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초 3세

Sancho III of Pamplona
산초 3세
Lauda Sepulcral SanchoIII El Mayor Navarra.jpg
산초 3세의 묘석, 그의 위패가 달려 있다.
팜플로나의 왕
테뉴어1004–1035
전임자가르시아 산체스 2세
후계자가르시아 산체스 3세
아라곤 백작
테뉴어1004–1035
전임자가르시아 산체스 2세
후계자라미로1번길
태어난c. 992-996
죽은c. 1035
매장
배우자카스티야의 무니아도나
이슈
히메네즈 가문
아버지가르시아 산체스 2세
어머니히메나 페르난데스
종교가톨릭교

산초 가르체스 3세 c.(992-996 – 1035년 10월 18일) (스페인어: 산초시장, 바스크: 안츠 가테즈 나구시아)는 1004년부터 1035년 사망할 때까지 팜플로나의 왕이었다. 그는 또한 아라곤 군을 다스렸고 결혼으로 카스티일 군, 알라바 군, 몬손 군도 다스렸다. 이후 소브라르베(1015), 리바고르사(1018), 세아(1030)의 군을 추가했고, 1034년 레온 왕국에 개입해 수도를 빼앗았다.

그는 가르시아 산체스 2세와 그의 아내 지메나 페르난데스의 장남이었다.

전기

출생과 계승

산초가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나 992년 이전, 996년 이전이다. 그의 부모는 트레멀티스트 가르시아 산체스 2세레오나스 국경의 세아 백작 페르난도 베르무데스의 딸 히메나 페르난데스였다. 가르시아와 히메나는 992년 처음 결혼으로 기록되지만 996년까지는 아들 산초에 대한 기록이 없다. 미래의 왕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아버지가 테레로 마을을 산 밀란 데 라 코골라 수도원에 내준 졸업증이다. 왕은 산초를 단지 "내 아들"(필리우스 메우스)이라고 묘사한다. 같은 졸업장은 미래의 가스코니 6세, 산초 6세의 공작이 팜플로나 궁정에 있는 것도 보여준다.[1]

산초는 레이레의 수도원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마지막으로 1000년에 등장하고, 산초는 1004년에 왕으로 처음 발견되어 팜플로나 왕국(나바레로 알려져 있다)을 계승하고 있다. 이 격차로 인해 빈털터리가 있었는지에 대한 추측이 나오고 있는 반면, 한 문서에는 1002년 비구에라의 산쵸 라미레스가 팜플로나에서 군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아마도 3대 이전 가르시아 산체스 1세의 젊은 시절 히메노 가르체스처럼 통치했을 것이다. 그의 계승에 따라 산초는 당초 주교들과 어머니 지메나, 할머니 우라카 페르난데스가 이끄는 섭정 협의회 하에 통치했다.

피레네 정치

산초는 칼라타냐조르 전투에 이어 무슬림 스페인이 분열된 상황에서 기독교의 주권을 타이파 왕국으로 일원화하는 것을 염원했다. 1010년경 카스티일의 산초 가르시아의 딸 카스티일의 무니도나와 결혼하였고, 1015년 확장정책을 시작하였다. 그는 인구가 감소된 옛 소브라르베의 무슬림 통치권을 대체했다. 리바고르자에서는 또 다른 기회가 생겼다. 1010년 칸막이는 이선 백작의 사생아인 윌리엄 이선(William Isarn)과 팔라스 주사의 레이몬드 3세(Raymond III)와 그의 아내 가르시아(Garcia) 시장(Parlars Jussa)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그는 이선의 조카딸이자 산초 부인의 고모였다. 1018년 윌리엄 이사는 아란계곡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하려고 했으나 살해당했고, 산초는 아내로부터 파생된 어떤 느슨한 주장에 근거하여 자신의 몫을 차지하기 위한 기회에 뛰어들었다. 레이먼드와 시장은 그들의 결혼을 무효화하여 1025년 시장이 카스틸리아 수녀원으로 은퇴하고 산초는 레이먼드의 신하로서 제출을 받았을 때 마침내 해결된 추가 분단을 만들었다.[2] 그는 이미 프랑스 왕의 신하였지만 바르셀로나의 베렝가르 레이몬드 1세를 자신의 신하가 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베렝가르는 사라고사와 나바레에서 산초와 여러 번 만나 툴루즈의 계수에 대항하는 상호 정책을 협의했다.

