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강화

Self-enhancement

자기 강화는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좋게 느끼게 하고 자존감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기부여의 일종이다.[1] 이러한 동기는 특히 위협, 실패 또는 자존심에 타격을 주는 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된다.[2][3][4] 자기 강화는 부정적인 자기 견해보다 긍정적인 것을 선호하는 것을 포함한다.[5] 자기평가(정확한 자기개념 추진), 자기검증(자신의 정체성과 일치한 자기개념 추진), 자기계발(자기개념을 향상시키는 행위)과 함께 4가지 자기평가 동기 중 하나이다. 자기 평가 동기는 자기 규제, 즉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지시하는 과정을 촉진한다.

개인의 가치관을 높이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그들은 그들이 부족한 기술을 경시하거나 비교해서 다른 사람들이 더 좋아 보인다고 비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들은 사람들이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긍정적인 자질을 가지고 있고 부정적인 자질을 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6] 자존감이 낮을 뿐 아니라 자존감이 떨어지는 사람들에게도 자기강화가 눈에 띄지만 이 두 집단은 다른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이 있다. 이미 높은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들은 새로운 정보를 편향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자기 개념을 직접적으로 강화한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예를 들어, 부정적인 자질이 두드러질 상황을 피함으로써, 보다 간접적인 전략을 사용한다.[7]

자기강화가 개인에게 이로운가, 자기강화가 문화적으로 보편적인가, 서구 개인주의에 특화된가 하는 논란도 있다.

레벨

자기 강화는 많은 다른 상황에서 그리고 많은 다른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다. 자기 강화의 일반적인 동기는 여러 가지 다른 근본적 설명을 가질 수 있는데, 각각의 설명은 상황에 따라 어느 정도 지배적이 된다.

자기 강화 동기에 대한 설명은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 강화는 관찰된 효과로서 일어나지 않고 근본적인 동기나 성격 특성으로 일어날 수 있다.

자기 강화 수준
관측 효과관찰된 효과 수준의 자가 강화는 동기의 산물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기 강화는 부풀린 자기비례(긍정적인 환상)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한 등급은 관찰된 효과로 나타날 것이다. 그것은 그 동기의 명백한 예다.
진행과정진행 중인 공정 수준의 자가 강화는 동기의 실제 작동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기 강화는 바람직한 결과를 자기 자신에게 귀속시키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자기 서비스적 귀속 편향). 그러한 등급을 귀속시키는 실제 행위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자명해질 것이다. 그것이 운영의 동기다.
성격 특성성격 특성 수준의 자기 강화는 습관적이거나 부주의한 자기 강화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기 강화는 실패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상황을 만들 수 있다(자기 손찌검). 그러한 상황이나 변명을 자주 그리고 의식 없이 조작하는 것은 인격적 특성으로 나타날 것이다. 그 동기를 증명하는 것은 반복적인 성향이다.
기저동기근본적인 동기 수준의 자기 강화는 자기 강화에 대한 의식적인 욕구를 묘사한다. 예를 들어 자기강화는 자기 자신을 다른 것과 더 나쁘게 비교하게 하여 비교(전략적 사회적 비교)에 있어서 자기 자신을 더 크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우열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비교하는 행위는 자기 강화가 밑바탕에 깔려 있는 동기로 나타날 것이다. 자아가 우월하다고 보는 것이 진정한 욕망이다.
Sedikides & Gregg(2008)[5]에 의해 정의된 4단계 자기 강화 표현

치수

자기 강화의 정도와 종류는 모두 여러 차원에 걸쳐 다양하다.[5]

자기계발 vs 자기보호

자기강화는 자기개념의 긍정을 강화하거나 자기개념의 부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8] 부정성을 피하는 것이 긍정을 조장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에서, 자기 보호는 두 가지 동기 중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9] 그러나, 모든 동기 부여와 마찬가지로, 개인들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 진보를 선호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자기 보호를 하는 경향이 있다.[10] 이것은 위험의 역할을 강조한다: 자기 홍보를 위해 부정적인 것에서 자신을 방어하지 않는 것은 손실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반면, 자기 보호로부터 완전히 이득을 얻는 것은 아니지만, 부정적인 것도 역시 초래하지 않는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더 큰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 위험한 자기 선진화 전략을 선택하는 반면, 자존감과 위험 감수성이 낮은 사람들은 자기 보호로 내기를 회피한다.[11]

공개 대 비공개

자기 강화는 사적인 일이나 공공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다.[12] 공공의 자기 강화는 분명히 긍정적인 자기 표현인 반면,[13] 개인의 자기 강화는 개인 외에는 눈에 띄지 않는다.[14] 공공의 자기 강화에서와 같은 다른 사람들의 존재는 자기 강화를 증가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15][16] 자기 강화가 항상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세계, 예를 들어 사회적 비교를 통해 여전히 영향을 받는다.[17]

중앙 대 주변 장치

자기 강화의 잠재적 영역은 그들이 사람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또는 중심적인지에 따라 다르다.[18] 자기 강화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도메인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더 주변적이고 덜 중요한 도메인에서 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19][20]

허심탄회 대 전술

자기 강화는 솔직하거나 요령 있게 일어날 수 있다.[21] 솔직한 자기 강화는 즉각적인 만족의 목적을 제공하는 반면 전술적인 자기 강화는 만족을 지연시킴으로써 잠재적으로 더 큰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노골적인 자기 강화는 주변 사람들에게 사회적으로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종종 솔직한 자기 강화보다 전술적인 자기 강화가 선호된다.[22] 나르시시즘은 극도의 솔직한 자기 강화의 예다.[23]

종류들

자기 강화는 무작위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의 발생은 종종 매우 체계적이며, 자아에 대한 인식을 부풀리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자기 계발하고 있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자기계발 과정에 대한 인식은 우리가 창조하려고 노력하는 면을 부각시킬 것이며, 우리가 인식하는 자아가 사실 우리의 실제 자아에 대한 강화된 버전이라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자기 이익 귀속 편향

자기 강화는 또한 사람들이 사회적 결과에 대해 야기하는 인과적 설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람들은 자기 잇속적인 귀속 편향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긍정적인 결과를 자신의 내부적 성향에 귀속시키는 것이지만, 다른 것, 기회 또는 상황 등 통제할 수 없는 요인에는 부정적인 결과를 귀속시키는 것이다.[24] 간단히 말해서, 사람들은 그들의 성공에 대해 공로를 인정하지만 실패에 대한 책임은 부인한다. 자기 잇속적 귀속 편향은 매우 견고하며,[25][26] 정직에 프리미엄이 붙을 때 조차도 개인뿐 아니라 공공장소에서 발생한다.[27] 사람들은 그들이 개인적으로 손이나 말뚝을 가지고 있었던 기원이나 사건을 설명할 때 가장 흔히 자기 잇속적인 편견을 드러낸다.[28][29]

도덕적 위반에 대한 설명은 집단 행동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유사한 자기 봉사 패턴을 따른다.[30][31][32] 궁극적인 귀인 오류[32] 자신의 외부 집단에 의한 부정적 행위와 집단에 의한 긍정적 행위, 즉 외부 요인의 산물이 아닌 내부적 성향에 의한 부정적 행위를 본질적으로 간주하는 경향이다. 이는 사회 식별을 통해 굴절되는 자기 서비스 편향의 작동을 반영할 수 있다.[33][34]

선택성

선택적 기억력

정보처리내 선택성
선택적 주의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인코딩할 때 음성이고 지연되지 않는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피하며,[35][36] 따라서 초기 인식은 손상된다. 선택적 주의는 선택적 노출을 통해 명백한 행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선택적 노출사람들은 자신이 내린 중요한 사전 결정을 정당화하는 정보에 선택적으로 노출된다.[37] 이는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보이는 한, 그리고 내린 결정이 그렇게 자유롭게 이루어졌고 되돌릴 수 없는 한, 사실이다.[38]
선택적 리콜회상에서 사람들은 매우 편향된 기억의 컬렉션을 떠올린다. 선택적 리콜은 바람직한 성격 특성, 조화로운 대인 관계[40] [39]또는 심지어 건강 증진 습관의 모범이 되는 행동에 대해 발생한다. 불쾌한 기억과 관련된 영향 또한 즐거운 기억과 관련된 영향보다 더 빨리 사라진다.[41]

사람들은 때때로 약점보다는 자신의 장점을 선택적으로 기억함으로써 자기 강화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선택적 망각의 패턴은 빈혈적 방치로 묘사되어 왔다. 빈혈 방치는 인코딩, 검색 또는 보존 시 정보 처리에 편견을 반영할 수 있다.

  • 인코딩 시 편향은 선택적 주의와 선택적 노출을 통해 발생한다.
  • 회수 및 보존 시 편향은 선택적 리콜을 통해 발생한다.

빈혈 방치의 역할은 특정 행동이나 특성의 특성에 의해 강조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행동에 관한 잘못된 피드백을 받은 후에 참가자들은 부정적인 행동보다 더 많은 긍정적인 행동을 떠올렸지만, 그 행동이 주변적인 특성이 아닌 중심적인 행동을 예시했을 때 그리고 피드백이 다른 행동과 관련이 없을 때에만 그러했다.[36] 유사한 발견은 소위 말하는 정보가 성격 특성,[42] 행동을 촉진하거나 약화시키는 관계,[43] 사회적 행동의 빈도,[44] 자전적 기억일 때 나타난다.[45]

선택적 인수 및 재삽입

선택적 수용은 그 타당성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과시적 혹은 자아 향상적 정보를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 반박은 비판의 신빙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그럴듯한 이론을 찾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 수용과 반박의 좋은 예는 다음과 같다: 선택적 수용은 대안을 고려하지 않고 잘 수행된 시험을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행위인 반면 선택적 반박은 불합리한 시험으로서 불합격 사유를 신중하게 찾고 있다.경솔하게[46][47]

선택적 수용과 반박과 일치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가해진 비난에 대해 더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그들이 받는 칭찬에는 더 관대한 태도를 취한다는 관찰이다.[48][49] 사람들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 정보에 강력히 이의를 제기할 것이지만 의문의 여지없이 기꺼이 동의할 것이다[50][51].

