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맨체스터 (CL-83)

USS Manchester (CL-83)
USS Manchester
USS Manchester, 1950-1952년 한국 원정
역사
미국
이름맨체스터
네임스케이크뉴햄프셔 맨체스터의 도시
빌더메사추세츠주 퀸시 베들레헴조선소 포어리버조선소
눕다1944년 9월 25일
시작됨1946년 3월 5일
후원자:어니스트 글래두 부인
커미셔닝됨1946년 10월 29일
해체됨1956년 6월 27일
스트리킨1960년 4월 1일
식별
명예와
상을 주다
청동-서비스-별-3d.png 실버 서비스-스타-3d.png 한국전 참전용사 9× 전투별
운명1960년 10월 31일 고철용으로 판매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
변위
  • 11,744톤의 길이(11,932t) (표준)
  • 14,380 롱톤 (14,358 t) (최대)
길이
  • 610 ft 1 in (1998.95 m) oa
  • 608 ft (1968 m)pp
66피트 4인치(20.22m)
초안
  • 25ft 6인치(7.77m) (최대)
  • 25ft(7.6m)(최대)
설치된 전원
  • 4 × 634 psi 증기 보일러
  • 100,000 shp(75,000 kW)
추진
속도32.5kn(37.4mph, 60.2km/h)
범위11,000nmi(20,000km) @ 15kn(17mph; 28km/h)
보완1,190명의 장교와 사병
무장을
갑옷
  • 벨트: 3+12–5 인치(89–320 mm)
  • 데크: 2인치(51 mm)
  • 바베트: 6인치(150 mm)
  • 터릿: 1+12–6인치(38–152 mm)
  • 코닝 타워: 2+14–5 in (57–127 mm)
운반된 항공기플로트플레인 4대
항공시설선미 투석기 2개
서비스 기록
작업: 한국 전쟁
수상 내역: 9 × 전투별

미 해군클리블랜드급 경비함정 USS 맨체스터(CL-83)는 1944년 9월 25일 메사추세츠주 퀸시 베들레헴조선소 포어리버조선소에 의해 함락됐다가 1946년 3월 5일 발사돼 미세스(Mrs)의 후원을 받았다. 어니스트 글래두; 그리고 1946년 10월 29일 대위에게 위임했다. 피터 G.[1] 헤일 지휘관

서비스 이력

지중해, 1947-1949

1948년 3월 9일 지중해의 맨체스터.

맨체스터카리브해에서 셰이크다운 순항을 마치고 1947년 3월 26일 고향인 보스턴으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그녀는 대서양 횡단 첫 번째 시험에서 그녀의 다리를 위한 실험용 플라스틱 덮개를 갖추고 있었다. 4월 18일, 그녀는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에 가시적인 지지를 보내기 위해 지중해를 향해 출발했다. 6월 2주 동안동해안으로 돌아온 그녀는 RI뉴포트에서 해군 예비역 훈련 순항을 실시했고, 6월 25일 지중해 순항을 재개해 11월 30일 보스턴으로 돌아왔다. 맨체스터는 태평양함대 임무를 위해 3월 18일 필라델피아에서 출발하기 전 6함대(1948년 2월 9일 ~ 6월 26일, 1949년 1월 3일 ~ 4일)로 2차례의 추가 배치를 완료했다.[1]

극동, 1949년

그녀는 4월 3일 롱비치(Long Beach)에 도착했고 2주 후 정치적으로 불안한 극동으로 출발하여 5월 15일 중국 칭다오 항구로 입항했다. 이순양함은 11월 28일 롱비치(롱비치)로 돌아올 때까지 황해, 동중국해,남중국해에서 운항했다.[1]

이 시기에 극심한 좌절을 겪은 민족주의 중국군은 7월 16일 대만 섬으로 철수하기 시작했고, 1949년 10월 1일 피핑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다. 붉은 중국인의 성공은 다른 아시아 공산당의 열망을 북돋아 주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 지도자들은 38선을 넘어 남한으로 들어오라고 명령했다. 유엔은 재빨리 북한을 침략자라고 선언하고,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북한의 침략을 물리칠 것을 요구했다.[1]

한국전쟁, 1950-1953

1950

당시 샌프란시스코에 정박 중인 맨체스터는 정비 중이었다. 일이 빨라져서 8월 1일까지 그 순양함은 서태평양으로 가는 길이었다. 그녀는 9월 초 일본 사세보에 도착해 TF 77에 합류했으며, 항모집단의 일원으로 황해에서 작전을 개시해 해안 초계, 봉쇄, 폭격으로 길어진 공산군 통신선에 대한 유엔군의 공습을 지원했다. 9월 15일, 맨체스터인천 상륙을 위해 소방 지원을 제공했다. 인천-서울 교통단지의 주요 통제권 설정 이후, 그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퉁산곶에 북한군을 집중 폭격했고, 9월 27일 그녀의 타격 부대의 항공기가 옹진에서 철로 머리부분을 들이받았다. 이 조치는 남부의 공산군의 보급선을 교란시키고 그들의 군대를 방어적 작전에 계속 주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남부의 공산군의 강화를 지연시켰다.[1]

후 맨체스터는 원산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한반도 주변의 그녀의 태스크 그룹과 함께 찐다. 10월 10일에 도착한 그녀는 TF 77 소속 비행기들이 송진 북쪽 멀리까지 북한 선박, 도로 및 철도 센터, 창고, 보급 창고를 습격하는 동안 이 지역의 지뢰 제거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해안 폭격과 순찰 임무를 시작했다. 유엔군은 곧 압록강에 도착했고, 격렬한 전투가 끝난 것처럼 보이자 10월 29일 맨체스터를 TF 72에 재배치한 뒤 대만 해협을 순찰했다. 이 순찰 임무는 그 직후에 주한 중국공군의 전면적인 개입으로 끝났다. 12월 3일, 순양함은 TF 77에 재입항하여 흥남항에 기선을 띄워 항구의 완전한 피난과 시설 철거를 지원하였다. 이 작전을 완료한 대책본부는 유엔 부대의 방어 태세를 계속하여, 유엔 부대가 방어할 수 없는 위치에서 안전하게 철수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1]

1951

맨체스터는 1951년 5월 3일 원산에서 USS 카트마이 과 나란히 선다.

