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40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40B1
KR100990140B1 KR1020080040928A KR20080040928A KR100990140B1 KR 100990140 B1 KR100990140 B1 KR 100990140B1 KR 1020080040928 A KR1020080040928 A KR 1020080040928A KR 20080040928 A KR20080040928 A KR 20080040928A KR 100990140 B1 KR100990140 B1 KR 10099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
output signal
data bus
bank
sens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924A (ko
Inventor
곽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US12/165,127 priority Critical patent/US7817491B2/en
Priority to TW097125817A priority patent/TWI383395B/zh
Priority to CN2012100305034A priority patent/CN102592654A/zh
Priority to CN2008102114497A priority patent/CN101399073B/zh
Priority to JP2008248341A priority patent/JP2009087525A/ja
Publication of KR2009003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설계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컬럼 제어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택 뱅크 구조에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에 소요되는 회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택 뱅크 구조를 채택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컬럼 제어 블럭의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다수의 스택된 뱅크가 공유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되지 않은 뱅크의 로컬 데이터 버스는 전원전압(VDD) 레벨로 프리차지 되는 것을 이용하여 액티브 된 뱅크의 로컬 데이터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하게 다수의 뱅크에 대한 다중화가 가능하다.
뱅크, 스택, 공통, 글로벌 데이터 버스 드라이버, 공유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설계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컬럼 제어 블럭에 관한 것이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비롯한 대부분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계층적인 데이터 버스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뱅크 영역에는 로컬 데이터 버스를 배치하고 주변회로 영역에 글로벌 데이터 버스를 배치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로컬 데이터 버스 자체도 계층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DRAM의 데이터 버스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뱅크는 다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의 로우 방향으로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0:3>)가 배치되며,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0:3>)와 직교하는 컬럼 방향으로 로컬 데이터 버스(LIO 0 ~ LIO 15)가 배치된다.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0:3>)와 로컬 데이터 버스(LIO 0 ~ LIO 15)는 통상 차동 라인으로 구현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 0 ~ GIO 15)는 뱅크 하단의 주변회로 영역에 로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메모리 셀 어레이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 0 ~ GIO 15) 사이에 컬럼 제어 블럭이 배치된다. 컬럼 제어 블럭에는 라이트 드라이버(WD)와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가 구비된다.
도 2a는 DRAM의 리드 동작시 데이터 전달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DRAM의 리드 동작시 데이터 전달 경로에는 메모리 셀(MC), 비트라인(BL, BLB),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가 존재한다.
여기서, 비트라인(BL, BLB)과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 사이에는 비트라인 분리신호(BISH)에 제어받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와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 사이에는 컬럼 선택신호(Yi)에 제어받는 NMOS 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와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 사이에는 입출력 스위치 제어신호(iosw)에 제어받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가 구비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 파형도로서,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DRAM의 리드 동작을 간단히 살펴본다.
우선, 액티브 커맨드가 인가되면, 액티브 커맨드와 동시에 인가된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하나의 워드라인(WL)이 선택되어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해당 워드라인(WL)에 연결된 모든 메모리 셀(MC)의 셀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셀 커패시터와 프리차지 상태의 비트라인(BL, BLB)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가 일어난다. 정 비트라인(BL)과 부 비트라인(BLB)은 전하 공유에 의해 미소 전압차를 갖게 된다.
이어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가 인에이블 되어 정 비트라인(BL)과 부 비트라인(BLB)의 미소 전압차를 감지하고 이를 풀다운전원(SB) 및 풀업전원(RTO) 레벨로 증폭한다. 도면에는 정 비트라인(BL)이 접지전압(VSS) 레벨로 증폭되고 과 부 비트라인(BLB)이 코어전압(VCORE) 레벨로 증폭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액티브 커맨드 인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tRCD) 이후에 리드 커맨드가 인가되고, 리드 커맨드와 동시에 인가된 컬럼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하나의 비트라인이 선택된다. 즉, 선택된 비트라인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I)가 활성화되어 그에 제어받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이에 따라 비트라인(BL, BLB)과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이 서로 연결되어 증폭된 비트라인(BL, BLB) 데이터가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로 전달된다.