전략들

전략적 사회적 비교

전략적 사회적 비교를 위한 잠재적인 방향.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사회적 본성은 자기 평가가 절대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다른 사회적 존재와 비교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많은 사회적 비교는 상황의 결과로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시험에서 지성의 사회적 비교는 같은 시험을 보는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강화 동기의 강도는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비교에서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결과를 주기 위해 시나리오의 주관적인 착취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한 비자발적인 사회적 비교는 자기 규제 전략을 촉진한다.

자긍심은 열등하고 우월한 상대방에 대한 비교의 유익하고 평가적인 결과를 온건하게 한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아랫사람들의 실패와 불행을 피하는 것과 윗사람의 성공과 행운을 확보하는 것에 대해 더 낙관적이다.[52]

상향식 사회비교

상향식 사회적 비교는 자신을 자신보다 우월하거나 우월하다고 인식되는 개인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신과 비슷하다고 느끼는 사람에 대한 상향적 사회적 비교는 자아와 다른 사람의 특성의 동화를 통해 자아강화를 유도할 수 있지만,[53]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발생한다.

  • 자아와 비교 대상의 간극이 너무 크지 않다.[54]
  • 비교되는 기술 또는 성공은 달성할 수 있다.[55]
  • 비교 대상은 경쟁자로 인식된다.[56]

사회적 비교의 결과로서 동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대신 영감을 주는 사회적 비교를 위쪽으로 이끌 수 있는 대비가 발생할 수 있다.[57]

하향식 사회비교

비록 상향식 사회적 비교가 가장 흔한 사회적 비교일지라도, 사람들은 하향식 사회적 비교를 하기도 한다.[58][59] 하향식 사회적 비교는 자기보다 열등하거나 덜 숙련된 것으로 인식되는 개인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향식 사회적 비교는 그러한 하향식 사회적 비교에서 얻은 우월감 때문에 자아가 부풀려지는 자아-defence의 한 형태로 작용한다.[60][61]

수평적 사회 비교

가로 방향의 사회적 비교, 즉 자아와 동등하다고 인식되는 것과 비교하는 것도 자기 계발일 수 있다. 특히 집단이 불리할 때, 자신의 집단의 구성원들과 비교하는 것은 낮은 자존감에 대한 보호가 될 수 있다.[62]

자기평가유지설

자기강화는 대인관계의 맥락에서 능력수준의 함수로서 밀랍과 시들해지고, 이것은 차례로 대인관계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이 스스로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63]

  • 관계의 폐쇄성: 자신의 성과와 다른 성과를 비교하는 것은 더 발생하기 쉬우며, 그렇게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이 거리감보다는 가까이 있을 때 더 결과적이다.
  • 특정 능력의 개인적 관련성: 도메인이 자신과 관련이 없을 때 반성이 일어나고 도메인이 관련될 때 비교가 발생할 것이다.
    • 반성: 하나는 잘하면 자기강화(자비)를 겪지만, 다른 하나는 잘하면 자기 강등(자비)을 겪는다.
    • 비교: 다른 사람이 잘하면 자기 비하(굴욕)를, 다른 사람이 잘하면 자기 강화(트리펌프)를 겪는다.
  • 해당 능력 영역의 성능 수준.

사람들은 자기 평가의 압력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 전략을 채택한다.

  • 우수하지만 같은 도메인에 속하지 않는 친구 및 파트너를 선택하십시오.[64]
  • 개인 관련 도메인의 다른 도메인의 성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보류.[65]
  • 자체 개념을 변경하여 성능 영역의 관련성을 변경함으로써 반영 및 비교 프로세스의 영향을 완화한다.[66]
  • 도메인 관련 작업의 난이도를 의도적으로 변경하여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격차를 늘리거나 좁히십시오.[67]

전략적 구성

사람들이 자신과 사회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은 비교적 모호하다.[68] 결과적으로, 사회적 비교나 추정을 할 때 사람들은 자기 강화를 위해 그러한 개념의 의미에 대한 그들의 구성을 쉽고 미묘하게 바꿀 수 있다. 전략적인 건설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피드백에 따라 증가한다.[69] 전략 건설의 수많은 예가 존재하며, 소량 선택은 다음을 포함한다.

  • 무엇이 미덕이나 재능으로 중요한가에 대한 사람들의 해석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에 편중되어 있으며, 무엇이 그들에게 부족한 속성에 대한 악덕이나 결핍에 편중되어 있다.[70]
  • 사람들은 만약 그것이 그들이 질병에 걸리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성격 피드백과 과학적 연구를 덜 신뢰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48][71]
  • 게으른 사람들은 세계의 나머지를 합리적으로 적합하고 건강한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 자주 운동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운동성을 하나의 독특한 속성으로 본다.[72]
  • 특정 분야에서 성취도가 낮은 사람들은 성취도가 높은 사람들의 성공을 예외적인 것으로 인식하기 쉬우며, 따라서 그들 자신의 무능에 대한 수치심을 줄인다.[73]
  • 사람들은 그들이 받는 어떤 실망스러운 시험 결과에 대해 더 열심히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더 오래 생각할 것이고, 그것들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있고 훨씬 더 회의적이다.[50] 그러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받은 결과를 시험하기 위해 같은 방식으로 반응하지 않는다.[74]
  • 연구가 사람들이 동일시하는 집단의 평판을 해칠 때, 그들은 그 연구의 통계적 약점을 찾아낸다.[75]
  • 전략적인 건설은 또한 더 미묘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속성뿐만 아니라 다른 것에 대해서도 비교적으로 더 크게 보이기 위해 자기 확대 해석을 한다.

전략적인 건설은 자존감을 중심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피드백이 있은 후,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전형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능력과 수행에 대한 인식을 자기 강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76] 그러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자존감 수준은 전략적인 건축물의 사용을 적당히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존감 수준의 기능으로서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구성도 자존감 수준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자신들에 대한 부정적인 문화적 태도로 인해 학문적 환경에서 저조한 성적을 거둔 소수집단 구성원들이 심리적으로 단절되고, 전반적으로 학문적 추구에 대해 불신한다. 그들은 자존감 수준을 완충시키면서 미래의 사회경제적 전망을 위태롭게 한다.[77]

전략적인 건설은 또한 범주가 다른 사람들을 특징짓는다고 믿어지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특성을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78]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신의 단점 유병률을 신뢰성 있게 과대평가한다. 예를 들어, 강화된 허위 일치 효과를 보이고, 강점의 유병률을 과소평가한다. 예를 들어, 반대로 잘못된 고유성 효과를 나타낸다.[79] 사람들은 그들의 결점을 비교적 흔하지만 그들의 능력은 독특하다고 인식한다.

행동 자기 핸드캐핑

행동 자기 손짓은 업무 수행에서 도출할 수 있는 평가적 함의를 줄이기 위해 업무 성공 경로에 장애물을 세우는 행위다.[80] 이를 통해 자기 강화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81]

  • 실패의 경우, 자기 손질은 실패를 자신이 세운 장애물 탓으로 돌림으로써 자존감을 보호할 수 있다.
  • 성공의 경우, 자기 손짓은 자신이 세운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자신에게 귀속시킴으로써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무능하다고 인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기 보호 경로로 할인을 선택하는 반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인지 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기 홍보 수단으로 증강을 우선 선택한다.[10][82] 주로 사적 수행에서[83] 발생하는 행동은 공공 상황에서 확대되는 반면, 자기 핸드캐핑은 공공의 상황에서 확대된다.[84] 그러나, 자기 손질은 사회적 상황에서 매우 위험하다. 이 사실이 밝혀지면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와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85]

행동 자기 핸드캐핑을 촉진하는 요인
작업 친숙도 유사한 과제에 대한 제한된 통제 경험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불확실성.[86]
작업 복잡성 업무의 복잡성에 대한 매우 고정된 구체적인 이론을 보유하는 것.[87]
불안감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자아감 때문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불확실성.[86]
믿음 신체적으로 개선이 가능하다는 믿음을 갖는 것.
중요도 자기 핸드캐핑이 일어나려면 자신에게 업무나 평가가 중요해야 한다.
피드백 부정적인 피드백은 자아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시정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자기 핸드캐핑을 더 가능성이 있게 만든다.[88]
신경증 높은 신경증 증세는 할인을 촉진한다.[89]
양심 양심성이 낮으면 자기주장 성향을 높일 수 있다.[89]

자체 손실의 원인과 관계없이 최종 결과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작업 결과 또는 평가의 무결성과 품질이 저하되어 그 결과의 의미가 보다 만족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행동적 자기 손짓은 능동적 자기 기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90]

