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노래
Throat singing목구멍노래는 전 세계의 다른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성악 연습을 말한다.[1][2][3][4]이러한 성악 연습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어떤 종류의 장음성과 연관되는 것인데, 이는 주로 가슴(모달)과 머리(빛 또는 가성) 레지스터로 표현되는 노래에 채용되는 가장 흔한 유형의 목소리와 대비된다.또한 목노래는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음을 내는 듯한 느낌을 내는 것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즉, 듣는 사람은 두 개 이상의 뚜렷한 음을 감지하는 동시에 가수는 하나의 음성을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목구멍노래는 원래 특정 문화에 속하는 광범위한 노래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문화와 주류 노래 스타일의 사용자들이 특히 목노래를 눈에 띄게 하는 몇몇 소리나는 특징을 공유하는 것 같다.[5][6][7][8][9]이 용어는 Tuvan/Mongolian 단어 Xhömei/Xhömi의 번역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목, 장, 장, 장 등을 의미한다.[10]러시아, 몽골, 일본, 남아공, 캐나다, 이탈리아, 중국, 인도에서 온 민족들은 목구멍 노래라는 용어를 받아들이고 보통 그들의 특별한 음성과 노래 제작 방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다.
목 노래 부르기라는 용어는 분명 정확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어떤 노래 기법도 "뇌"에서 소리 세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후두의 수준에서 생성되는 음성은 성주름과 다른 구조를 포함한다.[7][11][12][9]따라서, 예를 들어, 고전적인 오페라 가수나 팝송을 "스스로트 노래"라고 부르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될 것이다.그러나 목이라는 용어는 해부학(Terminologia Anatomica)이라는 공식 용어에 의해 채택되지 않으며, 기술적으로 대부분의 노래 기법과는 관련이 없다.많은 작가, 연기자, 코치, 청취자들은 목구멍으로 노래를 부르는 것을 오버톤으로 생각한다.목노래와 오버톤노래는 많은 사전(예: 브리타니카의 정의에서)에 부정확하게 표기된 것과 달리 확실히 동의어는 아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바의 카르자이라 기법에서처럼 매우 깊고 긴장된 목소리와 풍부한 오버톤 향상과 장식성을 가진 두 가지 측면이 모두 분명히 존재할 수도 있다.NTS
게다가, "목구멍으로 노래하는 것"은 일부 가수들에게 모욕적인 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는데, 이는 가수가 높은 수준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다소 강제적이거나 적절하지 않은 목소리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throaty"라는 단어는 보통 거칠고, 산들거리거나, 숨쉬거나, 쉰 목소리와 관련이 있다.1960년대부터 문헌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현대 학자들은 목구멍을 일반 용어로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목노래[1][2]를 접목한 여러 문화권에 속하는 음악 그룹들이 주는 콘서트 및 워크숍에 대한 일관되고 열정적인 국제 리셉션이 이루어지고 있다.목구멍노래는 전통 민족 공연 외에도 현대, 록, 뉴에이지, 팝, 독립 운동에 속하는 수많은 음악가들에 의해 경작되고 탐구되고 있다.예를 들어, 목구멍이 듣는 것과 감정은 헌팅턴 병을 위한 음악 치료에 실험적으로 이용된다.[13]20세기에 목구멍을 이용한 노래 기법을 사용한 가장 관련성이 있는 현대 및 록 음악가는 이탈리아계 화가 데메트리오 스트라토스였다.[14]
목구멍노래 유형
목의 노래 기법은 (1) 윤리학적 접근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 의식, 종교적 관습, 스토리텔링, 노동 노래, 성악 게임 및 기타 맥락에 대한 연관성, (2) 음악적 접근법: 예술적 사용, 기본적인 음향 원리 및 생리학적 원리를 고려하는 것.d 그것들을 배우고, 훈련하고, 생산하기 위한 기계적 절차.
음악학 및 윤리학 문헌에 존재하는 가장 흔히 언급되는 목구멍 노래 기법은 일반적으로 고대 문화와 관련이 있다.이들 중 일부는 몽골, 투바, 중국의 쾨르메이와 사르디니아 출신의 칸토 테노레로 유네스코가 무형문화유산으로 인정한다.
- 투반 목구멍 노래, 여러 가지 기법으로 구성된 노래의 한 형태는 러시아 연방에 속하는 투바 공화국에서 연습되었다.[15][16][17][1]
- 몽골 목구멍 노래, 몇 가지 기법으로 구성된 노래의 한 형태는 몽골과 중국에서[18][2] 행해졌다[3][4].
- 인도(티베탄 망명 공동체)와 티베트의 일부 수도원에서 발견되는 불교 성가, 때로는 성-심실 음운, 즉 (진실) 성주름과 (거짓) 심실 주름이 결합된 진동을 수반하여 매우 낮은 음조를 달성하기도 한다.[19][2][20]
- 이누이트 목구멍 노래, 캐나다의[21] 이누이트들이 연습한 오락 경연대회로서의 듀엣의 일종이다.
