는 기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아 기기 또는 장애인 또는 상이한 능력의 개인 또는 고령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디바이스 상의 글자는 그것이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고 읽을 수 있도록 더 크고 접근가능한 라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글자 또는 라벨은 볼록하고, 성형되거나 엠보싱될 수 있다.
이제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전달 디바이스(1050) 및 구성요소 부분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디바이스(1050)는 몸체(1060) 및 플랜지 피스(1070)의 형태의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때 근위 칼라(1072)가 개구(1073)를 둘러싸며(예컨대, 도 3b 내지 도 3e에 도시됨), 이 개구(1073)를 통해 플런저 로드(1080)가 몸체(1060) 내로 통과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를 포함하고, 작동부(1082)는 플런저 로드(1080)를 회전하거나 플런저 로드(1080)를 몸체(1060) 내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작동부(1082)는 근위 칼라(1072) 내측에 끼워지도록(예컨대, 안착되거나 달리 끼워짐)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는 예를 들어,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한, 주사기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부피가 몸체(1060) 내의 스토퍼(1062)와 몸체(1060)의 축출 단부(1064) 사이에 이미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갖춘 조립된 및 패키징된 디바이스(1050)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포(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스토퍼(1062)와 축출 단부(10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충전가능 주사기일 수 있다.
몸체(106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 및 축출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몸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060)는, 예컨대, 중공 원통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60)는 프라이밍 단계 및/또는 전달 단계에서, 예컨대,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제형된 약물 물질의 임의의 적절한 부피를 보유하고, (디바이스(1050)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예컨대, 축출 단부(1064)를 통해 보유된 부피의 미리결정된 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06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예를 들어, 약 100 μl 미만, 예컨대, 약 80 μl 미만, 약 60 μl 미만, 약 40 μl 미만, 약 20 μl 미만, 약 10 μl 미만, 약 95 μl, 약 90 μl, 약 85 μl, 약 80 μl, 약 75 μl, 약 75 μl, 약 65 μl, 약 60 μl, 약 55 μl, 약 50 μl, 약 45 μl, 약 40 μl, 약 35 μl, 약 30 μl, 약 25 μl, 약 20 μl, 약 15 μl, 약 10 μl, 약 5 μl)를 보유하고, 그를 (디바이스(1050)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는, 그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환자에게 미리결정된 작은 부피를 전달한 후 몸체(1060) 내에 남아 있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잔여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060)는 미리충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완료된 조립, 패키징, 살균 및/또는 사용자에게로 배송되기 전).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1062)는 몸체(1060)의 공동 내측에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는 축출 단부(1064) 반대편의 몸체(1060)의 단부를 폐쇄하거나, 부분적으로 폐쇄하거나,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를 몸체(1060) 내측의 제위치에 지지하고 보유하기 위해 전달 디바이스(1050) 내에 차단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하도록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또는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몸체(1060)와 맞물리며 몸체(1060)와 관련하여 플랜지 피스(1070)를 제위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원위 칼라(107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칼라(1075)는, 플랜지 피스(1070)를 제위치에 보유하기 위해(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를 몸체(1060)에 활주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몸체 플랜지(1061) 아래에 또는 달리 그와 관련하여 활주할 수 있는 립(1071)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075)의 립(1071)은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그것이 몸체 플랜지(1061) 위의 제위치에 스냅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075) 또는 플랜지 피스(1070)의 다른 부분은 몸체(1060)에 부착되거나, 성형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고,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몸체(1060)와 맞물릴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는 차단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고; 즉, 플랜지 피스(107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소정의 구성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의 부분들(예를 들어, 도 3i 및 도 3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1084) 및 작동부(1082),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의 다른 부분들)의 크기 및 형상과 상보하는 개구(1073)(예컨대, 도 3b 내지 도 3e 참조)를 통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및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또는 길이방향 이동의 추가의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 강도 및/또는 강성도를 갖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또는 "풀 백(pull back)")을 플랜지 피스(1070)의 재료 조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힘까지 저지하도록(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한 디바이스(1050)의 분해를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는 미리결정된 힘을 초과하는 힘을 인가하는 것이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 중 하나 이상을 파손시키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1050)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추가 예로서, 플랜지 피스(1070)는 플랜지 피스(1070)의 재료 조성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힘까지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및/또는 대안으로,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이동을 저지하여 플랜지 피스(1070)의 재료 조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투여량 전달의 속도를 제어하도록(예를 들어, 부주의한 전달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 이외에 디바이스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디바이스(1050)의 분해, 플런저 로드(1080)의 부주의한 회전, 및/또는 부주의한 투여량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마찰 간섭을 제공하는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의 근위 칼라(1072)는 플런저 로드(1080)가 특정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플런저 로드(1080)의 돌출부(1080)가 미리결정된 지점을 넘어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1072)는 원통형일 수 있고; 대안 실시예에서, 칼라(1072)는 작동부(1082)와 호환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칼라(1072)는 또한 플런저 로드(1080)의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동, 예컨대, 슬롯(107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074)은 근위방향-대면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디바이스(105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깊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슬롯(1074)들의 개수 및 구성은 플런저 로드(1080) 상의 돌출부(1086)들의 개수 및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롯(1074)들은 칼라(1072)의 주변부에 대해 반경방향 대칭적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칼라(1072)는 단지 하나의 슬롯(107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074)의 깊이는, 스토퍼(1062)를 축출 단부(1064)를 향해 밀어내며, 축출 단부(1064)를 통해 몸체(1060)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플런저 로드(1080)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몸체(1060)로부터 분배되어야 하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는, 예를 들어, 슬롯(1074)의 특정 깊이를 선택함으로써 제조 동안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디바이스(1050)의 다른 부품들(예를 들어, 몸체(1060) 또는 플런저 로드(1080))의 제조 시의 정상적인 편차가 몸체(1060)로부터 분배되어야 하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부피의 편차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결정된 부피는 단순히 플랜지 피스(1070)의 제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07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050)를 보유하고/하거나 디바이스(1050)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을 배출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를 돕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서로 반대편에 있고 디바이스(1050)의 길이방향 치수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107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플랜지 또는 4개의 플랜지와 같은 플랜지들의 다른 배열들, 또는 디바이스(1050)의 길이방향 중심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원주방향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몸체(1060)보다 멀리 디바이스(1050)의 길이방향 중심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디바이스(1050)가 표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디바이스(1050)를 지지할 수 있고, 디바이스(1050)가 평탄한 표면 상에서 롤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및/또는 디바이스(1050)가 보다 용이하게 픽업되도록 할 수 있다. 여전히 추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의 차단 구성요소 양태(예를 들어, 칼라(1072))는 플랜지 피스(1070)와 분리될 수 있어, 전달 디바이스(1050)는 별도의 플랜지 피스 및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1080)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중심축(예를 들어, 일방향으로 또는 양방향으로)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은 플랜지 피스(1070) 및/또는 몸체(1060)에 대해 작동부(1082)를 파지하고/하거나 비틀어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86)는 사용자가 파지하고/하거나 밀어내어 작동부(1082)를 비틀 수 있는 추가 표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랜지 피스(1070) 및/또는 몸체(1060)에 대하여 작동부(1082)를 파지하고/하거나 비트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단지 일부분 또는 부분들(예를 들어, 작동부(1082) 및/또는 네크(1084))이 플랜지 피스(1070) 및/또는 몸체(106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 상에 미리결정된 비틀림력(twisting force)을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의 재료 조성물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미리결정된 비틀림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이동을 최대 미리결정된 힘까지 제어하기 위해(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의 부주의한 회전/우발적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1080)에 대한 마찰 저항을 생성할 수 있는 미리결정된 강성도를 갖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플랜지 피스(1070)의 재료 조성물은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병진을 최대 미리결정된 힘까지 제어하기 위해(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에 의한 부주의한 투여량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마찰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의 스템(1081)은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몸체(1060) 내에 끼워맞추기에 적합한 두께 및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스템(1081)은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따라 몸체(1060) 내에 끼워맞추고 그 내로 활주시킬 수 있는 만큼의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두께는 디바이스(1050)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원치 않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스템(1081)은 여전히 견고함을 유지하면서(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조립 및/또는 사용 중에 굽힘, 파손 또는 뒤틀리지 않으면서)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템(1081)의 부분들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반면, 스템(1081)의 다른 부분들은 그렇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도 3i 내지 도 3q 참조).
플런저 로드(1080)는 또한, 스토퍼(1062)를 밀거나, 그에 부착되거나 달리 그와 인터페이스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원위 팁(1083)(예를 들어, 도 1d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팁(1083)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팁(1083)은 스토퍼(1062) 내의 개구를 통해 스토퍼(1062)에 고정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팁(1083)은 스토퍼(1062) 내의 개구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전히 추가 실시예에서, 팁(1083)은 스토퍼(1062)의 근위 표면에 평행한 평탄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토퍼(1062)에 부착되지 않고 스토퍼(1062)를 원위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팁(1083)은 스토퍼(1062)를 원위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적합한 임의의 형상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네크(1084) 및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1073)는, 플런저 로드(1080)(또는 그의 일부분)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특정 길이방향 및/또는 회전 위치에 의존하여 회전할 수 있는 범위와 방향을 제한하는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 및 칼라(1072)는 또한,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범위와 방향을 제어하는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및/또는 길이방향 이동은,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방법(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f에 대하여 설명된 방법, 및 도 3g 및 도 3h에 대하여 설명된 추가/대안 방법)의 프라이밍, 준비 및/또는 약물 전달 단계들, 및 그러한 방법들의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080)의 대응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는, 일단 디바이스(1050)가 조립되면, 근위 방향으로 플랜지 피스(1070) 외부로 이동되는(예컨대, 외부로 낙하되거나 빠져나오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더욱이, 플런저 로드(1080)는 디바이스(1050)가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기 전에 및/또는 디바이스(1050)가 "전달" 상태에 있은 후에 길이방향 축에 대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를 "철수(back out)"시키기 위해) 근위 방향으로의 플런저 로드(1080)의 길이방향 이동은 디바이스(1050)가 "프라이밍된" 및/또는 "전달" 상태에 있은 후 플런저 로드(1080)의 네크(1084) 및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1073)의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2)의 작동부(1082) 및 플랜지 피스(1070)의 칼라(1072)의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것은 플런저 로드(1080)가 예를 들어 스토퍼(1062)에 부착되어 몸체(1060) 내측에 보유되지 않는 경우 원치 않는 플런저 로드의 철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스토퍼(1062)에 대해 단순히 접촉 또는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이 스토퍼(1062)를 근위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은 플런저 로드(1080)와 플랜지 피스(1070)의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와 플랜지 피스(1070)의 칼라(1072) 사이의 상호작용은 원위방향으로의 플런저 로드(108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는 "프라이밍된" 상태 이후 그러나 "전달" 상태 이전에는 원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전달" 상태로 이동되었을 때, 작동부(1082) 상의 돌출부(1086)가 칼라(1072)의 슬롯(1074)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이동을 허용하여 몸체(1060)로부터 원하는 부피의 약물 물질을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플런저 로드(1080)가 특정 위치(예를 들어, "전달"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돌출부(1086)가 슬롯(1074)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돌출부(1086)들의 개수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1086)들이 각각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슬롯(1074)들에 대응하여 작동부(108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1086)는 (칼라(1072) 내의 2개의 슬롯(1074)에 대응하는) 반경방향으로 대칭인 구성에서 작동부(1082)의 측부들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출부(및 슬롯(1074)들)의 반경방향 대칭은 돌출부(1086)들이 (예를 들어, 작동부(1082)가 일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비틀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다수의 구성으로 슬롯(1074)들 내에 끼워지도록 유리하게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부(1082)는 예를 들어, 사용자 선호도,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또는 기타 요인에 기초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비틀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가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은 후 및/또는 (네크(1084) 및/또는 개구(1073)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몸체(1060) 내로 플런저 로드(1080)의 가압에 의해 원하는 부피의 제형된 약물 물질이 디바이스(1050)로부터 전달된 후, 플런저 로드(1080)는 (예를 들어, 작동부(1082)를 향해) 몸체(1060)에서 근위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철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촉각 또는 시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돕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대조적인 색상이나 텍스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와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예로서, 디바이스(1050)의 단일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색상이나 텍스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작동부(1082)는 디바이스(1050)가 적절하게 프라이밍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것을 돕기 위해, 디바이스(1050)가 프라이밍될 때 칼라(1072)에 의해 덮이게 되는 작동부(1082)의 원위부 상의 제1 색상, 및 디바이스(1050)가 프라이밍될 때 칼라(1072)에 인접하게 이동되는 작동부(1082)의 제2 부분 상의 제2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 및/또는 몸체(1060)와 상이한 촉각적 감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플런저 로드(1080 및/또는 몸체(1060)보다 상대적으로 거칠거나 부드러워질 수 있다. 여전히 추가 예로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디바이스(1050)를 보유, 파지, 식별 또는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텍스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는 사용자가 플랜지(1076)를 파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주거나, 사용 중에 플랜지(1076)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약간 거칠거나 상승된 텍스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의 일부 또는 전부는 매끄러운 감촉을 주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는 플런저 로드(108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거칠거나 상승된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i, 도 2a,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082)는 그 측부(들) 상에 원주방향 리빙(ribbing)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1082)는 텍스처를 제공하기 위해 그 측부(들) 상에 임의의 적절한 수의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작동부(1082)는 그 측부(들) 상에 리빙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 또는 그의 구성요소들의 하나 이상은 색상, 라벨 또는 마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050)의 내용 또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및/또는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게 지침을 지시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들은 플런저 로드의 투여량 전달 위치에 대한 프라이밍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라벨, 플런저 로드(1080)를 회전하거나 달리 이동하는 어느 방향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라벨, 및/또는 디바이스(1050) 내에 포함된 제형된 약물 물질의 양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라벨(예를 들어, 몸체(1060) 상의 선형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라벨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에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 있고, 또는 디바이스(1050)의 부분 또는 구성요소 상에 엠보싱되거나 그로서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텍스처 라벨(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 상에 엠보싱되거나 성형됨)은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1050)를 파지하거나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텍스처된, 거칠거나 상승된 표면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라벨은 단어, 숫자, 지시기, 및/또는 기호(예컨대, 선, 자물쇠, 화살표, 다이어그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그의 사용 중에 하나 이상의 사운드를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는 프라이밍 단계가 완료 시에 또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는 데 적합한 위치로 플런저 로드의 회전 시에 "클릭" 노이즈를 만들 수 있다. "클릭" 노이즈는 예컨대, 2개 이상의 구성요소(예컨대,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 사이의 마찰, 또는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의 일부분(예컨대, 플랜지 피스(1073)의 개구(1073)에 접촉하는 플런저 로드(1080)의 네크(1084))의 마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의 인접한 표면들 상의 하나 이상의 디텐트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서로 접촉할 때(예를 들어, 도 3r 내지 도 3v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1084) 상의 날개부(1089)가 개구(1073)를 둘러싸는 디텐트(1078)에 접촉함) 클릭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50)의 사용에 특정 단계에 도달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청각 피드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몸체(106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제어하는 추가적인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핀(1077)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는 개구(1079)를 포함할 수 있다. 핀(1077)은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와 인터페이스하도록 예컨대, 작동부(1082) 내의 개구(도시되지 않음) 내로 활주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어, 핀(1077)이 삽입되어 작동부(1082)와 맞물리게 될 때, 플런저 로드(1080)는 몸체(1060) 및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또는 원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1077)은 또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핀(1077)은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디바이스(1050))의 충전 및 조립시 삽입되어 사용 전에 플런저 로드(1080)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1077)은 디바이스(1050)의 패키징, 수송 및 전달 동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기 전에, 핀(1077)은 작동부(1082)와 맞물리지 않도록 제거되거나 달리 위치될 수 있다.
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93)는 디바이스(1050)의 조립 시에 플랜지 피스(107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작동부(1082)의 원위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의 내향 립(1091)이 돌출부(1093)에서 돌출할 수 있어, 작동부(1082)가 플랜지 피스(1070) 외부로 근위방향으로 당겨지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93)와 립(109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작동부(1082) 둘레에 배치될 수 있어, 립(1091)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작동부(1082)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돌출부(1093)를 차단한다. 돌출부(1093) 및 립(1091)은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퀘어드오프(squared-off) 단면 프로파일,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진 단면 프로파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93), 립(1091) 또는 둘 모두의 단면 프로파일은 제조(예를 들어, 돌출부(1093) 또는 립(1091)의 형상을 기계가공 또는 성형)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또는 조립(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 내로 및 이를 통해 플런저 로드(1080)의 삽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부(1082)는 돌출부(1093)의 외부 주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09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93)는 서로 반대편 위치에 돌출부(1093) 둘레에 대해 배치된 한 쌍의 돌기부(1096)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096)는 다양한 적합한 크기, 형상 및/또는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기부(1096)는 플랜지 피스(1070) 내에서 돌출부(109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근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돌기부(1096)는 돌출부(1086)를 포함하는 작동부(1082)의 대응하는 측부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돌출부(1093)의 측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돌기부(1096)는 돌출부(1086)를 포함하는 작동부(1093)의 측부와 오프셋되는(예를 들어, 길이방향 정렬이 아님) 돌출부(1093)의 측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돌기부(1096)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 외에, 돌출부(1093) 또는 작동부(1082)의 다른 부분 상에 추가 및/또는 더 적은 수의 돌기부(1096)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1j는 내부 표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세스(1097)를 포함하는 플랜지 피스(1070)의 원위 단부 부분을 도시한다. 리세스(1097)는, 돌출부(1093)가 플랜지 피스(1070) 내에 수용되고 립(1091)에 인접하고/하거나 그와 접촉 상태로 위치될 때 돌기부(1096)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립(1091)은 플런저 로드(1080)에 유체역학적 힘을 인가하여 돌기부(1096) 및 돌출부(1093)를 립(1091)의 원위방향으로 및 플랜지 피스(1070)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고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후퇴(예를 들어, 근위 이동)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플랜지 피스(1070) 내로의 초기 조립 후 플런저 로드(1080)의 제거를 억제함으로써, 디바이스(1050)는 초기 사용 후 디바이스(1050)의 재사용을 방지하고, 및/또는 디바이스(1050) 내의 기포를 형성하는 부주의한 공기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본 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서로에 대하여 환형 어레이로 원위 단부 부분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리세스(109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세스(1097)는 플랜지 피스(1070)의 원주에 대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서로에 대해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1097)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세스(1097)의 하위세트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돌출부(1093)의 이동 시에 그를 통한 돌기부(1096)의 통과를 수용하고 허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복수의 리세스(1097)의 제2 하위세트는 아래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그를 통한 돌기부(1096)의 통과를 수용 및 억제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되어, 돌출부(1093)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추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서로에 대해 반대편 위치에서(예컨대, 서로 약 180도로 이격됨) 개구(1073)(플런저 로드(1080)가 그를 통해 수용된 상태에서) 둘레에 위치된 한 쌍의 넓은 리세스(1097a)를 포함한다. 플랜지 피스(1070)는 서로에 대해 반대편 위치에서(예컨대, 서로 약 180도) 개구(1073) 둘레에 위치된 한 쌍의 좁은 리세스(1097b)를 포함한다. 리세스(1097a)는 플랜지 피스(1070)의 원주를 따라 인접한 리세스(1097b)에서 약 90도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넓은 리세스(1097a)는 플랜지(1076)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해 횡단하는(예컨대, 수직하는) 중심 벽 및 중심 벽에 대해 각진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좁은 리세스(1097b)는 플랜지(1076)의 길이방향 길이와 평행한 중심 벽, 및 중심 벽에 수직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넓은 리세스(1097a)는 좁은 리세스(1097b )에 대해 돌기부(1096)를 수용하기 위한 더 큰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추가로 리세스들(1097a, 1097b)의 측벽들은 디바이스(1050)의 길이방향 길이와 평행한 높이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k에 도시된 제1 구성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플랜지 피스(1070)를 통해 수용되고, 돌출부(1093)는 개구(1073)에 대해 지향되어 돌기부(1096)가 넓은 리세스(1097a) 내에 수용된다. 넓은 리세스(1097a)의 각진 측벽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에 응답하여 넓은 리세스(1097a) 외부로 돌기부(1096)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클리어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096)는 돌출부(1093)가 개구(107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넓은 리세스(1097a)의 각진 측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96)는 돌출부(1093)가 회전함에 따라 개구(1073)를 한정하는 플랜지 피스(1070)의 내부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돌기부(1096)는 인접한 리세스(1097)들 사이를 이동하면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마찰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m은 돌기부(1096)가 좁은 리세스(1097b)와 정렬되어 그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1073)에 대해 위치된 돌출부(1093)를 도시한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080)는 돌기부(1096)를 수용하는 좁은 리세스(1097b)에 응답하여 가청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 또는 "스냅" 노이즈는 돌기부(1096)가 좁은 리세스(1097a) 내에 수용될 때 플랜지 피스(1070)의 내부 표면에 의해 돌기부(1096)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출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및/또는 대안으로, 가청 피드백은 그 내부에 수용될 때 좁은 리세스(1097b)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벽을 확장하고 타격하는 돌기부(1096)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돌기부(1096)와 플랜지 피스(1070) 사이의 마찰 간섭은 좁은 리세스(1097b) 내에 돌기부(1096)의 수용 시에 제거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좁은 리세스(1097b)의 측벽은 돌기부(1096)의 추가 이동을 억제하는 물리적 제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080)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돌기부(1096)가 좁은 리세스(1097b) 내에 수용될 때 돌출부(1093)가 개구(1073)에 대해 추가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n 내지 도 1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템(1081) 상의 돌출부(108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1073)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돌출부(1085)가 단지 개구(1073)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개구(1073)의 측부(1092)는 돌출부(1085)의 원위 통과를 허용하고, 그리고 스템(1081)이 개구(1073)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1085)의 근위 통과를 차단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돌출부(1085) 및/또는 측부(1092)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85) 및/또는 측부(1092)의 형상 또는 구성은 제조(예를 들어, 돌출부(1085) 및/또는 플랜지 피스(1070)의 형상을 기계가공 또는 성형)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도 1q 내지 도 1t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레버(1071a)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레버(1071a)는 칼라(1072)에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1071b) 및 칼라(1072) 내에 배치된 제2 단부(107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레버(1071a)는 회전 핀(1071d)에 대해 이동가능(예를 들어, 피벗 가능)할 수 있다. 제2 단부(1071c)는 개구(1073) 내에 위치될 수 있어, 플랜지 피스(1070) 내의 플런저 로드(1080)의 수용시 가동 레버(1071a)가 돌출부(1085)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초기에 도 1q를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는 스템(1081)을 가동 레버(1071a)와 접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1070)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병진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1071c)는 가동 레버(1071a)가 방해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085)에 맞닿을 수 있다. 제2 단부(1071c)는 플런저 로드(1080)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병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부(1071c)와 돌출부(1085) 사이의 거리가 플런저 로드(1080)를 이동시켜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기 위한 프라이밍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가동 레버(1071a)는 칼라(1072)에 대해 그리고 회전 핀(1071d)을 중심으로 이동(예를 들어, 피벗)시켜 제2 단부(1071c)를 방해 위치로부터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핀(1071d)이 그를 따라 연장되는 피벗 축은 플런저 로드(1080)가 그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s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레버(1071a)는 제1 단부(071b)가 플랜지(1076)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핀(1071d)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1071b)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 의해 이에 인가된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2 단부(1071c)는 제1 단부(1071b)가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플랜지(1076)에서 멀어지게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핀(1071d)에 대해 이동되며, 이에 의해 제2 단부(1071c)가 돌출부(1085)와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t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레버(1071a)는 돌출부(1085)가 개구(1073)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맞닿음부(1072a)에 접할 때까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도록 할 수 있다. 맞닿음부(1072a)는 돌출부(1085)가 이에 맞물릴 때 플런저 로드(1080)가 플런저 로드(1080)의 투여 완료 위치로 정착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제2 단부(1071c)와 맞닿음부(1072a) 사이의 거리가 디바이스(1050)로부터 물질의 제어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1080)를 이동시키기 위한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u 및 도 1v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작동부(108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랜지 피스(1070) 내의 측부 개구(1094, 1095)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연장부(1087)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087)는 작동부(108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작동부(1082)가 원위방향으로 칼라(1072) 내로 밀릴 때 플런저 로드(1080)의 중심 축을 향해 내향으로 밀리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각진 또는 둥근 원위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연장부(1087)의 각진 또는 둥근 원위부는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087)는 추가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그것이 칼라(1072) 내로 내향으로 밀릴 수 있게 되고 칼라(1072)의 측부에 의해 더 이상 제한되지 않을 때 외향으로 스프링백(spring back)될 수 있다. 칼라(1072) 내의 측부 개구(1094, 1095)는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을 수용하여,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4 또는 1095)에 도달하면,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이 측부 개구(1094 또는 1095) 내로 외향으로 튀어오르고 그후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087)들의 개수는 각각의 측부 개구(1094) 및 측부 개구(1095)의 개수와 일치하여,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각각의 연장부(1087)가 대응하는 측부 개구(1094 또는 1095)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측부 개구(1094)는 디바이스(1050)의 조립시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을 수용하여, 플런저 로드(1080)가 사용할-준비(ready-to-use) 위치에 삽입되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이 제1 측부 개구(1094) 내에 수용됨에 따라, 그것이 칼라(1072)와 인터페이스할 때 "클릭" 소리를 낼 수 있어, 이에 의해 디바이스가 사용할-준비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청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부 개구(1094)들은 각각 칼라(1072)의 부분 원주 주위에 연장되어, 연장부(1087)들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들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 위치 범위에서 측부 개구(1094)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측부 개구(1095)는 (예를 들어, 돌출부(186)를 슬롯(1074)과 정렬시키기 위해 작동부(1082)의 프라이밍 및 추가 회전 후) 디바이스(1050)가 "전달" 구성으로 있으면,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u 및 도 1v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부(1087)는 돌출부(1086)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도 3c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개구부(1095)는 마찬가지로 슬롯(1074)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디바이스가 "전달" 구성으로 있을 때 작동부(1082)의 원위 이동이 칼라(1072) 내로 추가로 가능하게 된다. 측부 개구(1094)와 연장부(1087)의 맞물림을 극복하기 위해 작동부(1082)로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과, 칼라(1072)의 내부와 연장부(1087)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회전력에 응답하여 디바이스가 "전달"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부(1087) 및 측부 개구(1094, 1095)는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임의의 적절한 상보적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개구(1094)는 측부 개구(1095)와 길이방향 정렬 상태로 칼라(1072)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는 초기에는 측부 개구(1094)의 근위방향으로 위치된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을 측부 개구(1094) 내부에 수용할 때 프라이밍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4)에서 수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피드백(예컨대, 촉각, 청각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칼라(1072)의 근위 단부는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이 측부 개구(1094)에서 칼라(1072)에 맞물리는 것에 응답하여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전진을 저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플런저 로드(1080)로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은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4)에서 해제되게 하고 측부 개구(1095) 내에 수용될 때까지 칼라(1072)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되게 할 수 있다.
