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레이어
S-layerS-층(표면층)은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고고학에서 발견되는 세포 봉투의 한 부분이다.[1][2] 고고학과 박테리아 모두의 S-레이어는 단 하나의 동일한 단백질 또는 당단백질만으로 구성된 단분자 층으로 구성된다.[3] 이 구조물은 자가조립을 통해 지어지며 전체 세포 표면을 감싸고 있다. 따라서 S-레이어 단백질은 세포 전체 단백질 함량의 최대 15%를 나타낼 수 있다.[4] S층 단백질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거나 전혀 보존되지 않으며, 관련 종 간에도 현저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 S레이어는 종에 따라 두께가 5~25nm로 직경이 2~8nm로 모공이 동일하다.[5]
"S-layer"라는 용어는 1976년에 처음 사용되었다.[6] 1984년 '제1회 결정세균세포 표면층 국제 워크숍, 비엔나(오스트리아)'에서 일반 용도가 받아들여졌고, 1987년 S레이어(S-레이어)는 비엔나 '크리스탈린 박테리아세포 표면층' 유럽분자생물기구 워크숍에서 비엔나 '2차원 단백질 분자층 세포 표면층 배열'로 정의됐다.원핵 세포에 표면 층을 혼합한다(Sleytr "et al. 1988"[7]의 "Preface", VI 페이지 참조). S-계층 연구의 역사에 대한 간략한 요약은 참고 자료를 참조하십시오.
S레이어 위치
- 그램 음성 박테리아에서 S-레이어는 이온, 탄수화물-탄수화물, 단백질-탄수화물 상호작용 및/또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통해 지용성 당분과 연관된다.[2]
- S-레이어가 종종 표면층 호몰로지(SLH) 영역을 포함하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결합은 펩티도글리칸과 2차 세포벽 고분자(예: 티오산)에 발생한다. SLH 영역이 없는 경우, 결합은 S-계층 단백질의 양전하 N-terminus와 음전하 이차 세포벽 중합체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 유산균에서 결합 영역은 C-terminus에 위치할 수 있다.[2]
- 그람 음성 고고학에서 S층 단백질은 밑의 지질막과 관련된 소수성 닻을 가지고 있다.[1][2]
- 그람 양성 고고학에서 S층 단백질은 필로뮤린이나 메타노콘드로이틴과 결합한다.[1][2]
S-layer의 생물학적 기능
많은 박테리아에서 S-레이어는 각각의 환경과 가장 바깥쪽 상호작용 영역을 나타낸다.[9][2] 그것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고 종마다 다양하다. 많은 고고학 종에서 S-레이어는 유일한 세포벽 구성 요소로서, 따라서 기계적이고 삼투적인 안정화에 중요하다. S레이어와 관련된 추가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박테리오파지, 브델로비브리오스, 그리고 포식세포증으로부터 보호한다.