업무 수행이 사람들에게 중요한 반면, 그들은 가끔 역설적으로 업무 수행 능력을 손상시키거나,[80] 편리한 핑계를 만들어 서툴렀던 수치로부터 보호하거나, 자만할 근거를 만들어 역경에도 불구하고 성공함으로써 스스로를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행동한다.[82] 게다가, 자기 손짓은 의도하지 않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긍정적인 자기[91] 견해의 유지보수를 허용하는 한편, 객관적 성과를 손상시키는 비용이 든다.[92] 자주 자기 손짓 전략을 구사한다고 신고하는 학생은 자신의 적성에 비해 미흡한 성적을 보이며 시험 준비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93]

궁극적으로, 업무 수행이 저조할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기꺼이 준비하는 사람들은 덜 할인하는 전략을 사용한다.[94]

결과

자기 강화 전략의 효과는 남들보다 자신이 더 긍정적인 자질과 더 긍정적인 미래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경향에서 나타난다.[6]

자기계발 삼합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아첨하는 견해는 흔히 삼합회라고 알려진 것들로 깔끔하게 분류될 수 있다.[95] 문제의 세 가지 환상은 평균 이상의 효과,[96] 통제의 환상,[97] 비현실적인 낙관이다.[98] 이러한 환상은 많은 상황에 걸쳐 복제될 수 있으며 개정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오히려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런 환상의 존재를 알게 되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들에게 덜 노출되는 것으로 여긴다.[99]

평균 이상 효과

평균 이상의 효과는 평균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증거다. 그것은 자기와 다른 사람들이 판단하는 기준이 동일하더라도 여전히 자아가 더 유리하게 인식된다는 사실에서 증명되었듯이 매우 강력한 효과다.[96] 자아에 가까운 것들도 평균 이상의 효과의 인식된 우월성을 떠맡는다. 사람들은 그들의 친밀한 관계와[100][101] 개인적인 소유물[102] 모두를 다른 사람들보다 더 중시한다. 그러나, 어떤 결과가 매우 숙련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람들은 종종 주의의 편에 서서 평균보다 더 나쁜 영향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대다수의 사람들은 외발 자전거 타기에 있어서 평균 이하라고 평가할 것이다.

자기 강화 삼합회의 관련 3개 부문.

평균 이상의 효과의 환상적 특성은 모든 사람이 평균 이상일 수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그렇지 않으면 평균이 아닐 것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신들을 대다수의 사람들보다 낫다고 평가하는 것은 꽤 그럴듯해 보이지 않으며, 어떤 상황에서는 100% 불가능하다. 분포가 대칭인 경우, 즉 평균 = 중위수 = 모드인 경우, 세 가지 평균 중 어느 것을 취하든 모두 50번째 백분위수와 같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이 평균 이상이라는 것은 통계적으로 불가능하다.[103] 비대칭 분포 즉, 평균 < 중위수 > 모드 또는 모드 < 중위수 > 평균에서는 중위수가 50번째 백분위수 또는 데이터의 중간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평균이 중위수가 되는 것으로 간주될 때 대다수의 사람이 평균을 초과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불가능하다.[103] 그러나 평균이 평균이거나 모드로 간주되는 비대칭 분포에서 평균 이상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평균 이상일 수 있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평균 이상의 효과의 형태로 자기 강화력을 보여준다. 긍정적이거나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하는 업무에서는 평균 이상이라고 공언하고 부정적이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산출하는 업무에서는 평균 이하라고 주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평균 이상의 효과에 대한 문서화된 매우 다양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관측을 포함한다.

  •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사회적 우아함, 운동능력, 리더십 능력을 보여주는 데 있어서 자신들을 50퍼센트 이상이라고 생각한다.[104][105][106]
  • 심지어 문법이나 논리학 같은 영역에서 12번째 백분위수를 달성한 사람들 조차도 그들 자신을 62번째 백분위수 성취라고 생각한다.[107]
  • 대학교수의 94%는 그들의 교수 능력이 평균 이상이라고 믿는다.[108]
  • 영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은 자신을 평균 이상의 운전자로 여긴다.[109] 사고를 낸 뒤 입원한 운전자들조차 일반 운전자들보다 나쁘지 않다고 믿고 있다.[110]
  • 위의 평균 효과에 대해 알렸을 때에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그러한 편견에 덜 민감하다고 스스로 평가한다.[111]

통제의 환상

사람들은 결과나 우발상황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통제력의 수준을 과대평가하며,[112] 실제로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자신의 행동이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본다.[113] 또한, 사람들은 복권 같은 본질적으로 무작위 시스템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 특히 그러한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기술 기반 작업과 관련된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 그렇다. 행동과 결과 사이에 어느 정도의 우발상황이 존재하더라도, 사람들은 여전히 그 우발상황의 강도를 신뢰성 있게 과대평가한다.[113]

비현실적 낙관론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그들의 삶이 비슷한 다른 사람들의 삶보다 더 많은 수의 긍정적인 경험들과 부정적인 경험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98][114][115] 그들은 같은 비현실적인 낙관론을 가지고 있지만, 낭만적인 파트너나 가까운 개인적인 친구처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덜 그렇다.[116]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많은 다른 상황에 걸친 사람들의 행동과 믿음에서 명백하다. 사람들은 둘 다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과대평가할 수 있고,[117] 다양한 임무를 완성하는 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과소평가할 수 있다.[118] 사람들은 또한 사회적 예측의 정확성을 과대평가하고 [119]확률부사를 해석하여 개인적 긍정적 결과에 대해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개인의 부정적 결과에 대해 더 낮은 가치를 부여한다.[120] 흡연자들은 오히려 놀랄 정도로 비흡연자와 심지어 동료 흡연자들과 비교해서도 그들의 암 발병 위험을 과소평가한다.[121]

개인에 대한 혜택 및 비용

자기강화가 적응력이 있는지, 아니면 적응력이 떨어지는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122][123] 자기 강화의 단일 작동화는 다양한 동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 둘 다로 조정될 수 있다.[124] 자신의 성과를 오용하는 사람들(셀프 엔핸서, 자기 에페서)은 학업 성취도가 낮고, 후속 성적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으로 보편적인 것으로 보인다.[125] 물론, 우울증과 자기 향상을 연관 짓는 것은 잘못된 가정이다.

  • 만약 자기 강화가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판단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취해진다면, 결과는 종종 유리하다.[126][127]
  • 만약 자기 강화가 다른 사람들이 주는 것보다 자신에 대한 더 긍정적인 판단의 렌더링을 의미하기 위해 취해진다면, 결과는 종종 다루어지지 않는다.[128][129]

어떤 정의가 자기 강화도를 더 잘 측정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는 자신을 한 등급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자기 강화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130]

일부 연구에서 자기 강화는 좋은 정신 건강과[131] 강한 긍정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나쁜 정신 건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8] 자기 계발에는 사회적 비용도 들 수 있다. 9.11 테러 공격의 생존자들 사이에서 회복력을 증진시키면서, 스스로 강화한 사람들은 친구들과 가족들에 의해 사회적 적응과 정직성을 감소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132]

제약

신뢰성

자기 강화는 증거의 애매함이나 애매함에 따라 번창한다. 기준이 엄격하게 정의되는 경우, 자기 강화는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예를 들어, 정의된 특성의 명확성과 정의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이상의 효과는 감소한다.[133] 행동이나 특성을 검증하는 것이 쉬울수록 그 특성은 자기 강화의 대상이 될 것이다. 실제 세계의 증거에 주어진 특성이나 특성의 타당성은 그 특성의 자기 강화가 발생하는 정도를 완화시킨다. 바람직한 특성의 예를 선택적으로 상기하는 것은 현실에서 그러한 특성의 실제 지위에 의해 완화된다.[39]

신뢰성이 자기 강화의 영향을 감소시킬 때, 비록 마지못해라도 바람직하지 않은 증거는 종종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증거에 대한 가능한 모든 해석이 이루어질 때 발생한다.[75] 이렇게 받아들이기를 꺼리는 이유는, 자격 없는 자기 확장이 그렇지 않으면 그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134] 사람들은 그것을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 계속해서 자기강화를 할 것이다.[135][136]

자기 강화 편견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강화에 대한 신뢰성 제약이 존재한다. 자기 강화는 합리성을 전제로만 작용한다 – 정당하게 합리적인 절차에 따라 정당하게 검증 가능하고 인가된 개선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자기 강화는 끌어낼 수 있는 어떤 결론과 그것의 겉모습을 믿을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훼손한다.[137]

무드

긍정적인 분위기와 부정적인 분위기 모두 자기 강화 동기의 존재를 줄일 수 있다. 분위기가 자기 강화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강화 전술의 사용을 더 어렵게 만드는 부정적인 분위기, 그리고 애당초 그들의 사용을 덜 필요하게 만드는 긍정적인 분위기로 설명할 수 있다.

긍정적인 분위기의 시작은 사람들이 부정적인 진단 피드백에 더 수용적이게 만들 수 있다. 과거의 성공은 아마도 그들의 기분을 완충시키기 위해 그러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검토된다.[138]

우울증은 자기 강화의 동기가 감소하는 것과 꽤 잘 입증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우울증은 비우울적 통제보다 부정적인 피드백에 반응하여 자기 강화 능력이 떨어진다.[139][140] 우울한 성질을 가지면 자신의 덕목에 대한 추정치와 중립적인 관찰자의 추정치 사이의 불일치, 즉 겸손함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한다.[141][142] 통제에 대한 환상은 우울함에 의해 완화된다.[143] 그러나 우울증의 자기비율은 정상인의 자기평가보다 중립적인 관찰자의 자기평가와 더 일치하지만, 정상인의 자기평가는 우울자의 자기평가보다 친구나 가족의 자기평가와 더 일치한다.[141]

사회적 맥락과 관계

자기 강화의 동기의 존재는 많은 사회적 상황과 그 안에 있는 사람들과 공유하는 관계에 달려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 따라 자기 강화의 많은 다른 물질적 요소가 발생할 수 있다.