연장부(1087)를 내향으로 편향시키고 측부 개구(1094)로부터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은 최소 프라이밍 및 유체역학적 힘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1080)는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단계 및 전달 단계 동안에 일정한 반경방향 배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및/또는 더 적은 측부 개구들이 측부 개구(1094, 1095)와 길이방향 정렬 및/또는 오프셋(예컨대, 길이방향으로 렬되지 않음) 상태로 칼라(1072)의 원주 벽을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도 1x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대안적으로 위에 도시되고 설명된 측부 개구(1095) 대신에 하나 이상의 내부 돌기부(10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080)는 연장부(1087)(도 1v)가 칼라(1072) 내로 압착되고 측부 개구(1094)에 대해 비교적 근위에 배치된 상태로 플랜지 피스(1070) 내로 미리조립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는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4) 내에 수용될 때까지 플런저 로드(1070)를 플랜지 피스(1070)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프라이밍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5) 내에 수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피드백(예컨대, 촉각, 청각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부터 투여량 완료 위치로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원위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부 개구(1094)는 나팔형이 될 수 있고, 및/또는 연장부(1087)가 원위방향으로 테이퍼지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병진은 연장부(1087)들이 서로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구부러지게 하며,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080)가 원위방향으로 병진되게 하여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도 1v)이 내부 돌기부(1095')에 접할 때까지 칼라(107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계속 병진될 수 있다. 내부 돌기부(1095')는 연장부(1087)와 접촉하여 플런저 로드(1080)를 투여량 완료 위치에 고정하고, 및/또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의 원위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이동(예를 들어, 근위 및/또는 원위)은 칼라(1072) 내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과 맞물리는 내부 돌기부(1095')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내부 돌기부(1095')는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1087a) 또는 연장부(1087)와 상호작용하도록 크기설정 및/또는 형상화되는 상보적인 후크 또는 클립 형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개구(1094)와 내부 돌기부(1095') 사이의 거리가 디바이스(1050)로부터 물질의 제어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칼라(1072)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슬리브(1072P)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72P)는 고정 슬리브(1072P)의 각각의 종료 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72P)의 내부 채널은 고정 슬리브(1072P)의 길이방향 길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내부 채널 및 개구(1073)의 각자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개구(1073)(도 1o)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72P)는 스템(1081)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슬리브(1072P)는 칼라(1072)와 일체형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슬리브(1072P)는 플랜지 피스(1070)에 조립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72P)는 돌출부(1085)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슬리브(1072P)는 오프셋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근위 개구(1072Q) 및 한 쌍의 원위 개구(1072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근위 개구(1072Q)는 서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에 위치되며, 한 쌍의 원위 개구(1072R)는 서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에 위치된다. 아래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근위 개구(1072Q)와 원위 개구(1072R) 사이의 길이방향 오프셋은 디바이스(1050)로부터 물질의 제어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1080)를 이동시키기 위한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구들(1072Q, 1072R) 사이의 길이방향 오프셋은, 돌출부가(1085)가 디바이스(1050)의 조립 동안 근위 개구(1072Q) 내에 초기에 수용되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후퇴를 억제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여량 전달 거리는 돌출부(1085)가 원위 개구(1072R) 내에 수용될 때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와 칼라(1072)의 하단 표면 사이의 길이방향 오프셋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구들의 추가 세트가 고정 슬리브(1072P)(예컨대, 근위 개구(1072Q)의 근위에, 근위 개구(1072Q)의 원위에, 및/또는 원위 개구(1072R)의 원위에) 상에 포함되어 프라이밍 거리 및/또는 투여량 전달 거리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고정 슬리브(1072P)의 근위 단부는 고정 슬리브(1072P)의 근위 개구를 한정하는 각진 인터페이스(1071P)를 포함할 수 있다. 각진 인터페이스(1071P)는 고정 슬리브(1072P)의 내부 채널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으며, 스템(1081)와 돌출부(1085)를 내부 채널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돌출부(1085)는 반대편의 측방향으로 스템(108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압축가능하고 및/또는 가요성/변형가능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 돌출부(1085)가 이에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스템(1081) 내로 및/또는 그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후퇴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085)는 개구들(1072Q, 1072R)을 향한 및/또는 그들 사이에서 돌출부(108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 슬리브(1072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슬리브(1072P)는 스템(1081)에 윈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할 때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작동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이에 의해 돌출부(1085)가 고정 슬리브(1072P) 상으로 반경방향 힘을 인가하도록 야기한다.
여전히 도 2a를 참조하면, 고정 슬리브(1072P)는 내부 채널을 통해 플런저 로드(1080)을 수용하고, 스템(1081)이 칼라(1072)를 통과하여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085)는, 플런저 로드(1080)가 원위방향으로 충분히 이동되어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Q )에 의해 수용될 때까지 각진 표면(1071P)에 접하고 스템(1081)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압축하는 것에 응답하여 고정 슬리브(1072P)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85)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스템(1081)을 로크하기 위해 근위 개구(1072Q)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대되도록(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50)는 고정 슬리브(1072P) 및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스템(1081)의 추가 병진이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50)는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Q) 내에 수용된 상태로 미리조립되어, 고정 슬리브(1072P)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스템(1081)의 병진이 돌출부(1085)가 원위 개구(1072R) 내에 수용될 때까지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Q) 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스템(1081)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은 고정 슬리브(1072P)가 돌출부(1085)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압축되게 하고(또는 변형되게 하고), 이에 의해 스템(1081)이 고정 슬리브(1081)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돌출부(1085)는 근위 개구(1072Q)를 통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함으로써 수동으로 압축(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1085)는 고정 슬리브(1072P)의 내부 채널을 통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원위 개구(1072R)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스템(1081)이 칼라(107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함에 따라, 디바이스(1050)는 돌출부(1085)가 원위 개구(1072R) 내에 수용될 때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50)에 의해 전달되는 투여량의 부피가 근위 개구(1072Q)와 원위 개구(1072R) 사이의 길이방향 오프셋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슬리브(1072P)는 투여량을 프라이밍하고 전달한 후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스템(1081)의 근위 후퇴(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의 철수)를 억제하기 위해 돌출부(1085)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85)는 제조 단계에서 디바이스(1050)의 조립 중에 근위 개구(1072R) 내에 수용될 수 있어, 근위 개구(1072R)가 프라이밍 위치를 한정할 수 있고 원위 개구(1072R)의 원위에 있는 제3 세트의 개구들(도시되지 않음)이 투여량 전달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위 개구(1072R)의 원위에 있는 플랜지 피스(1070)의 하단 내부 표면은 플런저 로드(1080)의 투여량 전달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d 내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칼라(107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및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 슬리브(1072S)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는 가동 슬리브(1072S)의 각각의 종료 단부에 개구를 갖는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은 가동 슬리브(1072S)의 길이방향 길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는 개구(1073)를 통해 수용되도록 크기설정, 형상 및 구성될 수 있으며,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은 스템(1081)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는 미리조립된 구성으로 있을 때 칼라(1072)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플런저 로드(1080)와 맞물려 있을 때 칼라(107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는 돌출부(1085)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슬리브(1072S)는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단부에서의 근위 개구(1072S)와 가동 슬리브(1072S)의 원위 단부에서의 원위 개구(1072T)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단부는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개구를 한정하는 각진 인터페이스(1071S)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진 인터페이스(1071S)는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으며, 스템(1081) 및 돌출부(1085)를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85)는 서로 반대편 방향으로 스템(1081)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압축이 가능하여, 돌출부(1085)가 이에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스템(1081) 내로 및/또는 그를 향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전히 도 2d를 참조하면,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단부는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가동 슬리브(1072S)의 원위 단부는 미리조립된 위치로 있을 때 칼라(1072)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스템(1081)이 칼라(1072)를 통해 연장되는 상태에서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1085)는 플런저 로드(1080)가 가동 슬리브(1072S)에 고정될 수 있도록 원위 개구(1072T)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1085)는 원위 개구(1072T)를 빠져나가고, 플런저 로드(1080)가 가동 슬리브(1072S)에 대해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측방향 외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082)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은 돌출부(1085)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압축되게 하고, 이에 의해 스템(1081)이 가동 슬리브(1072S)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돌출부(1085)는 원위 개구(1072T)를 빠져나가고, 가동 슬리브(1072S)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병진할 때 확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는 작동부(1082)가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스템(1081)이 칼라(1072)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조립된 상태에서 프라이밍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50)는 프라이밍된 상태로 있을 수 있고, 칼라(1072)에 대한 스템(1081)의 추가 병진이 가동 슬리브(1072S)의 존재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제 도 2f를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는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U)와 맞물릴 때까지 칼라(1072)에 대해 스템(1072)의 근위 병진에 응답하여 가동 슬리브(1072S)에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1085)는 가동 슬리브(1072S)의 내부 채널을 통해 병진할 때 압축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근위 개구(1072U)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 근위 개구(1072U) 내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U)와 맞물린 상태에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병진은 칼라(1072)에 대해 가동 슬리브(1072S)의 동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가동 슬리브(1072S) 및 플런저 로드(1080)의 집합적 길이가 플런저 로드(1080) 단독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가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플랜지 피스(1070)의 채널을 통해 가동 슬리브(1072S)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가동 슬리브(1072S)가 칼라(107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에 의해 전달되는 투여량은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U) 내에 수용될 때 작동부(1082)와 칼라(1072) 사이의 미리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는 돌출부(1085)가 근위 개구(1072U) 내에 수용될 때 칼라(1072)에 대해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랜지 피스(1070)는 개구(1073)로부터 가동 슬리브(1072S)의 근위 후퇴를 제한하도록 작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h 내지 도 2m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85W)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돌출부(1085W)는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돌출부(1085W)가 플런저 로드(1080)의 칼라(1072) 내로의 병진에 응답하여 플랜지 피스(1070)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는 칼라(1072)의 내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칼라(1072)는 칼라(1072)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제1 곡률을 갖는 제1 (근위) 나선형 채널(1071W), 및 칼라(1072)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나선형 채널(1071W)과 상이한 및/또는 반대편 곡률을 갖는 제2 (원위) 나선형 채널(1072W)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1082)의 근위 단부에서 볼 때, 제1 나선형 채널(1071W)은 오목할 수 있는 반면, 제2 나선형 채널(1072W)은 동일한 관점에서 볼 때 볼록할 수 있다. 또는, 제1 나선형 채널(1071W)은 작동부(1082)의 근위 단부에서 볼 때 볼록할 수 있는 반면, 제2 나선형 채널(1072W)은 동일한 관점에서 오목하다. 더욱이, 제2 나선형 채널(1072W)은 제1 나선형 채널(1071W)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나선형 채널(1071W)은 제2 나선형 채널(1072W)과의 사이에 연장되는 중간의 제3 채널(1073W)에 의해 제2 나선형 채널(1072W)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채널(1073W)은 칼라(107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또는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칼라(1072)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크기, 형상 및/또는 배향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적합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도록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1072)은 돌출부(1085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나선형 채널(1071W) 및 제2 나선형 채널(1072W)은 플런저 로드(108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돌출부(1085W))와 맞물리도록 나사형성 및 구성될 수 있다. 제1 나선형 채널(1071W) 및 제2 나선형 채널(1072W)을 횡단하기 위해서 돌출부(1085W)에 대해 반대편 회전 운동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의 제1 회전 이동(예를 들어, 시계 방향)은 돌출부(1085W)가 제1 나선형 채널(1071W)을 횡단하도록 야기할 수 있는 반면, 반대편 회전 운동(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은 돌출부(1085W)가 제2 나선형 채널(1072W)을 횡단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가 준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1085W)는 플랜지 피스(1070)를 향한 작용부(1082)의 원위 병진에 응답하여 칼라(107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85W)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예컨대, 제1 방향으로)에 응답하여 제1 나선형 채널(1071W) 내에 수용되고, 그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제1 나선형 채널(1071W)의 곡률로 인해, 플런저 로드(1072)가 칼라(1072)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는 제1 나선형 채널(1071W)의 종료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나선형 채널(1071W)의 구성에 의해 한정된 제1 거리를 병진할 수 있다. 제1거리는 돌출부(1085W)가 제1 나선형 채널(1071W)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디바이스(105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라이밍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제 도 2j를 참조하면, 돌출부(1085W)는 제1나선형 채널(1071W)의 종료 단부 및 제3채널(1073W)의 근위(예를 들어, 상단)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제1 나선형 채널(1071W)의 종료 단부에 의해 형성된 촉각 피드백을 경험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채널(1073W)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되어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제1 나선형 채널(1071W) 및 제3 채널(1073W)은 공동으로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거리를 한정하여, 돌출부(1085W)가 제3 채널(1073W)을 통해 병진할 때 플런저 로드(1080)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돌출부(1085W)가 제2 나선형 채널(1072W)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제2 방향(제1 방향의 반대)으로 회전되어 플런저 로드(1080)가 제2 나선형 채널(1072W)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제2거리만큼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제2 거리는 특정 응용 및 요구에 따라, 제2 나선형 채널(1072W)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작거나, 크거나, 및/또는 그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나선형 채널(1072W)의 종료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제2 거리만큼 병진되어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제2거리는 돌출부(1085W)가 제2 나선형 채널(1072W)을 통해 이동하여 투여량 완료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디바이스(1050)가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1050)의 투여량 전달 단계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l 및 도 2o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에 위치된 돌출부, 노브 및/또는 스레드(1085X)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스레드(1085X)는 작동부(1082)의 둘레 및 원위 단부를 따라 위치되어, 칼라(1072) 내로의 플런저 로드(1080)의 병진에 응답하여 스레드(1085X)가 플랜지 피스(1070)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플랜지 피스(1070)는 개구(1073) 내에 배치되고 스레드(1085X)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은 개구(1073)의 근위부를 따라 위치되어, 개구(1073)의 원위부가 비-나사형성된(non-threaded) 부분(1071X)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은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단계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거리를 한정할 수 있고, 비-나사형성된 부분(1071X)은 디바이스(1050)의 투여량 전달 단계에 대응하는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082)는 스레드(1085X)가 칼라(1072)의 원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1070)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제1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은 스레드(1085X)가 나사형성된 부분(1072X)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2m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은 스레드(1085X)가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의 나선형 경로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칼라(1072) 내로 작동부(1082)의 축방향/길이방향 병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을 통한 스레드(1085X)의 회전 및 병진이 디바이스(1050)를 준비 위치(도 2l)로부터 프라이밍된 위치(도 2n)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스레드(1085X)가 나사형성된 부분(1072X)에서 해제되고 비-나사형성된 부분(1071X)을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50)는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스레드(1085W)가 나사형성된 부분(1072X)을 빠져나가고/나가거나 비-나사형성된 부분(1071X)으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드백(예: 촉각, 청각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도 2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082)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되어 작동부(108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함으로써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스레드(1085X)는 스레드(1085X)가 비-나사형성된 부분(1071X) 내에 위치될 때 개구(1073)의 원위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스레드 부분(1072X)의 원위 단부와 개구(1073)의 원위 단부 사이에 한정되는 비-나사형성된 부분(1071X)의 길이방향 길이는 디바이스(1050)의 투여량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작동부(1082)가 칼라(1072)의 근위방향-대면 원위 표면과 맞물리고 플런저 로드(1080)가 투여량 완료 위치에 도달할 때 디바이스(1050)가 투여량의 전달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p 내지 도 2t는 본원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차이를 제외하고 위에 도시되고 설명된 플랜지 피스(1070)와 유사하게 구성 및 작동할 수 있는 플랜지 피스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아래에 설명된 플랜지 피스는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p를 초기에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1070A)는 디바이스(1050)를 보유하고/하거나 제형된 약물 물질을 디바이스(1050)로부터 방출하는 데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076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76A)는 사용자가 복수의 손/파지 위치, 배열 및/또는 배향으로 디바이스(1050)를 보유할 수 있도록 추가로 크기설정 및/또는 형상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플랜지(1076A)는 플랜지 피스(1070A)가 플랜지(1076A)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필기구(예컨대, 연필, 펜 등)와 유사하게 보유될 수 있고, 또는 플랜지(1076A)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맞닿을 수 있도록 도 24a에 도시된 예에 따라 크기설정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A)는 서로에 대해 반대편의 반경방향으로 칼라(1072)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1076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76A)는 칼라(1072)로부터 횡단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예를 들어, 플랜지(1076A)는 원위방향으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기울어진 각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음), 디바이스(1050)의 사용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이 플랜지 피스(1070A)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1076A)들은 칼라(1072)에 대해 최소 반경을 갖는 반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1076A)는 핑거 플랜지(1070A)의 시각적 근위로부터 디바이스(1050)를 사용할 때 디바이스(1050)의 원위 단부에서 표적 처리 부위의 시각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느다란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A)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보다 플랜지(1070A)의 다양한 다른 수량 및/또는 배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1076)는 다양한 다른 적합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A)는 칼라(107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몸체(1060)와 맞물려 플랜지 피스(1070A)를 몸체(106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원위 칼라(1075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칼라(1075A)는 몸체(1060)에 접착, 성형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거나,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몸체(1060)와 맞물릴 수 있다. 예에서, 원위 칼라(1075A)는 칼라(107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대체적으로 적은 길이방향 길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075A)는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파지 및/또는 조작을 위해 몸체(1060)의 적절한 노출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작게 크기설정될 수 있다. 추가로, 원위 칼라(1075A)는 칼라(1072)와 유사한 및/또는 상이한 재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칼라(1075A)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몸체(1075A)를 플랜지 피스(1070A) 내로 수용할 때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지게 하고, 몸체(1060)가 완전히 수용되면 스냅 끼워맞춤 연결(원위 칼라(1075A)를 파괴하지 않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A)는 원위 칼라(1075A)를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q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B)는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원위 칼라(1075, 1075A)보다 실질적으로 더 긴 원위 칼라(107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칼라(1075B)는 칼라(107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큰 길이방향 길이로 확대될 수 있다. 예에서, 원위 칼라(1075A)는 몸체(1060)의 실재적 길이를 포괄할 만큼 충분히 크게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위 칼라(1075B)의 외부 표면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동안 파지 및/또는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원위 칼라(1075B)는 플랜지 피스(1070B)를 파지하기 위한 향상된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1060)의 직경을 초과하는 확장된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원위 칼라(1075B)는 디바이스(1050)를 파지 및/또는 조작하는 데 있어서 용이성을 갖게 하기 위해 넓은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원위 칼라(1075B)는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플랜지 피스(1070B)를 볼 때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갖는 배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2r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C)는 원위 칼라(1075B)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원위 칼라(1075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위 칼라(1075C)는 칼라(107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큰 길이방향 길이를 포함한다. 예로서, 원위 칼라(1075C)의 외부 표면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동안 파지 및/또는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칼라(1075C)는 원위 칼라(1075C)가 몸체(1060)의 프로파일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도록 몸체(106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가느다란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원위 칼라(1075C)는 원위 칼라(1075B)에 비해 좁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075C)는 원위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종료 립(1077C)을 포함할 수 있다. 종료 립(1077C)은 원위 칼라(1075C)의 파지 및/또는 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원위 칼라(1075C)는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플랜지 피스(1070C)를 볼 때 오목한 외부 표면을 갖는 나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s 및 도 2t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D)는 근위 립(1074D)를 갖는 칼라(1072D)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립(1074D)은 작동부(1082)가 칼라(1072D)에 의해 수용될 때 플런저 로드(108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불규칙한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립(1074D)은 근위 립(1074D)을 따라 서로 반대편 측부들을 따라 위치된 한 쌍의 리세스된 표면(1075D)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세스된 표면(1075D)들은 리세스되지 않은 근위 립(1074D)의 표면들 및/또는 부분들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로서, 리세스된 표면(1075D)은 슬롯(1074)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로부터 투여량을 프라이밍 및 전달하기 위해 칼라(1072D)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된 표면(1075D)은, 리세스된 표면(1075D)이 제1 레지(ledge)(1073D)와 제2 레지(1076D) 사이에서 원위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도록 스파이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경사를 가짐).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D)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칼라(1072D)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라벨 또는 마킹과 같은 시각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벨(예를 들어, 번호 매기기)은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프라이밍 및 전달하기 위해 플랜지 피스(1070D)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080)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벨은 근위 립(1074D)에 대하여 돌출부(1086)의 시작 위치(예를 들어, "1"), 프라이밍 위치(예를 들어, "2") 및 투여량 전달 위치(예를 들어, "3")를 나타내는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라벨은 칼라(1072D) 상에 접착, 인쇄, 엠보싱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D)는 디바이스로부터 투여량을 프라이밍 및 전달할 때 단일 방향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용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초기에 플랜지 피스(1070D)를 통해 수용될 수 있고, 작동부(1082)는 칼라(1072D)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이때 돌출부(1086)가 마킹 "1"에서 그리고 슬롯(1074)의 반대편에서 리세스된 표면(1075D)의 제1 단부를 따라 배치된다. 제1 레지(1073D)가 돌출부(1086)가 마킹 "2"로부터 멀어지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돌출부(1086)는 단지 마킹 "2"를 향하여 리세스된 표면(1075D)을 따라 단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1086)가 마킹 "2"에서 리세스된 표면(1075D)을 따라 수용될 때, 제2 레지(1076D)는 돌출부(1086)가 슬롯(1074)를 지나 이동하고 마킹 "3"을 통과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D)가 디바이스(1050)의 사용 동안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 외에 근위 립(1074D) 및/또는 리세스된 표면(1075D)의 다양한 다른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도록 근위 립(1074D)의 구성이 예시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는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마킹 대신에 및/또는 그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색상 지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는 투여량을 프라이밍 및 전달하기 위해 플랜지 피스(1070D)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를 회전 또는 달리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을 나타내는 색상, 기호(예를 들어, 화살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외부 표면은 플런저 로드(1080)의 각자의 시작 위치(예를 들어, 녹색), 프라이밍 위치(예를 들어, 노란색), 및 투여량 전달 위치(예를 들어, 빨간색)를 나타내기 위해 작동부(1082)의 다양한 부분들을 따라 상이한 색상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색상 지시기는 플런저 로드(1080) 상에 인쇄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다양한 부분들은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색상 지시기 대신에 및/또는 그에 부가하여 상이한 텍스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 근위 칼라(1072), 플런저 로드(1080), 작동부(1082) 등)가 휘어질 때 파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강성일 수 있고 형상을 유지하고 지지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는 구성요소가 가변적 가요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 길이 또는 측방향 폭을 따라 가변적인 강성도를 가질 수 있다. 여전히 추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휘어질 때 파손을 방지하면서 또한 형상을 유지하고 지지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강성도 및 강도를 갖는 충분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특징부는 디바이스(1050)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구부리거나 상호작용할 때 사용자 피드백(예를 들어, 촉각, 청각, 시각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몸체(1060), 플랜지 피스(1070), 플런저 로드(1080) 각각은 플라스틱과 같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060),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 중 하나 이상은 여러 가지 상이한 재료(예컨대, 유리, 고무 및/또는 플라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몸체(1060)의 원통형 부분은 유리, 플렉시글라스(Plexiglas),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중합체(예를 들어, 순환 올레핀 중합체 또는 순환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스토퍼(106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또는 다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플랜지 피스(1070)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polypropylene homopolymer), ABS(아크릴로니틀, 부타디엔 및 스티렌) 중합체, ABS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및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 플런저 로드(1080)는 ABS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플랜지 피스(1070)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를 제조(예를 들어, 사출 성형)하기 위한 큰 허용오차를 제공하거나, 디바이스(1050)의 상기 구성요소의 재현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 크게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프라이밍 또는 전달할 때 상기 구성요소를 굴곡 또는 변형(예를 들어, 파손하지 않고)시키기 위한 큰 허용오차를 제공하는 가요성 및/또는 변형가능 재료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형된 약물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몸체(1060)의 일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상이한 재료, 예컨대, 유사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예를 들어, 각각 유사하거나 상이한 경도를 가짐)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부분들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부분들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50)를 더 잘 파지할 수 있도록, 또는 디바이스(1050)의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예컨대, 몸체(1060)와 스토퍼(1062) 사이)에 밀폐 또는 달리 밀봉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의 일부 또는 전부(예를 들어, 작동부(1082) 및/또는 연장부(1087) 또는 대안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전체)는 예컨대, 연장부(1087)의 만곡을 허용하기 위해 일부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 나열된 재료들 중 하나 이상(예컨대, 플라스틱, 고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은 그러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살균, 예를 들어 열 또는 화학적 살균에 적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플랜지 피스(107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60)에 조립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의 몸체(1080)로의 조립은 2개의 구성요소를 함께 활주, 스냅핑(snapping), 접착 또는 달리 부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가 몸체(1060)로 활주되어,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립(1071)이 몸체 플랜지(1061)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조립된 플랜지 피스(1070) 및 몸체(1060)를 통해 삽입되어,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단부가 스토퍼(1062)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조립된 디바이스(1050)는 패키징, 살균 및/또는 사용에 적합한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
