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016B1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0016B1 KR102520016B1 KR1020180013611A KR20180013611A KR102520016B1 KR 102520016 B1 KR102520016 B1 KR 102520016B1 KR 1020180013611 A KR1020180013611 A KR 1020180013611A KR 20180013611 A KR20180013611 A KR 20180013611A KR 102520016 B1 KR102520016 B1 KR 102520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blocking groove
- base substrate
- layer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는 베이스 기판, 유기발광소자, 및 봉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모듈 홀, 제1 차단 홈 및 제2 차단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홀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차단 홈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을 둘러쌀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과 상기 제2 차단 홈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차단 홈 외부의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써, 최근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진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를 안정적으로 차단할수록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오염의 유입이 방지된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유기발광소자, 및 봉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유기발광 소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모듈 홀, 제1 차단 홈, 및 제2 차단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홀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홈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모듈 홀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 홈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제1 차단 홈을 둘러싸고, 상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과 상기 제2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과 상기 제1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3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제1 차단 홈의 내부, 상기 제2 차단 홈의 내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에 배치된 유기막,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유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 내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제1 베이스 층, 제1 배리어 층, 제2 베이스 층, 및 제2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층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리어 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층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층과 상기 제1 배리어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리어 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층 및 상기 제1 배리어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홀은 상기 제1 베이스 층, 상기 제2 베이스 층, 상기 제1 배리어 층, 및 상기 제2 배리어 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차단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배리어 층 및 상기 제2 베이스 층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은, 상기 제1 배리어 층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1 배리어 층의 관통부와 중첩하여 상기 제2 베이스 층에 정의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너비는 상기 제1 배리어 층의 관통부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봉재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봉지 부재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2 차단 홈과 접하여 상기 제2 차단 홈을 둘러싸는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서브 영역 외곽의 제2 서브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서브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모듈 홀, 제1 차단 홈, 및 제2 차단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홀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홈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 홈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모듈 홀에 수용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과 상기 제2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은 음성 출력 모듈, 촬영 모듈, 및 수광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유기발광소자, 및 봉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유기발광 소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모듈 홀 및 차단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홀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차단 홈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모듈 홀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과 상기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에 의한 소자 등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및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에 상부 필름을 부착한 후 제거하더라도, 차단 홈들 사이의 영역에서 표시 패널의 상부 무기막이 제거될 염려가 없어 외부 산소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모듈 홀, 제1 차단 홈, 및 제2 차단 홈과 그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와 상부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7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모듈 홀, 제1 차단 홈, 및 제2 차단 홈과 그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와 상부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7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E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D)는 전면에 이미지(IM)를 표시하는 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다. 표시면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베젤 영역(BZA)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ED)는 표시 영역(DA)에 이미지(IM)를 표시한다. 도 1에서 이미지(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이 도시되었다. 표시 영역(D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 영역(D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Z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전자장치(ED)의 두께 방향(DR3, 이하, 제3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장치(ED)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 부재(200), 전자 모듈(300), 및 하우징 부재(4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D), 제1 전자모듈(EM1), 제2 전자 모듈(EM2), 및 전원공급 모듈(P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표시 모듈(DD)은 표시 패널(100) 및 터치 감지 유닛(TS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이미지(IM)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10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 패널(100)은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하는 터치 감지 유닛(TSU)은 생략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 유닛(TSU)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도 2에서 터치 감지 유닛(TSU)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IM)가 생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이미지(IM)를 생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주변 영역(NDA)에는 표시 영역(D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 중 주변 영역(NDA)의 일부는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영역(NDA) 중 일부는 전자 장치(ED)의 전면을 향하고 주변 영역(NDA)의 다른 일부는 전자 장치(ED)의 배면을 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 주변 영역(NDA)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되는 모듈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부(PA)는 전자 모듈(3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모듈부(PA)는 모듈 홀(MH) 및 차단 홈(BR)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홀(MH)은 표시패널(100)을 관통한다. 모듈 홀(MH)은 제3 방향(DR3)에서의 높이를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 홀(MH)은 전자 모듈(300)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은 모듈 홀(MH)을 포함함으로써 박형의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차단 홈(BR)은 모듈 홀(MH)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차단 홈(BR)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 홈(BR)은 평면상에서 모듈 홀(MH)을 에워싸는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 홈(BR)은 모듈 홀(MH)을 에워싸는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 홈(BR)은 제1 차단 홈(BR1) 및 제2 차단 홈(BR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홀(MH)과 차단 홈(B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윈도우 부재(200)는 전자장치(ED)의 전면을 제공한다. 