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문화

The Two Cultures
초판(출판) OUP)

'두 문화'는 같은 해 '두 문화'와 '과학 혁명'으로 책 형태로 출판된 영국의 과학자 겸 소설가 C. P. 스노우(C. P. Snow)의 영향력 있는 1959년 '리데 강연'의 첫 부분이다.[1][2] '서구사회 전체의 지적 생활'을 대표하는 과학인문학이 '두 문화'로 갈라졌고, 이 분열이 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두 가지 모두에 큰 장애물이라는 논증이었다.

강의

이 강연은 1959년 5월 7일 케임브리지 주 상원의원에서 전달되었고, 이후 '두 문화'와 '과학 혁명'으로 출판되었다. 이 강의와 책은 1956년 10월 6일 뉴 스테이츠맨에 실린 "두 문화"[3]라는 제목의 스노우 기사에 의해 확장되었다. 책 형식으로 출판된 스노우의 강의는 대서양 양쪽에서 널리 읽히고 토론되어 1963년 후속작인 '두 문화: 그리고 두 번째 보기: 두 문화[4]과학혁명의 확대판

눈의 위치는 에세이의 자주 반복되는 부분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전통 문화의 기준으로 볼 때 고학력자로 생각되고 과학자들의 문맹에 대한 불신감을 표출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에 나는 여러 번 참석했었다. 나는 한두 번 화가 나서 그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열역학 제2법을 설명할 수 있는지 회사에 물어본 적이 있다. 반응은 냉담했다: 역시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나는 과학적인 것에 해당하는 것을 묻고 있었다: 셰익스피어 작품을 읽어이 있는가?[5] 이제 나는 만약 내가 질량이나 가속도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를 들어, "읽을 수 있는가?"와 같은 더 간단한 질문을 했다. – 고학력자 중 10명 중 1명 이상은 내가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래서 현대 물리학의 위대한 지식은 올라가고, 서구 세계에서 가장 영리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신석기시대 조상들이 가지고 있었을 것만큼 그것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5]

2008년 《타임스 문학보충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의 공공 담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100권의 책 목록에 《두 문화》와 《과학 혁명》을 포함시켰다.[2]

스노우 레이드 강의는 빅토리아 시대 이후 영국 교육 시스템이 과학과 공학 교육을 희생하고 인문학(특히 라틴어그리스어)을 과대 보상했다고 비난했는데, 그러한 성과는 연합군을 위한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에 매우 결정적이었다.[6] 이는 실제로 현대 과학계를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준비를 영국 엘리트들(정치, 행정, 산업계)에게 빼앗겼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독일미국의 학교들은 과학과 인문학에서 그들의 시민들을 동등하게 준비시키려고 노력했고, 더 나은 과학 교육을 통해 이 나라들의 통치자들이 과학 시대에 더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고 스노우는 말했다. 나중에 두 문화권에 대한 논의는 (학교와 사회 계층의) 영국 시스템과 경쟁 국가의 시스템 간의 차이에 대한 스노우의 초기 초점을 모호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6]

시사점 및 영향

문학평론가 F. R. 레비스는 자신의 에세이 '두 문화'에서 스노우를 '과학적 확립을 위한 홍보맨'이라고 칭했다. 1962년 <관객기>에 실린 <C. P. 눈의 중요성>. 그 기사는 그 잡지의 편지 페이지에 많은 부정적인 서신을 끌어 모았다.[7]

1963년 책에서 스노우는 그의 생각을 수정하는 것처럼 보였고 중재하는 제3의 문화의 가능성에 대해 더 낙관적이었다. 이 개념은 나중에 존 브록만의 <제3의 문화>에서 다루어졌다. 과학대혁명넘어. Stefan Collini는 The Two Cultures의 재인쇄를 소개하면서, 시간의 경과가 스노우가 알아차린 문화적 분열을 줄이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고 주장했지만, 그것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Stephen Jay Gould's The Hoggher, the Fox, and the Magister's Pox는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변증법적 해석을 가정하면 스노우의 '두 문화'라는 개념은 틀렸을 뿐만 아니라 피해를 주고 근시안적인 시각이며, 어쩌면 수십 년 동안 불필요한 울타리 건설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대륙철학에서 Simon Critchley: 매우 짧은 서론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8]

[스노우]는 공통 문화의 상실과 두 가지 뚜렷한 문화의 출현을 진단했는데, 한편으로는 과학자로 대표되는 문화, 다른 한편으로는 '문학적인 지식인'이라는 별칭이었다. 전자가 과학, 기술, 산업을 통한 사회 개혁과 진보에 찬성한다면, 스노우가 선진 산업 사회에 대한 이해와 동정에서 '자연 루디테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지식인이다. 의 말로 보면, 그 사단은 벤담이트콜리지안 사이에 있다.