이어서, 입출력 스위치 제어신호(iosw)가 활성화되어 그에 제어받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그에 따라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에 실린 데이터가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로 전달된다.
또한, 리드 커맨드를 받아서 생성된 스트로브 신호(iosastb)가 활성화되면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가 인에이블 되어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고, 감지증폭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구동한다.
한편,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에서 증폭된 데이터는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이 디스에이블 되기 전에 메모리 셀(MC)에 재저장되고, 비트라인(BL, BLB)은 다시 프리차지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는 기본적으로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감지증폭회로가 구비되며, 감지증폭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구동하기 위한 글로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가 부속된다.
도 3a는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구비된 감지증폭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구비된 감지증폭회로는 통상 2단 증폭회로로 구현하고 있다. 제1 증폭회로(300A)는 전류 미러형 차동증폭기(평행 연결형)로 구현된다. 전류 미러형 차동증폭기는 제1 스트로브 신호(iostb1)에 제어받으며,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를 차동 입력단으로 한다. 한편, 제2 증폭회로(300B)는 CMOS 크로스 커플형 차동증폭기로 구현된다. CMOS 크로스 커플형 차동증폭기는 제2 스트로브 신호(iostb2)에 제어받으며, 제1 증폭회로(300A)의 출력신호(d0, d0b)를 차동 입력으로 한다.
도 3b은 도 3a의 감지증폭회로의 동작 파형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감지증폭회로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입출력 스위치 제어신호(iosw)가 활성화되면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와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가 연결되어,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SIO, SIOB)의 전위가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로 전달된다.
제1 스트로브 신호(iostb1)는 입출력 스위치 제어신호(iosw)가 활성화된 시점으로부터 tA만큼의 시간 이후에 활성화된다. tA는 제1 증폭회로(300A)가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 센싱하는데 충분한 미소 전압차(dV)를 가질 정도로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가 디벨롭되는데 소요되는 마진 타임이다.
또한, 제2 스트로브 신호(iostb2)는 제1 스트로브 신호(iostb1)가 활성화된 시점으로부터 tB만큼의 시간 이후에 활성화된다. tB는 제2 증폭회로(300B)를 위한 마진 타임이다.
한편, 로컬 데이터 버스(LIO, LIOB)가 전원전압(VDD) 레벨로 프리차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감지증폭회로의 출력단(out, outb) 역시 전원전압(VDD) 레벨로 프리차지 된다.
도 4는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부속된 글로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글로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는, 감지증폭회로의 정 출력신호(out)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와, 인버터(INV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2)와, 감지증폭회로의 부 출력신호(outb)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3)와, 인버터(INV3)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4)와, 인버터(INV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5)와, 전원전압단(VDD)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드레인이 접속되며 인버터(INV2)의 출력신 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업 PMOS 트랜지스터(MP1)와, 접지전압단(VSS)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드레인이 접속되며 인버터(INV5)의 출력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MN1)를 구비한다.
한편, 최근의 초고집적 DRAM에서는 2개 이상의 뱅크를 스택하여 회로 면적을 줄이는 스택 뱅크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스택 뱅크 구조를 적용하면 디코딩 회로를 다수의 뱅크가 공유하여 전체 디코딩 회로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5는 스택 뱅크 구조를 가지는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뱅크가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뱅크(Bank0) 상부에 제2 뱅크(Bank1)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뱅크(Bank1)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 버스(LIO_UP)가 제1 뱅크(Bank0)를 가로질러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까지 배치되며, 제1 뱅크(Bank0)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까지 배치된다.
