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929B1 -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9929B1 KR100329929B1 KR1019990038646A KR19990038646A KR100329929B1 KR 100329929 B1 KR100329929 B1 KR 100329929B1 KR 1019990038646 A KR1019990038646 A KR 1019990038646A KR 19990038646 A KR19990038646 A KR 19990038646A KR 100329929 B1 KR100329929 B1 KR 100329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sump
- humidifier
- condensate
- he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아 가열, 기화시켜 실내로 토출시키는 가습기를 구비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와는 별개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 조립되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는 가습기 작동원으로써의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의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통과, 이 집수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수통에 집수된 응축수를 멸균, 가열하는 히터와, 집수통과 히터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통으로 인도하는 응축수 연결부와 다수의 증기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냉방 중인 실내 공기의 건조화가 방지되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는 가습기가 공기 조화기 본체와는 별도의 유닛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습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 및/또는 증기가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기능을 겸비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에는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고온 다습한 실내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이 때, 증발기의 표면 온도가 흡입 공기의 노점 온도보다 더 낮기 때문에, 흡입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는 응축 결로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기후가 고온 건조한 지역에서 공기 조화기를 냉방 운전시킬 경우, 실내 공기가 더욱 건조해져서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상으로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응축 결로 현상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범람하여 기기 및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추가의 처리 장치를 공기 조화기에 부가하여 응축수를 처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응축수의 생성으로 인한 실내 공기의 건조화 및 응축수 처리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응축수를 가습 기능에 활용하는 몇 가지 방안이 최근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그러한 대부분의 방안은 가습 유닛을 공기 조화기의 본체와 동일한 공간 중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습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및/또는 가습 공기가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쳐 냉동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응축수의 생성으로 인한 실내 공기의 건조화 및 응축수 처리에 따른 번거로움을 피함과 동시에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악영향을 끼침이 없이 필요한 가습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외관 구조를 보인 가습기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요부인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가습기의 집수통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에 요부인 가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가습 기능을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기 조화기 본체 11 : 본체측 전원접속단자
12 : 응축수 배출구 20 : 가습기
21 : 가습기 하우징 21a ; 가습기측 전원접속단자
23 : 집수통 24 : 히터
25 : 응축수 연결부 26 : 배수조
27 : 배수 호스 28 : 팬
30;플롯트 스위치 31;배수관
31a;개폐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아 가열, 기화시켜 실내로 토출시키는 가습기를 구비한다.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와는 별개의 유닛으로형성되어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 조립되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는 가습기 작동원으로서의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된다.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의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통과, 이 집수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수통에 집수된 응축수를 멸균, 가열하는 히터와, 집수통과 히터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통으로 인도하는 응축수 연결부와 다수의 증기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냉방 중인 실내 공기의 건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는 응축수를 실내의 가습에 활용하기 때문에, 응축수를 처리를 위한 부가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또 가습기가 공기 조화기 본체와는 별도의 유닛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습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 및/또는 증기가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냉동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집수통이 담겨지는 상태로 집수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수통으로부터 넘쳐 흐르는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배수조와, 배수조의 하부에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배수조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호스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조의 바닥면은 그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이에 의해 배수조의 물은 남김없이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집수통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응축수 연결부보다 낮은 위치에 응축수의오버 플로우를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집수통을 넘쳐 흐르는 응축수가 응축수 연결부를 통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집수통은, 그 바닥면이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사 단부에는 개폐밸브를 갖는 배수관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는 공기 조화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공기 조화기가 작동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열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가 작동을 정지하는 경우에 집수통에 응축수가 남아 있는 일이 없으며, 이에 의해 각종 세균 번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응축수는 배수조의 배수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집수통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팬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팬은 집수통으로부터 증발되는 증기를 강제적으로 증기 토출구 쪽으로 유도하여 토출 작용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가열되는 응축수의 기화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그릴 구조를 가지며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하우징 커버는 하우징의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쪽에 배치되어도 상관이 없다. 