카스틸 인수

산초 3세에 의해 통제된 영지 지도

1016년 산초는 나바레와 카스티야의 경계를 고쳤는데, 카스티야의 산초 가르시아의 딸 무니아도나와 결혼하여 맺은 좋은 관계의 일부였다. 1017년, 젊은 가르시아 산체스의 카스티일의 보호자가 되었다. 그러나 1027년 가르시아 백작이 암살된 후 레온, 카스티일, 나바레 세 기독교 단체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는 알폰소 5세의 딸인 산차에게 약혼을 했는데, 산차는 이렇게 해서 세아 강과 피수르가 강 사이의 카스티일 땅에서 (결혼 조약을 승인하는 대가로) 얻기로 되어 있었다. 가르시아가 그의 결혼식을 위해 레온에 도착하자, 그는 그의 땅에서 추방한 귀족의 아들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산초 3세는 결혼식과 예상되는 레오네세 권력이 카스티일로 확장되는 것을 반대해왔고, 이를 뒤집기 위해 가르시아의 죽음을 이용했다. 카스틸레에게 행사했던 보호권을 구실로 즉시 이 군을 점령하고, 사망한 백작의 조카였던 자신의 어린 아들 페르디난드를 후계자로 지명하여 그것을 자신의 세력권 내에 완전히 편입시켰다.

가스콘수저인티

산초는 가스코니의 두키족과 관계를 맺었는데, 아마도 가 수제르인이 되는 것 같았다.[3] 클루니의 수도원과의 관계를 계기로 가스코니에서 레온으로 가는 길을 개선했다. 이 도로는 순례자들이 산티아고콤포스텔라로 몰려들면서 이베리아까지 교통량이 늘어나기 시작할 것이다. 이 때문에 산초는 생제임스웨이의 첫 번째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가스코니의 산초 6세는 산초왕의 친척으로, 생애의 일부를 팜플로나 왕실에서 보냈다. 그는 또한 Reconquista에서 산초 대왕과 함께 활동했다. 1010년 두 산초는 프랑스의 로버트 2세, 아퀴타인의 윌리엄 5세와 함께 나타났는데, 두 사람 모두 생장단글리에서 가스콘 공작의 수제라인이 아니었다. 1032년 산초 6세가 죽은 후 산초 대왕은 확실히 가스코니로 권위를 확장했고, 그곳에서 그는 그의 찬스가 발행한 서류에서 가론까지 연장된 자신의 권위를 언급하기 시작했다.

남부 가스코니에서 산초는 일련의 점들을 만들어냈다: 노동당 (1021년과 1023년 사이), 바욘 (1025년), 바즈탄 (역시 1025년 사이)이다.

레온 인수

1030년 산초 3세 때 이베리아 반도.

베르무도 3세가 레온에게 계승된 후 산초는 아들 페르디난드와 가르시아 산체스의 전 약혼자 산체스와 베르무도의 누이인 산차와의 결혼 협상을 벌였고, 이와 함께 분쟁 중인 레오나스 땅을 포함하는 지참금도 함께 협상하였다. 산초는 곧 레온과 전면전을 벌였고, 카스티안군과 나바레스를 합친 군대는 순식간에 베르무도 왕국의 상당 부분을 점령하고 아스토르가를 점령했다. 1033년 3월까지 자모라에서 바르셀로나 국경까지 왕이 되었다.