- 낮은 pH에 대한 저항
- 고농축 중량 물질(예: 리틱 효소)에 대한 장벽
- 접착(글리코실레이트 S레이어용)
- 막의 안정화(예: 다이노코커스 레이더의 SDBC)
- 전자기 응력에 대한 저항(예: 전리방사선 및 고온)
- 엑소프로테이트 접착부위 제공
- 그램 양성 원핵생물에서 펩티도글리칸 및 세포질막과 함께 경막구획의 제공
- 반소거 특성[12]
- 생물유민화[13][14][15]
- 분자 체와 방벽 기능[16]
S층 구조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박테리아에 공통적인 반면, 다양한 유기체의 S-레이어들은 구성 요소 블록의 근본적인 차이 때문에 대칭과 단위 세포 치수를 포함한 독특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17] S-계층 단백질의 시퀀스 분석은 S-계층 단백질의 크기가 40-200 kDa이고 구조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여러 도메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1950년대[18] 박테리아 세포벽 파편에 있는 고분자 배열의 첫 번째 증거가 S-레이어 구조에서 전자 현미경 검사 및 중간 해상도 영상에 의해 광범위하게 조사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에서 S-레이어의 전체 S-레이어 형태학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메탄노사르시날레스 S층 타일 단백질 계열의 고고학적 S층 단백질(Methanosarcina acetivorans C2A에서 MA0829)과 Geacobillus stearothermophilus PV72에서 얻은 박테리아 S-층 단백질(SbsB)의 고해상도 구조가 최근 X선 결정학에 의해 결정되었다.[19][20] S-레이어의 S-레이어 단백질 또는 소단백질 성분의 개별 영역을 나타냈던 기존 결정 구조와 대조적으로 MA0829와 SBSB 구조는 M. 아세티보란과 G. staroreotmophilus S-레이어의 고해상도 모델을 제안할 수 있게 했다. 이 모델들은 각각 M. 아세티보란과 G. staroreotmophilus S-레이어에 대해 육각(p6)과 사선(p2) 대칭을 보이며 치수와 다공성을 포함한 분자 특성은 고고학 및 박테리아 S-레이어의 전자 현미경 연구 데이터와 잘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S-레이어는 경사(p1, p2), 사각(p4) 또는 육각(p3, p6) 격자 대칭을 나타낸다. 격자 대칭에 따라 S층의 각 형태학적 단위는 1개(p1), 2개(p2), 3개(p3), 4개(p4), 6개(p6)의 동일한 단백질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브유닛 사이의 중심 대 중심 간격(또는 단위 셀 치수)은 4 ~ 35 nm이다.[2]
자가 조립
체내 조립체
성장 중인 세포 표면에 고도로 순서가 정해진 단분자 S-레이어 배열을 조립하려면 S-레이어 단백질의 잉여와 격자 성장 부위로의 변환의 연속적인 합성이 필요하다.[21] 또한 이 동적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는 제거된 세포 표면(동성 재첨부) 또는 다른 유기체(히터 재첨부)에서 분리된 S층 하위 단위를 사용한 재구성 실험을 통해 얻어졌다.[22]
시험관내 조립체
S-계층 단백질은 고체 지지대, 공기-물 인터페이스, 지질 필름, 지질 필름, 유화체, 나노캡슐,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 비드와 같은 용액과 인터페이스에서 규칙적인 단분자 배열로 자가 조립할 수 있는 자연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2][23] S-층 결정 성장은 S-층 단백질의 최종 리폴딩 단계가 격자 형성의 일부인 비-클래식 경로를 따른다.[24][25]
적용
토종 S층 단백질은 이미 30년 전 바이오센서와 초유도막 개발에 사용됐다. 그 후, 특정 기능영역(예: 효소, 리간드, 미모토프, 항체 또는 항원)을 가진 S-층 핵융합 단백질은 새로운 친화력 매트릭스, 점막백신, 생체적합성 표면, 마이크로 캐리어 및 엔과 같은 생명과학의 표면 기능화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전략을 조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생물 분산을 위한 템플릿으로 재료 과학 또는 캡슐화 시스템.[2][26][27][28]
참조
- ^ a b c Albers SV, Meyer BH (2011). "The archaeal cell envelope". Nature Reviews Microbiology. 9 (6): 414–426. doi:10.1038/nrmicro2576. PMID 21572458. S2CID 10297797.
- ^ a b c d e f g h i j k Sleytr UB, Schuster B, Egelseer EM, Pum D (2014). "S-layer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EMS Microbiology Reviews. 38 (5): 823–864. doi:10.1111/1574-6976.12063. PMC 4232325. PMID 24483139.
- ^ Rodrigues-Oliveira, Thiago; Belmok, Aline; Vasconcellos, Deborah; Schuster, Bernhard; Kyaw, Cynthia M. (2017-12-22). "Archaeal S-Layers: Overview and Current State of the Art". Frontiers in Microbiology. 8: 2597. doi:10.3389/fmicb.2017.02597. ISSN 1664-302X. PMC 5744192. PMID 29312266.