- 레쿠카라(Rekuhkara)는 과거 일본[22] 홋카이도 섬의 아이누족에 의해 행해졌다.
- 이탈리아 섬에서 발견된 테노르 칸토, 또는 사르디니아 목구멍 노래 [5]
음악적으로 관련되는 용어로 목구멍노래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기법을 가리킨다.
- 오버톤 노래, 오버톤 노래 또는 조화 노래로도 알려져 있다.이것이 목구멍 노래와 더 흔히 관련된 노래 스타일이다.[24][25][26][27][28]
- 즉[29], 특정 주파수에서 노래 장치 부분의 진동과 1:2, 1:3 및 1:4 비율과 같은 주파수의 정수 구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결합하여 발생하는 하위 고조파 기법을 말한다.[8]
- 디플로포닉 음성, 즉 비정수 비율에서 진동하는 노래 기구의 부분으로 구성된 기법은 대개 병리학적 과정과 연관된 것으로 간주된다. - 디플로포니아를 참조한다.[30]
- 으르렁거리는 목소리 - 후두 위에 위치한 성대의 구조를 채용하는 으르렁거리는 기법으로 구성되며, 특히 아례피글롯틱 접힘과 동시에 진동한다.[31]
- 보컬 프라이는 보컬 프라이 레지스터와 관련된 기술이다.[32]
오디오 예
- 카르기라.mp3
- Khoomei.mp3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의 레오나르도 후쿠스가 만든 음향 샘플.
참고 항목
외부 링크
무료 사전인 위키트리노에서 노래하는 목구멍을 찾아봐라. |
- 2019년 캐나다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강기석의 목구멍 노래
- 몽골 전통 예술인 쾨메이 https://ich.unesco.org/en/RL/mongolian-traditional-art-of-khoomei-00396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s://www.britannica.com/art/throat-singing의 목구멍 뚫는 글
- 세계 주요 목가 가수와 연구자 중 한 명인 쩐 꽝 하이의 웹페이지에 "트란 꽝 하이의 세계 목가 노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참조
- ^ a b Aksenov, A. N. (1973). "Tuvin Folk Music". Asian Music. 4 (2): 7–18. doi:10.2307/833827. JSTOR 833827.
- ^ a b c Lindestad, P. A.; Södersten, M.; Merker, B.; Granqvist, S. (2001). "Voice source characteristics in Mongolian "throat singing" studied with high-speed imaging technique, acoustic spectra, and inverse filtering". Journal of Voice. 15 (1): 78–85. doi:10.1016/S0892-1997(01)00008-X. ISSN 0892-1997. PMID 12269637.
- ^ Kob, Malte; Henrich, Nathalie; Herzel, Hanspeter; Howard, David; Tokuda, Isao; Wolfe, Joe (2011-09-01). "Analysing and Understanding the Singing Voice: Recent Progress and Open Questions". Current Bioinformatics. 6 (3): 362–374. doi:10.2174/157489311796904709. ISSN 1574-8936.
- ^ Sundberg, Johan (2015). Die Wissenschaft von der Singstimme. Wissner-Verlag. ISBN 978-3-89639-959-5. OCLC 1001652162.
- ^ Story, Brad (2019-04-11), Welch, Graham F.; Howard, David M.; Nix, John (eds.), "The Vocal Tract in Singing", The Oxford Handbook of Singing,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4–166, doi:10.1093/oxfordhb/9780199660773.013.012, ISBN 978-0-19-966077-3, retrieved 2021-10-01
- ^ Mergell, Patrick; Herzel, Hanspeter (1997). "Modelling biphonation — The role of the vocal tract". Speech Communication. 22 (2–3): 141–154. doi:10.1016/S0167-6393(97)00016-2.
- ^ a b Lindblom, B. E.; Sundberg, J. E. (1971). "Acoustical consequences of lip, tongue, jaw, and larynx movemen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0 (4): 1166–1179. doi:10.1121/1.1912750. ISSN 0001-4966. PMID 5117649.
- ^ a b Fuks, L, B Hammarberg, J Sundberg (1998). "A self-sustained vocal-ventricular phonation mode: acoustical, aerodynamic and glottographic evidences". KTH TMH-QPSR: 49–59.
- ^ a b Edmondson, Jerold A.; Esling, John H. (2006). "The valves of the throat and their functioning in tone, vocal register and stress: laryngoscopic case studies". Phonology. 23 (2): 157–191. doi:10.1017/S095267570600087X. ISSN 0952-6757. S2CID 62531440.
- ^ Walcott, Ronald (1974). "The Chöömij of Mongolia: A Spectral Analysis of Overtone Singing". SELECTED REPORTS IN Ethnomusicology. II (1).
- ^ Story, B. H.; Titze, I. R.; Hoffman, E. A. (1996). "Vocal tract area functions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0 (1): 537–554. doi:10.1121/1.415960. ISSN 0001-4966. PMID 8675847.