  • 자기 강화 동기는 친밀하고 중요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때 더 약하다.
  • 친구(또는 친밀도가 높아진 이전의 낯선 사람)가 어떤 일에 협력할 때, 그들은 이기적인 귀속 편견을 보이지 않는다.
    • 그러나 가벼운 지인들과 진정한 낯선 사람들은 자기 잇속만 차리는 편견을 보인다.[135]
    • 관계에서 자기 잇속적인 편견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그 관계에 대한 신뢰의 배신은 자기 잇속적인 편견을 회복시킬 것이다. 이는 관계 만족도가 신뢰의 배신과 반비례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발견에 해당한다.[144]
  • 상호 호혜주의에 대한 상호 호감과 기대 모두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은혜를 중재하는 것처럼 보인다.[145]
  • 사람들은 낯선 사람들 앞에서 자랑스럽게 자신을 내세우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이러한 성향은 친구 앞에서는 사라진다.[136]
  • 자신과 가까운 다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더 먼 다른 사람들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146]

문화

심리적 기능은 문화의 영향으로 절제된다.[147][148][149] 자기 강화에 대한 문화적인 관점을 뒷받침할 많은 증거가 있다.

서양인들은 전형적으로... 동양인은 보통...
의존성 우선 순위 지정 상호의존성 우선순위 지정
개인주의적 가치에 더 큰 중요성 부여 수집적 가치에 더 큰 중요성 부여
자신의 장점을 더 부풀려 평가 자신의 장점에[150] 대해 부풀려진 평가가 적다.
내부 속성 강조 관계 속성[151] 강조
자기비판을 무색하게 하는 자기강화력을 보여준다. 자기강화를[151] 무색하게 하는 자기비판적 표현
자발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자기 설명 제공 자발적으로 더 부정적인 자기 설명[152] 제공
자기비하적 사회적 비교 감소 자기비하적인 사회적[153] 비교를 더 많이 한다.
비현실적으로 더 낙관적인 미래관 보유 미래에[154] 대해 비현실적으로 낙관적인 견해를 적게 보유
자가 서비스 속성 치우침 표시 자기 서비스적 귀인 편향[155] 표시 안 함
자기 비판을 통한 자기계발에 대한 약한 욕구 표시 자기 비판을[156] 통한 자기계발에 대한 강한 욕구 표시
반 친구보다 더 좋은 성적을 내고 싶어 한다. 같은[157] 반 친구보다 더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을 꺼린다.
부정적인 피드백은 반사적으로 할인 부정적인 피드백을[158] 쉽게 인정
초기 성공 후 더 지속 초기 고장[159] 후 더 지속
가장 성공적으로 진단되는 작업을 고려하십시오. 대부분의 진단에[159] 실패한 작업을 고려하십시오.
대다수의 성격 차원에 대한 자기 강화 일부 성격 차원에서만[160] 자가 강화
개인주의 속성에 대한 자기 강화 집산주의 속성에[20][161] 대한 자체

자기 강화는 주로 동양보다 사회적 유대관계가 느슨한 서구 문화에 국한된 현상으로 보인다. 이것은 자기 강화에 대한 제약으로 관계 친밀성을 강조하는 경험적 증거와 일치한다.[162] 가능한 자아에[163] 대한 열망으로서 자기계발 동기는 독립적이고 상호의존적인 문화 양쪽 모두에서 다양한 심리적 과정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164]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호의존적인 문화에서 자기강화가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라는 징후가 있다. 중국 학생들은 자신들을 역량의 차원으로 높게 평가하고,[165] 대만 직원들은 그들의 고용주보다 자신들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데,[166] 둘 다 동양 문화에서 자기 계발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문화간의 자기 강화의 관찰된 차이점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자기 강화의 동기가 얼마나 전략적으로 작용하는가에 대한 차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지, 동기의 강도의 변화 때문이 아니다.[21] 또는, 자기 강화는 문화적으로 규정된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에 의해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특성에 의해서만 표현될 수 있다.

자기 강화가 보편적인 것인지 아니면 서구 문화에 특정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콘스탄틴 세디키데스와 스티븐 하이네이라는 두 명의 연구자에 의해 현대 문학에서 논쟁되었다. 세디키데스는 자기강화는 보편적이며, 다른 문화들이 그들의 문화에서 중요한 영역에서 자기강화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하이네이는 자기강화를 주로 서구적인 동기로 묘사한다.[20][167][168][169][170][171][172]

다른 동기

자기강화가 지배적인 자기평가 동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기평가 동기의 구분과 관련해 많은 논란이 있고, 자기강화 동기가 우선시되는 상황도 있다.

  1. 자체 평가 동기는 종종 사회적 상호작용 내에서 각 접근방식의 상대적 적응성으로 인해 자기 강화 동기와 대조된다.
  2. 자기 검증 동기는 종종 납득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자기 강화 지지자들에 의해 종종 도전받는다.
  3. 자기계발 동기는 종종 자기계발 동기의 물리적 표현, 즉 원하는 긍정적인 자기관을 획득하는 행위라고 여겨진다.

자신에 대한 진실이 악화되거나 변화되는 경우, 모든 동기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은 점차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아진다.

자기평가 동기(자기계발 제외)를 비교하기 위한 시도로 자기반성 과제를 채용했다. 참가자들은 그들이 특정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그들 자신에게 가장 많이 할 수 있는 질문을 선택하도록 요구 받았다. 전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평가나 자기검증보다 자기강화를 더 많이 했다. 사람들은 중심적이고 긍정적인 특징에 관한 높은 진단 질문을 중심적이고 부정적인 질문보다 선택했고, 중심적이고 부정적인 질문보다는 긍정적인 질문에 예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사람들은 자기 평가보다 자기 검증이 더 많으며, 상대적으로 불확실한 주변적 특성보다 상대적으로 확실한 중심적 특성에 관한 전반적인 질문을 더 많이 선택했다.[173]