- ^ Sleytr U, Messner P, Pum D, Sára M (1993). "Crystalline bacterial cell surface layers". Mol. Microbiol. 10 (5): 911–6. doi:10.1111/j.1365-2958.1993.tb00962.x. PMID 7934867. S2CID 86119414.
- ^ Sleytr U, Bayley H, Sára M, Breitwieser A, Küpcü S, Mader C, Weigert S, Unger F, Messner P, Jahn-Schmid B, Schuster B, Pum D, Douglas K, Clark N, Moore J, Winningham T, Levy S, Frithsen I, Pankovc J, Beale P, Gillis H, Choutov D, Martin K (1997). "Applications of S-layers". FEMS Microbiol. Rev. 20 (1–2): 151–75. doi:10.1016/S0168-6445(97)00044-2. PMID 9276930.
- ^ Sleytr UB (1976). "Self-assembly of the hexagonally and tetragonally arranged subunits of bacterial surface layers and their reattachment to cell walls". J. Ultrastruct. Res. 55 (3): 360–367. doi:10.1016/S0022-5320(76)80093-7. PMID 6800.
- ^ Sleytr UB, Messner P, Pum D, Sára M (1988). Sleytr UB, Messner P, Pum D, Sára M (eds.). Crystalline Bacterial Cell Surface Layers. Berlin: Springer. doi:10.1007/978-3-642-73537-0. ISBN 978-3-540-19082-0. S2CID 20244135.
- ^ Sleytr UB (2016). Curiosity and Passion for Science and Art. Series in Structural Biology. Vol. 7.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doi:10.1142/10084. ISBN 978-981-3141-81-0.
- ^ Sleytr, UB; Beveridge, TJ (1999). "Bacterial S-layers". Trends Microbiol. 7 (6): 253–260. doi:10.1016/s0966-842x(99)01513-9. PMID 10366863.
- ^ a b Farci D, Slavov C, Tramontano E, Piano D (2016). "The S-layer Protein DR_2577 Binds Deinoxanthin and under Desiccation Conditions Protects against UV-Radiation in Deinococcus radiodurans". Frontiers in Microbiology. 7: 155. doi:10.3389/fmicb.2016.00155. PMC 4754619. PMID 26909071.
- ^ a b Farci D, Slavov C, Piano D (2018). "Coexisting properties of thermostability and ultraviolet radiation resistance in the main S-layer complex of Deinococcus radiodurans". Photochem Photobiol Sci. 17 (1): 81–88. Bibcode:2018PcPbS..17...81F. doi:10.1039/c7pp00240h. PMID 29218340.
- ^ Rothbauer M, Küpcü S, Sticker D, Sleytr UB, Ertl P (2013). "Exploitation of S-layer Anisotropy: pH-dependent Nanolayer Orientation for Cellular Micropatterning". ACS Nano. 7 (9): 8020–8030. doi:10.1021/nn403198a. PMID 24004386.
- ^ Schultze-Lam S, Harauz G, Beveridge TJ (1992). "Participation of a cyanobacterial S layer in fine-grain mineral formation". J. Bacteriol. 174 (24): 7971–7981. doi:10.1128/jb.174.24.7971-7981.1992. PMC 207533. PMID 1459945.
- ^ Shenton W, Pum D, Sleytr UB, Mann S (1997). "Synthesis of CdS superlattices using self-assembled bacterial S-layers". Nature. 389 (6651): 585–587. doi:10.1038/39287. S2CID 4317884.
- ^ Mertig M, Kirsch R, Pompe W, Engelhardt H (1999). "Fabrication of highly oriented nanocluster arrays by biomolecular templating". Eur. Phys. J. D. 9 (1): 45–48. Bibcode:1999EPJD....9...45M. doi:10.1007/s100530050397. S2CID 120507258.
- ^ Sára M, Sleytr, UB (1987).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uniform pores from two-dimensional arrays of proteins". J. Membr. Sci. 33 (1): 27–49. doi:10.1016/S0376-7388(00)80050-2.
