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29Y1 -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 Google Patents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129Y1 KR200489129Y1 KR2020180003847U KR20180003847U KR200489129Y1 KR 200489129 Y1 KR200489129 Y1 KR 200489129Y1 KR 2020180003847 U KR2020180003847 U KR 2020180003847U KR 20180003847 U KR20180003847 U KR 20180003847U KR 200489129 Y1 KR200489129 Y1 KR 2004891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
- cup
- beverage
- lid
- dispos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음료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내부에 빨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빨대를 꽂아 사용할 필요 없이 뚜껑만 덮게 되면 빨대의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빨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사용된 음료컵을 폐기하는 과정에서도 별도로 빨대를 분리할 필요 없이 빨대가 컵 내부에 완전 수용된 상태로 폐기 가능하게 되는 등 폐기가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beverage cup, and more particularly, a straw is formed inside the cup so that when the lid is covered without using the straw from the outside, the use of the straw can be used. Disposable beverage cups having a straw for very convenient disposal such that the straw can be disposable in a fully accommodated state inside the cup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straw separately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used beverage cup .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회용 음료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내측에 빨대(Straw)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음료컵을 사용함에 있어 별도의 빨대를 꽂아 사용할 필요 없게 하며, 특히 빨대의 안정된 고정 사용과 폐기시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는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beverage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w formed on the inside of a cup,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insert a separate straw in the use of the beverage cup, To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a straw that brings about convenience in disposal.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 음식점이나 커피 전문점에서 테이크 아웃(Take-out)용으로 판매되는 음료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일회용 컵에 담긴 상태로 판매되며, 이러한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에는 내부에 담긴 음료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흔들림에 의해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컵 뚜껑이 덮혀진다.Drinks usually sold for take-out at fast-food restaurants or coffee shops are sold in disposable cups made of paper or plastic. The disposable cups containing these drinks contain The cup lid is covered on its top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splashing out by foreign substances or shaking.
이와 같이 컵에 덮혀지는 컵 뚜껑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며, 사용자가 컵 뚜껑을 컵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아도 컵 내부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cup lid thus covered with the cup is gener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n outlet hole for allowing the user to drink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without removing the cup lid from the cup.
이러한 유출공은 빨대를 꽂아 음료를 음용하게 하거나 혹은 컵 뚜껑에 입술을 대고 컵의 내부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대부분 빨대를 꽂아 사용함으로 음료의 흘림 없이 안정적인 음용이 가능하게 한다.These spouts allow drinking straws to be inserted by drinking straws, or drinking beverages that are placed inside the cups by putting lips on the lid of the cups, but most of the straws are inserted so that stable drinking is possible without the leakage of beverag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료컵의 경우 빨대를 사용시에는 반드시 별도의 빨대를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꽂아 사용하게 되는 것인바, 별도의 빨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사용시에도 빨대의 유동으로 인해 컵으로부터 이탈 되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특히 사용 후 음료컵을 폐기시 빨대를 별도로 분리 폐기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beverage cup, when the straw is used, a separate straw must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flow hole, and it is inconvenient to have a separate straw. In addition,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straw is separated from the cup and disused.
이에, 상기와 같은 빨대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빨대컵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빨대컵들은 대부분 빨대를 꽂아 사용되는 구조로, 통상의 음료컵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straw as described above, various straw cups have been proposed. However, most of the straw cups are used by plugging the straw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컵의 내부에 빨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빨대를 꽂아 사용할 필요 없이 뚜껑만 덮게 되면 빨대의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빨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straw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up,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straw when the lid is covered without using the straw from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a straw for making it very convenient to use.