기타인자

  • 인지 부하: 사람들이 인지 부하가 큰 상황에 처해 있는 곳에서는 거의 본능적인 것처럼 자기 강화의 경향이 높아진다. 사람들은 긍정적인 특성을 갖는 것에 더 빨리 동의하고 부정적인 특성을 갖는 것을 더디게 거절한다.[174][175]
  • 수정 가능성: 특성이나 특성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특성은 수정될 수 있는 특성을 인지하는 것에 비해 자기 계발력이 더 높다.[176]
  • 진단성: 특성이나 특성이 고도로 진단된 것으로 보이는 경우, 노이로제라는 잘못된 자기강화 시도 과정에서 발각될 것을 우려해 자가강화 가능성이 낮다.[135][136]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Sedikides, C.; Strube, M. J. (1995), "The Multiply Motivated Sel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12): 1330–1335, CiteSeerX 10.1.1.561.6126, doi:10.1177/01461672952112010, ISSN 0146-1672, The self-enhancement motive refers to people's desire to enhance the positivity or decrease the negativity of the self-concept.
  2. ^ Beauregard, Keith S.; Dunning, David (1998), "Turning up the contrast: Self-enhancement motives prompt egocentric contrast effects in social judg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3): 606–621, doi:10.1037/0022-3514.74.3.606, ISSN 0022-3514, PMID 9523408.
  3. ^ Krueger, J. (1998), "Enhancement Bias in Descriptions of Self and Othe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5): 505–516, doi:10.1177/0146167298245006, ISSN 0146-1672.
  4. ^ Wills, Thomas A. (1981), "Downward comparison principles in social psychology", Psychological Bulletin, 90 (2): 245–271, doi:10.1037/0033-2909.90.2.245, ISSN 0033-2909.
  5. ^ a b c Sedikides, Constantine; Gregg, Aiden P. (2008), "Self-Enhancement: Food for Thought" (PDF),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 (2): 102–116, doi:10.1111/j.1745-6916.2008.00068.x, ISSN 1745-6916, PMID 26158877.
  6. ^ a b 쿤다 1999, 페이지 485-486
  7. ^ 쿤다 1999, 페이지 465-466
  8. ^ Arkin, R. M. (1981), Self-presentation styles. In J. Tedeschi (Ed.),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research (pp. 311-333). New York: Academic Press
  9. ^ Baumeister, R. F.; Bratslavsky, Ellen; Finkenauer, Catrin & Vohs, Kathleen D. (2001), "Bad is stronger than good",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 (4): 323–370, doi:10.1037/1089-2680.5.4.323
  10. ^ a b Tice, Dianne M. (1991), "Esteem protection or enhancement? Self-handicapping motives and attributions differ by trait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5): 711–725, doi:10.1037/0022-3514.60.5.711, ISSN 0022-3514.
  11. ^ Josephs, R. A.; Larrick, RP; Steele, CM; Nisbett, RE (1992), "Protecting the self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risky decis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1): 26–37, doi:10.1037/0022-3514.62.1.26, PMID 1538314
  12. ^ Brown, J. D. & Gallagher, Frances M (1992), "Coming to terms with failure: Private self-enhancement and public self-effacemen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8: 3–22, doi:10.1016/0022-1031(92)90029-J
  13. ^ Leary, M. R. & Kowalski, Robin M. (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 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 34–47, CiteSeerX 10.1.1.463.776, doi:10.1037/0033-2909.107.1.34
  14. ^ Greenwald, A. G. & Breckler, S. J. (1985), "To whom is the self presented?", in B. E. Schlenker (ed.), The self and social life, New York: McGraw-Hill, pp. 126–145
  15. ^ Leary, M. R.; Tchividjian, LR & Kraxberger, BE (1994), "Self-presentation can be hazardous to your health: Impression management and health risk", Health Psychology, 13 (6): 461–470, doi:10.1037/0278-6133.13.6.461, PMID 7889900
  16. ^ Sedikides, C.; Campbell, W. K.; Reeder, G. & Elliot, A. J. (1998), "The self-serving bias in relational contex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2): 378–79, doi:10.1037/0022-3514.74.2.378
  17. ^ Klein, W. M. (1997), "Objective standards are not enough: Affective, self-evaluative and behavioural responses to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4): 763–774, doi:10.1037/0022-3514.72.4.763, PMID 9108694
  18. ^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 (3): 592–623, doi:10.1037/0033-295X.108.3.593, PMID 11488379
  19. ^ Crocker, J. (2002), "Contingencies of self-worth: Implications for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Self and Identity, 1 (2): 143–149, doi:10.1080/152988602317319320
  20. ^ a b c Sedikides, Constantine; Gaertner, Lowell; Toguchi, Yoshiyasu (2003), "Pancultural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1): 60–79, doi:10.1037/0022-3514.84.1.60, ISSN 1939-1315, PMID 12518971.
  21. ^ a b Sedikides, C;Strube, M(1997년),"Self-Evaluation:.려면 Thine만의 셀프 승진 좋은 놈,려면 Thine만의 셀프 승진 물론, ItemThine만의 셀프 승진 진정한고 Thine만의 셀플 Better", 발전에 사회 실험 심리학 제29일 발전에 사회 실험 심리학, vol. 29일을 대신하여 서명함. 209–269, doi:10.1016(08)60018-0, 아이 에스비엔 9780120152292, ISSN 0065-2601.M.P.Zanna에서(Ed.), 실험 사회 심리학의 발전(Vol29를 대신하여 서명함. 209-269). 뉴욕: 아카데미 프레스.
  22. ^ Sedikides, C.; Gregg., A. P. & Hart, C. M. (2007), "The importance of being modest", in C. Sedikides & S. Spencer (eds.), The self: Frontiers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Psychology Press, pp. 163–184
  23. ^ Vazire, S., & Funder, D. C.; Funder, DC (2006), "Impulsivity and the self-defeating behaviour of narcissis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0 (2): 154–165, CiteSeerX 10.1.1.419.6963, doi:10.1207/s15327957pspr1002_4, PMID 16768652
  24. ^ Mezulis, Amy H.; Abramson, Lyn Y.; Hyde, Janet S.; Hankin, Benjamin L. (2004), "Is There a Universal Positivity Bias in Attributions? A Meta-Analytic Review of Individual, Developmental,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Self-Serving Attributional Bias", Psychological Bulletin, 130 (5): 711–747, doi:10.1037/0033-2909.130.5.711, ISSN 0033-2909, PMID 15367078.
  25. ^ Schlenker, Barry R.; Miller, Rowland S. (1977), "Egocentrism in groups: Self-serving biases or 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10): 755–764, doi:10.1037/0022-3514.35.10.755, ISSN 0022-3514.
  26. ^ Greenberg, J; Pyszczynski, Tom; Solomon, Sheldon (1982), "The self-serving attributional bias: Beyond self-present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8 (1): 56–67, doi:10.1016/0022-1031(82)90081-6, ISSN 0022-1031.
  27. ^ Riess, Marc; Rosenfeld, Paul; Melburg, Valerie; Tedeschi, James T. (1981), "Self-serving attributions: Biased private perceptions and distorted public descri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2): 224–231, doi:10.1037/0022-3514.41.2.224, ISSN 0022-3514.
  28. ^ Campbell, W. K. & Sedikides, Constantine (1999), "Self-threat magnifies the self-serving bias: A meta-analytic integr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 23–43, doi:10.1037/1089-2680.3.1.23
  29. ^ Zuckerman, M. (1979), "Attribution of success and failure revisited, of: The motivational bias is alive and well in attribu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47 (2): 245–287, doi:10.1111/j.1467-6494.1979.tb00202.x
  30. ^ Baumeister, R. F.; Stillwell, A & Wotman, SR (1990), "Victim and perpetrator accounts of interpersonal conflict: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bout ang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5): 994–1005, doi:10.1037/0022-3514.59.5.994, PMID 2266485
  31. ^ Gonzales, M. H., Pederson, J. H., Manning, D. J., & Wetter, D. W.; Pederson, Julie Haugen; Manning, Debra J.; Wetter, David W. (1990), "Pardon my gaffe: Effects of sex, status and consequence severity on accou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4): 610–621, doi:10.1037/0022-3514.58.4.610
  32. ^ a b Pettigrew, T. F. (2001), "The ultimate attribution error: Extending Allport's cognitive analysis of prejudice", in M. A. Hogg & D. Abrams (eds.), Intergroup relations: Essential readings, Philadelphia, PA: Psychology Press/Taylor & Francis, pp. 162–173
  33. ^ Ciladini, R. B.; Richard j., Borden; Avril, Thorne; Marcus Randall, Walker; Stephen, Freeman & Lloyd Reynolds, Sloan (1976), "Basking in reflected glory: Three (football) field stud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 (3): 366–375, doi:10.1037/0022-3514.34.3.366
  34. ^ Gramzow, R. H.; Gaertner, L & Sedikides, C (2001), "Memory for ingroup and outgroup information in a minimal group context: The self as an informational bas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2): 188–205, doi:10.1037/0022-3514.80.2.188, PMID 11220440
  35. ^ Baumeister, R. F. & Cairns, KJ (1982), "Repression and self-presentation: When audiences interfere with self-deceptive strateg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5): 851–862, doi:10.1037/0022-3514.62.5.851, PMID 1593424
  36. ^ a b Sedikides, C. & Green, JD (2000), "On the self-protective nature of inconsistency/negativity management: Using the person memory paradigm to examine self-referent mem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6): 906–922, doi:10.1037/0022-3514.79.6.906, PMID 11138760
  37. ^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8. ^ Frey, D. (1986), Recent research on selective exposure to information. In L. Berc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 41-80). New York: Academic Press
  39. ^ a b Sanitioso, R.; Kunda, Z & Fong, GT (1990), "Motivated recruitment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2): 229–241, doi:10.1037/0022-3514.59.2.229, PMID 2213492
  40. ^ Murray, S. L. & Holmes, John G. (1993), "Seeing virtues in faults: Negativ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interpersonal narratives in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4): 707–722, doi:10.1037/0022-3514.65.4.707
  41. ^ Walker, W. R.; Skowronski, John J. & Thompson, Charles P. (2003), "Life is pleasant - and memory helps to keep it that wa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7 (2): 203–210, doi:10.1037/1089-2680.7.2.203
  42. ^ Mischel, W.; Ebbesen, EB & Zeis, AM (1976), "Determinants of selective memory about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1): 92–103, doi:10.1037/0022-006X.44.1.92, PMID 1245637
  43. ^ van Lange, P.; Rusbult, Caryl E.; Semin-Goossens, Astrid; Gorts, Carien A. & Stalpers, Mirjam (1999), "Being better than others but otherwise perfectly normal: Perceptions of uniqueness and similarity in close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hips, 6 (3): 269–289, doi:10.1111/j.1475-6811.1999.tb00192.x