도 3c 내지 도 3f는 작동부(1082)가 연장부(1087)를 포함하고, 칼라(1072)가 측부 개구(1094)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50)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플랜지 피스(1070)를 통해 삽입된 후,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부분이 측부 개구(109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이 지점에서 조립된 디바이스(1050)는 패키징, 살균 및/또는 사용에 적합한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 측부 개구(1094)는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부분이 그 내부에 수용되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후퇴를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측부 개구(1094)는 디바이스(1050)가 초기 조립 상태로 배치될 때 디바이스(1050)의 해체를 방지하도록 제1 로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도 4g 내지 도 4j 참조), 측부 개구(1095)는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부분이 그 내부에 수용되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후퇴를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부 개구(1095)는 디바이스(1050)가 투여량 전달 상태로 배치될 때 약물/약제 전달의 완료 후 환자 유체의 추출을 방지하도록 제2 로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측부 개구(1094, 1095)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플란저 로드(108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피드백, 예를 들어, 가청 피드백, 촉각 피드백 등과 같은 것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디바이스(1050)에 대한 로크들의 양을 증가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보다 추가의 및/또는 그 이하의 측부 개구(1094, 109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를 조립하는 것은 그것을 플랜지 피스(1070) 및 스토퍼(1080)와 결합하기 전에 몸체(1060)를 미리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양의 약물 물질이 몸체(1060) 내에서 스토퍼(1062)와 바늘 단부(10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들의 구조물들의 고려된 변화에 따라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들의 대안적 조립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가 스냅 끼워맞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몸체(1060)에 조립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80)를 통해 먼저 삽입될 수 있고, 조합된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가 몸체(1060)에 조립될 수 있어,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가 몸체(1060)의 근위 몸체 플랜지(1061) 위에 스냅되고 플런저 로드(1080)가 몸체(106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비-사용 구성에서, 디바이스(1050)는 스토퍼(1062)와 축출 단부(1064) 사이에 약물 물질의 부피를 보유할 수 있다. 프라이밍 거리(p)는 돌출부(1086)와 근위 칼라(1072)의 근위 단부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돌출부(1086)는 슬롯(1074)과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몸체(106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동부(1082)를 플랜지 피스(1070)의 근위 칼라(1072) 내로 부분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이러한 단계 동안 역전된 위치로 보유될 수 있어서, 스토퍼(1062)가 플런저 로드(1080)에 의해 원위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몸체(1060) 내에 포획된 공기가 축출 단부(1064)를 통해 방출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a의 예비-사용 구성에서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 동안에, 플랜지 피스(1070) 내의 개구(1073), 및 플런저 로드(1080)의 네크(1084)(도 4b의 상단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의 기하학적 형상들로 인해, 플런저 로드(1080)는 주사기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의 돌출부(1086)가 근위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맞닿을 때 프라이밍 단계가 중단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가 완료될 때, 플런저 로드(1080)의 네크(1084)는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1073)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그것이 이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밍 단계가 완료될 때, 네크(1084)의 좁은 부분은 디바이스가 예비-사용 구성으로 있었을 때보다 개구(1073)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50)는 프라이밍된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분배 준비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돌출부(1086)를 슬롯(1074)과 정렬시키기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부(1082)를 파지하여 비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작동부(1082)를 비틀어 돌출부(1086)와 슬롯(1074)을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부(1082)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단 돌출부(1086)가 슬롯(1074)과 정렬되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회전이 네크(1084)와 개구(1073)의 기하학적 형상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086) 및 슬롯(1075)을 정렬시키는 것이 분배할-준비(ready-to-dispense) 구성으로 디바이스(1050)를 잠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부(1082)의 회전은 돌출부(1086)를 슬롯(1074)과 정렬시킬 수 있으며,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또는 원위 이동이 작동부(108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지 않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080)는 몸체(106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동부(1082)를 플랜지 피스(1070)의 근위 칼라(1072) 내로 원위방향으로 가압하여, 돌출부(1086)가 슬롯(1074) 내로 활주되도록 할 수 있다. 일단 돌출부(10860)가 슬롯(1074)의 원위 단부에 맞닿으면,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원위 운동이 중단된다. 분배 단계는 몸체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05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086)가 슬롯(1074)의 원위 단부에 맞닿을 때, 스토퍼(1062)는 몸체(1060) 내의 축출 단부(1064)의 "바닥을 치거나(bottom out)" 그에 맞닿지 않는다. 유리하게도, 스토퍼(1062)가 바닥을 칠 수 있기 전에 몸체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05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축출 단부(1064)의 제조에 대한 임의의 편차(예를 들어, 축출 단부(1064)의 정확한 크기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것)가 디바이스(1050)로부터 전달되는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로부터 전달되는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는, 특히 플랜지 피스(1070)를 제외한 임의의 구성요소에서 디바이스(1050)의 임의의 구성요소의 제조에 대한 전형적인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는 디바이스(1050)로부터 전달되는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디바이스(1050)의 몇 개의 구성요소에서의 제조 편차(예를 들어, 유리 몸체(1060) 또는 다른 유리 구성요소의 형성에서의 편차)에 상이하거나 더 큰 허용오차의 존재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의 사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단계 후, 사용자가 하나의 단계를 다시 시행하는 것,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역전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의 네크(1084) 및 개구(1073)의 기하학적 형상들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1080)를 몸체(1060)의 근위방향으로(예컨대, 외부로) 당기는 것, 플런저 로드(1080)를 예방적으로(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 전) 회전시키는 것, 및/또는 분배 준비 단계(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됨) 동안에 플런저 로드(1080)를 과다-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4g 내지 도 4j는 작동부(1082) 상의 연장부(1087)들 및 플랜지 피스(1072)의 칼라(1072) 내의 대응하는 측부 개구들(1094, 1095)을 갖는 디바이스(1050)의 실시예의 사용 시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4g 및 도 4h는 작동부(1082)가 칼라(1072) 내로 원위방향으로 밀리고 있을 때의 디바이스(1050)를 도시한다. 각진 원위부로 인해, 연장부(1087)는 칼라(1072) 내로 내향으로 밀려나고 있다. 일단 플런저 로드(1080)가 "전달" 위치로 회전되었고, 작동부(1082)가 추가로 칼라(1072) 내로 원위방향으로 추가로 밀려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디바이스(1050)로부터 전달하면, 연장부(1087)가 측부 개구(1095) (도 4i 및 도 4j에 도시됨) 내로 수용될 수 있고, 그후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플런저 로드(1080)의 근위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예컨대, 약물 물질이 그 내부로 전달되는 부위로부터 디바이스(1050) 내로의 의도하지 않은 재료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는 측부 개구(1094) 또는 측부 개구(109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g 내지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50)는 측부 개구(1094) 및 측부 개구(1095)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k 및 도 4o는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네크(1084)의 기하학적 형상의 보다 상세한 예시적인 양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네크(1084)의 최근위부(a) 및 스템(1081)(도 4k에서 섹션(d)으로 표시됨)은 둘 모두 도 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상은 플런저 로드(1080)의 대응하는 부분들이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1073))를 통해 근위방향으로/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네크(1084)의 좁은 부분(b)은 도 4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작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1073)) 내에 배치될 때,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의 전환 회전을 허용하는 네크(1084)의 각자의 부분은 플런저 로드(1080)의 다른 부분의 단면 형상에 비해 이러한 이동에 대한 더 큰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최소 단면 형상을 갖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네크(1084)의 제3 부분(c)은 도 4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1073))의 크기 및 형상과 직접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1073)를 통한 네크(1084)의 이러한 부분의 근위 또는 원위 이동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특정 회전 배향으로 있을 때만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네크(1084)의 부분(c)이 개구(107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플런저 로드(1080)는 회전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플런저 로드(1080)가 회전될 수 있기 전에 예컨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바람직한 위치에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라이밍이 완료되고 부분(c)이 더 이상 개구(1073) 내에 배치되지 않음). 또한, 네크(1084)의 다양한 단면 형상 및 개구(1073)의 크기 및 형상이 조합되어 디바이스로부터 약물 물질을 프라이밍하고 전달하는 데 필요한 플런저 로드(1080)의 특정 이동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개구(1073)의 원위부는 그를 통한 플런저 로드(1080)의 가변적 기하학적 형상들(예를 들어, 네크(1084), 스템(1081) 등)을 수용하기 위해 개구(1073)의 중간 및/또는 근위 부분에 대해 가장 큰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4o에 기재된 추가 실시예에서, 네크(1084)의 최근위 부분 e 및 스템(1081)의 대부분 h는 둘 모두 도 4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플런저 로드(1080)의 대응하는 부분이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1073))를 통해 근위방향으로/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네크(1084)의 좁은 부분 f는 도 4q(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사전-회전 구성) 및 도 4r(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사후-회전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작은 날개부(또는 화살표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 형상은,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컨대, 개구(1073)) 내에 배치될 때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단일방향 또는 양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하며, (도 4t 및 도 4x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이 완료된 후 반대 방향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후방향(backwards)" 회전을 제한하거나 저지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의 부분들 g 및 l은 도 4s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차단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예를 들어, 개구(1073))의 크기 및 형상과 직접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1073)를 통해 플런저 로드(1080)의 이들 부분의 근위 또는 원위 이등은 단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특정 회전 방향으로 있을 때만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플런저 로드(1080)는 플런저 로드(1080)의 부분들 g 또는 l이 개구(1073)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회전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가 디바이스(1050)의 조립 및 사용 동안 소정의 단계들에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바람직한 위치에 있어 디바이스(1050)의 정확한 조립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로, 부분들 g 및 l의 "더 큰" 단면 영역은 플런저 로드의 "절수(back-out)"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특정 회전 위치에 있지 않는 한 개구(1073)을 통해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080)를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전달" 위치로 회전시킨 후, 플런저 로드(1080)의 부분 g는 개구(1073)를 통해 이동할 수 없으며, 따라서 디바이스(1050)의 그러한 사용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의 "철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로드(1080)의 다양한 단면 형상 및 개구(1073)의 크기 및 형상이 조합되어 디바이스(1050)로부터 약물 물질을 조립, 프라이밍, 전달하는 데 필요한 플런저 로드(1080)의 특정 이동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t 내지 도 4x는 네크(1084)의 날개 형상 부분과 플랜지 피스(1070)의 개구(1073) 사이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플랜지 피스(1070)는 개구(1073)에 인접하거나 그 내부에 디텐트(107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네크(1084) 상의 날개부(1089)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도 4t는 사전-회전 구성(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가 프라이밍된 후, 그러나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전달" 구성으로 회전되기 전)에서 개구(1073) 내측의 네크(108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u는 플런저 로드(1080)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날개부(1089)들 중 하나가 (회전 방향에 의 존하여) 디텐트(1078)들 중 하나에 접촉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디텐트(1078)들 중 하나는 날개부(1089)들 중 하나가 네크(1084)의 나머지를 향해 압축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날개부(1089)들 중 하나가 디텐트(1078)들 중 하나를 통과하고 확장되었다. 디텐트(1078)를 지나는 날개부(1089)의 이러한 확장은 청각 "클릭" 피드백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유발하여,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며, 그 후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후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1089) 및 디텐트(1078)는 플런저 로드(108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유사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1080)의 양방향 회전이 플런저 로드(1080)를 "프라이밍된" 위치에서부터 "전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4x에 추가로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부(1089)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의 용이성을 허용하도록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디텐트(1078)를 지나는 날개부(1089)의 확장은 디텐트(1078)에 대해 일정 위치에 날개부(1089)를 배치할 수 있고, 이는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크게 저지하거나 달리 억제한다. 디텐트(1078)는 디텐트(1078)를 지나는 날개부(1089)의 단일방향 이동을 돕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원에 기재된 플런저 로드(1080)의 다양한 구성은 여러 가지 목표들 - 예컨대, 원하는 플런저 로드의 이동 및 조립을 제어하는 것, 사용자 오류를 감소하는 것, 플런저 로드의 철수를 방지하는 것, 및 디바이스(1050)를 조립하기 위해 제조 및 취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여러 가지 개별 부품들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 - 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피스(예컨대, 플런저 로드(1080)) 또는 2개의 피스(예컨대,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를 모델링, 성형 및/또는 제조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y 및 도 4z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50)는 단일 작동부(1082)와 교환가능하거나, 또는 별개의 작동부(1082)와 결합되는, 하나의 키트 내에 한 쌍의 플런저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도 4y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50)는 본원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차이를 제외하고, 상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플런저 로드(108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1 플런저 로드(108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런저 로드(1080A)는 작동부(1082)와 팁(1083A) 사이에 한정된 길이방향 길이 A를 갖는 스템(1081A)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길이 A는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A)를 이동시키기 위한 프라이밍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팁(1083A)은 제1 플런저 로드(1080A)가 몸체(1060) 내에 수용될 때 스토퍼(1062)의 맞물림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평탄한 및/또는 평면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4z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50)는 플런저 로드(108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2 플런저 로드(1080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런저 로드(1080B)는 작동부(108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고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와 팁(1083B) 사이에 한정된 길이방향 길이 B를 갖는 스템(1081B)을 포함할 수 있다. 팁(1083B)은 상술한 팁(1083A)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스템(1083B)의 길이방향 길이 B는 스템(1081A)의 길이방향 길이 A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디바이스(1050)로부터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A)를 이동시키기 위한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플런저 로드(1080A)는 스템(1081A)이 칼라(1072)를 통해 몸체(1060) (도1a 및 도 1b 참조) 내로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팁(1083A)은 스토퍼(1062)에 접촉하고 그를 프라이밍 거리만큼 원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디바이스(1050)의 프라이밍 거리가 제1 플런저 로드(1080A)의 길이방향 길이 A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디바이스(1050)를 프라이밍하였을 때, 제1 플런저 로드(1080A)는 팁(1083A)의 평평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스토퍼(1083)를 후퇴시키지 않고 몸체(1060) 및 플랜지 피스(107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082)는 제1 플런저 로드(1080A)의 후퇴시 몸체(106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플런저 로드(1080B)는 스템(1081A)을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프라이밍 단계 후, 스템(1081B)이 칼라(1072)를 통해 몸체(1060)(도1a 및 도 1b 참조) 내로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80)로부터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팁(1083B)은 스토퍼(1062)에 접촉하고 그를 투여량 전달 거리만큼 원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디바이스(1050)의 투여량 전달 거리가 제2 플런저 로드(1080B)의 길이방향 길이 B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스템(1081B)과 스템(1081A) 사이의 길이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다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1200)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200)는 몸체(1220), 및 근위 칼라(1242)를 갖는 플랜지 피스(1240)를 포함하고, 그 내에 내부 칼라(12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근위 칼라(1242) 및 내부 칼라(1260)는 디바이스(1200)를 위한 차단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280)는 내부 칼라(1260) 및 플랜지 피스(1240)를 통해 몸체(1060) 내로 통과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280)는 근위 칼라(1242) 및 내부 칼라(1260)의 중심 축과 길이방향 축을 공유할 수 있으며, 내부 칼라(1260) 내측에 끼워지도록(예컨대, 안착되거나 달리 끼워지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작동부(1282)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체적으로, 디바이스(1200)는 디바이스(1050),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전달 디바이스와 크기, 용량, 재료, 준비, 조립, 제조, 작동 또는 사용 특성을 공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50)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120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의 어느 곳에 기술된 임의의 특징부를 사용하여) 촉각, 청각 또는 시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돕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2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몸체(1060)와 동일한, 또는 당해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주사기 몸체와 동일한 특성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220)는 미리충전가능하거나 미리충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디바이스(1200)의 완료된 조립, 패키징, 살균 및/또는 사용자로의 출하 전에 약물 물질로 충전가능하거나 충전될 수 있음).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1222)는 몸체(1220)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토퍼(1222)와 축출 단부(1224)과 사이에서 몸체 내측에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240)는 축출 단부(1224) 반대편에 있는 몸체(1220)의 단부를 폐쇄하거나, 부분적으로 폐쇄하거나,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및/또는 몸체(1220) 내측의 제위치에 플런저 로드(1220)를 지지 및 보유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240)는 디바이스(1050)의 플랜지 피스(1070)와 일부 특성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240)는 몸체(1220)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몸체(1220)에 대하여 플랜지 피스(1240)를 제위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원위 칼라(12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칼라(1244)는 몸체 플랜지(1226) 위를 활주하여 플랜지 피스(1240)를 제위치에 보유할 수 있는 립(124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244)의 립(1245)은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그것이 몸체 플랜지(1226) 위의 제위치에 스냅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원위 칼라(1244) 또는 플랜지 피스(1240)의 다른 부분은 몸체(1220)에 접착되거나, 성형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거나,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몸체(1220)와 맞물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240)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2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200)를 보유하는 데 있어 및/또는 디바이스(1200)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을 방출하는 데 있어 사용자를 돕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240)는 서로 반대편에 있고 디바이스(1200)의 길이방향 치수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1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240)는 4개의 플랜지, 또는 디바이스(1200)의 길이방향 중심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원주 플랜지와 같은,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의 다른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240)는 몸체(1220)의 원주보다 더 멀리 디바이스(1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200)가 표면에 배치되면, 플랜지 피스(1240)가 디바이스(1200)를 지지할 수 있고, 디바이스(1200)가 평탄한 표면에서 롤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및/또는 디바이스(1200)가 보다 용이하게 픽업되게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240) 및 내부 칼라(1260)는 플런저 로드(1280)의 회전 및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및/또는 지향함으로써 디바이스(1200)에서 차단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240)의 근위 칼라(1242)는 내부 칼라(1260)가 특정 위치로 회전될 때까지 돌출부(1262)가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 칼라(12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내부 칼라(1260)는 플런저 로드(1280)의 작동부(128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칼라(1242), 내부 칼라(1260), 및 작동부(1282)는 모두 대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안 실시예에서, 근위 칼라(1242), 내부 칼라(1260) 및 작동부(1282) 각각은, 작동부(1282)가 내부 칼라(1260) 내에 끼워지도록(예컨대, 안착되도록), 그리고 내부 칼라(1260)가 근위 칼라(1242) 내에 끼워지도록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1280) 및 내부 칼라(1260)는 공유된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예를 들어, 일방향으로 또는 양방향으로) 대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플런저 로드(1280) 및 내부 칼라(1260) 둘 모두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예를 들어, 주요 디바이스(1200)를 프라이밍하고/하거나 몸체(1220)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물 물질의 부피를 전달하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280)의 작동부(1282)는 원위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작동부(1282)가 내부 칼라(1260)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때, 내부 칼라(1260)와 인터페이스하여 내부 칼라(1260)로부터 플런저 로드(1280)의 근위 이동(예를 들어, 철수)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1282)는 웨지 형상의 원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것이 내부 칼라(1260)의 원위부를 통과할 때, 내부 칼라(126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확장하여 작동부(1282)가 더 이상 내부 칼라(1260)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플랜지 피스(1240)는 슬롯(1248)과 같은 공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칼라(1260)가 특정 위치로 회전될 때 내부 칼라(1260)의 돌출부(1262)가 그 공동 내로 활주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0)의 슬롯(1074)와 마찬가지로, 슬롯(1248)은 디바이스(1200)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깊이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슬롯(1248)의 깊이는 스토퍼(1222)를 축출 단부(1224)를 향하여 밀어내고 그리고 축출 단부(1224)를 통해 몸체(1220)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1280)가 원위방향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200)는 추가적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280)의 네크는 플랜지 피스(1240)의 개구에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는 플런저 로드(1280)가 디바이스(1050)의 네크(1084) 및 개구(1073)와 유사하게 길이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및 방향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280)의 회전 및/또는 길이방향 이동은 디바이스(1200)의 사용 동안 프라이밍, 준비 및/또는 약물 전달 단계들에 기초하여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플런저 로드(1280)는 디바이스(1200)의 제조 또는 사용 동안 임의의 시점에서 몸체(1220)에서 외부로 당겨지거나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0)의 고려되는 사용 방법에서, 디바이스(1200)는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로 충전될 수 있다.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는 환자에게 전달하기에 적합한 약물 물질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200)(예컨대, 몸체(1220))는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 및 환자에게 약물 물질을 전달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하는 기포(도시되지 않음)를 둘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200)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있는 경우 기포를 제거하고 그리고 적절한 부피의 약물 물질이 환자에게 전달될 것임을 보장하는) 디바이스(1200)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사용자는 플런저 로드(1280)의 작동부(1282)를 내부 칼라(1260) 내로 밀어넣을 수 있다. 작동부(1282)의 기하학적 형상은 내부 칼라(1260)와 상호 작용하여(예를 들어, 작동부(1282)의 원위 웨지 또는 클립은 내부 칼라(1260)의 원위측 상에 확장할 수 있음) 작동부(1282)를 내부 칼라(1260) 내에 및/또는 그에 고정하고 플런저 로드(128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디바이스(1200)는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내부 칼라(1260)는 돌출부(1262)가 슬롯(1248)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디바이스(1200)는 "전달"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200)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전달하기 위해, 내부 칼라(1260)는 작동부(1282) 및 플런저 로드(1280)와 함께, 이어서 돌출부(1262)가 슬롯(1248)의 원위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280)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는 디바이스(1200)의 축출 단부(1200)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는 데 필요한 거리만큼 스토퍼(1222)를 원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제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전달 디바이스(1300) 및 구성요소 부분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전달 디바이스(1300)는 원위 플랜지 피스(1340) 및 근위 플랜지 피스(1360)를 포함하는 차단 구성요소, 플런저 로드(1380), 및 몸체(1320)를 포함한다. 원위 플랜지 피스(1340) 및 근위 플랜지 피스(1360) 각각은 플랜지들(각각 1346, 1366)을 포함한다. 근위 플랜지 피스(1360)의 플랜지(1366)는 선택적으로 텍스처(1365)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플랜지 피스(1340)는 원위 플랜지 피스(1340) 및 몸체(1320)가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하는 채널(1341)을 포함한다. 근위 플랜지 피스(1360)는 근위 플랜지 피스(1360)와 원위 플랜지 피스(1340)가 서로 이동식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하는 클립(1364)을 포함하여, 그들이 전달 디바이스(13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여전히 회전할 수 있다(에컨대, 도 6d 및 도 6e 참조). 근위 플랜지 피스(1360)는 플런저 로드(1380)가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중심 개구(1368)를 경계짓는 클립(1362)을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1380)는 작동부(1382)를 포함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텍스처(138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380)는 추가로 원위 네크 형상부(1384), 근위 네크 형상부(1387), 및 공동(1385)을 갖는 근위 정지부(1386)를 포함하고, 이들은 모두 복수의 구성으로 원위 플랜지 피스(1340) 및 근위 플랜지 피스(136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어 전달 디바이스(1300)을 이용하여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의 제어된 프라이밍 및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플런저 로드(1380)는 스템(1389)의 원위 단부에 있는 원위 팁(1383)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팁(1383)은 스토퍼(1322)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팁(1383)은 플런저 로드(1080)의 팁(108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토퍼(1322)에 부착, 첨부 또는 그를 밀어내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형상 및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스템(1081)과 마찬가지로, 스템(1389)은 몸체(1320) 내측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단부(1389)는 바람직하지 않은 굽힘, 흔들림 또는 파손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분한 크기(예를 들어, 두께), 안정성 및/또는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몸체(1320)(도 6d 및 도 6e에 도시됨)는 예컨대, 디바이스(1050)의 몸체(1060),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주사기 몸체와 동일한 특성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320)는 미리충전가능하거나 미리충전될 수 있다. 스토퍼(1322)는 몸체(1320)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322)와 축출 단부(1324) 사이에서 몸체(1320) 내측에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130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전달 디바이스(1300)는 디바이스(1050), 디바이스(1200)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전달 디바이스와 크기, 용량, 재료, 준비, 조립 또는 제조 특성들을 공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50, 1200)과 마찬가지로, 전달 디바이스(130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촉각, 청각 또는 시각적 피드백(예컨대, 텍스처들(1365, 1381), 기타 텍스처, 라벨, 색상, 또는 촉각 또는 청각 피드백, 또는 본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다른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돕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50, 1200)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특징부들은 선택 사항이며,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부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조합될 수 있다.