윈도우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200)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200)는 다층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2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지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 부재(200)는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의 전면과 중첩한다.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이미지(IM)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ND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D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에 있어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0)는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0)는 전자장치(ED)의 배면을 제공한다. 하우징 부재(400)는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표시 패널(100), 전자 모듈(300), 및 도 3에 도시된 각종 구성들은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0)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400)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400)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자 장치(ED)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전자 모듈(300)은 전자장치(E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전자 모듈(300)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모듈(EM1)은 표시 모듈(D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26), 영상입력 모듈(35), 음향입력 모듈(40), 메모리(50), 및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DD)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DD)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35)이나 음향입력 모듈(40)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6)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6)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6)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4)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5)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5)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DD)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60)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70),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D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70)은 무선통신 모듈(26)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80)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80)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90)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모듈(300)은 특히 제2 전자 모듈(EM2)의 구성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 중 나머지 구성들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미 도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모듈(300)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구성하는 모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0), 박막 소자층(20), 및 표시 소자층(3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0), 박막 소자층(20), 및 표시 소자층(3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0)은 제1 베이스 층(11), 제1 배리어 층(12), 제2 베이스 층(13), 및 제2 배리어 층(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층(11)은 베이스 기판(10)의 하부층을 구성한다. 제1 베이스 층(11)의 배면은 베이스 기판(10)의 배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층(11)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절연층일 수 있다. 제1 베이스 층(11)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층(11)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또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은 베이스 기판(10)의 상부층을 구성한다. 제1 배리어 층(12)의 전면은 베이스 기판(10)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절연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비정질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층(13) 및 제2 배리어 층(14)은 제1 베이스 층(11)과 제1 배리어 층(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층(13)은 제1 베이스 층(1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14)은 제1 배리어 층(1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층(11), 제2 베이스 층(13), 제1 배리어 층(12), 및 제2 배리어 층(14)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과 제2 배리어 층(14)은 각각 제2 베이스 층(13)과 제1 베이스 층(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과 제2 배리어 층(14) 각각은 제1 베이스 층(11)과 제2 베이스 층(13)을 통해 투과되는 외부 수분이나 산소를 차단할 수 있다.
박막 소자층(20)은 베이스 기판(10) 상에 배치된다. 박막 소자층(20)은 복수의 절연층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 절연층들 각각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들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21, 22, 23)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 패턴(SL), 제어 전극(CE),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제어 전극(CE)을 통해 반도체 패턴(SL)에서의 전하 이동을 제어하여 입력 전극(IE)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전극(OE)을 통해 출력한다.
제1 절연층(21)은 반도체 패턴(SL)과 제어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전극(CE)은 반도체 패턴(SL)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제어 전극(CE)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턴(SL)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22)은 제어 전극(CE)과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전극(IE)과 출력 전극(OE)은 제2 절연층(22) 상에 배치된다. 입력 전극(IE)과 출력 전극(OE)은 제1 절연층(21) 및 제2 절연층(22)을 관통하여 반도체 패턴(SL)에 각각 접속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은 반도체 패턴(SL)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제3 절연층(23)은 제2 절연층(22) 상에 배치된다. 제3 절연층(23)은 박막 트랜지스터(TR)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절연층(23)은 박막 트랜지스터(TR)와 표시 소자층(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표시 소자층(30)은 유기발광소자(OD)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한다. 절연층들은 제4 절연층(31) 및 봉지 부재(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31)은 제3 절연층(23) 상에 배치된다. 제4 절연층(31)에는 복수의 개구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 각각에는 유기발광소자(OD)가 제공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발광층(EL), 및 전하 제어층(OL)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박막 소자층(2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23)을 관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들은 개구부들 각각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제4 절연층(31)에 중첩하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D)가 복수로 제공될 때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들(ED)의 제2 전극(E2)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E2)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패터닝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전극(E2)은 개구부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발광층(EL)은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다. 발광층(EL)은 복수로 제공되어 개구부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D)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발광층(EL)을 활성화시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전하 제어층(OL)은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다. 전하 제어층(OL)은 발광층(EL)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하 제어층(OL)은 발광층(EL)과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하 제어층(OL)은 발광층(EL)과 제1 전극(E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발광층(EL)을 사이에 두고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되는 복수의 층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하 제어층(OL)은 별도의 패터닝 공정 없이 베이스 기판(10) 전면에 중첩하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하 제어층(OL)은 제4 절연층(31)에 형성된 개구부들 이외의 영역에도 배치된다.