- ^ Johan, Sundberg (2007). Röstlära : fakta om rösten i tal och sång. Johan Sundberg. ISBN 978-91-633-0485-9. OCLC 862100792.
- ^ Therova, Sona; Motyckova, Eva (2018). "Holistic musictherapy in huntington´s diseas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89 (Suppl 1): A83.
- ^ El Haouli, Janete (2020). Demetrio Stratos: In Search of Voice-Music. Janete El Haouli. ASIN B088QQXDSD.
- ^ Grawunder, Sven (2009). On the physiology of voice production in South-Siberian throat singing : analysis of acoustic and electrophysiological evidences. Berlin: Frank & Timme. ISBN 978-3-86596-995-8. OCLC 844248903.
- ^ Levin, Theodore (2019). Where rivers and mountains sing : sound, music, and nomadism in tuva and beyond. Valentina Süzükei.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04502-7. OCLC 1125296084.
- ^ Levin, T. C.; Edgerton, M. E. (1999). "The throat singers of Tuva". Scientific American. 281 (3): 80–87. doi:10.1038/scientificamerican0999-80. ISSN 0036-8733. PMID 10467751.
- ^ Adachi, S.; Yamada, M. (1999). "An acoustical study of sound production in biphonic singing, Xöömij".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5 (5): 2920–2932. doi:10.1121/1.426905. ISSN 0001-4966. PMID 10335641.
- ^ Smith, Huston; Stevens, Kenneth N.; Tomlinson, Raymond S. (1967). "On an Unusual Mode of Chanting by Certain Tibetan Lama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41 (5): 1262–1264. doi:10.1121/1.1910466. ISSN 0001-4966.
- ^ Pillot, Claire (1997). "Les voix du monde. Une anthologie des expressions vocales". Cahiers de musiques traditionnelles. 10: 333. doi:10.2307/40240285. ISSN 1015-5775. JSTOR 40240285.
- ^ Nattiez, Jean-Jacques (1999). "Inuit Throat-Games and Siberian Throat Singing: A Comparative, Historical, and Semiological Approach". Ethnomusicology. 43 (3): 399–418. doi:10.2307/852555. JSTOR 852555.
- ^ Nattiez, Jean-Jacques (1983). "The Rekkukara of the Ainu (Japan) and the Katajjaq of the Inuit (Canada): A Comparison". The World of Music. 25 (2): 33–44. ISSN 0043-8774. JSTOR 43560906.
- ^ Mercurio, Paolo (2013). Introduzione alla musica sarda : de musica sardiniae, praefatio. Narcissus. ISBN 978-88-6885-013-5. OCLC 955227257.
- ^ Kob, Malte (2004). "Analysis and modelling of overtone singing in the sygyt style". Applied Acoustics. 65 (12): 1249–1259. doi:10.1016/j.apacoust.2004.04.010.
- ^ Bergevin, Christopher; Narayan, Chandan; Williams, Joy; Mhatre, Natasha; Steeves, Jennifer KE; Bernstein, Joshua GW; Story, Brad (2020-02-17). "Overtone focusing in biphonic tuvan throat singing". eLife. 9: e50476. doi:10.7554/eLife.50476. ISSN 2050-084X. PMC 7064340. PMID 32048990.
- ^ Bloothooft, G.; Bringmann, E.; van Cappellen, M.; van Luipen, J. B.; Thomassen, K. P. (1992). "Acoustics and perception of overtone singing".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2 (4 Pt 1): 1827–1836. doi:10.1121/1.403839. ISSN 0001-4966. PMID 1401528.
- ^ Grawunder, Sven (2003). Comparison of voice production types of western overtone singing and South Siberian throat singing (ICPhS Barcelona ed.). Barcelona: UAB. pp. 1699–1702. ISBN 1-876346-48-5.
- ^ Klingholtz, F (1993). "Overtone singing: productive mechanisms and acoustic data".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 188-122.
- ^ Švec, Jan G.; Schutte, Harm K.; Miller, Donald G. (February 1996). "A Subharmonic Vibratory Pattern in Normal Vocal Fold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 (1): 135–143. doi:10.1044/jshr.3901.135. ISSN 1092-4388. PMID 8820705.
- ^ Herzel, Hanspeter; Reuter, Robert (1996). "Biphonation in voice signals". AIP Conference Proceedings. Mystic, Connecticut (USA): AIP. 375: 644–657. doi:10.1063/1.51002.
- ^ Sakakibara, K-I, Fuks L, Imagawa H (2004). Growl Voice in Ethnic and Pop Styles. Nara, Japa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sical Acoustics, ISMA 2004. CiteSeerX 10.1.1.477.4267.
- ^ Lindsey, Geoff (2019), "Chapter 27 Vocal Fry", English After RP,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95–96, doi:10.1007/978-3-030-04357-5_28, ISBN 978-3-030-04356-8, retrieved 202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