근위 플랜지 피스(1360) 및 원위 플랜지 피스(1340)는 축출 단부(1324) 반대편의 몸체(1320)의 단부를 폐쇄하거나, 부분적으로 폐쇄하거나,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및/또는 플런저 로드(1380)를 몸체(1320) 내측의 제위치에 지지하고 보유하기 위해 전달 디바이스(1300) 내에 차단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하도록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또는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플랜지 피스(1360) 및 원위 플랜지 피스(1340)는 각각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300)를 보유하고/하거나 축출 단부(1324)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돕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360, 1340)는 각각 2개의 플랜지(1366, 13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쌍의 플랜지는 서로 반대편에 있으며 디바이스(1300)의 길이방향 치수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대체적으로, 플랜지 피스들(1360, 1340) 각각의 상에 1개의 플랜지와 같이,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의 다른 배열들이 가능한다. 플랜지 피스들(1340, 1360)의 각각은 예컨대, 디바이스(1300)가 표면에 배치되면 디바이스(1300)를 지지하기 위해, 디바이스(1300)가 평탄한 표면 상에서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디바이스(1300)가 보다 용이하게 픽업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몸체(1320)의 원주보다 더 멀리 디바이스(13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들(1360, 1340)은 조합하여, 근위 플랜지 피스(1360) 및 원위 플랜지 피스(1340)의 상대적 위치에 의존하여 변경 가능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중심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구성에서, 근위 플랜지 피스(1360) 및 원위 플랜지 피스(1340)는 플런저 로드(1380)의 원위 네크 부분(1384)의 원위 통과를 허용하지만, 근위 네크 부분(1387)의 통과를 차단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개구를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도 6e(예를 들어, 여기서 플랜지들(1346, 1366)이 정렬되어 있음)에 도시된 제2 구성에서, 플랜지 피스들(1360, 1340)에 의해 형성된 중심 개구는 근위 네크 부분(1387)의 원위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근위 정지부(1386)는 플랜지 피스들(1360, 1340)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중심 개구를 통과하기에는 너무 큰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플랜지(1340)는 몸체(1320) 및 플런저 로드(1380)와 조립될 수 있어, 원위 플랜지(1340)가 몸체(1320)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지 않으며 플런저 로드(1380)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대조적으로, 근위 플랜지(1360)는 원위 플랜지(1340)(및 몸체(1320)에 조립되어, 그것이 경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원위 플랜지(1340), 몸체(1320), 및 플런저 로드(1380)에 대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이들은 중심 개구(3688)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근위 플랜지(1360)는, 플랜지들(1346, 1366)이 서로 오프셋되는 제1 구성(도 6d 참조)으로부터, 플랜지들(1346, 1366)이 서로 덮어씌우는 제2 구성(도 6e 참조)으로 원위 플랜지(134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당업자는 대안 실시예에서, 원위 플랜지(1340)가 디바이스(1300)의 다른 부분과 관련하여 회전할 수 있는 반면, 근위 플랜지(1360)는 회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아직 추가의 실시예에서, 근위 플랜지(1360) 및 원위 플랜지(1340)는 둘 모두 몸체(1320) 및 플런저 로드(1380)와 조립되어 그들이 둘 모두 디바이스(1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근위 플랜지 피스(1360)의 클립(1362)들은 돌출할 수 있고 개구(1368)를 향해 편의될 수 있다. 예비-사용 구성(도 6d에 도시됨)에서, 클립(1362)들은 플런저 로드(138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그들은 근위 플랜지 피스(1360) 상에 위치되어, 원위 네크 부분(1384)이 개구(1368)를 통과하도록 플런저 로드(1380)의 원위 운동 시에, 그들이 내향으로 확장되어 원위 네크 부분(1384)의 측부들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클립(1362)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되면, 그들은 플런저 로드(1380)의 근위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플런저 로드의 철수를 방지할 수 있다(예컨대, 도 7c 참조). 공동(1385)은 각각의 클립(1362)에 대해 근위 정지부(1386) 상에 위치될 수 있어, 플런저 로드(1380)가 몸체(1320) 내로 원위방향으로 최대한 원하는 정도로 이동될 때, 각각의 클립(1362)이 공동(1385)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디바이스(13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예비-사용 구성에서, 디바이스(1300)는 스토퍼(1322)와 축출 단부(1324) 사이에 약물 물질의 부피를 보유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들(1340, 1360)은 플랜지들(1346, 1366)이 서로 오프셋되는 예비-사용 구성으로 있을 수 있다. 스토퍼(1322)에 맞닿거나 조립될 수 있는 플런저 로드(1380)는 플랜지 피스들(1340, 1360)을 통해 몸체(13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근위 플랜지 피스(1360)는 플런저 로드(1380)와 플랜지 피스(1360)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주사기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380)는, 근위 네크 부분(1385)이 근위 플랜지 피스(1360)의 표면에 맞닿음으로 인해 원위 이동이 차단될 때까지, 몸체(13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근위 플랜지 피스(1360)를 향해 작동부(1382)를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300)는 이러한 단계 동안 역전된 위치에 보유될 수 있어, 스토퍼(1322)가 플런저 로드(1380)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밀려감에 따라 몸체(1320)에 포획된 공기가 축출 단부(1324)를 통해 방출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프라이밍된" 구성에서, 원위 네크 부분(1384)은 근위 플랜지 피스(1360)의 개구(136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밍 단계가 중단되면, 클립(1362)들은 그들의 압축된 구성으로부터 해제되어 그들이 내향으로 확장되고 원위 네크 부분(1384)의 측부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원위 네크 부분(1384)이 개구(1368) 내에 미리 배치된 플런저 로드(1380)의 부분보다 비교적 좁을 수 있기 때문에, 클립(1362)들의 확장은 플런저 로드(1380)의 근위 이동(예를 들어, 철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300)는 프라이밍된 구성에 있을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분배 준비 단계에서, 근위 플랜지 피스(1360)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플랜지(1366)와 플랜지(1346)를 정렬할 수 있으며, 근위 플랜지 피스(1360) 및 원위 플랜지 피스(1340)의 조합된 개구에 의해 형성된 중심 개구의 형상을 변화(예를 들어, 확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근위 플랜지 피스(1360)를 파지하고 비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플랜지 피스를 어느 방향으로든지 비틀어 플랜지(1366)와 플랜지(1346)를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근위 플랜지 피스(136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단 플랜지(1366)와 플랜지(1346)가 정렬되면(예를 들어,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회전이 예컨대, 클립(1362)이 플랜지(1346)에 맞닿음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300)는 분배할-준비 구성으로 로킹될 수 있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380)는 몸체(13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362)들 각각이 근위 정지부(1386) 내의 공동(1385)으로 들어갈 때까지, 및/또는 근위 정지부(1386)가 근위 플랜지 피스(1360)의 근위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사용자는 작동부(1382)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분배 단계는 몸체(1320)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30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300)를 사용하는 각각의 연속 단계 후, 사용자는 하나의 단계를 재실행하는 것,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역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380)의 기하학적 형상 및 근위 플랜지 피스(1360)와 원위 플랜지 피스(1340)의 조합된 개구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1380)를 몸체(1320)(예컨대, 외부로) 근위방향으로 당기는 것, 근위 플랜지 피스(1360)를 우선적으로(예컨대,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의 완료 전에) 회전시키는 것, 및/또는 분배 준비 단계(예를 들어, 도 7e에 도시됨) 동안 플랜지 피스(1360)를 과다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1400) 및 구성요소 부분들을 도시한다. 전달 디바이스(1400)는 플런저 로드(1480), 차단 구성요소(1460), 플랜지 피스(1440) 및 몸체(1420)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1480)는 작동부(1482) 및 돌출부(1484)를 포함한다. 차단 구성요소(1460)는 플런저 로드(148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 회전식 정렬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는 돌출부(1484)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된 3개의 연결된 채널(1462, 1464, 1468)을 포함한다. 플랜지 피스(1440)는 차단 구성요소(1460)의 탭(1461)이 내부로 활주식으로 끼워맞추어질 수 있는 채널(1447)을 갖는 근위 칼라(1447), 몸체(1420)의 플랜지(1421)가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예컨대,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채널(1445)을 포함하는 원위 칼라(1444), 및 플랜지(1446)들을 포함한다.
몸체(1420)(도 8d 및 도 8e에 도시됨)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몸체(1060),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주사기 몸체와 동일한 특성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420)는 미리충전가능하거나 미리충전될 수 있다. 스토퍼(1422)는 몸체(1420)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422)와 축출 단부(1424) 사이에서 몸체 내측에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140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전달 디바이스(1400)는 디바이스(1050), 디바이스(1200), 디바이스(1300)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전달 디바이스와 크기, 용량, 재료, 준비, 조립 또는 제조 특성들을 공유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른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전달 디바이스(140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본원의 어느 곳에서 기재된 임의의 특징부를 사용하여 촉각, 청각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구성요소(1460)는 디바이스(1400) 내에서 플런저(1480)의 근위 및 원위 이동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 피스(1440)는 축출 단부(1424) 반대편의 몸체(1420)의 단부를 폐쇄하거나, 부분적으로 폐쇄하거나,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및/또는 몸체(1420)에 대하여 차단 구성요소(1460) 및 플런저 로드(1480)를 지지하고 보유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칼라(1442) 및 채널(1447)은 차단 구성요소(1460)을 보유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고, 원위 칼라(1444) 및 채널(1445)은 몸체(1420)의 플랜지(1421)를 보유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어, 차단 구성요소(1460)가 몸체(1420)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보유되게 된다. 더욱이, 차단 구성요소(1460)는 몸체(1420) 내측에 플런저 로드(1480)를 지지하고, 그리고 몸체(1420)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48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440)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4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보유하고/하거나 축출 단부(1424)로부터 제형된 약물 물질을 방출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440)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플랜지(144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1개의 플랜지 또는 3개의 플랜지와 같은,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의 다른 배열들이 가능한다. 플랜지 피스(1440)는 예컨대, 디바이스(1400)가 표면에 배치되면 디바이스(1400)를 지지하고, 디바이스(1400)가 평탄한 표면에서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및/또는 디바이스(1400)가 보다 용이하게 픽업되게 허용하도록 몸체(1420)의 원주보다 멀리 디바이스(1400)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단 구성요소(1460) 내의 채널들(1462, 1464, 1468)은 함께 플런저 로드(1480)의 제어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돌출부(1484)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 채널(1462)은 플런저 로드(1480)의 충분한 원위 이동을 허용하여 디바이스(1400)를 프라이밍시킬 수 있다. 제2 채널(1464)은 플런저 로드를 "프라이밍된" 상태와 "전달" 상태 사이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채널(1464)은 (플런저 로드(1480)의 원위 이동과는 반대로) 디바이스(14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런저 로드(1480)의 회전을 요구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어, 플런저 로드(1480)가 우발적으로 또는 의도치 않게 "전달" 상태로 이동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채널(1464)은 "프라이밍된" 상태와 "전달" 상태 사이의 적절한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길이(플런저 로드(1480)의 임의의 적합한 회전 각도에 대응함)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채널(1468)은 플런저 로드(1480)의 충분한 원위 이동을 허용하여 디바이스(1400)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할 수 있다.
각 채널들(1462, 1464, 1468) 중 하나 이상은 도 8f 및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f에서 차단 구성요소(1460)의 단면도는 하나의 측부에 배치된 작은 디텐트(1491)를 갖는 채널(1464)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8g는 채널들(1462, 1464) 각각에서 2개의 더 큰 디텐트(1492, 1493)를 도시한다. 각각의 디텐트는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고/하거나 돌출부(1484)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채널들(1462, 1464, 및/또는 1468)을 통해 돌출부(1484)의 이동에 대한 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텐트들(1491, 1492, 1493)은 돌출부(1484)의 통과를 한 방향으로 허용하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허용하지 않도록 하나의 측부에서 경사질 수 있다. 도 8f 및 도 8g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텐트는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400)에 포함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디바이스(14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예비-사용 구성에서, 디바이스(1400)는 스토퍼(1422)와 축출 단부(1424) 사이에 약물 물질의 부피를 보유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480)는 몸체(14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어, 플런저 로드(1480)의 돌출부(1484)가 채널(1462)의 근위 단부 내에 배치되게 된다. 도 9b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480)는 돌출부(1484)가 채널(1462)의 원위 단부에 맞닿음으로 인해 원위 이동이 차단될 때까지, 몸체(14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단 구성요소(1460)를 통해 작동부(1482)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400)는 이 단계 동안 역전된 위치에 보유될 수 있어, 스토퍼(1420)가 플런저 로드(1480)에 의해 원위방향으로 밀려남에 따라, 몸체(1420) 내에 포획된 공기가 방출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프라이밍된" 구성에서, 플런저 로드(1480)의 돌출부(1484)는 채널(1464)의 제1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분배 준비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480)는 돌출부(1484)가 채널(1464)의 제1 단부에서부터 채널(1464)의 제2단부로 이동되도록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런저 로드(1480)의 작동부(1482)를 파지하고 비틀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1400)는 분배할-준비 구성으로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돌출부(1484)는 채널(1468)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480)는 몸체(14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돌출부(1484)가 채널(1468)의 원위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작동부(1482)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분배 단계는 몸체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40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50)를 사용하는 각각의 연속 단계 후, 사용자는 하나의 단계를 재실행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역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480), 돌출부(1484) 및/또는 채널(1462, 1464, 1468)의 기하학적 형상들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1480)를 몸체(1420)(예컨대, 외부로)의 근위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디바이스(1400)의 예시적인 조립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440)는 몸체(1420)에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어, 플랜지(1421)가 채널(1445) 내에 끼워지고 칼라(1444)가 몸체(1420)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구성요소(1460)sms 플랜지 피스(1440)에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어, 탭(1461)이 채널(1447) 내에서 안착되고 차단 구성요소(1460)가 근위 칼라(1442)에 맞닿게 될 수 있다. 도 10c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어서 플런저 로드(1480)는 조합된 차단 구성요소(1460), 플랜지 피스(1440) 및 몸체(1420)) 내에 삽입될 수 있어, 돌출부(1484)가 몸체(1460)의 채널(146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d 내지 도 10g, 도 11a 내지 도 11e 및 도 12a 내지 도 12d는 디바이스(1400)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한 변형을 도시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0d 내지 도 10g 는 디바이스(1400)의 대안적 조립 방법을 도시하고, 여기서 차단 구성요소(1460)는 플런저 로드(1480)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개구(14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 구성요소(14600 내의 채널들(예컨대, 채널들(1462, 1468)은 근위 및 원위 단부 상에서 폐쇄될 수 있어, 몸체(1420)에 대해 플런저 로드(1480)의 철수 또는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480)는 몸체(14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플랜지 피스(1440)는 몸체(1420)에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어, 플랜지(1421)가 채널(1445) 내에 끼워지고 칼라(1444)가 부분적으로 몸체(1420)를 둘러쌀 수 있다.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구성요소(1460)는 플런저 로드(1480)에 조립될 수 있어, 돌출부(1484)가 차단 구성요소(1460) 내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 내에 배치된다.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차단 구성요소(1460)는 플랜지 피스(1440)에 조립될 수 있어, 그것이 채널(1447) 내에 배치된다. 차단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예컨대, 클립, 접착제, 마찰 끼워맞춤, 도브테일 연결 등을 이용함)으로 플랜지 피스(14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사용 방법에 따라, 차단 구성요소(1460)의 채널을 통해 이동하는 돌출부(1484)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1500) 및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500)는 플런저 로드(1580), 플랜지 피스(1540) 형태의 차단 구성요소, 및 몸체(152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500)를 조립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는 몸체(1520) 내에 삽입되어(예컨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이 몸체(1520) 내의 스토퍼(1522)에 맞닿거나 부착되고, 플랜지 피스(1540)가 예컨대, 몸체(1520)의 플랜지(1521)(예컨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으로 채널(1541)을 활주시킴으로써 (1521)에 활주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개구(1543)는 플랜지 피스(1540)가 플런저 로드(1580) 주위에서 몸체(1520)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1500)의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상 및 구조에 의존하여, 대안적 조립 방법이 가능하다는 것이 고려된다.