봉지 부재(TE)는 유기발광소자(OD) 상에 배치된다. 봉지 부재(TE)는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봉지 부재(TE)는 제1 무기막(32), 유기막(33), 및 제2 무기막(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 각각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 각각은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탄화물, 티타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및 아연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33)은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막(33)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유기막(33)은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및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 각각은 유기막(33)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은 일부 영역에서는 유기막(33)을 사이에 두고 제3 방향(DR3)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0)은 댐부(D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부(DMP)는 표시 영역(DA: 도 2 참조)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댐부(DMP)는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댐부(DMP)는 제1 댐(DM1) 및 제2 댐(D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DM1)은 제3 절연층(2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DM1)은 제3 절연층(23)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절연층(23)과 동일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DM2)은 제1 댐(DM1) 상에 적층된다. 제2 댐(DM2)은 제4 절연층(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댐(DM2)은 제4 절연층(31)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절연층(31)과 동일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댐부(DMP)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댐부(DMP)는 유기막(3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유기물질이 퍼지는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유기막(33)은 액상의 유기물질을 잉크젯 방식으로 제1 무기막(32) 상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댐부(DMP)는 액상의 유기물질이 배치되는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고, 액상의 유기물질이 댐부(DMP) 외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모듈 홀(MH) 및 차단 홈(BR)이 정의된 영역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모듈 홀(MH)은 제3 방향(DR3)을 따라 표시 패널(100)을 관통한다. 모듈 홀(MH)이 표시 영역(DA) 내에 정의됨에 따라, 모듈 홀(MH)은 베이스 기판(10)은 물론 표시 영역(DA)을 구성하는 층들의 일부를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모듈 홀(MH)은 베이스 기판(10)을 관통한다. 모듈 홀(MH)의 내면(10-EG_H)은 복수의 층들의 끝 단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층(11), 제1 배리어 층(12), 제2 베이스 층(13), 및 제2 배리어 층(14)에는 제1 베이스 층의 끝 단(11-E), 제1 배리어 층의 끝 단(12-E), 제2 베이스 층의 끝 단(13-E), 및 제2 배리어 층의 끝 단(14-E)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모듈 홀(MH)은 표시 영역(DA)을 구성하는 층들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한다. 예를 들어, 모듈 홀(MH)은 제1 절연층(21), 전하 제어층(OL),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절연층(21), 전하 제어층(OL),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에는 제1 절연층의 끝 단(21-E), 전하 제어층의 끝 단(OL-E), 제1 무기막의 끝 단(32-E), 및 제2 무기막의 끝 단(34-E)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층의 끝 단(11-E), 제1 배리어 층의 끝 단(12-E), 제2 베이스 층의 끝 단(13-E), 제2 배리어 층의 끝 단(14-E), 제1 절연층의 끝 단(21-E), 전하 제어층의 끝 단(OL-E), 제1 무기막의 끝 단(32-E), 및 제2 무기막의 끝 단(34-E)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홀(MH)은 제3 방향(DR3)을 따른 높이를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모듈 홀(MH)을 정의하는 각 층들의 끝 단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 홈(BR)은 제1 차단 홈(BR1) 및 제2 차단 홈(BR2)을 포함한다. 평면상에서, 제1 차단 홈(BR1)은 모듈 홀(MH)을 둘러싸고, 제2 차단 홈(BR2)은 제1 차단 홈(BR1)을 둘러싼다. 모듈 홀(MH), 제1 차단 홈(BR1), 및 제2 차단 홈(BR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 홈(BR)은 제2 차단 홈(BR2)과 이격되고 제2 차단 홈(BR2)을 둘러싸는 복수의 차단 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차단 홈(BR1) 및 제2 차단 홈(BR2)의 단면상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차단 홈(BR1)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 차단 홈(BR2)의 형상은 제1 차단 홈(BR1)과 관련된 설명에 따른다.
제1 차단 홈(BR1)은 베이스 기판(10)의 전면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단 홈(BR1)은 베이스 기판(10)의 전면은 관통하나 배면은 관통하지 않는다.