  44. ^ Gosling, Samuel D.; John, Oliver P.; Craik, Kenneth H.; Robins, Richard W. (1998), "Do people know how they behave? Self-reported act frequencies compared with on-line codings by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5): 1337–1349, doi:10.1037/0022-3514.74.5.1337, ISSN 0022-3514, PMID 9599447.
  45. ^ Skowronski, J. J; Betz, Andrew L.; Thompson, Charles P. & Shannon, Laura (1991), "Social memory in everyday life: Recall of self-events and other-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6): 831–843, doi:10.1037/0022-3514.60.6.831
  46. ^ Arkin, R. M. & Maruyama, Geoffrey M. (1979), "Attribution, affect and college exam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85–93, doi:10.1037/0022-0663.71.1.85
  47. ^ Greenwald, A. G. (2002), "Constructs in student ratings of instructors", in H. I. Braun & D. N. Douglas (eds.), The role of constructs i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measurement, Mahwah, NJ: Lawrence Erlbaum, pp. 277–297
  48. ^ a b Ditto, P. H. & Boardman, A. F. (1995), "Perceived accuracy of favourable and unfavourable psychological feedback",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6 (1–2): 137–157, doi:10.1080/01973533.1995.9646106
  49. ^ Pyszczynski, T. & Greenberg, Jeff (1987), toward an integration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perspectives on social inference: A biased hypothesis-testing model,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0, pp. 297–341, doi:10.1016/S0065-2601(08)60417-7, ISBN 9780120152209
  50. ^ a b Ditto, P. H. & Lopez, David F. (1992), "Motivated skepticism: Use of differential decision criteria for preferred and non-preferred conclus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 568–584, doi:10.1037/0022-3514.63.4.568
  51. ^ Ditto, P. H.; Scepansky, James A.; Munro, Geoffrey D.; Apanovitch, Anne Marie & Lockhart, Lisa K. (1998), "Motivated sensitivity to preference-inconsistent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53–69, doi:10.1037/0022-3514.75.1.53
  52. ^ Buunk, B. P.; Collins, RL; Taylor, SE; Vanyperen, NW & Dakof, GA (1990),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social comparisons: Either directions has its ups and dow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6): 1238–1249, doi:10.1037/0022-3514.59.6.1238, PMID 2283590
  53. ^ Collins, R. L. (1996), "For better for worse: The impact of upwards social comparison on self-evalu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9: 51–69, doi:10.1037/0033-2909.119.1.51
  54. ^ Wheeler, L. (1966), "Motivation as a determinant of upwards social comparis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 27–31, doi:10.1016/0022-1031(66)90062-X
  55. ^ Lockwood, P. & Kunda, Ziva (1997), "Superstars and me: Predicting the impact of role models on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91–103, CiteSeerX 10.1.1.578.7014, doi:10.1037/0022-3514.73.1.91
  56. ^ Wood, J. V. (1989), "Theory and research concerning social comparison of personality attributes", Psychological Bulletin, 106 (2): 231–248, CiteSeerX 10.1.1.456.7776, doi:10.1037/0033-2909.106.2.231
  57. ^ Collins, R. L. (2000), "Among the better ones: Upward assimilation in social comparison", in J. Suls & L. Wheeler (eds.), Handbook of social comparison,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p. 159–172
  58. ^ Gruder, C. L. (1971), "Determinants of social comparison choic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 (5): 473–489, doi:10.1016/0022-1031(71)90010-2
  59. ^ Miller, D. T.; Turnbull, William & McFarland, Cathy (1988), "Particularistic and universalistic evaluation in the social comparison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6): 908–917, doi:10.1037/0022-3514.55.6.908
  60. ^ Biernat, M. & Billings, L. S. (2001), "Standards, expectancies and social comparisons", in A. Tesser & N. Schwartz (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raindividual processe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pp. 257–283
  61. ^ Suls, J.; Wills, T. A., eds. (1991). Social comparis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Hillsdale, NJ: Erlbaum.
  62. ^ Crocker, J., Voelkl, K.; Testa, M. & Major, B. (1991),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The self-protective properties of stigma", Psychological Review, 96 (4): 803–808, doi:10.1037/0033-295x.96.4.608
  63. ^ Tesser, A. (1988), Towards a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of social behaviour.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1, pp. 181-227). New York: Academic Press
  64. ^ Beach, S. R. H. & Tesser, Abraham (1993), "Decision making power and marital satisfaction: A self-evaluation maintenance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2 (4): 471–494, doi:10.1521/jscp.1993.12.4.471
  65. ^ Pemberton, M. & Sedikides, C (2001), "When do individuals help close others improve? Extending the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to future comparis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2): 234–246, doi:10.1037/0022-3514.81.2.234, PMID 11519929
  66. ^ Tesser, A. & Paulhus, Del (1983), "The definition of self: Private and public self-evaluation maintenance strateg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4): 672–682, doi:10.1037/0022-3514.44.4.672
  67. ^ Tesser, A. & Smith, Jonathan (1980), "Some effects of task relevance and friendship on helping: You don't always help the one you lik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6 (6): 582–590, doi:10.1016/0022-1031(80)90060-8
  68. ^ Cantor, N. & Mischel, Walter (1979), "Prototypicality and personality: Effects on free recall and personality impression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3 (2): 187–205, doi:10.1016/0092-6566(79)90030-8
  69. ^ Dunning, D.; Leuenberger, Ann & Sherman, David A. (1995), "A new look at motivated inference: Are self-serving theories of success a product of motivational fo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58–68, doi:10.1037/0022-3514.69.1.58
  70. ^ Dunning, D.; Perie, M & Story, AL (1991), "Self-serving prototypes of social categ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6): 957–968, doi:10.1037/0022-3514.61.6.957, PMID 1774633
  71. ^ Kunda, Z. (1987), "Motivated interference: Self-serving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causal the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4): 636–647, doi:10.1037/0022-3514.53.4.636
  72. ^ Dunning, D. & Cohen, Geoffrey L. (1992), "Egocentric definitions of traits and abilities in social ju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3): 341–355, doi:10.1037/0022-3514.63.3.341
  73. ^ Alicke, M. D.; Loschiavo, FM; Zerbst, J & Zhang, S (1997), "The person who outperforms me is a genius: Maintaining perceived competence in upward social comparis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4): 781–789, doi:10.1037/0022-3514.73.4.781, PMID 9325593
  74. ^ Ditto, P. H.; Munro, GD; Apanovitch, AM; Scepansky, JA & Lockhart, LK (2003), "Spontaneous skepticism: The interplay or motivation and expectation in responses to favourable and unfavourable medical diagno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9): 1120–1132, doi:10.1177/0146167203254536, PMID 15189608
  75. ^ a b Doosje, B.; Spears, Russell & Koomen, Willem (1995), "When bad isn't all bad: The strategic use of sample information in generalization and stereoty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4): 642–655, doi:10.1037/0022-3514.69.4.642
  76. ^ Dunning, D. & Beauregard, Keith S. (2000), "Regulating impressions of others to affirm images of the self", Social Cognition, 18 (2): 198–222, doi:10.1521/soco.2000.18.2.198
  77. ^ Crocker, J.; Major, B. & Steele, C. (1998), "Social stigma",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New York: McGraw Hill, pp. 504–553
  78. ^ Ross, L.; Greene, David & House, Pamela (1977), "The false consensus effect: An attributional bias in self-perception and social perception process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3 (3): 279–301, doi:10.1016/0022-1031(77)90049-X
  79. ^ Mullen, B. & Goethals, George R. (1990), "Social projection, actual consensus and val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9 (3): 279–282, doi:10.1111/j.2044-8309.1990.tb00907.x
  80. ^ a b Jones, E. E. & Berglas, S. (1978), "Control of attributions about the self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 appeal of alcohol and underachieve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 (2): 200–206, doi:10.1177/014616727800400205
  81. ^ Feick, D. L. & Rhodewalt, Frederick (1997), "The double-edged sword of self-handicapping: Discounting, augmentation, and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self-esteem", Motivation and Emotion, 21 (2): 147–163, doi:10.1023/A:1024434600296
  82. ^ a b Rhodewalt, F.; Morf, Carolyn; Hazlett, Susan & Fairfield, Marita (1991), "Self-handicapping: The role of discounting and augmentation in the preservation of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122–131, doi:10.1037/0022-3514.61.1.122
  83. ^ Rhodewalt, F. & Fairfield, Marita (1991), "Claimed self-handicaps and the self-handicapper: The relation of reduction in intended effort to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5 (4): 402–417, doi:10.1016/0092-6566(91)90030-T
  84. ^ Tice, D. M. & Baumeister, Roy F. (1990), "Self-esteem, self-handicapping and self-presentation: The strategy of inadequate practice", Journal of Personality, 58 (2): 443–464, doi:10.1111/j.1467-6494.1990.tb00237.x
  85. ^ Rhodewalt, F.; Sanbonmatsu, D. M.; Tschanz, B.; Feick, D. L. & Waller, A. (1995), "Self-handicapping and interpersonal trade-offs: The effects of claimed self-handicaps on observer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feedback",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10): 1042–1050, doi:10.1177/01461672952110005
  86. ^ a b Arkin, R. M. & Oleson, K. C. (1998), "Self-handicapping", in J. Darley & J. Cooper (eds.), Attributional and social interaction: The legacy of Edward E. Jon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313–348
  87. ^ Dweck, C. S. (1999),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hiladelphia, PA: Psychology Press
  88. ^ Rhodewalt, F. & Tragakis, M. (2002), "Self-handicapping and the social self: The costs and rewards of interpersonal self-construction", in J. Forgas & K. Williams (eds.), The social self: Cognitive,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perspectives, Philadelphia, PA: Psychology Press, pp. 121–143