전달 디바이스(1500)는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주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전달 디바이스(1500)는 디바이스(1050), 디바이스(1200), 디바이스(1300), 또는 본원에 개시된 다른 전달 디바이스와 크기, 용량, 재료, 준비, 조립 또는 제조 특성들을 공유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른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전달 디바이스(1500)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특징부를 사용하여 촉각, 청각 또는 시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디바이스(1500) 및 디바이스(15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추가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580)는 작동부(1582), 근위 정지부(1588), 근위 네크 부분(1586) 및 원위 네크 부분(158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52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몸체(1060)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주사기 몸체와 동일한 특성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1520)는 미리충전가능하거나 미리충전될 수 있다. 스토퍼(1522)는 몸체(1520)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1522)와 축출 단부(1524) 사이에서 몸체 내측에 제형된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540)는 축출 단부(1524) 반대편에 있는 몸체(1520)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거나,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및/또는 몸체(1520) 내측에 플런저 로드(1580)를 지지 및 보유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1542)는 플런저 로드(1580)를 두 가지 구성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네크 부분(1584) 및 근위 네크 부분(1586)은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서로 회전가능하게 오프셋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일단 원위 네크 부분(1584)이 개구(1542)를 통과하면, 플런저 로드(1580)가 근위 네크 부분(1587)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만 한다. 원위 네크 부분(1584)은 예를 들어, 테이퍼진 원위측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원위 네크 부분(1584)이 개구(154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플런저 로드(1580)를 배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밍 단계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4a는 디바이스(1500)의 예비-사용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디바이스(1500)는 스토퍼(1522)와 축출 단부(1524) 사이에 약물 물질의 부피를 보유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580)는 원위 네크 부분(1584)이 플랜지 피스(1540)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몸체(152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4g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580)는 개구(1520)(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근위 네크 부분(1586)의 맞닿음에 의해 원위 운동이 차단될 때까지 몸체(15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위 네크 부분이 개구(1542)를 통과할 때까지 작동부(1582)를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500)는 이러한 단계 동안 역전된 위치에 보유될 수 있어, 스토퍼(1520)가 플런저 로드(1580)에 의해 원위방향으로 밀려남에 따라, 몸체(1520) 내에 포획된 공기가 방출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4d에 도시된 "프라이밍된" 상태에서, 근위 네크 부분(1586)은 플랜지 피스(1540)의 표면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4d에 도시된 분배 준비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580)는 근위 네크 부분(1586)의 형상이 개구(1542)와 정렬되도록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런저 로드(1580)의 작동부(1582)를 파지하고 비틀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1500)는 분배할-준비 구성에 있을 수 있다.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580)는 몸체(1520) 내로 길이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근위 정지부(1588)가 플랜지 피스(1540)의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작동부(1582)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분배 단계는 몸체(1520)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50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500)의 사용에서 각각 연속 단계 후, 사용자는 하나의 단계를 재실행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역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580), 원위 네크 부분(1584), 근위 네크 부분(1586) 및 개구(1542)의 기하학적 형상들은 사용자가 플런저 로드(1580)를 몸체(1520)의 근위방향으로(예컨대, 외부로) 당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차단 구성요소, 투여량 제어 구성요소 등에 관한 추가 변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23c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다이얼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a는 작동부(1610)를 갖는 플런저 로드(1600)를 도시한다. 작동부(1610)는 플랜지 피스(1640)에 대체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1600)는 디바이스의 플랜지 피스(1640) 및/또는 몸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약물 물질의 원하는 양의 전달에 적합한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610)의 형상은 대체적으로 (1640)의 형상과 정렬된다(예를 들어, 도 15a의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로서, 도 15b는 플랜지 피스(1640) 및/또는 주사기의 나머지에 대하여 플런저 로드(16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융기된 측부를 갖는 작동부(1610')를 도시한다. 도 16a는 다시 플런저 로드(1600)의 회전의 용이성이 허용되도록 리브형 측부를 갖는 작동부(1610)를 도시한다. 도 16b는 작동부(1610")와 디바이스(1500)의 예시적인 조합을 도시한다. 당업자는 본원에 기재된 작동부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이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들과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및 다이얼을 도시한다. 작동부(1612)는 특정 구성에서만 플랜지 피스(1640')의 칼라(1642) 내에 끼워지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될 수 있다. 칼라(1642)의 깊이는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1600)가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1612)는 칼라(1642)에 맞닿을 때까지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어서 그의 형상이 칼라(1642)의 형상에 대응할 때까지 회전될 수 있어 그것이 분배 단계에서 칼라(1642) 내로 밀려들어 갈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정밀 투여량 전달을 허용하는 예시적인 특징부를 조합하는, 추가의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 및 다이얼을 도시한다. 플런저 로드는 예를 들어, 돌출부들(1684, 168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특정 구성에서 플랜지 피스(1680) 내의 개구(1641')를 통해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들(1682, 1684) 각각은 디바이스로부터 원하는 부피의 약물 물질을 전달하고/하거나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는 데 필요한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작동부(1650)는 플랜지 피스(1680)와 관련하여 플런저 로드를 비트는데 있어서 사용자를 도울 수 있는 상승된 부분(16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플랜지 피스(1740) 및 플런저 로드(172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플랜지 피스(1740) 및 플런저 로드(1720)는 단일 방향으로 플랜지 피스(1740)에 대해 플런저 로드(1720)의 제한된 회전을 허용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740)는 내부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플런저 로드(1720)의 불규칙한 단면 형상과 상호작용하여, 그것이 내부 돌출부를 지나 회전할 때 플런저 로드(1720)의 제1 부분을 저지하고, 그것이 내부 돌출부에 맞닿을 때 플런저 로드(1720)의 제2부분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0은 클립(1762)들을 갖는 웰(well)(1760)을 갖는 예시적인 플랜지 피스(1750)를 도시한다. 플런저 로드 작동부(1780)는 클립(1762)이 작동부(1780)를 덮어씌울 때까지 웰(1760) 내로 원위방향으로 밀어내어, 작동부(1780)를 제위치에 보유하고,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의 철수를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는 원위 돌출부(1781) 및 근위 돌출부(1783)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플런저 로드가 특정 위치로 회전될 때 개구(1764)를 통해 끼워지도록 크기설정된다. 원위 돌출부(1781)는 테이퍼진 원위 측부를 포함하며, 이는 원위 돌출부(1782)가 개구(1764)를 통과하도록 플런저 로드를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데 필요한 위치로 플런저 로드를 배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밍 단계의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웰(1760) 및/또는 작동부(1780)의 높이는 플런저 로드가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작동부(1780)가 웰(1760)의 근위측에 맞닿을 때 프라이밍될 수 있고, 작용부(1780)가 웰(1760)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1은 플런저 로드(1820) 및 상보형 플랜지 피스(1840)를 갖는 예시적인 디바이스(1800)을 도시한다. 플런저 로드(1820)는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840)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1842)의 형상에 대응하는 경사진 또는 웨지 형상을 갖는 돌출부들(1844, 1846)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1844, 1846) 및 개구(1842)들의 웨지 또는 경사진 형상들은 돌출부(1844 또는 1846)가 개구(1842)의 측부에 맞닿을 때 플런저 로드(1820)의 원위 이동을 저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지만, 충분한 힘이 주어지면 서로를 넘어 이동할 수 있다. 개구(1842)의 측부에 돌출부(1844, 1846)의 맞닿음에 의해 제공되는 저지는 디바이스(1800)의 사용 시에 특정 단계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플런저 로드(1830)가 저지를 지나 이동하고 계속 다음 단계(예컨대, 완료된 프라이밍 단계로부터 전달-준비 단계로)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디바이스는 기호의 형태로 라벨, 청각 피드백 및/또는 전술 피드백과 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2에서 로크 및 언로크 기호(1850, 1852), 작동부(1854)상의 V형 무늬(1856)로서 도시됨). 플런저 로드의 회전은 또한 "클릭" 소리를 동반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전달 디바이스에서 구성요소들의 추가의 예시적인 조합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 작동부(1650)는 작동부를 비트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예를 들어, 리브형 측면 및 상승된 부분(16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개구들(1842) 및 대응하는 경사진 돌출부들(1844, 1846)(도 21과 관련하여 설명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e는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1900) 및 디바이스(19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디바이스(1900)는 플런저 로드(1920)에 도시된 작동부(1940) 및 차단 구성요소(198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240)는 몸체(1910) 내의 스토퍼(1912)에 맞닿을 수 있다. 차단 구성요소(1980)는 플런저 로드(19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24b에 도시된 예비-사용 구성에서, 차단 구성요소(1980)는 플런저 로드(1920) 및 플랜지 피스(1960)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24c에 도시된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920)는 플랜지 피스(1960) 내의 리세스(1962)에 차단 구성요소의 맞닿음에 의해 원위 이동이 차단될 때까지, 몸체(1910) 내로 길이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동부(1940)를 플랜지 피스(1960)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24d에 도시된 분배 준비 단계에서, 차단 구성요소(1980)는 차단 구성요소(1980)의 더 짧은 치수가 플랜지 피스(1960)를 대면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리세스(1962)는 차단 구성요소(1980)의 회전의 용이성을 허용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차단 구성요소(1980)가 회전된 후 차단 구성요소(1980)와 플랜지 피스(1960) 사이의 거리는 플런저 로드(1920)가 디바이스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1920)는 회전된 차단 구성요소(1980)가 제 2 위치에서 플랜지 피스(1960)에 맞닿을 때까지 몸체(1910) 내로 길이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돌출부 차단 구성요소가 플랜지 피스(1960)에 맞닿을 때까지 작동부(1940)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분배 단계는 몸체(1910)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디바이스(1900)로부터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e는 추가의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000) 및 전달 디바이스(20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디바이스(2000)의 플런저 로드(2080)는 플랜지 피스(2062) 내의 내부 스레드(도시되지 않음)에 대응하는 스레드(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080)는 디바이스(2000)의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080)는 또한 스레드(2100)(예컨대, 도 25b 참조)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위치된 돌출부(20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랜지 피스(2062) 내의 개구(2062)에 대응할 수 있어, 플런저 로드(2080)는 돌출부(2032)가 플랜지 피스(2060) 내로 및/또는 그를 통해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특정 구성 및 위치에 있어야 한다. 도 25c에 도시된 예비-사용 구성에서, 스레드(2100) 및 돌출부(2082)는 플랜지 피스(2060)에 근위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080)는 스레드(2100)가 플랜지 피스 (2060)를 통과하고/하거나 돌출부(2082)가 플런저 로드(2080)의 추가 회전 또는 원위 이동을 방지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2060)의 내부 스레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분배 준비 단계에서, 돌출부(2082)는 개구(206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분배 단계에서, 돌출부(2082)는 개구(2062)를 통해 이동하여 플런저 로드(2080)를 추가로 전진시키고, 디바이스(2000) 내측의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e는 투여량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추가의 변형을 갖는 전달 디바이스(22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200)는 하나 이상의 클립(2284)들을 갖는 플런저 로드(2280)를 포함하며, 클립들 각각은 플랜지 피스(2240)의 채널(2242) 내로 원위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 원위방향으로 활주하면, 채널(2242) 외부로 근위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을 저지하도록(예컨대, 플런저 로드(2280)의 철수를 방지하거나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240)는 제2 채널(2244) 및 제3채널(2246)을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클립(2284)들 각각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준비 및 투여량 전달 단계들로 활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242')은 돌출부(2284')가 그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개방 근위 단부를 가질 수 있어,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플런저 로드(2280)의 근위 및/또는 원위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사용 구성에서, 클립(2284)은 플랜지 피스(2240)의 채널(2242)에 근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클립(2284)이 채널(2242) 내로 이동하고 채널(2242)의 원위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디바이스(2200)의 몸체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분배 준비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디바이스(2200)의 몸체 내로 추가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되어 디바이스(2200)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6f 및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2240")는 칼라(2242") 내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22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칼라(2242")는 칼라(2242")의 내부 표면에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기부(224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246")들은 서로 약 180도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240")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 외에 추가하고/하거나 더 작은 돌기부(2246")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플랜지 피스(2240")는 플런저 로드(2280")가 돌기부(2246")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플런저 로드(208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280")는 근위 단부(2282")와 원위 단부(2283")에 의해 한정된 작동부재(228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280")는 작동부재(2284")의 반대편 측부들을 따라 일련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채널(2286"), 제2 채널(2288"), 및 근위 단부(2282")와 원위 단부(2283") 사이에 위치된 제3 채널(2290")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2286")은 제3 채널(2290")에서 오프셋되어 그들 사이에 위치된 제2 채널(2288")에 의해 제3 채널(2290")에 연결된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채널(2286")은 플런저 로드(2280")의 길이방향 및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를 한정할 수 있으며, 제2 채널(2288")은 플런저 로드(2280")의 원주방향 경로를 한정할 수 있으며, 제3채널(2290")은 길이방향 및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작동부재(2284")(도시되지 않음)의 반대편 표면 및/또는 측부는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일련의 상호연결된 제1 채널(2286"), 제2 채널(2288"), 및 제3 채널(2290")을 포함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본 예에서, 제1 채널(2286")과 제3 채널(2290")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제1 채널(2286"), 제2 채널(2288"), 및 제3 채널(2290")은 한 쌍의 돌기부(2246")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280'')가 플랜지 피스(2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부(2246'')는 상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채널(2286"), 제2 채널(2288"), 및 제3 채널(2290")을 통해 튀어나오고 활주하여, 디바이스(2200)(도 26a)로부터 투여량을 프라이밍 하고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채널(2286")은 근위 단부(2282")에서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돌기부(2246")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채널(2286")은 폐쇄된 근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돌기부(224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휘어지고/지거나 변형가능하여, 제1 채널(2286")의 근위 단부에 수용될 때 반경방향 외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채널(2286")은 경사진, 모따기된 및/또는 테이퍼진 단부를 가질 수 있어 제2 채널(2228")을 향해 돌기부(2246")를 안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진 단부는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플런저 로드(2280'')의 후퇴(예를 들어, 근위 이동)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채널(2286'')의 길이방향 길이는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플런저 로드(2280")의 근위 및/또는 원위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예컨대, 프라이밍의 양 또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246'')는 디바이스(2200)가 조립 상태에 있을 때 제1 채널(2286")의 근위 단부에 그리고 제2 채널(2288")의 근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돌기부(2246'')가 제2 채널(2288") 내에 그리고 제1 채널(228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될 때까지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채널(2288'')은 플런저 로드(2280")의 원주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분배 준비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플랜지 피스(2240)''에 대해 회전하여 제2 채널(2288")의 원주 경로를 통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3 채널(2290")에 의해 한정된 투여량 완료 경로를 향해 돌기부(2246")를 병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2280") 및/또는 플랜지 피스(2240")는 디바이스(1050)가 분배 준비 단계에 있을 때 사용자 피드백(예를 들어, 촉각, 청각, 시각 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 단계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디바이스(2200)의 몸체 내로 원위방향으로 이동하여 돌기부(2246")를 제3 채널(2290")을 통해 병진시킴으로써 제어된 부피의 물질을 분배할 수 있다. 제3 채널(2290')의 길이방향 길이는 투여량 전달 경로(예를 들어, 투여량)를 한정할 수 있다.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제1 채널(2286")의 길이)는 투여량 전달 경로(제3 채널(2290")의 길이)에 대해 변화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2280")는 작동부재(2284")를 따라(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2240") 상의 돌기부(2246")의 양에 대응하여) 추가하고/하거나 더 적은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본원에 도시되고 기재된 것 외에 다양한 다른 상대 채널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h는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300) 및 전달 디바이스(23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작동부(2350)는 또한 디바이스(2300)의 차단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작동부(2350)는 채널(2352)을 통해 두 가지 구성으로 플런저 로드(2380)에 활주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350)의 하나의 측부는 채널(2354)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2354)의 깊이는 디바이스(2300)가 프라이밍되었으면 플런저 로드가 이동하여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할 수 있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7c 및 도 27d에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사용 구성에서, 작동부(2350)는 작동부(2350)의 평탄한 측부가 디바이스(2300)의 칼라(2300)와 대면하도록 플런저 로드(2380)에 조립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에서, 작동부(2350)는 작동부(2350)의 평탄한 측부(2350)가 칼라(2360)의 근위측에 맞닿을 때까지 플런저 로드(2380)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 전달 단계를 준비하기 위해, 작동부(2350)는 플런저 로드(2380)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27f 및 2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354)이 칼라(2360)와 대면하도록 회전되거나 뒤집히고 플런저 로드(2380)와 재조립될 수 있다. 투여량 전달 단계에서, 작동부(2350)는 칼라(2360)의 근위 단부가 채널(2354)의 내부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플런저 로드(2380)를 원위방향으로 추가로 밀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380)의 이러한 이동은 디바이스(2300)로부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투여량을 분배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c는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400) 및 전달 디바이스(24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전달 디바이스(2400)는 유사한 도면 번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도록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플랜지 피스(1070)의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몸체(1060)에 결합된 제거식 클립(2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식 클립(2402)은 몸체(1060)에 대해 플랜지 피스(1070)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거식 클립(2402)은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하여, 제거식 클립(2402)의 수동 작동에 응답하여 제거식 클립(2402)이 몸체(106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로서, 제거식 클립(2402)은 몸체(1060)의 외부 주위에 감기며 그리고 몸체(1060)로부터 제거식 클립(2402)을 결합해제하기 위해 그에 힘의 인가 시에 선택적으로 변형(예를 들어, 파손, 균열 등)되도록 구성된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거식 클립(2402)은 이에 인가되는 반경방향 외향의 힘에 응답하여 구부러지고, 이에 인해 몸체(1060)로부터 제거식 클립(2402)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제거식 클립(2402)은 내부에 몸체(1060)의 원주를 캡슐화하는 폐쇄된 구성과 제거식 클립(2402)의 몸체로부터 몸체(1060)의 제거를 허용하는 개방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제거식 클립(2402)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 외에 다양한 다른 적합한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2400)는 몸체(1060)의 외부로부터 측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몸체(1060)를 따라 방해물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벽(10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벽(1063)은 몸체(1060)를 따라 제거식 클립(2402)의 원위 병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벽(1063)은 몸체(1060)에 부착된 추가-구성요소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경방향 벽(1063)이 몸체(106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8b를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는 몸체(1060)로부터 제거식 클립(2402)의 제거 시에 몸체(1060)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병진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 피스(1070)와 플런저 로드(1080)의 조합된 조립체가 몸체(1060)에 대해 이동할 때, 플런저 로드(1080)는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1070)가 몸체(1060)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병진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할 때, 플런저 로드(1080)는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할 때, 플랜지 피스(1070)의 적어도 일부가 몸체(1060) 내로(예컨대, 및 스토퍼(1062) 뒤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080)는 별도로 병진되어 전달 디바이스(2400)로부터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가 근위 위치(도 28a)에서 원위 위치(도 28b)로 병진된 상태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몸체(1060)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반경방향 벽(1063)의 위치에 기초하여 한정된 거리로 플랜지 피스(1070)에 의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는 몸체(1060)를 따라 플랜지 피스(1070)의 이동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템(1081)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이동하며, 이에 인해 스토퍼(1062)가 몸체 내에서 이동하여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칼라(1072)와 작동부(1082) 사이에 형성된 갭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8d 내지 도 2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예를 들어, 플랜지 피스(1070)에 결합된 제거식 로드(2404)와 같은 로킹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8d를 참조하면, 제거식 로드(2404)는 칼라(1072)의 근위 단부를 통해, 예를 들어, 칼라(1072)를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측방향 어퍼처(aperture)(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제거식 로드(2404)는, 예를 들어, 칼라(1072) 내로의 작동부(1082)의 수용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거식 로드(2404)는 제거식 막대(2404)의 수동 작동 시 칼라(1072)를 분리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2400)는 예를 들어, 핀, 탭, 막대 등과 같은 제거식 로드(2404)에 추가하여 및/또는 그 대신에 다양한 다른 로킹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제 도 28e를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1070) 및 플런저 로드(1080)(예를 들어, 스템(1081) 및 작동부(1082))는 몸체(1060)로부터 제거식 클립(2402)의 제거에 응답하여 몸체(1060)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병진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플랜지 피스(1070)와 플런저 로드(1080)의 조립체가 몸체(1060)에 대해 이동할 때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가 근위 위치(도 28d)에서 원위 위치(도 28e)로 병진된 상태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몸체(1060)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몸체(1060)를 따른 반경방향 벽(1063)의 위치에 기초하여 한정된 거리로 플랜지 피스(1070)에 의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2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식 로드(2404)는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억제하지 않도록 칼라(107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작동부(1082)는 칼라(1072) 내로 병진되어 몸체(1060) 내에서 스템(1081) 및 스토퍼(1062)를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8g 내지 도 2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식 클립(2402)은 전달 디바이스(2400)가 단일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 즉, 로드(2404)를 포함할 수 있도록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 피스(1070)는 몸체(106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작동부(1082)가 로드(2404)의 근위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로드(2402)에 접할 때까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라이밍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 및/또는 로드(2404)가 이에 대한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의 인가가 없는 상태에서 이에 대한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병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플런저 로드(1080)의 원위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작동부(1082)와 로드(2404)(예컨대, 제거식 클립(2404)) 사이에 위치되는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는 전달 디바이스(2400)가 조립된 예비-프라이밍된 상태(도 28g)에 있을 때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와 로드(2404) 사이의 거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작동부(1082)가 로드(2402)와 맞물린 상태에서, 도 2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로드(2402)는 칼라(1072)로부터 제거되어, 이에 의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병진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량은 칼라(1072)가 작동부(1082)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와 칼라(1072)의 내부 표면의 길이방향 오프셋이 투여량 전달 거리에 결정적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되는 정도(예를 들어, 투여량 전달 거리)는 전달 디바이스(2400)에 의해 전달되는 투여량의 부피를 한정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도 28j 내지 도 2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제거식 클립(2402)의 비교적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몸체(1060)에 부착된 고정 클립(240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클립(2406)은 제거식 클립(2402)과 접촉 상태로 위치된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일 수 있어서, 고정 클립(2406)이 몸체(1060)를 따라 제거식 클립(2402)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가 제거식 클립(2402)의 근위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 클립(2406)은 제거식 클립(2402)이 그들 사이에 배치될 때 플랜지 피스(1070)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8k를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1070)는 몸체(1060)로부터 제거식 클립(2402)을 제거하였을 때 몸체(1060)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병진되어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런저 로드(1080)는 플런저 로드(1080)와 플랜지 피스(1070)의 조립체가 고정 클립(2406)을 향해 이동할 때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가 근위 위치(도 28j)로부터 고정 클립(2406)에 맞물린 원위 위치(도 28k)로 병진된 상태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몸체(1060)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한정된 거리로 플랜지 피스(1070)에 의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2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작동부(1082)에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스템(1081)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이동하여, 스토퍼(1062)가 몸체(1062) 내에서 이동하여 투여량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몸체(1060)를 따르는 고정 클립(2406)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도 28m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107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2408)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408)는 플랜지 피스(1070)의 원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거나 플랜지 피스(1070)와 일체로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일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슬리브(2408)는 몸체(106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위 단부(241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408)는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결합될 때 스템(1081)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되는 루멘을 한정할 수 있다.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슬리브(2408)는 플랜지 피스(1070)가 몸체(1060)의 외부를 따라 병진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의 루멘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2408)는 예를 들어, 제2 돌출부(2412)가 슬리브(2408)에 의해 한정된 루멘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슬리브(2408)의 내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돌출부(2412)와 같은 로킹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2412)는 원위 단부(2410)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2408)는 제2 돌출부(2412) 대신에, 예를 들어, 돌출부(1085)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형상화된, 및 구성된 개구와 같은 다른 다양한 적합한 로킹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8m을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 및 슬리브(2408)를 통해 수용될 때, 돌출부(1085)는 스템(108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2412)에 대하여 근위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1080)는 돌출부(1085)가 제2 돌출부(2412)에 접촉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1070) 및 슬리브(2408)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슬리브(2408)에 대해 병진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프라이밍 거리는 돌출부(1085)와 제2 돌출부(2412)의 서로에 대한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돌출부(1085)가 제2 돌출부(2412)와 맞물리고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가 칼라(1072)의 내부 표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28n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는 슬리브(2408)에 결합될 수 있고,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작동부(1082)는 칼라(1072)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고 스템(1081)은 슬리브(2408)에 로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병진은 몸체(1060)에 대해 플랜지 피스(1070) 및 슬리브(2408)의 병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o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작동부(1082)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스템(1081)은 몸체(1060)에 대하여 이동하여, 스토퍼(1062)가 몸체(1060) 내에서 이동하여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가 고정 클립(2406)에 접할 때까지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원위 단부(2410)는 축출 단부(1064)를 향하여 병진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 및 플랜지 피스(1070)가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몸체(1060)를 따라 고정 클립(2406)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8p 및 도 28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당김 탭(2420)의 형태의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탭(2420)은 중심 개구(2424)를 한정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24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42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을 포함한 다양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당김 탭(2420)은 몸체(2422)로의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파손되고/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당김 탭(2420)은 몸체(242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당김 탭(2420)의 수동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파지가능 특징부(24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8p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가능 특징부(2426)는 몸체(2422)와 일체로 형성되어, 도 28q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외향하는 힘(예를 들어, 당기는 힘)을 파지가능 특징부(2426)에 인가하는 것이 몸체(2422)를 변형(예를 들어, 균열, 파괴 등)시킬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28r을 참조하면, 당김 탭(2420)은 칼라(1072)의 근위 단부를 따라 플랜지 피스(1070)에 고정될 수 있다. 