또한, 사용된 음료컵을 폐기하는 과정에서도 별도로 빨대를 분리할 필요 없이 빨대가 컵 내부에 완전 수용된 상태로 폐기 가능하게 되는 등 폐기가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a straw for very convenient disposal such that a straw can be disposable in a completely housed state without having to separate a straw even in the process of disposing a used beverage cup, There is a purpose 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음료 수용공간을 갖는 컵과, 컵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뚜껑으로 된 일회용 음료컵에 있어서,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disposable beverage cup comprising a cup having a beverage receiv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beverage and a lid for covering the top of the cup,
컵의 음료 수용공간에는 음료의 흡입 음용이 가능하도록 빨대가 형성되고,In the beverage receiving space of the cup, a straw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drink and drink,
뚜껑에는 컵의 상단을 덮을시 빨대와 결합되어 음료의 배출이 가능한 관통형 배출관이 형성되게 구성하되The lid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discharge pip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straw when the top of the cup is covered,
배출관은,In addition,
뚜껑을 상,하로 돌출 및 관통되게 구성하되,Wherein the lid is configured to protrude and penetrate upwardly and downwardly,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에 물고 흡입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입부를 이루고, 하부에는 빨대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빨대 결합부를 이루게 구성하여,A suction portion for allowing a user to apply suction force to the mouth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straw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o insert the upper end of the straw,
뚜껑을 덮을시 빨대 결합부를 통해 컵에 형성되는 빨대와 연결되어 흡입부를 통해 음료의 흡입 음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nd the straw can be connected to the straw formed in the cup through the straw coupling portion when the lid is covered, so that the beverage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ion.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은, 컵의 바닥에 빨대가 형성되게 구성되고, 뚜껑을 덮을시 뚜껑과 빨대가 결합되게 구성된 것인바, 외부에서 빨대를 꽂아 사용할 필요 없으며, 특히 빨대의 유동이 방지되어 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완전 방지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raw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lid and the straw are combined when the lid is cover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very convenient effect such that the flow is prevented and the separation from the cup is completely prevented.
또한, 사용된 음료컵을 폐기함에 있어, 빨대를 빼내어 폐기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빨대가 컵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의 폐기가 가능하게 되는 등 그 폐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Further, in disposing the used beverage cup, it is possible to easily dispose of the straw in a state in which the straw is housed inside the cup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straw and to dispose of the straw.
도 1은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
Figure 6 is a use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1)은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음료 수용공간(110)을 갖는 컵(100)과, 컵(100)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뚜껑(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이때, 본 고안에서는 먼저, 상기 컵(100)에는 음료 수용공간(110)에 형성되어 음료의 흡입 음용이 가능하게 하는 빨대(120)가 구성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빨대(120)를 컵(100)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빨대(120)는 음료 수용공간(110)에서 컵(100)과 일체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빨대(120)는 음료 수용공간(110)에서 컵(100)의 내측 벽면에 일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The
이때, 빨대(120)는 그 하단은 음료 수용공간(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구성되고, 상단은 컵(100)의 상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빨대(120)는 컵(100)과 분리되게 구성하여 사용시 음료 수용공간(110)에서 컵(100)과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컵(100)의 내측벽과 연결되는 음료 수용공간(110)의 바닥 일측에는 상부로 수직 돌출되는 빨대 결합관(130)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빨대 결합관(130)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빨대(120)가 거치되는 빨대 거치턱(130a)이 형성된다.4, a
그리고, 빨대 결합관(130)의 둘레에는 음료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131)(131')이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통공(131)(131')은 빨대 거치턱(130a)의 하부에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A plurality of through
이에, 빨대(120)는 사용시 그 하단이 빨대 결합관(130)에 삽입 및 빨대 거치턱(130a)에 거치 결합되게 구성되며, 결합되는 빨대(120)의 상단은 컵(100)의 상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결합된 빨대(120)에 흡입력을 부여시 음료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음료가 통공(131)(131')을 통해 빨대(120)로 유입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본 고안에서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뚜껑(200)에는 컵(100)을 덮어 마감하는 과정에서 상기 빨대(120)와 연결되어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배출관(220)이 더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때, 배출관(220)은 뚜껑(200)의 일측에서 상,하로 돌출되는 한편,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그 돌출되는 상부는 사용자가 입에 물고 흡입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입부(221)를 이루게 구성된다.Therefore, the protruding upper portion is a portion in which the user can grasp the mouth and give a suction force And the