제1 차단 홈(BR1)은 베이스 기판(1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 홈(BR1)은 제1 배리어 층(12) 및 제2 베이스 층(13)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차단 홈(BR1)은 제1 배리어 층(12) 및 제2 베이스 층(13)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베이스 층(13)은 일부가 제거되고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차단 홈(BR1)에 의해 제1 베이스 층(11) 및 제2 배리어 층(14)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이스 층(11) 하부에서 유입되는 산소나 수분은 제2 배리어 층(14)에 의해 제1 차단 홈(BR1)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단 홈(BR1)은 베이스 기판(10)에 정의되며 언더 컷된 형상을 가진 내면을 포함한다. 제1 차단 홈(BR1)은 함몰부(13-RC) 및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단 홈(BR1)은 제1 배리어 층의 관통부(12-OP)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3-RC)는 제2 베이스 층(13)에 정의된다. 함몰부(13-RC)는 제2 베이스 층(13)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13-RC)는 평면(PP), 제1 측면(W1), 및 제2 측면(W2)을 포함한다. 한편,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제1 측면(W1)과 제2 측면(W2)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제1 측면(W1)과 제2 측면(W2)은 연결된 일체의 면일 수 있다.
평면(PP)은 제2 베이스 층(13)의 전면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함몰된 면일 수 있다. 평면(PP)은 제2 베이스 층(13)의 배면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평면(PP)은 제2 배리어 층(14)의 상면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측면(W1)과 제2 측면(W2) 각각은 평면(PP)에 연결된다. 제1 측면(W1)과 제2 측면(W2) 각각은 평면(PP)으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함몰부(13-RC) 내에서 제1 측면(W1)과 제2 측면(W2) 각각이 평면(PP)과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상일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의 관통부(12-OP)과 함몰부(13-RC)는 언더컷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리어 층(12)은 제2 베이스 층의 관통부(13-OP)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은 함몰부(13-RC)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함몰부(13-RC)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제1 방향(DR1)으로 제1 배리어 층(12)의 관통부(12-OP)의 너비(R2)는 제1 방향(DR1)으로 함몰부(13-RC)의 너비(R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베이스 층(13)의 상면과 평행한 위치에서 제1 방향(DR1)으로 측정된 함몰부(13-RC)의 너비는 제2 베이스 층(13)의 하면과 평행한 위치에서 제1 방향(DR1)으로 측정된 함몰부(13-RC)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함몰부(13-RC)는 원뿔 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함몰부(13-RC)는 각뿔 대 또는 타원 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 각각은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이 배치된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은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에 인접한 영역 및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의 내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의 내부는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하 제어층(OL)은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에 인접한 영역에서 단절된 끝 단을 가지며 차단 홈(BR)과 비 중첩할 수 있다. 전하 제어층(OL) 중 차단 홈(BR)에 인접하여 단절된 끝 단은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에 의해 커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 홀(MH)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베이스 기판(10), 박막 소자층(20), 및 표시 소자층(30)은 각각 단절된 끝 단들을 가진다. 단절된 끝 단들은 모듈 홀(MH)을 통해 노출된다. 표시 패널(100)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는 노출된 끝 단들을 통해 베이스 기판(10), 박막 소자층(20), 및 표시 소자층(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홀(MH)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을 정의함으로써, 모듈 홀(MH)로부터 유입되는 산소나 수분의 침투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차단 홈(BR1)은 모듈 홀(MH)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나 수분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제2 차단 홈(BR2)은 2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차단 홈(BR1)은 전하 제어층(OL) 중 모듈 홀(MH)과 제1 차단 홈(BR1) 사이에 배치된 부분과 제1 차단 홈(BR1) 외측에 배치된 부분을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모듈 홀(MH)을 통해 외부 산소나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제1 차단 홈(BR1)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제1 차단 홈(BR1) 외측에 존재하는 박막 소자층(20)이나 표시 소자층(30)의 손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차단 홈(BR2)은 제1 차단 홈(BR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무기막(32) 및 제2 무기막(34)은 모듈 홀(MH)과 제1 차단 홈(BR1) 사이,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 사이,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 내부, 및 제2 차단 홈(BR2) 외측까지 커버한다.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에 인접하여 단절된 유기층들, 예를 들어, 전하 제어층(OL) 은 제1 무기막(32)과 제2 무기막(34)에 의해 커버된다. 이에 따라,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 차단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모듈 홀(MH), 제1 차단 홈(BR1), 및 제2 차단 홈(BR2)과 그 주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에서, 제1 차단 홈(BR1)과 제2 차단 홈(BR2)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AR1)으로 정의되고, 제2 차단 홈(BR2) 외곽의 영역은 제2 영역(AR2)으로 정의되고, 모듈 홀(MH)과 제1 차단 홈(BR1) 사이의 영역은 제3 영역(AR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AR1), 제2 영역(AR2), 및 제3 영역(AR3)은 표시 영역(DA) 내의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AR1)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제1 영역(AR1)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이 모두 배치되지 않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영역(AR2)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R1)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1 거리(T1)은 제2 영역(AR2)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2 거리(T2) 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봉지 부재(TE)가 형성된 표시 패널(100)에서, 제1 영역(AR1)의 표시 패널(100)의 두께는 제2 영역(AR2)의 표시 패널(100)의 두께 보다 작다.