즉, Critchley는 스노우가 말한 것이 19세기 중엽의 토론의 흐름을 재조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Critchley는 논란을 일으킨 레비스의 기여를 "악랄한 선동"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이 논쟁을 "영국 문화사의 익숙한 충돌"로 묘사하고 있다. T. H. HuxleyMatthew Arnold도 인용한다.[9][10]

토오마스 헨드리크 일베스 에스토니아 대통령은 2014년 1월 뮌헨안보회의 개막연설에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와 자유와 관련된 현재의 문제들이 '두 문화' 사이의 대화 부재의 정점이라고 말했다.자유민주주의의 컴퓨터광들은 사람들을 추적하는 더 나은 방법을 고안한다... 단지 그들이 할 수 있고 그것이 멋있기 때문에. 반면 휴머니스트들은 기반 기술을 이해하지 못하고,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를 추적하는 것은 정부가 그들의 이메일을 읽는 것을 의미한다고 확신하고 있다."[11]

선행자

과학적인 지식과 인문학적 지식을 대조하는 것은 1890년 독일 대학의 Methodenstreit의 반복이다.[12] 1911년 베네데토 크로체조반니 겐틸레, 다른 한편으로는 페데리고 엔리케스 사이의 다툼은 이탈리아의 두 문화 분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논리적) 실증주의에 비해 (객관적) 이상주의 관점이 우세했던 것으로 생각된다.[13] 사회과학에서는 실증주의해석주의의 싸움으로 흔히 제시되기도 한다.[12]

참고 항목

참조

  1. ^ Snow, Charles Percy (2001) [1959]. The Two Culture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 ISBN 978-0-521-45730-9.
  2. ^ a b "The hundred most influential books since the war". The Times. London. 30 December 2008.
  3. ^ 2013년 눈.
  4. ^ Snow, Charles Percy (1963). The Two Cultures: And a Second Look: An Expanded Version of The Two Cultures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 a b "Across the Great Divide". Nature Physics. 5 (5): 309. 2009. Bibcode:2009NatPh...5..309.. doi:10.1038/nphys1258.
  6. ^ a b Jardine, Lisa (2010). "CP Snow's Two Cultures Revisited" (PDF). Christ's College Magazine: 48–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7 April 2012. Retrieved 13 February 2012. 자딘의 2009년 C. P. 스노우 강의는 스노우 강의 50주년을 기념했다. 그녀는 스노우의 강연을 역사적 맥락에 배치하고, 196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스노우 고드킨 강의에서 레디 강의의 특정 요소들의 확장을 강조한다. 이것들은 결국 다음과 같이 출판되었다.
  7. ^ Kimball, Roger (12 February 1994). "The Two Cultures' today: On the C. P. Snow–F. R. Leavis controversy". The New Criterion.
  8. ^ Critchley 2001, 페이지 49.
  9. ^ Critchley 2001, 페이지 51.
  10. ^ 콜리니 1993, 페이지 xxxv.
  11. ^ 일베스, 토오마스 헨드릭 : "재부팅 트러스트? 사이버 공간의 자유와 보안 2014년 2월 23일, 뮌헨 보안 컨퍼런스 사이버 31의 "웨이백 머신" 개막 연설 보관. 2014년 1월 31일. 31.01.
  12. ^ a b Brint, Steven G (2002), The Future of the City of Intellect: The Changing American University, pp. 212–3, ISBN 9780804745314, positivism-versus-interpretation language [...] these fractal distinctions are generally quite old. Most of them have been around at least since the celebrated Methodenstreit of the German universit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CP Snow's "two cultures" argument captures a later instantiation of them. [...] In negotiating the complexities of social scientific and humanistic knowledge, it is extremely helpful to have a dichotomy like positivism versus interpretation, because it saves our having to remember the exact degree of positivism of any scholarly group. [...] Every single social science discipline has internal debates about positivism/interpretation, narrative/analysis, and so on. The narrative/analytic debate may look very different in economics, anthropology, and English. But underneath all the surface differences it is quite similar.
  13. ^ Dauben, Joseph W.; Scriba, Christoph J. (2002). Writ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Its Historical Develop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422. ISBN 978-3-7643-6167-9.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