맨체스터는 1951년 1월 8일 동해안의 키사몬 탄 인근 적선 뒤편에서 전날 착륙한 타이 코르벳 HTMS 프라새호에서부상당한 승무원들을 대피시켰다. 해군의 사격으로 적군 병사들이 배 위로 몰려드는 것을 막았고, 배가 불발 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 선원들은 순양함의 헬리콥터에 의해 이륙했다. 이어 호위 구축함의 총성이 프라새에 켜졌다.[1]

이후한달 반 동안,맨체스터는 한국 동해안에서순찰을 돌았다. 해안과 내륙의 목표물을 향해 사격하면서, 그녀는 통신과 교통 센터를 공격하여 적의 장비와 병력 집중도를 파괴하고 교란시켰다. 2월 22일, 그녀는 5일 전에 시작된 그 항구의 포위와 봉쇄에 자신의 총을 추가하기 위해 원산까지 찐다. 그녀는 첫 한국 전투여행의 남은 기간 동안 주로 원산, 송진 등 동북해안을 따라 해안포격 활동을 계속했다.[1]

6월 1일, 맨체스터는 6월 15일 캘리포니아에 도착하여 롱비치로 돌아오는 길에 요코스카로 한국 해역을 출발했다. 5개월도 채 안 되는 시간을 집에서 보낸 이 순양함은 11월 5일에 다시 극동을 향해 진척되고 있었다. 그녀는 12월 8일 전투 지역에 다시 도착했고, 유엔 봉쇄 및 호위 부대인 TF 95의 기함으로서 임무를 맡았다.[1]

1952

이때쯤에는 적군의 인력과 장비를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데 있어서 신속한 무력행동에서 인내로, 성격상 갈등이 변질되어 있었다. 이를 위해 TF 95는 한국 해안 전체를 따라 봉쇄를 유지하고 공산당의 주요 보급로를 폭격했는데, 산악지형 때문에 좁은 해안 평야에 놓여 있었다. 맨체스터친남포, 청진, 통초리 등지에서 한반도를 따라 순찰을 돌면서 정기적으로 흥남, 송진, 원산 등으로 돌아가며 꿋꿋하게 버티던 적들의 진지를 파괴했다. 그녀의 총이 발사되는 동안, 맨체스터의 헬리콥터들은 바다와 적진 뒤편의 육지에서 구조 작업을 수행하면서 추락한 조종사들의 좋은 친구라는 명성을 계속 유지했다. 그녀의 의료진들은 또한 유엔군의 아프고 다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초과 근무를 했다.[1]

1952년 5월 14일, 맨체스터는 한국에서의 두 번째 투어를 마치고 한국 동해안의 폭탄 라인을 떠났다. 그녀는 5월 29일 롱비치(Long Beach)로 돌아왔고, 2주 후 샌프란시스코에서 항해 보수와 정비를 위해 떠났다.[1]

1953

맨체스터는 1953년월 북한포탑으로 사격했다 포워드 동해안에서.

1953년 새해에는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시작된 휴전회담의 부정적인 결과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고 이후 판문점으로 이동했다. 이 갈등은 계속되었고 맨체스터는 1월 25일 세 번째 한국 영해 배치를 위해 떠났다. 월 4일, TF77에다시 합류했다 폭탄라인그녀는한반도 동해안의. 3월 8일 원산으로 돌아와 다시 원산을 포격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 여행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포위된 이 도시로 돌아와 남은 시간 동안 폭격선을 따라 순찰하면서 최전방 동쪽 끝에 있는 유엔군에 화재를 지원했다.[1]

7월 23일 맨체스터는 한국을 떠나 요코스카로 향했다. 7월 27일 판문점에서 한국 정전협정이 체결되어 적대행위가 종료되었다. 7월 28일, 맨체스터는 큰 전투 피해 없이 세 번의 전투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그녀의 홈포트를 위해 진행되었다.[1]

태평양, 1954-1956

1954년과 1955년 동안 이 순양함은 서태평양의 7함대와 함께 6개월 동안 두 번 배치되었다. 마지막 귀항 때 그녀는 한국전쟁으로 신원 미상의 미국인 50명의 하와이 귀환 작전인 "글로리"에 참가했다. 1956년 1월 20일 요코스카를 떠나 진주만에 들러 의식을 치렀고, 2월 5일에 도착하여 롱비치까지 계속 갔다. 월말에 그녀는 샌프란시스코로 항해하여 2월 27일 예비군 함대에 입항했고 1956년 6월 27일 퇴역했다. 1960년 4월 1일 해군 명단에서 제외된 그녀는 1960년 10월 31일 니콜라이 조프 사에 매각되었다.[1]

수상

[1] 1951년 7월 12일 ~ 1952년 5월 29일) 한국 배치의 일부로서,[2] 그녀는 나중에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케네디 대통령 밑에서 국가안보국장을 맡게로렌스프로스트의 지휘를 받았다.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Manchester I (CL‑83)".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5 August 2015. Retrieved 11 December 2015.
  2. ^ Yarnall, Paul R. (7 October 2012). "USS MANCHESTER (CL 83)". Navsource.org. Retrieved 10 December 2015.

이 글에는 공용 도메인에서 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이 항목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