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삼관
Three offices of Joseon삼사(三事·三事)는 조선 3대 관청의 집단 명칭으로, 주요 언론기관 역할을 하며 왕과 관리들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제공하였다. 이들은 감사관실(사헌부·사헌부), 검열실(사간원·사헌부), 특별보좌관실(홍문관·사문사)이었다.
이들은 중국 검열 제도를 본받으면서 중국 정부보다 조선 정부 내에서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중국 역사 전반에 만연했던 내시들의 학대가 없었던 것으로 삼국을 믿고 있다. [1]
대간(大間)이라 불리는 이들 관직에 몸담았던 관료들은 육부 등 다른 관직에 비해 젊고 계급이 낮은 경향이 있었으나 학벌적 명성이 강하고 특권과 위신을 누렸다. 임명되기 위해, 그들은 성격과 가족 배경에 대해 더 철저한 검토를 거쳤다. 부정부패로 탄핵된 공직자의 자녀와 후궁의 자녀는 제외됐고, 문과고시에 합격한 사람만이 대간이 될 수 있었다. 조선 관직의 엘리트들을 끌어들이면서 삼청은 궁중 최고위직에 가장 빠른 승진 경로 중 하나를 제공했고 거의 국참의원이 되기 위한 요건에 가까웠다.
감사관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각급 행정과 공무원에 대해 부패, 부정행위, 비효율성 등을 감시했다. 또한 공중도덕과 유교 풍속을 선진화하고 민중의 불만을 바로잡는 일을 담당하였다. 주로 독립된 30명의 관리들을 총괄했던 대사헌·대사총감(대사헌·대사)이 지휘를 맡았다. 그것은 삼청 중 가장 크고 가장 선임된 사무실이다.
검열국
그것의 주요 기능은 잘못되거나 부적절한 행동이나 정책이 있을 경우 왕에게 항의하는 것이었다. 왕의 중요한 법령은 검열관이 먼저 검토했는데, 검열관은 부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철회할 것을 요청할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국정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검열대장(대사간·대사)이 이끄는 5명의 관리로 구성되었다.
감사관실의 주요 초점은 관직이고 검열실은 왕에게 집중되어 있지만, 두 사무실은 종종 서로의 기능을 수행했고, 겹치는 부분이 많았다. 그들은 함께 말 그대로 양사(陽事)라고 불렸으며, 특히 왕의 결정을 뒤집으려 할 때 공동행동에 협력하는 경우가 많았다. 언론기관으로서의 역할에서 이들은 정책을 결정하거나 집행할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지만, 이어진 토론에서 영향력 있는 목소리를 높였다. [2]
특별보좌관실
왕실 도서관을 총괄하고 유교 철학을 연구하고 왕의 질문에 답하는 연구기관 역할을 했다. 그 관리들은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하는 경연이라는 일상적인 수업에 참여하였다. 태종, 연산군 등 폐위된 왕들은 거의 없었지만 경연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세 번 일어났다. 이런 논의들이 종종 현재의 정치 문제에 대한 논평을 이끌어냈기 때문에, 그 관리들은 자문위원으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 다른 고위직(국회의원 등)에서 겸직했던 학장(대제학·대제학)과 실제로 사무를 관장했던 부학장(부제학·부學)이 맡았다. 이 깊은 유교 사회에서 학장이라는 명성이 붙었다.
이 관직은 1463년 세조가 왕위에 오른 단종의 복위를 위해 주요 관리들("6명의 순교자")이 대거 암살 음모에 가담하자 폐지한 집현전·현현전)을 대신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역사
고려시대부터 조선 3대 관직을 계승하였지만, 조선에서 특히 성종 때 성리학이 이념적 토대가 된 이후 그 특징적인 특징이 발전하였다.
성종은 세조가 조카 단종에게서 왕위를 빼앗자 할아버지 세조를 부축해 큰 권력과 부를 축적한 목사(일명 흥구)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사림이라는 신학파 학자들을 불러들였다. 성종의 후원으로 사림학자들이 삼청의 요직을 점령하고 국무원, 육부 요직을 차지한 흥구 사신들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삼청이 왕과 국무원 장관들 그리고 6부 장관들 사이에 견제와 균형을 제공하는 제3의 권력 기지로 발전했다는 점이다. 그것은 만약 국왕이 실수를 저질렀다고 인식한다면, 국왕의 임명과 칙령을 포함한 법 제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사림파와 흥구파의 갈등으로 연산군 때 사림학자를 살해하고 삼관직을 축출한 두 문인 숙청이 일어났다. 연산군(延山君)은 삼청(三廳)을 왕의 절대적 권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 검열관( cens cens官官)과 특감관(특감관)의 두 관직을 없애고 감찰관실을 축소했다. 그러나 연산군(延山君)이 너무 횡포하여 쿠데타로 물러났을 때 삼청(三廳)은 이전 위치로 회복되었다.
연산군의 뒤를 이은 조선의 중종은 다시 사림학자들을 왕위에 앉힌 훈구 대신들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용하여 사실상 중종을 대체한 권력을 휘둘렀다. 다시 조광조가 이끄는 사림 학자들은 삼청을 권력기지로 삼아 흥구 사신들에게 도전하고 일련의 개혁에 착수했다. 그러나 중종은 개혁과 훈구파에 대한 비방이 급진적 성격으로 인해 조광조와 소원해져 1519년 제3차 문인 숙청으로 이어졌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숙청들은 사림과 흥구라는 두 경쟁파 사이의 투쟁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숙청을 조선 왕들의 삼청 약화 운동으로 보고 있는데, 이 운동은 조선 왕조를 특징으로 하는 왕정과 관료주의/군주주의의 미묘한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