그리고, 돌출되는 하부는 상기 컵(100)에 형성되는 빨대(120)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빨대 결합부(222)를 이루게 구성된다.The protruding lower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a
이에, 뚜껑(200)은 컵(100)의 상단을 덮어 음료 수용공간(110)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빨대(120)의 상단이 빨대 결합부(222)에 결합되어 빨대(120)와 배출관(220)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tra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1)은, 음료를 수용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빨대를 외부로부터 삽입 사용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뚜껑만의 결합으로 빨대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빨대(120)가 컵(100)에 일체 구성시에는 음료 수용공간(110)에 음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뚜껑(200)을 덮게 되면, 그 뚜껑(200)의 하부로 돌출된 빨대 결합부(222)에 빨대(120)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게 되는 것인바, 빨대(120)와 배출관(220)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빨대컵(1)을 이루게 된다.5, when the
이에, 사용자는 배출관(220)의 흡입부(221)를 통해 흡입력을 부여하게 되면 음료 수용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여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배출관(220)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빨대(120)로 전달되게 되며, 이에 빨대(120)의 하단과 음료 수용공간(110)의 바닥과의 이격홈을 통해 음료가 빨대(120)로 유입 및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 가능하게 된다.When the suction force is given to the user through the
또한,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1)을 구성함에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빨대(120)를 컵(100)과 분리 구성하여 결합사용시에는, 도 6을 참조하여 빨대(120)는 그 하단을 컵(100)의 빨대 결합관(130)에 삽입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4, when the
이에, 음료 수용공간(110)에 음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뚜껑(200)을 덮게 되면, 그 뚜껑(200)의 하부로 돌출된 빨대 결합부(222)에 빨대(120)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게 되는 것인바, 빨대(120)와 배출관(220)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하나의 빨대컵(1)을 이루게 된다.When the
이에, 사용자는 배출관(220)의 흡입부(221)를 통해 흡입력을 부여하게 되면 음료 수용공간(110)의 음료를 배출하여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배출관(220)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빨대(120)로 전달되게 되며, 이에 빨대(120)의 하단이 결합된 빨대 결합관(130)에 형성된 통공(131)(131')을 통해 음료가 빨대(120)로 유입 및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 가능하게 된다.When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은, 컵의 내부에 빨대가 형성되며, 뚜껑을 덮어 컵을 마감시 그 빨대와 뚜껑이 연결 사용되게 되는 것인바, 음료컵을 사용함에 있어 별도의 빨대를 꽂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된 음료컵을 폐기하는 과정에서도 빨대가 컵에 수용된 상태로 폐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폐기가 매우 편리하면서도 부피의 축소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osable beverage cup having the inventive straw has a straw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up, and when the cup is closed, the straw and the li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straws, so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In the process of disposing of the used beverage cups, the straw can be disposable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up. .
100 : 컵 110 : 음료 수용공간
120 : 빨대 130 : 빨대 결합관
130a : 빨대 거치턱 131,131' : 통공
200 : 뚜껑 220 : 배출관
221 : 흡입부 222 : 빨대 결합부100: cup 110: beverage receiving space
120: straw 130: straw coupling tube
130a:
200: lid 220: discharge pipe
221: suction part 222: straw coupling part
Claims (3)
음료 수용공간(110) 내부에는 음료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음료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태로 컵(100)의 내측 벽면에 일체 형성되게 구성하되,하단은 음료 수용공간(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구성하며, 컵(100)의 상단에 뚜껑(200)을 덮을시 빨대(120)의 상단이 빨대 결합홈(222)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되는 빨대(120)가 형성되고,
뚜껑(200)에는 빨대(120)와 대응되어 컵(100)의 상단을 덮을시 빨대(120)와 결합되어 음료의 배출이 가능한 관통형 배출관(220)이 형성되게 구성하되,
배출관(220)은,
뚜껑(200)을 상,하로 돌출 및 관통되게 구성하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에 물고 흡입력을 부여할 수 있는 흡입부(221)를 이루고, 하부에는 빨대(120)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는 빨대 결합부(222)를 이루게 구성하여,
뚜껑(200)을 덮을시 빨대 결합부(222)를 통해 컵(100)에 형성되는 빨대(120)와 연결되어 흡입부(221)를 통해 음료의 흡입 음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빨대(120)는,
컵(100)과 분리되게 구성하여 사용시 음료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상태로 컵(100)에 결합 사용되게 구성하되,
컵(100)의 내측벽과 연결되는 음료 수용공간(110)의 바닥 일측에는 둘레에 다수의 통공(131)(13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빨대 거치턱(130a)가 형성된 빨대 결합관(130)이 돌출되게 구성하여,
빨대(120)의 하단이 빨대 결합관(130)에 삽입 결합되고, 결합되는 빨대(120)의 상단은 컵(100)의 상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하며,
컵(100)의 상단에 뚜껑(200)을 덮을시 빨대(120)의 상단이 빨대 결합홈(222)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A disposable beverage cup comprising a cup (100) having a beverage receiving space (110) capable of receiving a beverage and a lid (200) covering the top of the cup (100)