또한, 제3 영역(AR3)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영역(AR3)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3 거리(T3)은 제2 영역(AR2)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2 거리(T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영역(AR3)에서 표시 패널(100)의 층 구조는 제1 영역(AR1)의 층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제3 영역(AR3)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이 모두 배치되지 않을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8은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와 상부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상부 필름(UP)이 부착될 수 있다. 상부 필름(UP)은 봉지 부재(TE)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필름(UP)과 봉지 부재(TE)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필름(UP)은 상부 필름(UP) 하부의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필름(UP)은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 등의 후속 공정이 진행되기 전까지 하부의 구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최종적인 제품에서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부 필름(UP)은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상부 필름(UP)은 봉지 부재(TE)와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필름(UP)을 제거함에 따라 봉지 부재(TE)의 최상부층인 제2 무기막(34)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만일, 제1 차단 홈(BR1)과 제2 차단 홈(BR2) 사이의 제1 영역(AR1)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가 제2 차단 홈(BR2) 외곽의 제2 영역(AR2)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상부 필름(UP)은 제2 영역(AR2)에서 제2 무기막(34)과 접촉할 뿐만 아니라, 제1 영역(AR1)에서도 제2 무기막(34)과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부 필름(UP)을 제거함에 따라 제1 영역(AR1)에서 제2 무기막(34)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2 차단 홈(BR2)이 외부 산소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박막 소자층(20)이나 표시 소자층(30)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모듈 홀(MH)과 제1 차단 홈(BR1) 사이의 제3 영역(AR3)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가 제2 영역(AR2)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 내에서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제1 영역(AR1) 및 제3 영역(AR3)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또는 높이)를 제2 영역(AR2)에서 표시 패널(100)의 두께(또는 높이) 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 상부 필름(UP)을 부착하더라도, 상부 필름(UP)은 제2 영역(AR2)에서 제2 무기막(34)에 접착될 뿐 제1 및 제3 영역들(AR1, AR3)에서 제2 무기막(34)과 접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속 공정에서 상부 필름(UP)이 제거되더라도 제1 및 제3 영역들(AR1, AR3)에서 제2 무기막(34)의 일부가 제거될 염려가 없어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에 의해 외부 산소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표시 패널(100)에서, 제2 영역(AR2) 내에 제1 서브 영역(SA1) 및 제2 서브 영역(SA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SA1)은 제2 차단 홈(BR2)와 접하여 제2 차단 홈(BR2)을 둘러싸는 영역이고, 제2 서브 영역(SA2) 외곽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SA1)에서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진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영역(SA1)에서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과 제2 무기막(34) 사이의 거리는 제2 서브 영역(SA2)에서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과 제2 무기막(34) 사이의 거리에 비해 작다. 제1 서브 영역(SA1)에서 제2 무기막(34)과 상부 필름(UP)은 접촉하지 않고, 제2 서브 영역(SA2)에서 제2 무기막(34)과 상부 필름(UP)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필름(UP)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제거될 때, 제1 서브 영역(SA1)에 배치된 제2 무기막(34)이 제2 서브 영역(SA2)에서 제2 무기막(34)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2 서브 영역(SA2)에서 제2 무기막(3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제2 영역(AR2) 전체적으로 제2 무기막(34)이 상부 필름(UP)과 접착된 비교예에 비해 제2 무기막(3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7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영역(SA1)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서브 영역(SA1)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재 부재(TE)의 유기막(33)이 모두 배치되지 않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서브 영역(SA2) 내에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재 부재(TE)의 유기막(33)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영역(SA1)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4 거리(T4)는 제2 서브 영역(SA2)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5 거리(T5)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상부 필름(UP)이 표시 패널(100-1)의 상부에 부착된 후 제거될 때, 제1 서브 영역(SA1)에서 제2 무기막(34)이 제거되거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박막 소자층(20)이나 표시 소자층(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는 모듈부들(PA1, PA2, PA3)의 평면 형상들을 도시하였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모듈부들(PA1, PA2, PA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부(PA1)는 모듈 홀(MH-S1) 및 제1 차단 홈(BR_S11), 및 제2 차단 홈(BR_S1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홀(MH-S1)은 평면상에서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홀(MH-S1)은 사각형으로 도시되었다. 이때, 모듈 홀(MH-S1)은 다각 기둥 형상으로 구현된다.