1034년 제황제 정벌레온 성마저 함락되고, 거기서 산초는 다시 왕위에 올랐다. 이것이 현재 서쪽의 갈리시아 국경에서 동쪽의 바르셀로나 군까지 확장된 산초 통치의 절정이었다. 1035년 무어들이 폐허로 깔아놓은 팔렌시아 교구를 재반박했다. 그는 프랑스나 나바레즈 출신 베르나르에게 광경과 그 몇 가지 유산을 주었고, 베르나르에게는 이 지역의 많은 성들을 포함하는 세속적인 영주권(불화제로서)도 주었다. 그러나 1035년 10월 18일 사망하여 부르고스의 거주지인 산살바도르 드 오냐 수도원에 산시우스 그라티아 데이 히스파니아룸 렉스라는 명목 아래 매장되었다.

계승

1035년 그가 죽기 전에 산초는 그의 재산을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무니아도나의 생존한 세 아들 중 맏아들 가르시아는 이미 나바레에 레귤러로 등장하여 바스크 국가를 포함한 왕국을 계승하고 그의 형제들에게 주어지는 왕국의 영토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곤살로는 소브라르베와 리바고르자의 군을 통제하게 되었는데, 이 군대는 그가 규율로서 차지하게 될 것이었다. 페르디난드는 1029년 가르시아 산체스 백작의 죽음으로 카스틸레에게 아버지 밑에서 먼저, 그리고 후에 레온의 베르무도 3세를 붙잡은 뒤 레온과 왕위를 빼앗기 위해 그 왕을 죽였다. 아이바의 정부 산차에 의해 산초의 장남이지만 사생아인 라미로는 그의 형 가르시아의 땅을 더 이상 요구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으로 아라곤의 전 카운티에서 재산을 받았으며, 그는 처음에 바이울루스 역할을 하였으나 후에 사실상의 독립을 이루었다. 서류상으로는 두 아들, 둘째 라미로와 베르나르를 추가로 신고하지만, 이들이 젊었을 때 사망한 합법적인 아들이었는지, 대신 이들의 외모가 낙서 오류나 위작에서 비롯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장학금이 갈린다. 산초는 시장과 히메나라는 두 딸을 남겼는데, 아마 폰스의 전 부인인 버무도 3세의 후처인 툴루즈 백작이었다.

레거시

17세기 후안 리지가 묘사한 산초

전통적인 수도인 팜플로나 대신 나제라에 거주하면서, 그의 영역이 커지자 그는 자신을 유럽의 군주라고 생각하여 피레네 반대편에 관계를 맺었다.

그는 프랑스의 봉건 이론과 성직적이고 지적인 흐름을 이베리아에 도입했다. Through his close ties with the count of Barcelona and the duke of Gascony and his friendship with the monastic reformer Abbot Oliva, Sancho established relations with several of the leading figures north of the Pyrenees, most notably Robert II of France, William V of Aquitaine, William II and Alduin II of Angoulême, and Odo II of Blois and Champagne.[4] 이 원을 통해 클루니악 개혁이 먼저 그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1024년 클루니 출신의 산후안 데 라 페냐의 나바레 수도사 파테노가 나바레로 돌아와 산후안 데 라 페냐의 대장이 되어, 클루니악 관례를 제정하고 그리하여 카탈로니아 서쪽 이베리아에 첫 번째 클루니악 집을 설립하여 산초의 후원으로 삼았다. 모짜라브 의식은 산후안에서 계속 행해졌고, 산초는 클루니악 용법을 그의 왕국의 다른 집들에 전파했다는 견해는 저스토 페레스우르벨에 의해 신격화되었다. 산초는 클루니악 개혁과 로마 의례 채택의 씨앗을 뿌렸으나 널리 제정하지는 않았다.