  89. ^ a b Ross, S. R.; Canada, Kelli E & Rausch, Marcus K (2002), "Self-handicapping and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Medi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 (7): 1173–1184, doi:10.1016/S0191-8869(01)00079-4
  90. ^ Giannetti, E. (2001), Lies we live by: The art of self-deception. London: Bloomsbury
  91. ^ McCria, S. M. & Hirt, E. R. (2001), "The role of ability judgments in self-handicapp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10): 1378–1389, doi:10.1177/01461672012710013
  92. ^ Zuckerman, M. & Tsai, FF (2005), "Costs of self-handicapping", Journal of Personality, 73 (2): 411–442, doi:10.1111/j.1467-6494.2005.00314.x, PMID 15745436
  93. ^ Zuckerman, M.; Kieffer, SC & Knee, CR (1998), "Consequences of self-handicapping: Effects on coping, academic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6): 1619–1628, doi:10.1037/0022-3514.74.6.1619, PMID 9654762
  94. ^ Arndt, J.; Schimel, J.; Greenberg, J. & Pyszczynski, T. (2002), "The intrinsic self and defensiveness: Evidence that activating the intrinsic self reduces self-handicapping and conform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 (5): 671–683, doi:10.1177/0146167202288011
  95. ^ Taylor, S. E. & Brown, JD (1988), "Illusions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 (2): 193–210, doi:10.1037/0033-2909.103.2.193, PMID 3283814
  96. ^ a b Alicke, M. D.; Vredenburg, Debbie S.; Hiatt, Matthew & Govorun, Olesya (2001), "The "better than myself effect"", Motivation and Emotion, 25: 7–22, doi:10.1023/A:1010655705069
  97. ^ Fenton-O'Creevy, M.; Nicholson, Nigel; Soane, Emma & Willman, Paul (2003), "Trading on illusion: Unrealistic perceptions of control and trading performanc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 53–68, doi:10.1348/096317903321208880
  98. ^ a b Helweg-Larsen, M. & Shepperd, J. A. (2001), "Do moderators of the optimistic bias affect personal or target risk estimat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1: 74–95, doi:10.1207/S15327957PSPR0501_5
  99. ^ Pronin, E.; Gilovich, T & Ross, L (2004), "Objectivity in the eye of the beholder: Divergent perceptions of bias in self versus others", Psychological Review, 111 (3): 781–799, doi:10.1037/0033-295X.111.3.781, PMID 15250784
  100. ^ Murray, S. L. (1999), "The quest for conviction: Motivated cogni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Psychological Inquiry, 10: 23–34, doi:10.1207/s15327965pli1001_3
  101. ^ Rusbult, C. E.; Van Lange, PA; Wildschut, T; Yovetich, NA & Verette, J (2000), "Perceived superiority in close relationships: Why it exists and persis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4): 521–545, doi:10.1037/0022-3514.79.4.521, hdl:1871/17595, PMID 11045737
  102. ^ Nesselroade, K. P., Beggan, J. K.; Beggan, James K. & Allison, Scott T. (1999), "Possession enhancement in an interpersonal context: An extension of the mere ownership effect", Psychology and Marketing, 16: 21–34, doi:10.1002/(SICI)1520-6793(199901)16:1<21::AID-MAR2>3.0.CO;2-9
  103. ^ a b Brown, J. (1998), The self. New York: McGraw-Hill
  104. ^ Alicke, M. D. (1985), "Global self-evaluation as determined by the desir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trait adject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6): 1621–1630, doi:10.1037/0022-3514.49.6.1621
  105. ^ College, Board (1976-1977), Student descriptive questionnaire,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06. ^ Dunning, D.; Meyerowitz, Judith A. & Holzberg, Amy D. (1989), "Ambiguity and self-evaluation: The role of idiosyncratic trait definitions in self-serving assessments of 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6): 1082–1090, doi:10.1037/0022-3514.57.6.1082
  107. ^ Kruger, J. & Dunning, D (1999), "Unskilled and una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s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6): 1121–1134, doi:10.1037/0022-3514.77.6.1121, PMID 10626367
  108. ^ Cross, P. (1977), "Not can but will college teaching be improved?", New Directions for Higher Education, 1977 (17): 1–15, doi:10.1002/he.36919771703
  109. ^ Svenson, O. (1981), "Are we less risky and more skillful than our fellow drivers?", Acta Psychologica, 47 (2): 143–151, doi:10.1016/0001-6918(81)90005-6
  110. ^ Preston, C. E. & Harris, S (1965), "Psychology of drivers in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9 (4): 284–288, doi:10.1037/h0022453, PMID 5826671
  111. ^ Pronin, E.; Yin, D. Y. & Ross, L. (2002), "The bias blind spot: Perceptions of bias in self versus othe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 (3): 369–381, doi:10.1177/0146167202286008
  112. ^ Langer, E. J. (1975), "The illusion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2 (2): 311–328, doi:10.1037/0022-3514.32.2.311
  113. ^ a b Jenkins, H. M. & Ward, WC (1965), "Judgments of contingency between response and outcome", Psychological Monographs, 79: 1–17, doi:10.1037/h0093874, PMID 14300511
  114. ^ Weinstein, N. D. (1980), "Unrealistic optimism about futur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5): 806–829, doi:10.1037/0022-3514.39.5.806
  115. ^ Weinstein, N. D. & Klein, WM (1995), "Resistance of personal risk perceptions to debiasing manipulation", Health Psychology, 14 (2): 132–140, doi:10.1037/0278-6133.14.2.132, PMID 7789348
  116. ^ Regan, P. C.; Snyder, M. & Kassin, S. M. (1995), "Unrealistic optimism: Self-enhancement or person posi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1 (10): 1073–1082, doi:10.1177/01461672952110008
  117. ^ Vallone, R. P.; Griffin, DW; Lin, S & Ross, L (1990), "Overconfident predictions of future actions and outcomes by self and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4): 582–592, doi:10.1037/0022-3514.58.4.582, PMID 2348360
  118. ^ Buehler, R.; Griffin, Dale & Ross, Michael (1994), "Exploring the "planning fallacy": Why people underestimate their task completion ti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3): 366–381, doi:10.1037/0022-3514.67.3.366
  119. ^ Dunning, D.; Griffin, DW; Milojkovic, JD & Ross, L (1990), "The overconfidence effect in social predi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4): 568–581, doi:10.1037/0022-3514.58.4.568, PMID 2348359
  120. ^ Smits, T., & Hoorens, V.; Hoorens, Vera (2005), "How probable is probably? It depends on whom you're talking about",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18 (2): 83–96, doi:10.1002/bdm.485
  121. ^ Weinstein, N. D.; Marcus, SE & Moser, RP (2005), "Smokers' unrealistic optimism about their risk", Tobacco Control, 14 (1): 55–59, doi:10.1136/tc.2004.008375, PMC 1747991, PMID 15735301
  122. ^ Sedikides, C.; Gregg, A. P. & Hart, C. M. (2007), The self: Frontiers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Psychology Press, pp. 163–184
  123. ^ Chang, E. C. (Ed.). (2007), Self-criticism and self-enhance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4. ^ Gramzow, R. H.; Elliot, Andrew J; Asher, Evan & McGregor, Holly A (2003), "Self-evaluation bias and academic performance: Some ways and some reasons wh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 (2): 41–61, doi:10.1016/S0092-6566(02)00535-4
  125. ^ Young-Hoon, Kim; Chiu, Chiu; Zou, Zhimin (2010), "Know Thyself: Misperceptions of Actual Performance Undermine Achievement Motivation, Future Perform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 (3): 395–409, doi:10.1037/a0020555, PMID 20804261.
  126. ^ Swann, W. B. Jr.; Chang-Schneider, C & Larsen Mcclarty, K (2007), "Do our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day life", American Psychologist, 62 (2): 84–94, doi:10.1037/0003-066X.62.2.84, PMID 17324034
  127. ^ Trzesniewski, K.; Donnellan, MB; Moffitt, TE; Robins, RW; Poulton, R & Caspi, A (2006), "Low self-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s poor health, criminal behaviour and limited economic prospects duri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2 (2): 381–390, doi:10.1037/0012-1649.42.2.381, PMID 16569175
  128. ^ a b Colvin, C. R.; Block, Jack & Funder, David C. (1995), "Overly positive self-evaluations and personality: Negativ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6): 1152–1162, doi:10.1037/0022-3514.68.6.1152, PMID 7608859
  129. ^ Paulhus, D. L. (1998), "Interpersonal and intrapsychic adaptiveness of trait self-enhancement: A mixed bles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5): 1197–1208, doi:10.1037/0022-3514.74.5.1197, PMID 9599439
  130. ^ Paulhus, Delroy L.; Aliye Kurt (August 2008), "Moderators of the adaptiveness of self-enhancement: Operationalization, motivational domain, adjustment facet, and evaluator☆",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 (4): 839–853, doi:10.1016/j.jrp.2007.11.005.
  131. ^ Taylor, S. E.; Lerner, JS; Sherman, DK; Sage, RM & McDowell, NK (2003), "Portrait of the self-enhancer: Well adjusted and well liked or maladjusted and friendl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1): 165–176, doi:10.1037/0022-3514.84.1.165, PMID 12518977
  132. ^ Bonanno, G. A.; Rennicke, C & Dekel, S (2005), "Self-enhancement among high-exposure survivors of the September 11th terrorist attack: Resilience or social mal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 (6): 984–998, doi:10.1037/0022-3514.88.6.984, PMID 15982117
  133. ^ van Lange, P. A. M. & Sedikides, Constantine (1998), "Being more honest but not necessarily more intelligent than others: Generality and explanations for the Muhammad Ali effect" (PDF),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8 (4): 675–680, doi:10.1002/(SICI)1099-0992(199807/08)28:4<675::AID-EJSP883>3.0.CO;2-5
  134. ^ Morf, C. C., Carolyn C. & Rhodewalt, Frederick (2001), "Unraveling the Paradoxes of Narcissism: A Dynamic Self-Regulatory Processing Model", Psychological Inquiry, 12 (4): 177–196, doi:10.1207/S15327965PLI1204_1
  135. ^ a b c Sedikides, C.; Herbst, KC; Hardin, DP & Dardis, GJ (2002), "Accountability as a deterrent to self-enhancement: The search for mechanis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3): 592–605, doi:10.1037/0022-3514.83.3.592, PMID 12219856