당김 탭(2420)은 칼라(1072) 위에 배치될 수 있어, 그들 사이에 위치된 당김 탭(2420)에 의해 플랜지 피스(1070)가 작동부(108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몸체(2422)가 칼라(1072)에 부착될 때 스템(1081)은 중심 개구(2424)를 통해 칼라(1072)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당김 탭(2420)은 칼라(1072) 내로의 작용부(1082)의 병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2422)의 두께 및/또는 폭은 작동부(1082)가 당김 탭(2420)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중심 개구(2424)의 직경이 작용부(1082)의 직경보다 작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도 28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몸체(2422)에 접할 때까지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라이밍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프라이밍 거리는 몸체(2422)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부(1082)와 칼라(1072)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작동부(1082)가 몸체(2422)에 맞물린 상태에서, 파지가능 특징부(2426)는 칼라(1072)로부터 당김 탭(2420)을 제거(예컨대, 파괴, 균열, 당김 등)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422)는 변형되고(도 28q 참조) 플랜지 피스(1070)로부터 분리되어, 이에 의해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플런저 로드(1080)의 추가 병진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8t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082)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이 작동부(1082)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칼라(107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템(1081)이 몸체(1060)에 대해 이동하여, 스토퍼(1062)를 몸체(1060) 내에서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플런저 로드(1080)가 칼라(107)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당김 탭(2420)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부(1082)와 칼라(1072)의 원위(예를 들어, 하단) 단부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도 28u 내지 도 28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플런저 로드(1080)에 결합된 제거식 캡(2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식 캡(2430)은 그 안에 플런저 로드(1080)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작동부(1082))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되는 공동(2434)을 한정하는 몸체(2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식 캡(2430)은 스템(1081)를 수용하기 위한 몸체(2342)의 하단(예를 들어, 원위) 벽을 따라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거식 캡(2430)은 작동부(1082)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2342)가 스템(108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거식 캡(2340)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라(1072) 내로의 작동부(1082)의 병진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부(1082)의 단면 프로파일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28v를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는 몸체(2432)의 하단 벽이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2342)의 적어도 일부분이 작동부(1082)와 칼라(1072)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제거식 캡(2430)은 작동부(1082)가 칼라(1072) 내에 수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근위 위치(도 28u)에서부터 칼라(1072)에 대해 맞물린 몸체(2432)를 갖는 원위 위치(도 28v)로 병진된 상태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프라이밍 거리는 제거식 캡(2430)의 크기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에 대한 제거식 캡(2430)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체내(2432)의 하단 벽은 작동부(1082)의 비교적 원위에 위치된 스템(1081)의 근위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432)가 칼라(1072)에 대해 더 가까운 근위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1080)는 칼라(1072)에 접하기 위해 제거식 캡(2430)에 대해 더 작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도 28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식 캡(2430)은 플런저 로드(1080)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작동부(1082)가 몸체(2432)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이 작동부(1082)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되고 칼라(107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템(1081)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이동하여, 스토퍼(1062)를 몸체(1060) 내에서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여량 전달거리는 작동부(1082) 및/또는 스템(1081)에 대한 제거식 캡(2430)의 부착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칼라(1072)의 깊이는 투여량 전달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어, 칼라(1072)의 크기가 이에 따라 조정되어 다양한 적절한 투여량 전달 거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거식 캡(2430)의 원위 벽이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제거식 캡(2430)을 부착하는 것은 제거식 캡(2430)과 칼라(1072) 사이에 더 긴 간격(separation)을 제공함으로써 전달 디바이스(2400)의 상대적 프라이밍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거식 캡(2430)의 부착 위치는 제거식 캡(2420)을 제거한 후 칼라(1072) 내로 작동부(1082)를 병진시킬 때 더 작은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거식 캡(2430)의 원위 벽이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제거식 캡(2430)을 부착하는 것은 상대 프라이밍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작동부(1082)가 칼라(1072) 내에 완전히 수용될 추가의 길이방향 병진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투여량 전달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거식 캡(2430)의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기에 설명된 다양한 부착 위치를 수용하도록 변화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8w 내지 도 28z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400)는 예를 들어, 작동부(1082), 스템(1081),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의 다양한 다른 부분들을 따라, 플런저 로드(1080)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탭(2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달 디바이스(2400)는 작동부(1082)의 원위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탭(2440)을 포함한다. 탭(2440)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1080)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라(1072) 내로의 작동부(1082)의 병진을 억제하기 위해 작동부(1082)의 단면 프로파일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방해 및/또는 차단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2440)은 이에 대한 힘의 인가시 작동부(1082)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탭(2440)은 압축가능하고, 이에 대한 힘의 인가에 응답하여 작동부(1082) 내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느 한 경우, 탭(2440)은 확장된 프로파일(도 28w 내지 도 28y)에서 압축된 프로파일(도 28z)로 작동부(1082)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8y를 참조하면, 플런저 로드(1080)는 탭(2440)이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하여 전달 디바이스(2400)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탭(2440)은 그 안에 작동부(1082)를 수용하는 칼라(1072)를 억제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근접 위치(도 28w)로부터 칼라(1072)에 대해 탭(2440)이 맞물린 상태의 원위 위치(도 28y)로 병진되면, 전달 디바이스(2400)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프라이밍 거리는 탭(2440)의 크기(예컨대, 두께, 너비, 높이 등) 및/또는 플런저 로드(1080)에 대한 탭(2440)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탭(2440)은 작동부(1082)의 중간 및/또는 근위 부분에, 또는 대안적으로 스템(1081)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가 본원에 도시되고 기재된 것에 대하여, 각각 증가하고/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28z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440)은 이에 대해 내향의 미는 힘을 인가하는(또는 대안적으로 외향의 당기는 힘, 회전 스냅력 등을 인가함으로써 작동부(1082)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칼라(1082)에 의해 작동부(1082) 내로 압축될 수 있어, 작동부(1082)가 더 작은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080)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작동부(1082)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되며 칼라(107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템(1081)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이동하여, 스토퍼(1062)를 몸체(1060) 내에서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플런저 로드(1080)가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400)의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여량 전달 거리는 작동부(1082)에 대한 탭(2440)의 위치, 칼라(1072)의 크기(예를 들어, 길이방향 깊이) 등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디바이스(2400)의 프라이밍 거리를 증가시키는 탭(2440)의 상대적 위치는 더 작은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고, 감소된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하는 탭(2440)의 위치는 더 큰 투여량 전달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플런저 로드(1080)는 탭(2440)에 대한 탭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는 작동부(1082)를 따라 탭들의 제2 세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500)와 전달 디바이스(25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전달 디바이스(2500)는 유사한 도면 번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도록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500)는 제1 작동부(2502), 제2 작동부(2504) 및 캠 레버(2510)를 포함하는 플런저 로드(25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부(2502)는 하나 이상의 아암(2506)에 의해 제2 작동부(250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한 쌍의 아암(2506)은 아암(2506)의 제1 단부를 따라 제1 작동부(2502)에 고정될 수 있고, 아암(2506)은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아암(2506)의 제2 단부에서 제2 작동부(2504)에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작동부(2504)는 근위 단부(2505), 및 조인트(2508)를 갖는 반대편 원위 단부(2505)를 포함하는 회전식 요소일 수 있다. 한 쌍의 아암(2506)은 조인트(2508)에서 제2 작동부(2504)의 원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제2 작동부(2504)는 조인트(2508)가 근위 단부(2505)에 대해 제1 작동부(2502)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배향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스템(1081)의 근위 단부(1081)는 제2 작동부(2504)의 원위 단부에서 조인트(2508)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단부(1088)는 제2 작동부(2504)의 원위 단부와 접촉하고/하거나 맞닿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템(1081)은 제1 작동부(2502)의 중심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제1 작동부(2502)와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제2 작동부(2504)는 제1 작동부(2502)에 대하여 그리고 조인트(2508)를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캠 레버(2510)는 조인트(2508)에서 제2 작동부(2504)에 결합되고 제1 작동부(2502)에 대해 제2 작동부(2504)를 이동(예컨대, 회전, 피벗, 병진 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작동부(2504)는 캠 레버(2510)가 제1 작동부(2502)에 대해 제2 작동부(250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스템(108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9a를 참조하면, 캠 레버(2510)는 조인트(2508)를 중심으로 캠 레버(2510)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작동부(2504)를 조인트(2508)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근위 단부(2505)는 제2 작동부(2504)가 조인트(2508)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작동부(250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위 단부(2505)는 제1 작동부(250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근위 단부(2505)가 근위 위치(도 29a)에서부터 원위 위치(도 29b)로 이동하면, 근위 단부(1088)는 원위방향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몸체(1060)에 대해 스템(1081)을 병진시켜 전달 디바이스(2500)를 프라이밍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1 작동부(2502)에 대한 캠 레버(2510) 및/또는 제2 작동부(2504)의 회전은 스템(1081)에 원위방향으로 힘을 인가함으로써 전달 디바이스(2500)를 프라이밍할 수 있다.
제1 작동부(250)를 향한 근위 단부(2505)의 이동 길이가 전달 디바이스(25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전달 디바이스(2500)의 프라이밍 거리는 근위 단부(2505)와 조인트(2508) 사이의 제2 작동부(2504)의 길이방향 길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부(2502), 아암(2506) 및/또는 캠 레버(2510)는 플런저 로드(2580)가 준비 위치(도 29a)로부터 프라이밍된 위치(도 29b)로 이동된 후 제2 작동부(2504)의 추가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580)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제1 작동부(2502) 및 제2 작동부(2504)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몸체(106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캠 레버(2510)는 칼라(1072)의 근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원위방향으로 눌리며(예컨대, 밀리고/밀리거나 당기며) 제1 작동부(2502) 및 제2 작동부(2504)를 플랜지 피스(107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템(1081)은 칼라(1072)에 대해 이동하여, 이에 의해 스토퍼(1062)를 몸체(1060) 내에서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해 플런저 로드(2580)의 병진의 정도가 전달 디바이스(2500)의 투여량 전달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칼라(1072)와 캠 레버(2510) 사이에 형성된 갭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도록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600)를 도시한다. 전달 디바이스(2600)는 플랜지 피스(2670), 플런저 로드(2680), 및 몸체(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670)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 가변하는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테이퍼진 칼라(267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테이퍼진 칼라(2672)는 슬롯(1074)에 인접한 근위 단부에서보다 플랜지(1076)에 인접한 원위 단부를 따라 더 큰 단면 프로파일(예를 들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테이퍼진 칼라(2672)는 플랜지 피스(2670)의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달 디바이스(2600)의 전체 프로파일 및/또는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1076)는 플랜지 피스(2670)의 향상된 제어 및 기동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감소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2680)는 그를 통한 작동부(2682)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진 칼라(267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 프로파일(예를 들어, 직경)을 갖는 작동부(26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부(2682)는 작동부(2682)의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달 디바이스(2600)의 전체 프로파일 및/또는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플런저 로드(2680)는 플런저 로드(2680)의 외관을 단순화하기 위해 작동부(2682)를 따라 텍스처 및/또는 리브형 표면을 포함시키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0을 참조하면, 작동부(2682)는 외부 링(2687), 내부 표면(2688), 및 내부 표면(2688)을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2689)를 갖는 근위 단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내부 표면(2688)은 외부 링(2687)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구(2689)를 향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진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표면(2688)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작동부(2682)에 인가하는) 플런저 로드(2680)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680)가 한 쌍의 개구(2689)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의 및/또는 더 작은 개구(2689)가 내부 표면(2688)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680)는 내부 표면(2688) 둘레에 배치된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폭을 갖는 외부 링(268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링(2687')의 외부 표면은 내부 표면(2688) 및 개구(2689)를 향해 내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있거나 내부 표면(2688)에 대해 횡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외부 링(2687')은 작동부(2682)의 길이방향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의 외부 표면을 한정한다. 외부 링(2687')의 확장된 폭은 플런저 로드(2680)를 작동시킬 때 접촉하기 위해 디바이스(1050)의 사용자에게 추가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링(2687')의 폭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보다 크고/크거나 작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32 및 도 33은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도록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플런저 로드(108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런저 로드(2780)를 도시한다. 플런저 로드(2780)는 외부 링(2787), 내부 링(2788), 및 하나 이상의 개구(2789)에 의해 한정된 근위 단부를 갖는 작동부(278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내부 링(2788)은 외부 링(2787)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2789)를 한정할 수 있다. 외부 링(2787)은 내부 링(2788)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2789)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구(2789)는 플런저 로드(2780)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고, 작동부(2782)에 대한 명목의 벽 두께를 제공함으로써 플런저 로드(2780)의 성형 제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작동부(2782)는 원위 단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돌출부(1086)와 정렬된 측방향 레지(2786)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레지(2786)는 외부 링(2787) 및 내부 링(2788)에 의해 한정된 하나 이상의 개구(2789)들을 분기시킬 수 있다. 측방향 레지(2786)는 플런저 로드(2780)의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렬 및/또는 돌출부(1086)의 식별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부(1086)와 동일 선상에 있을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780)가 플랜지 피스(1070) 및 몸체(12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측방향 레지(2786)는 디바이스(1200)에 근접한 관점에서 플랜지 피스(1070)에 대한 플런저 로드(2780)에 의한 이동의 식별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 레지(2786)는 디바이스(1200)를 사용하는 동안 작동부(2782)에 근접한 관점에서 슬롯(1074)에 대한 돌출부(1086)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2780)는 플런저 로드(2780)의 외관을 단순화하기 위해 작동부(2782)를 따라 텍스처 및/또는 리브형 표면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4는 본 개시의 예에 따라 다른 예시적인 전달 디바이스(2800)를 도시한다. 전달 디바이스(2800)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도록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전달 디바이스(1050) 및 전달 디바이스(12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2800)는 플랜지 피스(2870), 플런저 로드(2880), 및 몸체(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870)는 칼라(2872) 및 칼라(2872)로부터 측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876)를 가질 수 있다. 칼라(2872)는 예를 들어, 칼라(1072)에 비해 좁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플랜지(2876)는 플랜지(1076)에 비해 단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의 플랜지 피스(2870)는 대체적으로 좁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 피스(2870)는 몸체 플랜지(1226) 아래를 활주하거나 달리 수용할 수 있는 립(287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35). 립(2871)은 플랜지 피스(2870)를 몸체(1220)에 활주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플랜지 피스(2870)를 제위치에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립(2871)은 몸체 플랜지(1226)와 스냅-끼워맞춤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880)는 근위 단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부(1086)를 가지며 원위 단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연장부(1087)를 갖는 작동부(288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2882)는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작동부(1082)보다 대체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 로드(2880)와 플랜지 피스(2870)가 공동으로 플런저 로드(1080)와 플랜지 피스(1070)의 조립체에 비해 좁은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감소된 프로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전달 디바이스(2800)는 전달 디바이스(2800)의 사용 동안 플런저 로드(2880)와 플랜지 피스(2870)의 사용자 향상된 제어 및 기동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돌출부(1086)는 전달 디바이스(2800)의 사용자를 위해 플런저 로드(2880)의 그립, 편안함 및/또는 인체공학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086)의 곡률은 돌출부의 원위부를 따라 내향으로 테이퍼지는 오목한 외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작동부(2882)의 근위 단부는 제1 링(2887), 개구(2888), 및 제1 링(2887)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위치된 제2 링(288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2887)은 작동부(2882)의 근위 인터페이스를 한정할 수 있고, 개구(2888)는 제1 링(2887)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링(2887)에 의해 한정된 근위 인터페이스는 작동부(2882)의 근위 단부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개구(2888)를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링(2887)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핑거 패드를 한정함으로써 플런저 로드(288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설정, 형상화 및 구성될 수 있다. 개구(2888)는 전달 디바이스(2800)의 제조 과정 동안에 플런저 로드(288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동부(2882)의 명목 벽 두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2888)는 플런저 로드(2880)의 전체 중량을 추가로 최소화할 수 있다.
여전히 도 34를 참조하면, 제2 링(2889)은 작동부(288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링(2887)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링(2889)은 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2880)를 회전시킬 때와 같이, 플런저 로드(2880)의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부(2882)를 따라 파지가능 특징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링(2887)은 작동부(288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져, 제1 링(2887)에 의해 형성된 핑거 패드가 작동부(2882)보다 더 큰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링(2889)은 작동부(2882)보다 큰 직경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링(2887)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플런저 로드(2880)는 플런저 로드(2880)의 외관을 단순화하기 위해 작동부(2882)를 따라 텍스처 및/또는 리브형 표면의 포함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882)는 돌출부(1086)의 근위 단부와 연장부(1087)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 사이에서 미리결정된 길이 C를 가지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결정된 길이 C는 전달 디바이스(2800)와 함께 사용되는 주사기 캡의 유형 및/또는 크기에 따라 크기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Ompi Alba ITC, Ompi Alba OVS, Gerresheimer TELC, 무실리콘 주사기(silicone-free syringe) 등).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길이 C는 주사기 캡에 기초하여 각각 결정되는 낮은 및/또는 높은 충전 부피 요건에 따라 감소 및/또는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미리결정된 길이 C는 완전한 투여량이 전달 디바이스(2800)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플랜지 피스(2870) 내로 플런저 로드(2880)의 완전한 스트로크를 제공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미리결정된 길이 C는 전달 디바이스(2800)에 적합한 복수의 투여량 전달 거리들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조정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870)는 플런저 로드(2880)의 완전한 스트로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추가 특징부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제 도 36을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2870)는 칼라(2872)의 근위방향-대면 및 원위방향-위치된 (하단) 표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인덴트(2875)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덴트(2875)는 칼라(2872)의 하단 표면 내로 리세스된 표면을 형성하도록 크기설정 및/또는 형상화될 수 있다. 인덴트(2875)는 플랜지 피스(2870) 내로 플런저 로드(288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여 완전한 스트로크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인덴트(2875)는 예를 들어, 연장부(1087a)의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과 같이, 칼라(2872) 내의 증가된 공간 및/또는 클리어런스를 제공하여 플런저 로드(288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예에서, 전달 디바이스(2800)는 슬롯(1074)의 원위 단부(하단)에 접촉하는 한 쌍의 돌출부(1086)에 완전한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087)는 돌출부(1086)가 슬롯(1074)의 원위 단부에 접촉할 때 칼라(2872)의 하단 표면에 인접하여(그러나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부(1087)는 플런저 로드(288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및/또는 완전한 투여량이 전달되었을 때 연장부(1087)가 하단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칼라(2872)의 하단 표면의 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칼라(2872)의 하단 표면을 따라 함몰부(depression)를 형성함으로써, 인덴트(2875)는 작동부(2882)가 칼라(287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하게 허용하여 연장부(1087)가 칼라(2872)의 하단 표면에 맞물리거나 접촉하지 않고 플런저 로드(2880)의 전체 스트로크를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부(1087)는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이 칼라(2872)의 하단 표면에 접할 때 인덴트(2875)를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을 인덴트(2875) 내로 안내할 수 있다. 인덴트(2875)에 의해 형성된 증가된 공간은 플런저 로드(2880)의 전체 스트로크를 완료하고/하거나 완전한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연장부(1087)가 칼라(2872)의 하단 표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여전히 도 36을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2870)는 몸체(1220)가 플랜지 피스(2870)에 결합될 때 몸체 플랜지(122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287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브(2874)는 립(2871)에 인접하여, 예를 들어, 칼라(2872)의 하단 표면의 원위방향으로 및 립(2871)의 근위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브(2874)는 플랜지 피스(287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브(2874)가 플랜지 피스(2870)의 내부 상단 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리브(2874)는 플랜지 피스(2870)의 내부 측벽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2874)는 몸체 플랜지(1226)와 맞물리기 위한 플랜지 피스(2870) 내에서, 다양한 다른 적합한 위치로부터 및 다양한 다른 적합한 각도에서 위치되고/되거나 연장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시예에서, 리브(2876)는 가요성 및/또는 반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 피스(2870) 내에 몸체(1220)가 수용되었을 때 몸체 플랜지(1226)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리브(2874)는 립(2871)이 몸체 플랜지(1226)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칼라(2872)의 하단 표면을 향해 근위방향으로 휘어지고/지거나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브(2874)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이에 인가함으로써 몸체 플랜지(1226)를 플랜지 피스(2870)에 고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브(2874)는 립(2871)이 몸체 플랜지(2871)의 하단 표면과 맞물림에 따라 몸체 플랜지(1226)의 상단/근위 표면과 맞물림으로써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몸체(1220)의 위치(예컨대, 길이방향, 회전 등)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몸체 플랜지(1226) 및/또는 몸체(1220)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추가의 및/또는 더 작은 수의 리브(2874)가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도 37을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2870)는 플랜지(2876)의 원위방향으로 대면하는 하단 표면을 따라 텍스처 및/또는 패턴형 인터페이스(2878)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는 플랜지 피스(2870)의 그립, 제어 및/또는 인체공학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함몰부 및/또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는 가변하는 크기의 복수의 반원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인터페이스(2878)는 플랜지(2876)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볼 때 오목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2878)는 플랜지(2876)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볼 때 볼록할 수 있다.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는 플랜지(2876)의 하단 표면(도 41a 내지 도 41d 참조)을 따라 다양한 다른 디자인, 특징부, 및/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피스(2870)는 립(2871)에 인접하여 그리고 개구(1073)의 반대 측부들을 따라 위치된 한 쌍의 가동 탭(287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동 탭(2877)은 가요성 및/또는 반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몸체(1220)에 의해) 이에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칼라(2872) 및/또는 플랜지(2876)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동 탭(2877)은 가동 탭(2877)과 플랜지(2876) 사이에 배치된 개구(2873)를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탭(2877)은 그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2873)에 의해 플랜지(287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개구(2873)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지향된 힘을 수용하였을 때 가동 탭(2877)의 측방향 이동을 수용하는 갭 및/또는 클리어런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탭(2877)은 플랜지 피스(2870)가 개구(1073)를 통해 몸체(1220)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플랜지(2876)를 향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편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2873)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탭(2877)은 몸체 플랜지(1226)가 립(2871)에 의해 수용될 때까지 개구(1073)로부터 멀리 외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가동 탭(2877)은 몸체(1220)를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져 립(2871)이 그 내의 몸체 플랜지(1226)를 완전히 수용하면 본래의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동 탭(2877)은 몸체(1220)를 향해 실질적으로 본래의 구성으로 구부러질 수 있어, 가동 탭(2877)이 몸체(1220)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한 몸체(1220)의 이동을 억제하여, 압력이 몸체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전히 도 37을 참조하면, 가동 탭(2877)은 몸체(1220)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힘을 (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재료 바이어스로) 몸체(1220)에 인가하고, 이에 의해 플랜지 피스(2870)와 몸체(1220) 사이의 스냅-끼워맞춤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가동 탭(2877)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안정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몸체(1220)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플랜지 피스(2870)를 몸체(1220)에 결합할 수 있다. 몸체(1200)를 플랜지 피스(2870)에 결합하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구(2873)가 가동 탭(2877)과 플랜지(2876) 사이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개구(2873)는 몸체(1200)를 플랜지 피스(2870) 내로 스냅하는 데 필요한 힘을, 개구(2873)를 생략하는 설계에 비해 약 15 뉴턴 내지 약 25 뉴턴의 범위에 있는 최소 힘만큼 감소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40c는 전달 디바이스(28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800)는 작동부(2882)의 원위부가 칼라(2872) 내에 수용되고 연장부(1087)가 개구(1094) 내에 수용되어 그에 결합된 상태로 미리조립될 수 있다. 연장부(1087)가 개구(1094)를 통해 칼라(2872)에 결합되면, 플랜지 피스(2870)가 작동부(2882)의 근위 후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 피스(2870)로부터 플런저 로드(2880)의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디바이스(2800)는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2870) 내로 원위방향으로 병진됨으로써 프라이밍될 수 있다.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882)는 돌출부(1086)가 칼라(2872)의 근위 단부에 접할 때까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하여 원위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880)는 돌출부가 칼라(2872)와 맞물리고/맞물리거나 맞닿았을 때 전달 디바이스(2800)의 프라이밍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800)의 프라이밍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프라이밍 거리는 돌출부(1086) 및/또는 연장부(1087)의 길이방향 길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칼라(2872)의 근위 단부와 돌출부(1086)의 원위 단부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피스(2870)는 플런저 로드(2880)에 대해 또는 그 반대로 회전되어, 슬롯(1074)과 반경방향 및 길이방향 정렬 상태로 도달할 때까지 칼라(2872)에 대해 돌출부(108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9a 및 도 39b를 참조하면, 연장부(1087)는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 (287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칼라(2872)의 내부 표면(2872A)에 접촉할 수 있다. 도 3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또는 클립 형상 부분(1087a)이 내부 표면(2872A)에 맞물린 상태에서, 연장부(1087)는 플런저 로드(2880)가 회전되어 연장부(1087)를 플랜지 피스(2879)의 내부 홈(2879)과 정렬시킬 때까지 칼라(2872) 내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내부 홈(2879)은 내부 표면(2872A)을 따라 형성된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9c 및 도 3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홈(2879)은 그 안에 연장부(1087)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칼라(2872)는 내부 표면(2872A)을 따르기보다 내부 홈(2879)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어, 연장부(1087)가 내부 홈(2879)과 반경방향 정렬 상태로 이동될 때 연장부(1087)가 압축된 구성(도 39a, 도 39b 및 도 39d)으로부터 확장된 구성(도 39c 및 도 39e)으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르게 말하면, 연장부(1087)는 도 3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홈(2879)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 공간으로 인해 내부 홈(2879) 내에서 수용될 때 완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1087)가 내부 홈(2879) 내에 수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피드백(예컨대, 촉각, 청각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전달 디바이스(2800)는 플런저 로드(2880)의 추가 작동이 투여량 전달을 제공할 수 있도록 투여량 전달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 피스(2870)는 전달 디바이스(2800)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회전하였을 때 사용자 피드백(예를 들어, 촉각, 청각 등)을 생성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에 상세히 기술되고 도 40a 내지 도 4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073)는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2873)가 개구(1073) 내로 연장되는 상태로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2870)에 결합되면, 스템(1280)은 개구(1073)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스템(1280)은 플런저 로드(2880)가 칼라(2872)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2873)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둥근 측벽(288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둥근 측벽(2884)은 플런저 로드(2880)가 프라이밍된 위치(도 38b)에서부터 투여량 전달 위치(도 38c)로 이동될 때 가장자리(2873)에 접촉할 수 있는 스템(1280)를 따라 반원형 단부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도 4k 내지 도 4x), 스템(1280)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플런저 로드(2880)의 이동(예컨대,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적합한 형상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38d를 참조하면, 돌출부(1086)가 슬롯(1074)과 정렬된 상태에서, 작동부(2880)는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이 작동부(2882)에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칼라(2872)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병진되어 플런저 로드(2880)의 전체 스트로크를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템(1280)은 플랜지 피스(2870)에 대해 이동하여, 스토퍼(1222)를 몸체(1220) 내로 이동시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086)는 슬롯(107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링(2889)은 칼라(2872)의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링(2889)은 칼라(2872)의 근위 단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인덴트(2875)는 플런저 로드(2880)의 전체 스트로크를 완료할 때 그 안에 연장부(1087)(도 36)를 수용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2880)가 플랜지 피스(28)에 대해 병진하는 정도는 전달 디바이스(2800)의 투여량 전달 거리를 한정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투여량 전달 거리는 작동부(2882)에 대한 돌출부(1086)의 길이방향 길이 및/또는 칼라(2872)에 대한 슬롯(1074)의 깊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41a 내지 도 4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디바이스(2800)는 플랜지(2876) 상에 복수의 텍스처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다양한 다른 플랜지 피스(28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시적인 예로서,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의 예시적인 플랜지 피스(2870A)는 서로에 대해 환형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원형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플랜지(2876) 상의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플랜지 피스(2870B)는 각각의 플랜지(2876) 상에 예컨대, 눈송이와 같은 장식적 디자인을 포함하는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1c는 서로에 대해 불규칙한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원형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플랜지(2876) 상의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C)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플랜지 피스(2870C)를 도시한다.