한편, 제1 뱅크(Bank0)와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 사이에는 제1 뱅크(Bank0)에 대응하는 제1 컬럼 제어부와, 제2 뱅크(Bank1)에 대응하는 제2 컬럼 제어부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컬럼 제어부에는 각각 라이트 드라이버(WD)와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은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부속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라이트 드라이버(WD)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 컬럼 제어부에는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감지증폭회로(도 3a 참조)와 데이터 버스 구동 회로(도 4 참조)가 구비되며, 제2 컬럼 제어부에도 로컬 데이터 버스(LIO_UP)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감지증폭회로와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택 뱅크 구조에서는 컬럼 제어 블럭의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가 각 뱅크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컬럼 제어 블럭의 면적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택 뱅크 구조에서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에 소요되는 회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뱅크; 상기 다수의 뱅크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다수의 뱅크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글로벌 데이터 라인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뱅크; 상기 제1 뱅크와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제2 뱅크; 상기 제1 및 제2 뱅크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뱅크에 대응하는 제1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수단; 상기 제2 뱅크에 대응하는 제2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글로벌 데이터 라인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스택 뱅크 구조를 채택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컬럼 제어 블럭의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다수의 스택된 뱅크가 공유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되지 않은 뱅크의 로컬 데이터 버스는 전원전압(VDD) 레벨로 프리차지 되는 것을 이용하여 액티브 된 뱅크의 로컬 데이터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하게 다수의 뱅크에 대한 다중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공유를 통해 컬럼 제어 블럭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넷다이(net die)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 뱅크 구조를 가지는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DRAM은,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뱅크(Bank0, Bank1)와, 스택된 다수의 뱅크(Bank0, Bank1)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다수의 뱅크(Bank0, Bank1)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 LIO_UP)에 실린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글로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제1 뱅크(Bank0) 상부에 제2 뱅크(Bank1)가 배치되는 2뱅크 스택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4개의 이상의 뱅크도 스택할 수 있다. 제2 뱅크(Bank1)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 버스(LIO_UP)가 제1 뱅크(Bank0)를 가로질러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까지 배치되며, 제1 뱅크(Bank0)에 대응하는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가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까지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각 뱅크마다 할당하지 않고, 스택된 다수의 뱅크가 공유하여 사용한다.
도 7은 감지증폭회로까지 고려한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DRAM은, 제1 뱅크(Bank0)와, 제1 뱅크(Bank0)와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제2 뱅크(Bank1)와, 제1 및 제2 뱅크(Bank0, Bank1)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와, 제1 뱅크(Bank0)에 대응하는 제1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와, 제2 뱅크(Bank1)에 대응하는 제2 로컬 데이터 버스(LIO_UP)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와, 제1 및 제2 감지증폭회로(DBSA0, DBSA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GIODRV_COM)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와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구성은 공히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각 뱅크마다 할당하지 않고, 스택된 제1 및 제2 뱅크(Bank0, Bank1)가 하나의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즉,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 하나를 제거함으로서 그만큼의 회로 면적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도 8은 도 7의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GIODRV_COM)의 회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GIODRV_COM)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차동 출력신호(lio_dn, liob_dn) 및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차동 출력신호(lio_up, liob_up)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800)와, 다중화부(80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링부(810)와, 버퍼링부(8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풀업/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820)를 구비한다.
다중화부(800)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정 출력신호(lio_dn)와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정 출력신호(lio_up)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11)와,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부 출력신호(liob_dn)와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부 출력신호(liob_up)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12)를 구비한다.
버퍼링부(810)는 낸드 게이트(NAND1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1)와, 낸드 게이트(NAND1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2)와, 인버터(INV1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3)를 구비한다.
구동부(820)는 전원전압단(VDD)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글로벌 데이터 버 스(GIO)에 드레인이 접속되며 인버터(INV11)의 출력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업 PMOS 트랜지스터(MP11)와, 접지전압단(VSS)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에 드레인이 접속되며 인버터(INV13)의 출력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MN11)를 구비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DRAM의 리드 동작을 간단히 살펴본다.
우선, 액티브 커맨드가 인가되어 제1 뱅크(Bank0)의 워드라인이 선택되어 활성화된 경우, 뒤이은 리드 커맨드에 의해 비트라인, 세그먼트 데이터 버스, 제1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제1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에 실린 데이터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에 의해 감지 증폭되고, 이에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차동 출력신호(lio_dn, liob_dn)는 감지 증폭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을 가질 것이다.