  136. ^ a b c Tice, D. M.; Butler, J. L.; Muraven, M. B. & Stillwell, A. M. (1995), "When modesty prevails: Differential favourability of self-presentation to friends and strang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6): 443–464, doi:10.1037/0022-3514.69.6.1120
  137. ^ Gilbert, D. T.; Pinel, E. C.; Wilson, T. D.; Blumberg, S. J. & Wheatley, T. P. (1998), "Immune neglect: A source of durability bias in affective forecas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3): 617–638, doi:10.1037/0022-3514.75.3.617, PMID 9781405
  138. ^ Trope, Y. & Neter, E (1994), "Reconciling competing motives in self-evaluation: The role of self-control in feedback see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4): 646–657, doi:10.1037/0022-3514.66.4.646, PMID 8189345
  139. ^ Blaine, B. & Crocker, J. (1993), "Self-esteem and self-serving biases in reactions to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An integrative review", in R. F. Baumeister (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New York: Plenum Press, pp. 55–85
  140. ^ Kuiper, Nicholas A. (1978), "Depression and causal attributions for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3): 236–246, doi:10.1037/0022-3514.36.3.236, ISSN 0022-3514, PMID 650382.
  141. ^ a b Campbell, Jennifer D.; Fehr, Beverley (1990), "Self-esteem and perceptions of conveyed impressions: Is negative affectivity associated with greater real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1): 122–133, doi:10.1037/0022-3514.58.1.122, ISSN 0022-3514, PMID 2308069.
  142. ^ Lewinsohn, Peter M.; Mischel, Walter; Chaplin, William; Barton, Russell (1980), "Social competence and depression: The role of illusory self-percep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9 (2): 203–212, doi:10.1037/0021-843X.89.2.203, ISSN 0021-843X, PMID 7365132.
  143. ^ Alloy, L. B. (1988), Depressive realism: Four theoretical perspectives. In L. B. Alloy (Ed.),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pp. 223-265). New York: Guilford Press
  144. ^ Fincham, F. D. & Bradbury, T. N. (1989), "The impact of attributions in marriage: An individual difference analysi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6: 69–85, doi:10.1177/026540758900600105
  145. ^ Clark, M. S. & Mills, Judson (1979), "Interpersonal attraction in exchange and communal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2–24, doi:10.1037/0022-3514.37.1.12
  146. ^ Murray, S. L.; Holmes, J. G.; Griffin, D. W. (1996a) (1996), "The benefits of positive illusions: Ideal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satisfaction in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79–98, doi:10.1037/0022-3514.70.1.79
  147. ^ Fiske, A. P.; Kitayama, S.; Markus, H. R. & Nisbett, R. E. (1998), "The cultural matrix of social psychology",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Boston, MA: McGraw Hill, pp. 915–981
  148. ^ Markus, H. R. & Kitayama, Shinobu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 224–253, doi:10.1037/0033-295X.98.2.224
  149. ^ Triandis, H. C. & Suh, EM (2002), "Cultural influences on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133–160, doi: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00, PMID 11752482
  150. ^ Kitayama, S.; Markus, HR; Matsumoto, H; Norasakkunkit, V (1997), "Individual and collective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Self-enhanc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self-criticism in Ja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6): 1245–1267, doi:10.1037/0022-3514.72.6.1245, PMID 9177018
  151. ^ a b Kitayama, S.; Markus, H. R. & Lieberman, C. (1995a), "The collective construction of self-esteem: Implications for culture, self and emotion", in R. Russell; J. Fernandez-Dols; T. Manstead & J. Wellenkamp (eds.), Everyday conception of emotion: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of emo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p. 523–550
  152. ^ Kanagawa, C.; Cross, S. E. & Markus, H. R. (2001), ""Who am I?": The cultural psychology of the conceptual sel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90–103, doi:10.1177/0146167201271008
  153. ^ Takata, T. (1987), "Self-depreciative tendencies in self-evaluation through social comparison", Japanes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7: 27–36, doi:10.2130/jjesp.27.27
  154. ^ Heine, S. J. & Lehman, Darrin R. (1995), "Cultural variation in unrealistic optimism: Does the west feel more invulnerable than the ea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4): 595–607, doi:10.1037/0022-3514.68.4.595
  155. ^ Kitayama, S.; Takagi, H. & Matsumoto, H. (1995b), "Seiko to shippai no kiin: nihonteki jiko no bunkashinrigaku" [Causal attributions of success and failure: Cultural psychology of Japanese selves], Japanese Psychological Review, 38: 247–280
  156. ^ Heine, S. H.; Lehman, DR; Markus, HR & Kitayama, S (1999), "Is there a universal need for positive self-regard?", Psychological Review, 106 (4): 766–794, doi:10.1037/0033-295X.106.4.766, PMID 10560328
  157. ^ Heine, S. J.; Takata, T. & Lehman, D. R. (2000), "Beyond self-presentation: Evidence for self-criticism among Japanes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71–78, doi:10.1177/0146167200261007
  158. ^ Heine, S. J.; Kitayama, S. & Lehman, D. R. (2001a) (2001), "Cultural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Japanese Readily Accept Negative Self-Relevant Informatio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2 (4): 434–443, doi:10.1177/0022022101032004004
  159. ^ a b Heine, S. J.; Kitayama, S.; Lehman, D. R.; Takata, T.; Ide, E.; Leung, C. & Matsumoto, H. (2001b) (2001), "Divergent consequences of success and failure in Japan and North America: An investigation of self-improving motivations and malleable sel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4): 599–615, doi:10.1037/0022-3514.81.4.599, PMID 11642348
  160. ^ Yik, M. S. M.; Bond, M. H. & Paulhus, D. L. (1998), "Do Chinese self-enhance or self-efface? It's a matter of doma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4): 399–406, doi:10.1177/0146167298244006
  161. ^ Kurman, J. (2001), "Self-enhancement: Is it restricted to individualistic cultur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12): 1705–1716, doi:10.1177/01461672012712013
  162. ^ Sedikides, C.; Campbell, W. Keith; Reeder, Glenn D. & Elliot, Andrew J. (2002), W. Strobe & M. Hewstone (eds.), "The self in relationships: Whether, how and when close others put the self "in its place"" (PDF),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2: 237–265, doi:10.1080/14792772143000076
  163. ^ Markus, H. R. & Nurius, Paula (1986), "Possible selves", American Psychologist, 41 (9): 954–969, doi:10.1037/0003-066X.41.9.954
  164. ^ Sedikides, C. (1999), "A multiplicity of motives: The case of self-improvement", Psychological Inquiry, 9: 64–65, doi:10.1207/s15327965pli1001_10
  165. ^ Falbo, T.; Poston, D. L.; Triscari, R. S. & Zhang, X. (1997), "Self-enhancing illusions among Chinese schoolchildre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8 (2): 172–191, doi:10.1177/0022022197282003
  166. ^ Fahr, J.; Dobbins, Gregory H. & Cheng, BOR-Shiuan (1991), "Cultural relativity in action: A comparison of self-ratings made by Chinese and U.S. workers", Personnel Psychology, 44: 129–147, doi:10.1111/j.1744-6570.1991.tb00693.x
  167. ^ Gaertner, L.; Sedikides, C. & Chang, K. (2008), "On pancultural self-enhancement: Well-adjusted Taiwanese self-enhance on personally valued traits" (PDF),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9 (4): 463–477, doi:10.1177/0022022108318431
  168. ^ Heine, S. J.; Kitayama, Shinobu & Hamamura, Takeshi (2007), "Inclusion of additional studies yields different conclusions: Comment on Sedikides, Gaertner, & Vevea (2005),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 (2): 49–58, doi:10.1111/j.1467-839X.2007.00211.x, hdl:2027.42/75100
  169. ^ Sedikides, C., Gaertner, L., & Vevea, J. L.; Gaertner, Lowell; Vevea, Jack L. (2007), "Inclusion of theory relevant moderators yield the same conclusions as Sedikides, Gaertner and Vevea (2005): A meta-analytical reply to Heine, Kitayama and Hamamura (2007)" (PDF),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 (2): 59–67, doi:10.1111/j.1467-839X.2007.00212.x
  170. ^ Heine, S. J.; Kitayama, S. & Hamamura, T. (2007b) (2007), "Which studies test whether self-enhancement is pancultural? Reply to Sedikides, Gaertner, and Vevea, 2007",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 (3): 198–200, doi:10.1111/j.1467-839X.2007.00226.x, hdl:2027.42/75225
  171. ^ Sedikides, C., Gaertner, L., & Vevea, J. L.; Gaertner, L; Vevea, JL (2005), "Pancultural self-enhancement reloaded: A meta-analytic reply to Heine(2005)",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4): 539–551, CiteSeerX 10.1.1.550.7957, doi:10.1037/0022-3514.89.4.539, PMID 16287417
  172. ^ Heine, S. J. (2005), "Where is the evidence for pancultural self-enhancement? A reply to Sedikides, Gaertner & Toguchi (2003)",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4): 531–538, doi:10.1037/0022-3514.89.4.531, PMID 16287416
  173. ^ Sedikides, Constantine (1993), "Assessment, enhancement, and verification determinants of the self-evaluation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2): 317–338, doi:10.1037/0022-3514.65.2.317, ISSN 1939-1315.
  174. ^ Paulhus, D. L.; Graf, Peter & Van Selst, Mark (1989), "Attentional load increases the positivity of self-presentation", Social Cognition, 7 (4): 389–400, doi:10.1521/soco.1989.7.4.389
  175. ^ Paulhus, D. L. & Levitt, Karen (1987), "Desirable responding triggered by affect: Automatic egot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2): 245–259, doi:10.1037/0022-3514.52.2.245
  176. ^ Roese, N. J. & Olson, JM (2007), "Better, stronger, faster: Self-serving judgment, affect regulation, and the optimal vigilance hypothesi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 (2): 124–141, doi:10.1111/j.1745-6916.2007.00033.x, PMC 2429993, PMID 18552989

원천

추가 읽기

  • 에드워드 친호 장: 자기 비판과 자기 강화. 미국 심리학회, 2008 ISBN 978-1-4338-0115-01
  • Hogg, Michael A.; Cooper, Joel (2003), The Sag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Sage, ISBN 978-0-7619-6636-4
  • Mark R Leary & June Price Tangney: 자기 및 신원 안내서. Guilford Press, 2005 ISBN 978-1-59385-237-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