추가 예로서, 도 41d를 참조하면, 플랜지 피스(2870D)는 플랜지(2876)를 따라 그리드와 유사한 배열로 위치된 복수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돌출부 및/또는 어퍼처를 포함하는 텍스처 인터페이스(2878D)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다양한 텍스처 인터페이스는 플랜지 피스의 그립, 제어, 미적 및/또는 인체공학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텍스처 인터페이스는 단지 예시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적합한 패턴, 텍스처 및/또는 특징부가 플랜지 피스에 포함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해야 한다.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조하도록 설계 및/또는 맞추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 디바이스(1200), 디바이스(1300), 디바이스(1400), 디바이스(2400), 디바이스(2500), 디바이스(2600), 디바이스(2800) 등)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3차원 인쇄 또는 기계가공을 통해 제조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0)의 구성요소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기존 디바이스에서는, 성형이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아, 3차원 인쇄의 사용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차가 3차원 인쇄 기술보다 성형 기술로 더 좁아질 수 있지만, 3차원 인쇄에 의해 형성된 디바이스는 성형에 의해 형성된 디바이스와 동일한 수준의 정밀도를 갖지 못한다. 정밀도는 본 개시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100 μL 이하의 부피에서 유리체 주입에 사용되는 그러한 디바이스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 기재된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100 μL 이하와 같은 유리체(IVT) 주입에 적합할 수 있는 치료제의 미리한정된 부피를 보괸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는 특정 절차에서 디바이스의 의도된 사용에 기초하여 소정의 부피의 유리체의 주입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높은 투여량 아플리버셉트 절차에 대해 약 65 μL내지 약 75 μL; 미니 트랩(Mini Trap) 절차에 대해 약 95 μL 내지 약 105 μL; 및/또는 미숙아 망막증(ROP)에 대해 약 5 μL내지 약 15 μL의 유리체의 부피를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예컨대, 약 3밀리리터, 4밀리리터, 및 그보다 많은 근시의 정도에 기초하여 주입를 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피의 유리체를 보관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는 수술후 탐폰 삽입법(tamponade post vitrectomy)에 대해 약 3 ml 내지 약 6ml의 실리콘 또는 가스와 같이, 의도된 절차에 기초하여 더 많은 부피의 유리체를 주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예컨대, 당뇨병성 안구 질환, 사후-주사 비감염성 내과염, 신생혈관 (습성) 노화-관련 황반 변성(AMD), 망막 정맥 폐색증(RVO)을 동반한 황반 부종, 당뇨병성 황반 부종(DME), 및 당뇨병성 망막증(DR)과 같은 다른 절차에 비해 다양한 다른 부피의 유리체를 주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투여량 라인을 부적절하게 설정하는 사용자 오류의 경우를 최소화함으로써 고정밀도로 다량의 유리체를 전달하는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플런저 로드, 플랜지 피스 등)의 다양한 설계 및 구성은 디바이스의 프라이밍 거리 및 투여량 전달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투여량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각자 구성에서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 결정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특징부들은 특정 실시예의 맥락 내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가 이해하듯이, 각 실시예의 특징부들 및 양태들이 약물의 제어된 준비 및/또는 전달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되고, 다른 실시예들에 추가되고, 실시예로부터 제거되는 등이 가능하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의 양태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는 것 및 약물 전달 디바이스 내에서 과잉 기포를 제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되며, 본원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는 특정 유형의 약물 전달 디바이스(예를 들어, 미리충전된 주사기)로서 설명되어 있다. 본 개시의 양태는 또한 다른 유형의 약물 전달 디바이스(예컨대, 충전가능 주사기, 피펫 등)에서 채용 및/또는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특징부를 갖는 디바이스는 예컨대, 유리병에서 주사기로 전달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용기에서 다른 용기로 약물 물질 또는 기타 유체의 부피를 전달하기 위한 보다 정확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전달의 정밀도는 약물 물질의 원치 않는 과다충전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고 및/또는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가 본원에 제시되는 동안,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변형, 및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부터의 요소들의 조합이 가능하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더욱이, 당업자들은 본 개시가 기초하는 개념이 본 개시의 여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 방법 및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70)

  1.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 로드;
    상기 플런저 로드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결합된 차단 구성요소 -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플랜지 피스임 -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1 정지점으로 제한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2 정지점으로 제한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된 스토퍼 -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은 상기 스토퍼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킴 -;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약물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제1 정지점으로의 원위 이동은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를 프라이밍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제2 정지점으로의 원위 이동은 상기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약물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상기 플런저 로드를 비트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근위측 내에 공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돌출부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크기설정 및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동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이 상기 공동 내로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게 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제1 공동이며,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근위측 내에 제2 공동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돌출부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크기설정 및 구성되고,
    상기 제1 공동 및 제2 공동은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중심 길이방향 축의 반대편 측부들에 위치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 내의 개구를 통과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 단부에서 작동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연장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나머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측면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의 근위 단부 상의 엄지 패드; 및
    상기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측면에 있는 외부 표면 상의 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 상의 근위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근위 칼라 내측에 끼워맞추어지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작동부에서부터 원위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정지점 내에서 한 쌍의 개구들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하단 벽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인덴트(indent)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2 정지점으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한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인덴트들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내부 홈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은 상기 연장부들을 압축된 상태로부터 완화된 상태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의 회전 시에 상기 한 쌍의 내부 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홈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이며, 그리고
    상기 플런저 로드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몸체에 활주식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제3 공동 및 상기 제3 공동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단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리브들은 상기 제3 공동 내에 수용된 상기 상단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내부 리브들은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상기 상단 플랜지 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몸체에 활주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몸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가동 탭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동 탭들은 상기 차단 구성요소 내의 상기 몸체를 수용할 때 측방향으로 편향이 가능하며, 반경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상기 몸체 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핑거 플랜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핑거 플랜지들 각각은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파지를 증가시키는 미리한정된 패턴을 갖는 텍스처 표면(textured surface)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7.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서 스토퍼에 접촉하는 원위 단부, 및 엄지 패드를 갖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를 갖는 플런저 로드;
    상기 작동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된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복수의 슬롯들을 갖는 근위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슬롯들이 서로에 대하여 제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1 정지점으로 제한하고,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슬롯들이 제2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제2 정지점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슬롯들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 시에 상기 돌출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슬롯들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구성에서부터 상기 제2 구성으로 이동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슬롯들이 상기 제2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슬롯들은 상기 제1 구성으로 이동할 수 없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점과 상기 제2 정지점 사이의 차이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에서부터 약물 제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방출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제2 정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정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작동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한 쌍의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인, 약물 전달 디바이스.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a)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제1 정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비-사용 상태에서부터 프라이밍된 상태로;
    (b)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차단 구성요소가 제2 구성으로 될 때까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프라이밍된 상태에서부터 전달 상태로; 및
    (c)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제2 정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달 상태에서 사용된 상태로 변경가능하고,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 상태로,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프라이밍된 상태로, 또는 상기 프라이밍된 상태에서 상기 예비-사용 상태로 변경될 수 없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배치된 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네크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개구와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부터 상기 프라이밍된 상태로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 구성요소 내의 개구와 추가로 인터페이스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제2 정지점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에 접촉하지 않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7.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플런저 로드로서,
    상기 몸체 내측의 스토퍼에 접촉하는 원위부,
    상기 몸체 외측에 배치된 대체로 원통형 작동부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대칭 구성에서 상기 작동부의 반대편 측부들에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플런저 로드;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된 차단 구성요소로서,
    상기 작동부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칼라, 및
    근위방향-대면 개구들을 갖는 칼라 내의 2개의 공동 - 여기서 각각의 공동은 상기 2개의 돌출부들 중 하나의 원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예비-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공동 개구들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들 및 상기 공동 개구들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작동부의 측부 상에 리브형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작동부에서부터 원위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연장부들: 및
    상기 차단 구성요소의 칼라 내의 복수의 개구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은 상기 차단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 시에 상기 복수의 개구들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30. 플런저 로드 및 몸체를 갖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에서부터 물질을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전진이 정지부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 상기 몸체 내로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b) 상기 플런저 로드를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 (a), (b), 및 (c)는 어느 것도 역전되지 않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칼라를 갖는 플랜지 피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플런저 로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를 상기 플랜지 피스의 칼라 내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피스의 칼라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전진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에 맞닿아 있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플런저 로드 상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플랜지 피스의 칼라 내의 공동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상기 플랜지 피스에 대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작동부를 비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동의 원위측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돌출부를 상기 공동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동의 원위측에 맞닿을 때 상기 물질의 미리결정된 부피가 분배되는, 방법.
  35.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된 스토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슬리브 -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스토퍼에서부터 근위 방향으로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됨 -; 및
    상기 슬리브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가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몸체에 대하여, (a) 단지 상기 슬리브만, 또는 (b) 단지 상기 플런저 로드만, 또는 (c)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 로드 둘 모두가 함께하는 것 중에서 하나의 원위 전진이 상기 스토퍼를 프라이밍 위치로 전진시키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몸체에 대하여, (a) 단지 상기 슬리브만, 또는 (b) 단지 상기 플런저 로드만, 또는 (c)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플런저 로드 둘 모두가 함께하는 것 중에서 다른 하나의 원위 전진이 상기 스토퍼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키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근위부와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거식 차단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슬리브의 원위 전진을 방해하고,
    상기 차단 구성요소를 제거한 후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슬리브의 원위 전진은 상기 스토퍼를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키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성요소는 상기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 클립인, 약물 전달 디바이스.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를 상기 슬리브에 결합하는 제거식 로킹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 함께 상기 슬리브 및 상기플런저 로드 둘 모두의 원위 전진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키고,
    상기 로킹 구성요소를 제거한 후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플런저 로드만의 원위 전진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키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 단부는 상기 슬리브의 원위 단부에 맞닿아서,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몸체에 대하여 더 이상 원위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이 방지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식 로킹 구성요소는 핀, 탭(tab) 또는 막대(bar)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 상에 배치된 돌출부; 및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돌출부에 대해 원위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내부 벽 상에 배치된 내부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플런저 로드만의 원위 전진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키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 돌출부에 접촉하게 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리브의 상기 내부 돌출부에 접촉한 후,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플런저 로드 및 상기 슬리브 둘 모두의 원위 전진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시키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핑거 플랜지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정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일단 상기 스토퍼가 상기 완료 위치에 있으면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차단하도록 크기설정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4.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부 및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 외측에 배치된 근위부를 갖는 플런저 로드 - 상기 근위부는 상기 원위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짐 -; 및
    상기 플런저 로드에 대한 방해 위치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부터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방지하는 방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허용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부착된 칼라 - 상기 칼라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둘러쌈 -; 및
    상기 칼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칼라 돌기부(projection)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근위부는 상기 칼라 돌기부가 내부로 돌출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원주방향 경로 및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해물은 상기 칼라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채널의 상기 원주방향 경로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방지하고,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런저 로드를 비틀어 상기 칼라 돌기부를 상기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와 정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원주방향 경로에 의해 상기 축방향 투여량 완료 경로에 연결된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칼라 돌기부가 상기 축방향 프라이밍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은 상기 플런저 로드를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로 전진시키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된 회전식 정렬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렬 구성요소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플런저 로드 돌기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되고,
    상기 방해물은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런저 로드 돌기부의 윈위 축방향 경로를 차단하는 채널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정렬 구성요소를 회전시켜 상기 플런저 로드 돌기부의 상기 원위 축방향 경로로부터 상기 채널의 벽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 부분에 결합된 핑거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정렬 구성요소는 상기 핑거 플랜지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플랜지 피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해물은 상기 플런저 로드에 대해 상기 방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상기 플랜지 피스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거식 캡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제거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투여량 완료 위치로 전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상기 플랜지 피스에 접촉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식 캡은 상기 방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덮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3.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된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프라이밍된 위치를 넘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 시에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방해물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에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탭을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가 상기 칼라의 개구 내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칼라 개구의 깊이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일치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탭을 제거하거나 상기 탭을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의 측부 내로 압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제1 탭이고, 여기서 상기 방해물은 상기 제1 탭의 돌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은 상기 방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몸체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 사이에 배치되는 탭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탭에서부터 근위방향으로 배치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탭이 상기 방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탭을 지나 원위방향으로 전진할 수 없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탭을 당겨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탭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8. 제56항에 있어서,
    플랜지 피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탭의 일부분이 상기 플랜지 피스의 공동의 내측에 배치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탭을 파괴하여 상기 약물 전달 디바이스에서 상기 탭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은, 상기 방해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거식 차단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플랜지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차단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것; 및
    상기 플랜지 피스를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해물은, 상기 방해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돌기부의 원위 이동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이동을 차단하는 단부를 갖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해 위치로부터의 상기 방해물의 변위는 상기 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레버의 단부를 상기 돌기부로부터 원위에 있는 그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2.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완료 위치를 지나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된 플랜지 피스의 일부분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방지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3.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에 부착된 슬리브 - 상기 슬리브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개구를 포함함 -;
    상기 슬리브를 통과하는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 단부 부분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는 준비 위치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 상기 몸체 내로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고,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구의 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지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에 대한 저지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내의 개구는 제2 개구이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 개구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원주 벽 내에 배치된 제3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준비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개구의 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지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이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를 지난 후, 상기 플런저 로드의 돌출부가 상기 제3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이 방지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이며, 상기 플런저 로드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반대편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 상에 원위방향으로 축방향 압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들을 서로 압박하는 것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추가 원위 전진에 대한 저지를 극복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돕기 위해 윈위방향으로 테이퍼지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7. 약물 전달 디바이스로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된 원위 단부 부분 및 회전가능 요소를 포함하는 플런저 로드; 및
    상기 몸체에 부착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플런저 로드가 내부로 전진될 수 있는 근위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 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은 프라이밍된 위치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전진을 야기하고,
    일단 상기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회전가능 요소의 추가 회전이 저지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의 내부는 근위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근위 나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 요소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는 상기 근위 나선형 경로를 따라 상기 돌출부가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일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칼라의 상기 근위 나사 부분의 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69. 제68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플런저 로드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플런저 로드가 상기 몸체 내로 축방향으로 눌러지며 상기 플런저 로드를 투여량 완료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내부는 원위 나사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원위 나사 부분의 스레드(thread)들은 상기 근위 나선형 경로로부터 오프셋되고, 그의 반대편에 원위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원위 나선형 경로와의 정렬은 상기 플런저 로드를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원위 나선형 경로를 따라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플런저 로드의 근위부의 회전은 투여량 완료 위치로의 상기 플런저 로드의 원위 전진을 야기하는, 약물 전달 디바이스.