이 하우징 커버는 공기 조화기를 작동하지 않거나 응축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습 기능을 실행할 경우에 집수통에 별도의 가습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가습기에 배설된 제어부에 의해 별개로 제어되거나, 또는 공기 조화기의 마이콤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 조화기의 마이콤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개시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야, 즉 집수통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집수되어야 비로소 히터가 작동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가습기가 상술된 팬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형식으로 마이콤에 의해 팬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롯트 스위치를 집수통에 설치하여 집수통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히터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마이콤에 의한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측면에 본체(10)와는 별개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며 상기 본체(10)에 내장된 증발기(도시되지 않음)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아 가열, 기화시켜 실내로 토출시키는 가습기(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본체(10)에는 공기 조화기의 전원과 가습기(2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본체측 전원접속단자(11)와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1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가습기(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20)는 가습기 작동원으로서의 전원접속단자(21a)가 형성된 하우징(21)을 구비한다. 이 전원접속단자(21a)는 상기 본체측 전원접속단자(11)에 접속되어 공기 조화기의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 본체(10)의 응축수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통(23)과, 공기 조화기 본체(10)의 응축수 배출구(12)와 상기 집수통(23)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응축수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통(23)으로 인도하는 응축수 연결부(25)와, 상기 집수통(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선(22)을 경유하여 상기 전원접속단자(2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터(24)가 내장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공기 조화기 본체(10)의 응축수 배출구(12)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응축수 연결부(25)를 경유하여 집수통(23)에 공급된 응축수가 히터(24)에 의해 멸균, 가열되어 상부로 증발된다. 그리고, 하우징(21)에는 증발되는 증기를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실내에 토출시키는 다수의 토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출구(28)는 예컨대, 공기 조화기의 냉기 토출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수의 구멍을 가진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20)는 상기 집수통(23)이 담겨지는 상태로 집수통(2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조(26)와, 이 배수조(26)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배수호스(27)가 내장되어 있다. 응축수의 배출량이 과다하여 집수통(23)을 넘쳐 흐르는 경우, 넘쳐 흐르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조(26)에 모아지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배수호스(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조(26)의 바닥면은 그 가장자리에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된 배수조(26)의 중앙부에 배수호스(27)가 연결된다. 따라서, 배수조(26)에 모아진 응축수는 완전히 배수될 수 있며, 이에 의해 배수조(26)에 응축수가 계속 남아 있음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세균 번식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23)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축수 연결부(25)보다 낮은 위치에 응축수의 오버 플로우를 위한 배출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공(23a)은 도면에서와 같이 집수통(23)의 전,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집수통(23)의 양측면 또는 사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응축수의 배출량이 과다하여 집수통(23)의 수위가 배출공(23a) 이상으로 높아지게 될 때, 응축수는 상기 배출공(23a)을 통하여 하부의 배수조(26)로 배출된다. 이 때, 배출공(23a)이 응축수 연결부(25)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오버 플로우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연결부(25)를 통하여 역류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집수통(23)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바닥면이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이 경사 단부에는 개폐밸브(31a)를 가지는 배수관(31)이 연결된다. 상기 개폐밸브(31a)는 공기 조화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열리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개폐 작동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집수통에 있는 응축수를 완전히 배수시킴으로써, 잔존하는 응축수에 의한 각종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1)을 통하여 배수되는 응축수는 배수조(26)의 배수호스(27)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된 후에는 집수통(23) 이나 배수조(26)에 응축수가 잔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조외에 다른 구성은 도 2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20)는 집수통(2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접속단자(21a)에 접속되는 팬(29)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팬(29)은 집수통(23)으로부터 증발되는 증기를 강제적으로 토출구(28) 쪽으로 유도하여 토출 작용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임계 증기압을 낮추어 집수통(23)에서 가열되는 응축수의 기화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가습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그릴과 동일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하우징 커버(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커버(20')는 하우징(21)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 커버(20')는 공기 조화기를 작동하지 않거나 응축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습 기능을 실행할 경우와 같이 집수통(23)에 별도의 가습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에 그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21)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24)는 가습기(20)에 배설된 제어부(도시를 생략함)에 의해 별개로 제어되거나 또는 공기 조화기의 마이콤(도시를 생략함)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연계되어 제어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마이콤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개시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야 비로소 히터(24)가 작동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것은 집수통(23)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집수된 이후에히터(24)의 가열이 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팬(29)도 역시 유사한 형식으로 마이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24)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롯트 스위치(30)를 집수통(23)에 설치하여 플롯트 스위치(30)의 단속 신호에 의거한 집수통(23)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마이콤이 히터(24)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의 가습 기능을 제어하는 일례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는 공기 조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동작과 연계되어 실행된다.
우선, 단계 1(S1)에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이 개시되면,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 표면에 응축수가 생성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단계 2(S2)에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간(t1)이 일정 시간(T1) 이상으로 경과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방 운전 시간이 일정 시간(T1) 이상 경과되었으면, 즉 일정량의 응축수가 집수통(23)에 집수되면, 단계 4(S4)에서 히터(24)에 의한 응축수의 가열이 개시된다. 그러나, 일정 시간(T1)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 3(S3)에서와 같이 냉방 운전만이 계속된다.
히터(24)의 가열이 개시된 후에는 단계 5(S5)에서 응축수 가열 시간(t2)이 일정 시간(T2) 이상 경과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는 응축수가 증발되기 시작할 정도로 가열된 이후에 팬(29)을 작동시키기 위해 실행되는 것이다. 일정 시간(T2) 이상 경과되었으면, 단계 7(S7)에서 팬(29)의 작동이 개시된다. 그러나, 일정 시간(T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 6(S6)에서와 같이 히터(24)의 가열이 계속된다.