한편, 제1 로컬 데이터 버스(LIO_DN)에 대응하는 제2 뱅크(Bank1)의 제2 로컬 데이터 버스(LIO_UP)는 전원전압(VDD) 레벨로 프리차지 되어 있다. 즉,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차동 출력신호(lio_up, liob_up)는 하이 레벨로 고정된다.
따라서, 다중화부(800)의 낸드 게이트(NAND11)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정 출력신호(lio_dn)를 반전시켜 출력하고, 낸드 게이트(NAND12)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부 출력신호(liob_dn)를 반전시켜 출력하게 된다. 즉,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와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출력신호 중에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되며, 구동부(820)는 그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레벨로 글로벌 데이터 버스(GIO)를 구동하게 된다.
만일, 이와 반대로 제2 뱅크(Bank1)가 액티브 된 경우라면, 다중화부(800)는 제1 감지증폭회로(DBSA0)와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출력신호 중에 제2 감지증폭회로(DBSA1)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뱅크를 스택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짝수개의 뱅크를 스택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낸드 게이트를 이용하여 다중화부를 구현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중화부를 구현하는 방식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DRAM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택 뱅크 구조 및 계층적인 데이터 버스 구조를 가지는 다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DRAM의 데이터 버스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DRAM의 리드 동작시 데이터 전달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3a는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구비된 감지증폭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b은 도 3a의 감지증폭회로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4는 데이터버스 감지증폭기(IOSA)에 부속된 글로벌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스택 뱅크 구조를 가지는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 뱅크 구조를 가지는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감지증폭회로까지 고려한 DRAM의 리드 경로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도 7의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의 회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IO_UP, LIO_DN: 로컬 데이터 버스
GIO: 글로벌 데이터 버스
GIODRV_COM: 공통 데이터 버스 구동회로

Claims (8)

  1.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뱅크;
    상기 다수의 뱅크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다수의 뱅크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글로벌 데이터 라인 구동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로컬 데이터 라인은 각각,
    정 데이터 라인과 부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 데이터 라인과 상기 부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는 구간에서 전원전압 레벨로 프리차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1 뱅크;
    상기 제1 뱅크와 컬럼 방향으로 스택되도록 배치된 제2 뱅크;
    상기 제1 및 제2 뱅크에 대응하는 글로벌 데이터 라인;
    상기 제1 뱅크에 대응하는 제1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1 감지증폭수단;
    상기 제2 뱅크에 대응하는 제2 로컬 데이터 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기 위한 제2 감지증폭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감지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전달하기 위한 공통 글로벌 데이터 라인 구동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글로벌 데이터 라인 구동수단은,
    상기 제1 감지증폭수단의 정/부 출력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증폭수단의 정/부 출력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링부; 및
    상기 버퍼링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을 풀업/풀다운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상기 제1 감지증폭수단의 정 출력신호와 상기 제2 감지증폭 수단의 정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 낸드 게이트와,
    상기 제1 감지증폭수단의 부 출력신호와 상기 제2 감지증폭수단의 부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부는,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 인버터;
    상기 제2 낸드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3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전압단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드레인이 접속되며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업 PMOS 트랜지스터와,
    접지전압단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상기 글로벌 데이터 라인에 드레인이 접속 되며 상기 제3 인버터의 출력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컬 데이터 라인은 각각,
    정 데이터 라인과 부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 데이터 라인과 상기 부 데이터 라인은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는 구간에서 전원전압 레벨로 프리차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20080040928A 2007-09-28 2008-04-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990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5,127 US7817491B2 (en) 2007-09-28 2008-06-30 Bank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TW097125817A TWI383395B (zh) 2007-09-28 2008-07-09 半導體記憶體裝置
CN2012100305034A CN102592654A (zh) 2007-09-28 2008-09-22 半导体存储器装置
CN2008102114497A CN101399073B (zh) 2007-09-28 2008-09-22 半导体存储器装置
JP2008248341A JP2009087525A (ja) 2007-09-28 2008-09-26 半導体メモリ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223 2007-09-28
KR20070098223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924A KR20090032924A (ko) 2009-04-01
KR100990140B1 true KR100990140B1 (ko) 2010-10-29

Family

ID=4051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928A KR100990140B1 (ko) 2007-09-28 2008-04-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0140B1 (ko)