산초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Britannica)이 말하는 '카롤링거 영향의 거부'를 채굴하여 나바레즈 화폐 시리즈를 시작하기도 했다. 그의 죽음과 함께 그의 영역을 나누는 것, 속죄와 속죄의 개념, 그리고 그의 직함 뒤에 "신의 은총에 의해"(데이 그라티아)라는 문구를 사용한 것은 프랑스에서 수입되어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를 위해 그는 "이베리아 최초의 유럽인"으로 불렸다.[5]

그러나 그의 가장 분명한 유산은 모든 기독교 이베리아인들의 임시 결합이었다.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8세기 무어족으로부터 승리한 왕국의 고대 수도 레온과 카탈루냐의 가장 위대한 도시인 바르셀로나를 다스렸다. 그는 죽을 때 왕국을 분할하여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영원한 유산을 창조하였지만, 12세기까지 왕국을 혈맹으로 유지한 한 왕조인 히메네스의 손에 모든 땅을 맡겼다. 그는 나바레 주머니 왕국을 튼튼하고 정치적으로 안정적이며 독립적으로 만들어 중세의 나머지 기간 동안 나바레 주머니 왕국을 보존하였다. 그의 국새가 바스크 민족주의에 의해 전용된 것은 이를 위한 것이지만, 왕국을 분할함으로써, 그는 왕국을 고립시켰고, 이슬람교도들의 희생으로 땅을 얻는 능력을 억제했다. 요약하자면, 그의 통치는 가톨릭 군주제하의 연합까지 이베리아 정치 지형을 규정했다.

제목

긴 재위 기간 내내 산초는 무수한 직함을 사용했다. 레온에서의 대관식이 끝난 후, 그는 렉스 데이 그라티아 히스파니아, 즉 "스페인 왕인 신의 은총에 의해" 스타일링했고, 전설 "나이라/IMPERATER"[a]와 함께 동전을 채굴했을지도 모른다. 첫 번째 타이틀의 사용은 독립적으로 설립된 모든 이베리아 왕국에 대한 그의 왕권을 암시했고 프랑스 관습에서 채택된 데이 그라티아 형식의 사용은 그의 통치권이 신성한 기원이며 유지된다는 것을 강조했다. 후자의 제왕적 칭호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을 뿐인데, 그것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직 동전에서만 발견되고, 아마도 그의 통치 기간 동안만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레온의 왕들이 가지고 있던 황실의 칭호를 빼앗고 싶었을 것 같지는 않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성직자인 올리바 아브보트는 산초를 렉스 이베리쿠스 또는 렉스 나바라에 히스파리아룸으로 인정했을 뿐 알폰소 5세와 베르무도 3세를 모두 황제라고 불렀다. 첫 번째 호칭은 산초를 모든 이베리아 왕으로 간주하는데, 두 번째가 그렇듯이 나바레에 대한 왕권을 마치 반도의 전체 기독교 부분에 대한 권위로 확대된 것처럼 강조한다. 거의 경쟁 관계에 있는 작가 이븐 바삼은 그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 외에도 그를 바스크의 군주라고 부른다.[6]

결혼과 가족

산초 3세는 카스티야의 산초 가르시아의 딸 카스티야의 무니아도나, 카스티야와 알라바 백작과 결혼하였다. 그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아이들이 있었다.

카스티야의 무니아도나와 결혼하기 전에 산초 3세는 아이바르의 산차와의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아들을 낳았다.

메모들

  1. ^ 우비에토 아르테타가 조상 산초 1세의 탓으로 돌렸음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은 대개 산초 3세에 기인한다.

참조

  1. ^ 마르티네스 디에즈 2007년 38-39페이지
  2. ^ 마르티네스 디에즈 2007년 81-89페이지
  3. ^ 콜린스 1990.
  4. ^ 도노반 1958 페이지 22.
  5. ^ a b 메넨데스 피달 1929.
  6. ^ Pescador Medrano, Aitor. "Antso Nagusiaren ondarea". Euskal Herria XI. Mendean. Nabarralde - Pamiela: 141.
  7. ^ 살라스 메리노 2008, 페이지 216–218.
  8. ^ 살라자르 아차 1988 페이지 183–192.

원천

외부 링크

선행자 팜플로나의 왕
1004–1035
성공자
비어 있음 소브라베 백작
1015–1035
성공자
선행자 리바고르자 백작
1018–1035
시장님과 함께 (1018-1032)
새 제목 스페인의 황제
1034–1035
비어 있음
다음에 보유하는 제목
페르디난트 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