히터(24)의 가열 및 팬(29)의 작동이 개시된 후에는 단계 8(S8)에서 플롯트 스위치(30)의 단속 신호에 의거하여 집수통(23)의 수위(h)가 일정 수준(H1) 이하로 떨어졌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그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히터(24)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집수통(23)의 수위(h)가 일정 수준(H1) 이하로 떨어졌으면, 단계 10(S10)에서 히터(24) 및 팬(29)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러나, 일정 수준(H1)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으면, 단계 9(S9)에서와 같이 히터(24) 및 팬(29)의 작동이 계속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냉방 운전시 증발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아 가열, 기화시켜 실내로 토출시키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건조화가 방지되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응축수 처리를 위한 종래와 같은 부가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가습기가 공기 조화기의 본체와는 별도의 유닛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습기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 및/또는 증기가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으며, 이에 따라 냉동 효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아 가열, 기화시켜 실내로 토출시키는 가습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와는 별개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 조립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습기 작동원으로서의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통;상기 집수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수통에 집수된 응축수를 멸균, 가열하는 히터; 및상기 집수통과 히터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전원접속단자와 응축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통으로 인도하는 응축수 연결부와 다수의 증기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상기 집수통이 담겨지는 상태로 집수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수통으로부터 넘쳐 흐르는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배수조와, 상기 배수조의 하부에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배수조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응축수 연결부보다 낮은 위치에 응축수의 오버 플로우를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그 바닥면이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경사 단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중에는 닫히고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열리는 개폐밸브를 가지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공기 조화기의 작동 정지시, 집수통의 응축수가 완전히 배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증발되는 증기를 강제적으로 토출구 쪽으로 유도하여 토출 작용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가열되는 응축수의 기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수통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공기 조화기를 작동하지 않거나 응축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습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집수통에 별도의 가습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릴 구조를 갖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공기 조화기의 마이콤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연계되어 제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개시된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집수통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집수된 후에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히터가 작동을 개시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응축수가 어느 정도 가열된 후에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에 집수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롯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플롯트 스위치의 단속 신호에 의거한 집수통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히터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8646A KR100329929B1 (ko) | 1999-09-10 | 1999-09-10 |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8646A KR100329929B1 (ko) | 1999-09-10 | 1999-09-10 |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7070A KR20010027070A (ko) | 2001-04-06 |
KR100329929B1 true KR100329929B1 (ko) | 2002-03-22 |
Family
ID=1961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8646A KR100329929B1 (ko) | 1999-09-10 | 1999-09-10 |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99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461B1 (ko) * | 2005-05-23 | 2007-02-0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이동식 히트펌프의 응축수 처리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125B1 (ko) | 2018-03-16 | 2020-0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N109974121B (zh) * | 2019-04-08 | 2024-07-12 |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 空调加湿器和空调器 |
CN109915944B (zh) * | 2019-04-10 | 2024-05-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器 |
CN112212495A (zh) * | 2020-09-30 | 2021-01-12 |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空调用冷凝水回收装置 |
CN112648724A (zh) * | 2020-12-28 | 2021-04-13 | 江苏科技大学 | 一种壁挂式空调室内机的冷凝水回收装置 |
CN112880007B (zh) * | 2021-01-18 | 2022-07-1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加湿功能的空调器 |
CN113251604A (zh) * | 2021-04-27 | 2021-08-13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用于净化空气的空调控制方法、装置、介质、设备及空调 |
CN113251603A (zh) * | 2021-04-27 | 2021-08-13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空调器控制方法、装置、控制器、空调器及存储介质 |
CN115406047B (zh) * | 2022-08-26 | 2024-10-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室内湿度管控方法、设备及空调 |
-
1999
- 1999-09-10 KR KR1019990038646A patent/KR1003299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461B1 (ko) * | 2005-05-23 | 2007-02-0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이동식 히트펌프의 응축수 처리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7070A (ko) | 200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826793B (zh) | 冰箱、其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US20060236556A1 (en) | Dishwasher drying system | |
US20030140517A1 (en) | Crockery drying apparatus with a condensing device outside the washing chamber | |
KR100329929B1 (ko) |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 |
US5188169A (en) | Heater-humidifier-dehumidifier unit | |
JP3364576B2 (ja) | 除加湿装置 | |
JPH0136010B2 (ko) | ||
CN111076285A (zh) | 可靠的凝水静音加湿空调 | |
KR20230016949A (ko) | 가습 모듈이 구비된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99268B1 (ko)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 |
JP2008215634A (ja) | 空気調和機 | |
KR100339522B1 (ko) | 제습및가습장치 | |
JPH10306974A (ja) | 加湿冷蔵庫 | |
JP6355694B2 (ja) | 直水連結型加湿器 | |
JP3788215B2 (ja) | 気化式加湿機 | |
JP2004233022A (ja) | 気化式加湿機 | |
CN211233676U (zh) | 一种家庭式烘干除湿机风道系统 | |
KR20010028455A (ko) | 공기조화기용 가습장치 | |
JPH07293952A (ja) | 蒸気吹出し式加湿ユニット | |
KR102599051B1 (ko) | 수분 공급 수조의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 |
KR102647362B1 (ko) | 응축기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 |
CN113639341A (zh) | 一种基于三介质换热器的除湿热水机组 | |
KR102116963B1 (ko) | 수분 공급부가 구비된 히트 펌프 유닛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예열 방법 | |
KR20030030472A (ko) | 환기장치 | |
KR20050049953A (ko) | 난방 겸용 제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