KR1020227000025A 2019-06-05 2020-06-04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20017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7678P 2019-06-05 2019-06-05
US62/857,678 2019-06-05
US201962860481P 2019-06-12 2019-06-12
US62/860,481 2019-06-12
PCT/US2020/036200 WO2020247686A1 (en) 2019-06-05 2020-06-04 Devices and methods for precision dose deliv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462A true KR20220017462A (ko) 2022-02-11

Family

ID=7184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025A KR20220017462A (ko) 2019-06-05 2020-06-04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11439758B2 (ko)
EP (1) EP3886946A1 (ko)
JP (1) JP2022535558A (ko)
KR (1) KR20220017462A (ko)
CN (8) CN113966240B (ko)
AR (1) AR119108A1 (ko)
AU (1) AU2020289563A1 (ko)
BR (1) BR112021024137A2 (ko)
CA (1) CA3140160A1 (ko)
CL (14) CL2020003174S1 (ko)
CO (1) CO2021017982A2 (ko)
IL (1) IL288466A (ko)
MA (1) MA54325A (ko)
MX (1) MX2021014622A (ko)
PE (2) PE20220910A1 (ko)
SG (1) SG11202112640PA (ko)
TW (3) TW202120137A (ko)
WO (1) WO202024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1151B2 (ja) 2020-12-24 2024-02-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シリンジ型噴出容器
KR20240008821A (ko) 2021-05-17 2024-01-19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혈관신생성 눈 장애 치료를 위한 연장된 고용량 vegf 길항제 요법
US20230080971A1 (en) * 2021-09-08 2023-03-16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delivering agents with pre-filled syringes to minimize intraocular inflammation
TW202329060A (zh) 2021-10-13 2023-07-16 美商里珍納龍藥品有限公司 肌肉塊及包含肌肉塊之注射訓練器
IL313208A (en) 2021-12-08 2024-07-01 Regeneron Pharma Device device for transferring drugs to a test system and methods therefor
AU2023233561A1 (en) 2022-03-15 2024-09-19 Bayer Healthcare Llc Extended, high dose vegf antagonist regimens for treatment of angiogenic eye disorders
AU2023234355A1 (en) 2022-03-15 2024-09-19 Bayer Healthcare Llc Extended, high dose vegf antagonist regimens for treatment of angiogenic eye disorders
EP4245336A1 (en) * 2022-03-15 2023-09-20 Becton Dickinson France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etting dose member
TW202400261A (zh) 2022-03-21 2024-01-01 美商再生元醫藥公司 精密劑量遞送裝置柱塞桿插入量規及其方法
WO2024012951A1 (de) * 2022-07-12 2024-01-18 Bayer Aktiengesellschaft Dosieraufsatz für flüssigkeits-abgabesystem
WO2024086600A1 (en) * 2022-10-17 2024-04-25 Congruence Medical Sollutions, Llc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precision delivery of injectable drugs
CN118267231A (zh) * 2022-12-30 2024-07-02 沈阳兴齐眼药股份有限公司 给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0522A (ko) 1968-05-20 1971-05-05
FR2348708A1 (fr) * 1976-04-23 1977-11-18 Becton Dickinson France Ampoule-seringue et son procede d'utilisation
CH620126A5 (ko) 1978-03-10 1980-11-14 Tulcea Sa
DE3532622A1 (de) 1985-09-12 1987-03-19 Mitsubishi Pencil Co Injektionseinrichtung
USRE33821E (en) 1987-02-27 1992-02-11 Tranbrook Pty. Limited Syringe hypodermic needle
GB2203047B (en) 1987-02-27 1991-01-30 Gilbert Henry Banks Single-use syringe
DE3709783C1 (de) 1987-03-25 1988-04-14 Blendax Werke Schneider Co Dosierspritze
DE3715258C2 (de) 1987-05-08 1996-10-31 Haselmeier Wilhelm Fa Injektionsgerät
US4915695A (en) 1988-09-12 1990-04-10 Koobs David C Multiple barrel syringe
US5009645A (en) 1989-06-12 1991-04-23 Jules Silver Syringe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a material
US5593391A (en) 1992-02-13 1997-01-14 Stanners; Sydney D. Ampule safety syringe
US5318544A (en) 1992-10-20 1994-06-07 Kerr Manufacturing Company Metering syringe
US5370620A (en) 1992-12-28 1994-12-06 Shonfeld; David Single use hypodermic syringe
US5833669A (en) 1993-05-27 1998-11-10 Washington Biotech Corp. Medicine injection syringe constructions
US5439643A (en) 1993-11-03 1995-08-08 Liebert; Richard T.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sterilization
US5358497A (en) 1994-01-11 1994-10-25 Bioteque America, Inc. Medical locking device
US5533970A (en) 1994-09-28 1996-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5554122A (en) 1995-03-23 1996-09-10 Emanuel; Carolina Disposable syringe
US5807345A (en) 1995-06-30 1998-09-15 Abbott Laboratories Luer cap for terminally sterilized syringe
US6189195B1 (en) 1995-08-22 2001-02-20 Medrad, Inc. Manufacture of prefilled syringes
WO1997009079A1 (en) 1995-09-08 1997-03-13 Yoshino, Shigeo Syringe serving also as an ampule and syringe for collecting blood
US5688251A (en) 1995-09-19 1997-1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rtridge loading and priming mechanism for a pen injector
US5607399A (en) 1995-09-22 1997-03-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ackstop device for a flangeless syringe
DE19622283A1 (de) 1996-05-23 1997-11-27 Schering Ag Verfahren zur terminalen Sterilisierung von befüllten Spritzen
US5807343A (en) 1996-09-30 1998-09-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otective sealing barrier for a syringe
US6142977A (en) 1996-10-18 2000-11-07 Schering Ag Prefilled, sterilized syringe with a new and improved plug
DE19647694C1 (de) 1996-11-05 1998-06-04 Scher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rgefüllten, sterilen Spritze
CN1186699A (zh) * 1996-11-29 1998-07-08 生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注射器的夹持器与采用该夹持器的注射器械
US6003736A (en) 1997-06-09 1999-12-21 Novo Nordisk A/S Device for controlled dispensing of a dose of a liquid contained in a cartridge
AUPO723997A0 (en) 1997-06-10 1997-07-03 Astra Pharmaceuticals Pty Ltd Prefilled container
SE9703425D0 (sv) 1997-09-23 1997-09-23 Pharmacia & Upjohn Ab Prefilled ampooules and manufacture thereof
US6228324B1 (en) 1997-11-28 2001-05-08 Seikagaku Corporation Sterilizing method for medical sterilization packaging and injection pack
US5961495A (en) 1998-02-20 1999-10-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tion delivery pen having a priming mechanism
WO1999045984A1 (en) 1998-03-13 1999-09-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filling and packaging medical containers
US6361524B1 (en) 1998-04-14 2002-03-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US5976113A (en) 1998-07-09 1999-11-02 Becton Dickison And Company Oriented bulk package for syringes
US20040064105A1 (en) 2002-09-27 2004-04-01 Capes David Francis Single-use syringe
DE69925205T2 (de) 1998-07-31 2006-03-09 Becton, Dickinson And Co. Nadelschutz für vorgefüllte Spritze
DE19856167C1 (de) 1998-12-05 2000-05-04 Vetter & Co Apotheker Nadelschutzanordnung für Spritzen, Karpulen und dergleichen Injektionsinstrumente
SE9901366D0 (sv) 1999-04-16 1999-04-16 Pharmacia & Upjohn Ab Injector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6450993B1 (en) 1999-11-12 2002-09-17 Bih-Chern Lin Half-disposable syringe barrel
JP4675537B2 (ja) * 2000-03-02 2011-04-27 株式会社大協精工 既充填注射器アッセンブリ
US6585699B2 (en) 2000-04-13 2003-07-01 Nna/S Drug delivery device provided with a one-way mechanism
DK1326664T3 (da) 2000-10-09 2006-11-13 Lilly Co Eli Penindretning til administration af parathyroidhormon
US20020172615A1 (en) 2001-03-08 2002-11-21 Archie Woodworth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illed sterile container
US6511457B2 (en) 2001-05-04 2003-01-28 Garey Thompson Airless syringe
US6530906B2 (en) 2001-06-25 2003-03-11 Taiject Medical Device Co., Ltd. Safety syringe having a restrictively rotatable plunger
WO2003004080A1 (en) 2001-07-05 2003-01-16 Akzo Nobel N.V. Syringe for the injection of a medicament
US20040236285A1 (en) 2001-07-16 2004-11-25 Fisher Mark James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configured for rotate to prime and pull/push to inject functionality
JP4141156B2 (ja) * 2002-03-15 2008-08-27 日本ベクトン・ディッキンソン株式会社 プランジャ後退制限機構付き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AU2003216521A1 (en) 2002-03-18 2003-10-08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with gear set for mechanical advantage
DE10232411A1 (de) 2002-07-17 2004-02-05 Disetronic Licensing Ag Verabreichungsgerät mit verstellbarem Dosieranschlag
JP3880523B2 (ja) 2002-09-27 2007-02-1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用再生装置
AU2003279714A1 (en) 2002-10-15 2004-05-04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with squeezable actuator
US20050075611A1 (en) 2003-10-01 2005-04-07 Hetzler Kevin G. Low extractable, thermoplastic syringe and tip cap
DE10351597A1 (de) 2003-11-05 2005-06-16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für die Verabreichung eines injizierbaren Produkts
DE10351599A1 (de) 2003-11-05 2005-06-16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ionsvorrichtung
EP1541185A1 (en) 2003-12-08 2005-06-15 Novo Nordisk A/S Automatic syringe with priming mechanism
BRPI0400237A (pt) 2004-01-16 2005-08-16 Tadashi Shiosawa Processo de esterelização a vácuo com aplicação de vapor de uma mistura de ácido peracético com peróxido de hidrogênio e plasma de gás residual de ar atmosférico excitado por descarga elétrica dc pulsada; dispositivos e métodos operacionais utilizados no processo de esterilização
DE102004004310A1 (de) 2004-01-28 2005-08-18 Tecpharma Licensing Ag Injektionsgerät mit verrastbarem Dosierglied
US20050215957A1 (en) 2004-03-26 2005-09-29 Mallinckrodt Inc. Calibrated pushrod for injection volume control in prefilled syringes
DE102004019325A1 (de) 2004-04-21 2005-11-24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gerät mit Primingfunktion
DE102005018305A1 (de) 2004-05-25 2005-12-22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gerät mit geschütztem Primer
US7727195B2 (en) 2004-07-01 2010-06-0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Syringe device having venting system
TWM261222U (en) 2004-07-02 2005-04-11 Shian-Wen Shie Safety syringe for single use
ES2390676T3 (es) 2004-10-21 2012-11-15 Genentech, Inc. Método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neovasculares intraoculares
DE102004063645A1 (de) 2004-12-31 2006-07-20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zur dosierten Verabreichung eines fluiden Produkts mit Entkopplung für einen Behältniswechsel
US7407494B2 (en) 2005-01-31 2008-08-05 Bostroem Anders Device for delivering medicament
EP1704887B1 (de) 2005-03-26 2008-10-15 Tecpharma Licensing AG Dosiervorrichtung mit Priming-Funktion
US7727201B2 (en) 2005-04-29 2010-06-01 Tecpharma Licensing Ag Dosing device with priming function
US8075533B2 (en) 2005-05-02 2011-12-13 Preventiv, Inc. Autoflush syringe
US8529517B2 (en) 2005-05-02 2013-09-10 Shi Zi Technology, Ltd. Autoflush syringe
US8936577B2 (en) 2005-05-02 2015-01-20 Shi Zi Technology, Ltd. Methods and devices for autoflush syringes
DE102005022532A1 (de) 2005-05-17 2006-11-23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vorrichtung mit Zwangs-Priming
DE102005023824A1 (de) 2005-05-24 2006-12-07 Tecpharma Licensing Ag Dosiervorrichtung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DE102005023823B4 (de) 2005-05-24 2022-11-17 Tecpharma Licensing Ag Dosiervorrichtung für eine Injektionsvorrichtung und Injektion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Dosiervorrichtung
EP1940476B1 (en) 2005-08-26 2015-05-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of sterilizing elastomeric sealing articles
JP2009508593A (ja) 2005-09-16 2009-03-05 (オーエスアイ)アイ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眼科用シリンジ
FR2896168B1 (fr) 2006-01-19 2008-10-17 Aguettant Soc Par Actions Simp Seringue hypodermique preremplie equipee d'un dispositif de bouchage
DE502006001489D1 (de) 2006-02-14 2008-10-16 Gerresheimer Buend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orfüllbaren Spritzen
WO2007095769A1 (en) 2006-02-24 2007-08-30 Sulzer Mixpac Ag Dispensing appliance for a double syringe
WO2007099044A1 (en) 2006-03-03 2007-09-07 Shl Medical Ab Medical device with orientation sensitive priming mechanism
WO2007129324A2 (en) * 2006-05-09 2007-11-15 Gil Yigal A disposable injecting device with auto-retraction mechanism
DE102006038101A1 (de) 2006-08-14 2008-02-21 Tecpharma Licensing Ag Injektionsvorrichtung mit Klauensicherung
WO2008051561A2 (en) 2006-10-24 2008-05-02 Spinal Restor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biological sealant
EP1923083A1 (en) 2006-11-17 2008-05-2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mechanisms for use in drug delivery devices
WO2008085380A1 (en) 2006-12-29 2008-07-17 Tyco Healthcare Group Lp Process for creating a stop surface on a syringe plunger rod
DK2104527T3 (da) 2007-01-17 2010-08-30 Shl Group Ab Indretning til afgivelse af medikament
US20080202961A1 (en) 2007-02-28 2008-08-28 Inviro Medical, Inc. Sterile packaging of medical devices with enhanced tamper evident, transportation, functional and disposal features
ITBO20070166A1 (it) 2007-03-12 2008-09-13 Gianpaolo Belloli Dispositivo per la somministrazione di un prodotto.
US20190030253A1 (en) 2007-04-20 2019-01-31 Synergize Co. Ergonomic syringe
JP4853394B2 (ja) 2007-06-15 2012-01-11 ニプロ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09011481A (ja) 2007-07-03 2009-01-22 Ajinomoto Co Inc プランジャー外れ防止装置と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US8992484B2 (en) 2008-01-23 2015-03-31 Novo Nordisk A/S Device for injecting apportioned doses of liquid drug
EP2244768B1 (en) 2008-01-23 2019-04-03 Novo Nordisk A/S Device for injecting apportioned doses of liquid drug
WO2009092430A1 (de) 2008-01-24 2009-07-30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Spritzen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542281B1 (ko) 2008-06-17 2015-08-12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주사기
ES2728804T3 (es) 2008-09-29 2019-10-28 Becton Dickinson France Dispositivo de inyección automática con indicador audible de inyección completa
EP2196233A1 (en) 2008-12-12 2010-06-1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Resettable drive mechanism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CN201356870Y (zh) * 2009-01-17 2009-12-09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自毁型定量注射器
JP5808737B2 (ja) 2009-05-07 2015-11-10 メディカル・インジェクション・デヴァイシ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剤分注デバイス
US9238106B2 (en) 2009-06-01 2016-01-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e setting mechanism for priming a drug delivery device
US9950116B2 (en) 2009-06-01 2018-04-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e setting mechanism for priming a drug delivery device
US8585656B2 (en) 2009-06-01 2013-11-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e setting mechanism for priming a drug delivery device
US20100318063A1 (en) 2009-06-10 2010-12-16 Cleo Cosmetic And Pharmaceuticals Co., Llc Dual barrel syringe assembly
EP2445552B1 (de) 2009-06-24 2015-10-14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gerät mit priming funktion
CN102548599B (zh) 2009-07-08 2014-07-23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自动启注注射设备
EP3865162B1 (en) * 2009-07-10 2024-02-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sh syringe assembly
AR078060A1 (es) 2009-07-14 2011-10-12 Novartis Ag Descontaminacion de superficie de contenedores previamente llenados en empaque secundario
KR101863045B1 (ko) 2009-09-30 2018-06-01 떼에스오뜨로와 이엔쎄. 살균 방법 및 장치
CA2773015A1 (en) 2009-09-30 2011-04-0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utton member for operating a drive assembly
AU2010320885B2 (en) 2009-11-20 2013-03-14 Novartis Ag Syringe
WO2011073174A1 (en) 2009-12-15 2011-06-23 Novartis Ag Syringe
DK2918302T3 (en) 2009-12-22 2019-03-11 Unl Holdings Llc WITHDRAWAL SPRAY WITH IMPROVED ADMINISTRATION EFFICIENCY AND LOCKING SYSTEM
KR100985801B1 (ko) 2010-03-17 2010-10-06 유철원 과산화수소 이용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WO2011117878A1 (en) 2010-03-20 2011-09-29 Pawan Trilokchand Agrawal Plastic pre-filled syringe
JP5815015B2 (ja) 2010-03-25 2015-11-1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使用者選択を備えた薬用モジュール
WO2011125133A1 (ja) 2010-04-09 2011-10-13 有限会社コー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シリンジ用ガス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MX341512B (es) 2010-05-04 2016-08-23 Unitract Syringe Pty Ltd * Adaptador de cilindro de jeringa y ensamble de aguja.
CA2801161A1 (en) 2010-06-11 2011-12-1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 drive assembly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JP2013534195A (ja) 2010-07-16 2013-09-02 ステヴァナト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ー.エス. 注射剤をパッキングするための製造プロセス
US8286791B2 (en) 2010-09-30 2012-10-16 Tyco Healthcare Group Lp Syringe assembly carrier
US8196741B2 (en) 2010-09-30 2012-06-12 Tyco Healthcare Group Lp Syringe assembly and package for distribution of same
KR20140034723A (ko) 2010-11-18 2014-03-20 마. 루르데스 그라메이지 피나 단일-사용 주사기
PE20141784A1 (es) 2011-04-26 2014-12-0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Receptaculo de descarga de cantidad fija
BR112013027667B1 (pt) 2011-04-28 2021-04-06 Shl Group Ab Limitador para um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kit e método para limitar a dispensação de líquido a partir de um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EP2707061B1 (en) 2011-05-12 2016-03-23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Adapter for a syringe
WO2012160156A2 (en) 2011-05-25 2012-11-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WO2013028537A2 (en) 2011-08-19 2013-02-28 Noxilizer, Inc. Sterile barrier packaging systems
CA2850105C (en) 2011-09-27 2017-01-17 Mattias Daniel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an initial locked state, intermediate priming state and a medicament delivery state
US20130085452A1 (en) 2011-09-30 2013-04-04 Becton Dickinson France, S.A.S. Syringe Assembly Having a Rotatably Advanceable Plunger Rod
WO2017204787A1 (en) 2011-12-08 2017-11-30 Unitract Syringe Pty Ltd Accurate dose control mechanisms and drug delivery syringes
US8628501B2 (en) 2011-12-21 2014-01-14 Gordon Hadden Syringe sterilization cap
JP5978742B2 (ja) 2012-04-27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0780228B2 (en) 2012-05-07 2020-09-22 Medline Industries, Inc. Prefilled container systems
CH706567A2 (de) 2012-05-16 2013-11-29 Tecpharma Licensing Ag Verbesserte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Dosis mit einem Begrenzungsmechanismus für ein Gerät zur Verabreichung eines Produkts.
ES2895406T3 (es) 2012-06-01 2022-02-21 Novartis Ag Jeringa
FR2992222B1 (fr) 2012-06-22 2015-06-19 Aguettant Lab Dispositif de protection destine a equiper un dispositif d’injection pourvu d’un embout de raccordement
JOP20200175A1 (ar) 2012-07-03 2017-06-16 Novartis Ag حقنة
WO2014049712A1 (ja) 2012-09-26 2014-04-03 テルモ株式会社 注射筒収納容器
WO2014049714A1 (ja) 2012-09-26 2014-04-03 テルモ株式会社 注射筒収納容器
DE102012022008A1 (de) 2012-11-09 2014-05-15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Spritzenverschluss
WO2014083849A1 (ja) 2012-11-30 2014-06-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WO2014102987A1 (ja) 2012-12-27 2014-07-03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外筒包装体
WO2014162551A1 (ja) 2013-04-04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
WO2014187779A1 (de) 2013-05-24 2014-11-27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oberflächensterilisation einer fertigspritze
USD794185S1 (en) 2013-06-17 2017-08-08 Q-Med Ab Syringe part
EP3021904B1 (en) 2013-07-17 2020-05-06 Sanofi Priming configuration for a medical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priming configuration
WO2015007811A1 (en) 2013-07-17 2015-01-22 Sanofi Drive mechanism
ITMO20130247A1 (it) * 2013-09-09 2015-03-10 Lameplast Spa Siringa per l'erogazione di fluidi
WO2015045180A1 (ja) 2013-09-30 2015-04-02 テルモ・クリニカルサプライ株式会社 医療用吸引具
EP2862587A1 (en) 2013-10-15 2015-04-22 Becton Dickinson France Tip cap assembly for closing an injection system
EP3077026B1 (en) 2013-12-06 2020-04-08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Dose divider syringe
WO2015165718A1 (en) 2014-05-02 2015-11-05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0661020B2 (en) 2014-04-15 2020-05-26 Min Wei Medication delivery device
CH710119A2 (de) 2014-09-03 2016-03-15 Tecpharma Licensing Ag Injektionsvorrichtung mit einer Ablaufsteuerung.
WO2016052037A1 (ja) 2014-10-02 2016-04-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ノズルキャップ
US10064997B2 (en) 2014-10-09 2018-09-04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Rotatable finger flange for a syringe
EP3213786A4 (en) 2014-10-30 2018-07-11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e-filled syringe preparation with needle, which is equipped with syringe cap
US9408965B2 (en) 2014-10-31 2016-08-09 Tolmar,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syringes
DE102014116396A1 (de) 2014-11-11 2016-05-12 Schott Schweiz Ag Spritze mit Fingerflansch sowie Fingerflansch
US20160144122A1 (en) 2014-11-26 2016-05-26 Fisher Clinical Services GmbH Syringe Assembly with Plunger Rod Backstop and Method of Use
WO2016094387A2 (en) * 2014-12-08 2016-06-16 Genentech, Inc. Versatile syringe platform
JP1531421S (ko) 2015-01-09 2015-08-17
USD775324S1 (en) 2015-03-12 2016-12-27 Genzyme Corporation Plunger and finger grip for a syringe
USD812223S1 (en) 2015-05-18 2018-03-06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Finger flange
US10293965B2 (en) 2015-05-27 2019-05-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ackaging method to enable re-sterilization of medical device
KR20180021813A (ko) 2015-06-25 2018-03-05 머크 샤프 앤 도메 비.브이. 시린지용 백스톱
GB2541445B (en) 2015-08-20 2018-04-18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
USD790691S1 (en) 2015-07-28 2017-06-27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Finger flange
GB2541227A (en) * 2015-08-13 2017-02-15 Owen Mumford Ltd Injector Device
CN107921216B (zh) 2015-08-19 2021-01-12 艾斯曲尔医疗公司 可变单一剂量药物输送装置
CN204972542U (zh) 2015-09-09 2016-01-20 广州德米医用设备有限公司 带限位结构的注射装置
WO2017062304A1 (en) 2015-10-07 2017-04-13 Medimmune, Llc Syringes with plunger rod dose control mechanism
USD810282S1 (en) 2015-10-19 2018-02-13 Carebay Europe Ltd Medical injector
BR112018010005A2 (pt) 2015-11-18 2018-11-21 Formycon Ag seringa pré-carregada, e, kit
CA167339S (en) 2016-03-02 2016-10-18 Sanofi Sa Finger flange for injection device
US10213558B2 (en) 2016-03-28 2019-02-26 Glenmark Pharmaceuticals S.A. Drug delivery device
US9962493B2 (en) 2016-04-01 2018-05-08 Frank Guthart Dual-dose syringe system
BR112018070642A2 (pt) 2016-04-08 2019-02-05 Allergan Inc dispositivo de aspiração e injeção
WO2017180480A1 (en) 2016-04-15 2017-10-19 Santen Pharmaceuticals Co., Ltd. Accurate, precise microliter dosing syringe
US10898646B2 (en) * 2016-04-29 2021-01-26 Shl Medical Ag Container holder assembly
WO2017191306A1 (en) 2016-05-06 2017-11-0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US10300203B2 (en) 2016-08-03 2019-05-28 Min Wei Priming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JP1577070S (ko) 2016-08-10 2017-05-22
CA3049199A1 (en) 2016-11-04 2018-05-11 Shire Human Genetic Therapies, Inc. Small unit dosage plunger rod stops
CA3042544A1 (en) 2016-11-07 2018-05-11 Beloteca, Inc. Adjustable dose drug delivery system
EP3576821A1 (en) 2017-02-03 2019-12-11 Norton Healthcare Limited Assembly for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10799639B2 (en) * 2017-03-03 2020-10-13 Min Wei Syringe type medication delivery device
WO2018204140A1 (en) 2017-05-02 2018-11-08 Eli Lilly And Company Injection device with priming arrangement
WO2018224644A1 (en) 2017-06-08 2018-12-13 Novartis Ag Injection device and injection solution transferring system
CA3067225A1 (en) 2017-06-16 2018-12-20 Credence Med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yringe
KR102695555B1 (ko) 2017-12-13 2024-08-19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정밀 도즈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1520890A (ja) 2018-04-11 2021-08-26 サノフイSanofi 薬物送達デバイス
USD898900S1 (en) 2018-10-03 2020-10-13 Eli Lilly And Company Drug delivery device
CN109172952B (zh) * 2018-10-08 2023-09-26 东曜药业有限公司 注射器以及用于注射器的辅助定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18177A (zh) 2024-10-01
CN118718178A (zh) 2024-10-01
CA3140160A1 (en) 2020-12-10
CN113966240A (zh) 2022-01-21
BR112021024137A2 (pt) 2022-02-08
CL2021003018S1 (es) 2022-06-17
US20220370721A1 (en) 2022-11-24
CL2021003019S1 (es) 2022-06-17
CL2023002857A1 (es) 2024-04-26
US11439758B2 (en) 2022-09-13
CN118718180A (zh) 2024-10-01
CN118767254A (zh) 2024-10-15
CL2023002860A1 (es) 2024-04-26
CO2021017982A2 (es) 2022-01-17
WO2020247686A1 (en) 2020-12-10
US20210330887A1 (en) 2021-10-28
TWD215156S (zh) 2021-11-11
SG11202112640PA (en) 2021-12-30
CL2023002855A1 (es) 2024-04-26
MX2021014622A (es) 2022-01-06
CL2023002856A1 (es) 2024-04-26
PE20220910A1 (es) 2022-05-30
EP3886946A1 (en) 2021-10-06
CN118767255A (zh) 2024-10-15
US20220160968A1 (en) 2022-05-26
JP2022535558A (ja) 2022-08-09
CL2021003227A1 (es) 2022-08-05
CL2023002852A1 (es) 2024-04-26
CL2020003174S1 (es) 2021-04-23
CN118718179A (zh) 2024-10-01
AU2020289563A1 (en) 2022-01-20
IL288466A (en) 2022-01-01
CN118718181A (zh) 2024-10-01
CN113966240B (zh) 2024-08-13
MA54325A (fr) 2022-05-11
CL2023002861A1 (es) 2024-04-26
TW202120137A (zh) 2021-06-01
PE20240329A1 (es) 2024-02-27
CL2023002858A1 (es) 2024-04-26
WO2020247686A4 (en) 2021-01-21
CL2023002853A1 (es) 2024-05-03
AR119108A1 (es) 2021-11-24
CL2021003017S1 (es) 2022-06-17
TWD216479S (zh) 2022-01-01
CL2023002862A1 (es)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7462A (ko) 정밀 투여량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7285842B2 (ja) 正確な用量の送達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NL2010649C2 (nl) Intradermale injectie-inrichting.
US8529521B2 (en) Low-dosage syringe
RU2698216C2 (ru) Шток поршня шприца
US20230390109A1 (en) Administration device for in particular intravitreal administration of a fluid
TW202330016A (zh) 以預填充注射器輸送藥劑以減少眼內炎症之方法
EA04814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арианты)
EA04424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для точной доставки дозы
JP2024533296A (ja) 眼内炎症を最小限に抑えるための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による薬の送達方法
KR20230117155A (ko) 특히 유체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EA041108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доставки прецизионной дозы
EA04789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прецизионной дозы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для доставки прецизионной доз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