The beverag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to be capable of allowing the beverage to flow therethrough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up 100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accommodating space 110, A straw 120 is formed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w 120 is inserted into the straw engagement groove 222 when the lid 200 is covered on the upper end of the cup 100,
The lid 200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discharge pipe 220 corresponding to the straw 120 and coupled with the straw 120 when the upper end of the cup 100 is covered,
The discharge tube (220)
The lid 200 is configured to protrude and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And a straw engaging portion 22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raw engaging portion 222 to receive the upper end of the straw 120,
The straw 200 is connected to the straw 120 formed in the cup 100 through the straw engaging part 222 so that the drink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221;
The straw (120)
And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cup 100 and coupled to the cup 100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receiving space 110 during u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nd 131 'are formed in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beverage receiving space 110 connected to the inner side wall of the cup 100 and a straw coupling pipe 130 are protruded,
The lower end of the straw 120 is inserted into the straw coupling pipe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w 120 is protrud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0,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traw (120) is inserted into the straw engagement groove (222) when the lid (200) is covered on the upper end of the cup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847U KR200489129Y1 (en) | 2018-08-17 | 2018-08-17 |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847U KR200489129Y1 (en) | 2018-08-17 | 2018-08-17 |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129Y1 true KR200489129Y1 (en) | 2019-05-03 |
Family
ID=6653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3847U KR200489129Y1 (en) | 2018-08-17 | 2018-08-17 |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12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3096B1 (en) | 2022-01-13 | 2023-02-23 | 신병식 | beverage package box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0639U (en) * | 1992-06-10 | 1994-11-15 | 宗一 駒 | Beverage container with a straw |
KR20030022209A (en) * | 2003-02-05 | 2003-03-15 | 이정민 | Beverage vessel with straw included |
JP2009007064A (en) * | 2007-06-28 | 2009-01-15 | Tetsuo Kosugi | Straw integrated pet bottle structure |
KR200474817Y1 (en) | 2014-01-28 | 2014-10-15 | 송희준 | Take-out cup |
KR101485171B1 (en) | 2013-05-29 | 2015-01-23 | 주식회사 아이엔피 | Straw Cup having valve for inserting straw |
-
2018
- 2018-08-17 KR KR2020180003847U patent/KR200489129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0639U (en) * | 1992-06-10 | 1994-11-15 | 宗一 駒 | Beverage container with a straw |
KR20030022209A (en) * | 2003-02-05 | 2003-03-15 | 이정민 | Beverage vessel with straw included |
JP2009007064A (en) * | 2007-06-28 | 2009-01-15 | Tetsuo Kosugi | Straw integrated pet bottle structure |
KR101485171B1 (en) | 2013-05-29 | 2015-01-23 | 주식회사 아이엔피 | Straw Cup having valve for inserting straw |
KR200474817Y1 (en) | 2014-01-28 | 2014-10-15 | 송희준 | Take-out cu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3096B1 (en) | 2022-01-13 | 2023-02-23 | 신병식 | beverage package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76783B2 (en) |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 |
US9010238B2 (en) | Tea-maker having a closable pouring spout | |
US9723942B2 (en) |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 |
CN109247018B (en) | Accompanying cup with additive storage space | |
JP4662970B2 (en) | Beverage server | |
US8657148B2 (en) |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 |
US5109995A (en) | Beverage drinking set with straw holder | |
KR101450181B1 (en) | Cup lid for mounting of the capsule | |
KR200489129Y1 (en) | Disposable drinking cup with straw | |
JP5896980B2 (en) | Sealed container | |
JP3212760U (en) | pot | |
JP2013209150A (en) | Cup-shaped container | |
KR102212090B1 (en) | Tumbler with straw | |
AU2014336211B2 (en) | Lid for drinking vessel | |
KR200489447Y1 (en) | Disposable vessel | |
KR101391783B1 (en) | Double cup | |
KR102607335B1 (en) | The assembled one-touch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 |
JP3821127B2 (en) | Direct-in / direct-out containers | |
JP3804663B2 (en) | Liquid container | |
KR20090000674U (en) | A tumbler with filter net container | |
JP2016135263A (en) | Sealed container | |
JP2004131129A (en) | Hybrid bottle | |
KR200331944Y1 (en) | A teacup having a filter | |
JP3139066U (en) | Beverage server | |
KR200359571Y1 (en) | The art of ceremonial tea-making table which has a water custody sp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