제1 차단 홈(BR_S11)은 모듈 홀(MH-S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1 차단 홈(BR_S11)은 모듈 홀(MH-S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단 홈(BR_S11)은 모듈 홀(MH-S1)을 에워싸는 사각 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차단 홈(BR_S12)은 제1 차단 홈(BR_S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2 차단 홈(BR_S12)은 제1 차단 홈(BR_S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단 홈(BR_S12)은 제1 차단 홈(BR_S11)을 에워싸는 사각 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부(PA2)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모듈 홀(MH_S2) 및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_S21, BR_S2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홀(MH_S2)은 평면상에서 원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모듈 홀(MH_S2)은 도 4에 도시된 모듈 홀(MH)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차단 홈(BR_S21)은 모듈 홀(MH_S2)과 상이한 평면상에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단 홈(BR_S21)은 사각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2 차단 홈(BR_S22)은 모듈 홀(MH_S2)과 상이한 평면상에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차단 홈(BR_S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차단 홈(BR_S22)은 사각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차단 홈(BR_S21) 및 제2 차단 홈(BR_S22)은 모듈 홀(MH_S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듈 홀(MH_S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부(PA3)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모듈 홀(MH_S3) 및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_S31, BR_S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 홈(BR_S31) 및 제2 차단 홈(BR_S32) 각각은 평면상에서 팔각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1 차단 홈(BR_S31)이 모듈 홀(MH_S3)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수록 제1 차단 홈(BR_S31)과 모듈 홀(MH_S3) 사이의 공간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 도 2 참조) 내에 구비되는 모듈부(PA3)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어, 표시 영역(DA)에 미치는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2)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100)과 비교하여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도 4 및 도 5의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표시 패널(100-2)의 베이스 기판(10)에는 모듈 홀(MH)와 차단 홈(BRC)이 제공된다. 모듈 홀(MH) 및 차단 홈(BRC)의 형상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듈 홀(MH) 및 제1 및 제2 차단 홈들(BR1, BR2)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모듈 홀(MH)과 차단 홈(BRC)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AR11)으로 정의되고, 차단 홈(BRC) 외곽의 영역은 제2 영역(AR2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AR11)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6 거리(T6)는 제2 영역(AR22)에서 제2 무기막(34)의 상면과 제1 베이스 층(11)의 하면 사이의 제7 거리(T7) 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봉지 부재(TE)가 형성된 표시 패널(100)에서, 제1 영역(AR11)의 표시 패널(100)의 두께는 제2 영역(AR22)의 표시 패널(100)의 두께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영역(AR11) 내에서 제1 내지 제4 절연층들(21, 22, 23, 31) 및 봉지 부재(TE)의 유기막(33)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표시 패널(100-2)에 상부 필름(UP)을 부착 후 제거 하더라도, 제1 영역(AR11)에서 제2 무기막(34)의 일부가 제거될 염려가 없어 차단 홈(BRC)에 의해 외부 산소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0: 베이스 기판
20: 박막 소자층 30: 표시 소자층
MH: 모듈 홀 BR: 차단 홈
20: 박막 소자층 30: 표시 소자층
MH: 모듈 홀 BR: 차단 홈
Claims (20)
-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 소자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에 배치된 유기막,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하는 모듈 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모듈 홀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차단 홈; 및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제1 차단 홈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제2 차단 홈이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과 상기 제2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고,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차단 홈의 내면 및 상기 제2 차단 홈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과 상기 제1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3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은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유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 내에서 서로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을 정의하는 제1 베이스 층;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배리어 층;
유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층; 및
무기물을 포함하고, 제2 베이스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을 정의하는 제2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홀은 상기 제1 베이스 층, 상기 제2 베이스 층, 상기 제1 배리어 층, 및 상기 제2 배리어 층을 관통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단 홈들 각각은 상기 제2 배리어 층 및 상기 제2 베이스 층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은, 상기 제2 배리어 층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2 배리어 층의 상기 관통부와 중첩하여 상기 제2 베이스 층에 정의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너비는 상기 제2 배리어 층의 상기 관통부의 너비 보다 큰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은 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은 원형 고리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필름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봉재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봉지 부재와 접착된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2 차단 홈과 접하여 상기 제2 차단 홈을 둘러싸는 제1 서브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서브 영역 외곽의 제2 서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서브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서브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은 표시 장치. - 복수의 화소들, 상기 화소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화소들을 커버하는 무기막들 및 유기막을 포함하는 봉지 부재를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하는 모듈 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차단 홈; 및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제2 차단 홈이 제공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모듈 