CN (2) CN102592654A (ko)
TW (1) TWI383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764B1 (ko) * 2015-12-16 2023-01-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차동 증폭기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2712841B (zh) * 2019-10-25 2024-07-26 长鑫存储技术(上海)有限公司 写操作电路、半导体存储器和写操作方法
CN114709205B (zh) * 2022-06-02 2022-09-09 西安紫光国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三维堆叠芯片及其数据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4464A (ja) 1997-11-07 1999-05-2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188021B1 (ko) * 1996-06-20 1999-06-01 윤종용 다뱅크구조에서 데이터 입출력라인 로딩 축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1981A (ja) * 1994-12-15 199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H0973776A (ja) * 1995-09-07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EP0935252B1 (en) * 1996-10-28 2004-04-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structure compatible with logic
JP2000182390A (ja) * 1998-12-11 2000-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362193B1 (ko) * 1999-11-26 2002-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디알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장치
KR100382740B1 (ko) * 2001-04-2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제어신호라인의 데이터 입출력라인에 대한 신호의간섭을 차폐하도록 배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603683B2 (en) * 2001-06-25 2003-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oding scheme for a stacked bank architecture
KR100518534B1 (ko) * 2002-07-08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100546331B1 (ko) * 2003-06-0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 뱅크들 마다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멀티 포트 메모리장치
KR100564607B1 (ko) * 2004-01-29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태퍼드 lio 센스 앰프를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33384B1 (ko) * 2004-04-12 2005-12-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진폭 전압구동 글로벌 입출력 라인을 갖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100733406B1 (ko) * 2004-05-10 2007-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글로벌 데이터 버스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558013B1 (ko) * 2004-07-22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글로벌 입출력 라인 프리차지방법
KR20060023200A (ko) * 2004-09-09 200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글로발 입출력라인쌍을 가지는 스택뱅크구조의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200021B2 (en) * 2004-12-10 2007-04-03 Infineon Technologies Ag Stacked DRAM memory chip for a dual inline memory module (DIMM)
US7428168B2 (en) * 2005-09-28 2008-09-23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haring a data line sense amplifier and a write driver in order to reduce a chip size
KR100646980B1 (ko) * 2005-12-07 2006-1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선택된 출력 데이터 폭에 따라 글로벌 입출력 라인들을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회로 및 그 데이터 출력 동작 방법
KR100813526B1 (ko) * 2006-02-07 2008-03-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021B1 (ko) * 1996-06-20 1999-06-01 윤종용 다뱅크구조에서 데이터 입출력라인 로딩 축소장치
JPH11144464A (ja) 1997-11-07 1999-05-2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2654A (zh) 2012-07-18
TWI383395B (zh) 2013-01-21
CN101399073A (zh) 2009-04-01
TW200915321A (en) 2009-04-01
CN101399073B (zh) 2013-03-06
KR20090032924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732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3241280B2 (ja)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KR1007806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749936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tacked bank structure
US846721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00102817A (ko) 반도체 장치의 콘트롤 신호 구동장치
JP2015084266A (ja) 半導体装置
JP5127435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110176379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emory cell array of open bit line ty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71418B1 (ko)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7817491B2 (en) Bank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18081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olumn selecting switches in hierarchical structure
KR10099014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02025251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4234810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1109075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235636A (ja) 半導体装置
US7804725B2 (en) Write driv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43201B2 (en) Memory device having read charge control, write charge control and floating or precharge circuits
KR102704096B1 (ko) 증폭기 회로 및 메모리
US6754119B2 (en) Sense amplifier for memory device
JP2003196983A (ja) 半導体記憶装置
JP5998814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1000835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401873B1 (ko) 라이트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