홀에 수용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과 상기 제2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무기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차단 홈의 내면 및 상기 제2 차단 홈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 전자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음성 출력 모듈, 촬영 모듈, 및 수광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차단 홈은 상기 모듈 홀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차단 홈은 상기 제1 차단 홈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 전자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순차 적층된 제1 베이스 층, 제1 배리어 층, 제2 베이스 층, 및 제2 배리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 홈 및 상기 제2 차단 홈 각각은, 상기 제2 배리어 층을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2 배리어 층의 상기 관통부와 중첩하여 상기 제2 베이스 층에 정의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너비는 상기 제2 배리어 층의 상기 관통부의 너비 보다 큰 표시 장치. - 전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 소자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에 배치된 유기막,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 및 상기 배면을 관통하는 모듈 홀; 및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정의되고, 상기 모듈 홀을 둘러싸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차단 홈이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모듈 홀과 상기 차단 홈 사이의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차단 홈 외부의 영역은 제2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의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 보다 작고,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차단 홈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2 무기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611A KR102520016B1 (ko) | 2018-02-02 | 2018-02-02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JP2019015082A JP7229029B2 (ja) | 2018-02-02 | 2019-01-31 | 表示装置 |
US16/265,761 US10553819B2 (en) | 2018-02-02 | 2019-02-01 |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1910106280.7A CN110137370B (zh) | 2018-02-02 | 2019-02-02 | 显示装置和包括其的电子装置 |
US16/780,920 US10957874B2 (en) | 2018-02-02 | 2020-02-04 |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3611A KR102520016B1 (ko) | 2018-02-02 | 2018-02-02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269A KR20190094269A (ko) | 2019-08-13 |
KR102520016B1 true KR102520016B1 (ko) | 2023-04-11 |
Family
ID=6747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3611A KR102520016B1 (ko) | 2018-02-02 | 2018-02-02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0553819B2 (ko) |
JP (1) | JP7229029B2 (ko) |
KR (1) | KR102520016B1 (ko) |
CN (1) | CN11013737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0016B1 (ko) * | 2018-02-02 | 2023-04-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00003328A (ko) | 2018-06-29 | 2020-01-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663905B1 (ko) | 2018-07-31 | 2024-05-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548987B1 (ko) * | 2018-08-09 | 2023-06-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10541380B1 (en) | 2018-08-30 | 2020-01-2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comprising an opening and adjacent grooves |
KR102465374B1 (ko) | 2018-09-12 | 2022-11-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602670B1 (ko) | 2018-10-05 | 2023-11-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200051075A (ko) | 2018-11-02 | 2020-05-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662392B1 (ko) | 2018-11-22 | 2024-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KR20200060002A (ko) * | 2018-11-22 | 2020-05-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0164916B (zh) * | 2018-12-05 | 2021-02-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显示设备及制造显示面板的方法 |
US11818912B2 (en) * | 2019-01-04 | 2023-11-14 | Apple Inc.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s with moisture blocking structures |
KR20200099251A (ko) * | 2019-02-13 | 2020-08-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00113092A (ko) * | 2019-03-21 | 2020-10-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
US12096650B2 (en) * | 2019-03-29 | 2024-09-17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lay device |
KR20200126451A (ko) | 2019-04-29 | 2020-11-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TWI696988B (zh) * | 2019-05-02 | 2020-06-2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面板 |
CN110120462B (zh) * | 2019-05-07 | 2020-09-0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显示模组及电子装置 |
KR20200144628A (ko) * | 2019-06-18 | 2020-12-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00145902A (ko) | 2019-06-19 | 2020-12-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
KR102721171B1 (ko) * | 2019-06-21 | 2024-10-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289687B2 (en) * | 2019-07-04 | 2022-03-29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
KR102720609B1 (ko) * | 2019-07-19 | 2024-10-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CN110265583B (zh) * | 2019-07-26 | 2022-08-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CN110444576B (zh) * | 2019-08-14 | 2022-01-1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装置、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
WO2021036411A1 (zh) * | 2019-08-28 | 2021-03-04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
CN112447924B (zh) * | 2019-08-30 | 2024-03-08 |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制备方法及包括其的显示装置 |
CN112466905B (zh) * | 2019-09-09 | 2023-05-02 |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 有机发光显示面板的制备方法、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
CN110600526B (zh) * | 2019-09-30 | 2021-08-0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0649079B (zh) * | 2019-09-30 | 2021-09-24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
CN110634410A (zh) | 2019-10-21 | 2019-12-31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显示装置 |
CN110718640B (zh) * | 2019-10-22 | 2022-05-2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制备方法和显示装置 |
CN110828690A (zh) * | 2019-10-23 | 2020-02-2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以及制备方法 |
KR20210049253A (ko) * | 2019-10-24 | 2021-05-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0783388B (zh) * | 2019-10-30 | 2022-06-14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1081748A (zh) | 2019-12-27 | 2020-04-28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20210086888A (ko) * | 2019-12-31 | 2021-07-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KR20210086230A (ko) * | 2019-12-31 | 2021-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
KR20210087612A (ko) | 2020-01-02 | 2021-07-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N111326559B (zh) * | 2020-02-28 | 2023-09-2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1725425A (zh) * | 2020-06-11 | 2020-09-2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US11600800B2 (en) * | 2020-07-31 | 2023-03-07 | Innolux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curved profile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recess |
CN111833752B (zh) * | 2020-08-04 | 2022-05-1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面板及电子设备 |
CN112018045B (zh) * | 2020-08-14 | 2022-11-04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 |
KR20220033611A (ko) * | 2020-09-08 | 2022-03-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37550A (ko) * | 2020-09-17 | 2022-03-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220039974A (ko) * | 2020-09-22 | 2022-03-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2968136B (zh) * | 2021-02-04 | 2023-09-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
CN113823668B (zh) * | 2021-09-18 | 2023-11-24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7253A (ja) * | 2002-08-26 | 2004-03-18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有機電子デバイス |
US7928654B2 (en) * | 2003-08-29 | 2011-04-19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0623338B1 (ko) * | 2004-10-21 | 2006-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20060094685A (ko) * | 2005-02-25 | 2006-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US8456586B2 (en) | 2009-06-11 | 2013-06-04 | Apple Inc. |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
KR101097321B1 (ko) * | 2009-12-14 | 2011-12-23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JP2012043583A (ja) * | 2010-08-17 | 2012-03-01 | Sony Corp |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801913B1 (ko) | 2012-03-23 | 2017-1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JP2014119705A (ja) * | 2012-12-19 | 2014-06-30 | Sony Corp | 防湿構造および表示装置 |
KR102116105B1 (ko) * | 2013-07-31 | 2020-05-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 장치 |
KR102218573B1 (ko) * | 2013-09-30 | 2021-02-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102370035B1 (ko) * | 2015-02-05 | 2022-03-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102326069B1 (ko) * | 2015-07-29 | 2021-11-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1733497B1 (ko) | 2015-09-24 | 2017-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427249B1 (ko) * | 2015-10-16 | 2022-08-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57252B1 (ko) * | 2015-11-20 | 2022-10-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0205122B2 (en) * | 2015-11-20 | 2019-02-1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490891B1 (ko) * | 2015-12-04 | 2023-0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47507B1 (ko) * | 2015-12-17 | 2022-09-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407869B1 (ko) * | 2016-02-16 | 2022-06-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
KR102631887B1 (ko) | 2016-02-16 | 2024-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0191577B2 (en) | 2016-02-16 | 2019-0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
KR102421577B1 (ko) * | 2016-04-05 | 2022-07-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103962B1 (ko) | 2016-09-02 | 2020-06-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
KR102520016B1 (ko) * | 2018-02-02 | 2023-04-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8
- 2018-02-02 KR KR1020180013611A patent/KR1025200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31 JP JP2019015082A patent/JP7229029B2/ja active Active
- 2019-02-01 US US16/265,761 patent/US10553819B2/en active Active
- 2019-02-02 CN CN201910106280.7A patent/CN110137370B/zh active Active
-
2020
- 2020-02-04 US US16/780,920 patent/US1095787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269A (ko) | 2019-08-13 |
US20200212353A1 (en) | 2020-07-02 |
US10553819B2 (en) | 2020-02-04 |
JP2019133935A (ja) | 2019-08-08 |
JP7229029B2 (ja) | 2023-02-27 |
CN110137370A (zh) | 2019-08-16 |
CN110137370B (zh) | 2024-08-13 |
US10957874B2 (en) | 2021-03-23 |
US20190245159A1 (en) | 2019-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0016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68721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EP3486962B1 (en) |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083646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955965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input detection unit | |
KR102583898B1 (ko) |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612036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 |
KR102667164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663905B1 (ko) |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11735121B2 (en) | Display apparatus | |
JP7520536B2 (ja) | 超音波感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