- ^ Pavkov-Keller T, Howorka S, Keller W (2011). "The structure of bacterial S-layer proteins". Molecular Assembly in Natural and Engineered Systems. Prog. Molec. Biol. Transl. Sci.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Vol. 103. pp. 73–130. doi:10.1016/B978-0-12-415906-8.00004-2. ISBN 9780124159068. PMID 21999995.
- ^ Houwink, AL (1953). "A macromolecular mono-layer in the cell wall of Spirillum spec". Biochim Biophys Acta. 10 (3): 360–6. doi:10.1016/0006-3002(53)90266-2. PMID 13058992.
- ^ Arbing MA, Chan S, Shin A, Phan T, Ahn CJ, Rohlin L, Gunsalus RP (2012). "Structure of the surface layer of the methanogenic archaean Methanosarcina acetivorans". Proc Natl Acad Sci U S A. 109 (29): 11812–7. Bibcode:2012PNAS..10911812A. doi:10.1073/pnas.1120595109. PMC 3406845. PMID 22753492.
- ^ Baranova E, Fronzes R, Garcia-Pino A, Van Gerven N, Papapostolou D, Péhau-Arnaudet G, Pardon E, Steyaert J, Howorka S, Remaut H (2012). "SbsB structure and lattice reconstruction unveil Ca2+ triggered S-layer assembly" (PDF). Nature. 487 (7405): 119–22. Bibcode:2012Natur.487..119B. doi:10.1038/nature11155. PMID 22722836. S2CID 4389187.
- ^ Fagan RP, Fairweather NF (2014). "Biogenesis and functions of bacterial S-layers" (PDF).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 (3): 211–222. doi:10.1038/nrmicro3213. PMID 24509785. S2CID 24112697.
- ^ Sleytr UB (1975). "Heterologous reattachment of regular arrays of glycoproteins on bacterial surfaces". Nature. 257 (5525): 400–402. Bibcode:1975Natur.257..400S. doi:10.1038/257400a0. PMID 241021. S2CID 4298430.
- ^ Pum D, Sleytr UB (2014). "Reassembly of S-layer proteins". Nanotechnology. 25 (31): 312001. Bibcode:2014Nanot..25E2001P. doi:10.1088/0957-4484/25/31/312001. PMID 25030207.
- ^ Chung S, Shin SH, Bertozzi CR, De Yoreo JJ (2010). "Self-catalyzed growth of S layers via an amorphous-to-crystalline transition limited by folding kinetics". Proc. Natl. Acad. Sci. USA. 107 (38): 16536–16541. Bibcode:2010PNAS..10716536C. doi:10.1073/pnas.1008280107. PMC 2944705. PMID 20823255.
- ^ Shin SH, Chung S, Sanii B, Comolli LR, Bertozzi CR, De Yoreo JJ (2012). "Direct observation of kinetic traps associated with structural transformations leading to multiple pathways of S-layer assembly". Proc. Natl. Acad. Sci. USA. 109 (32): 12968–12973. Bibcode:2012PNAS..10912968S. doi:10.1073/pnas.1201504109. PMC 3420203. PMID 22822216.
- ^ Ilk N, Egelseer EM, Sleytr UB (2011). "S-layer fusion proteins - construc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Curr. Opin. Biotechnol. 22 (6): 824–831. doi:10.1016/j.copbio.2011.05.510. PMC 3271365. PMID 21696943.
- ^ Schuster B, Sleytr UB (2014). "Biomimetic interfaces based on S-layer proteins, lipid membranes and functional biomolecules". J. R. Soc. Interface. 11 (96): 20140232. doi:10.1098/rsif.2014.0232. PMC 4032536. PMID 24812051.
- ^ Schuster B, Sleytr UB (2021). "S-Layer Ultrafiltration Membranes". Membranes. 11 (4): 275. doi:10.3390/membranes11040275. PMC 8068369. PMID 33918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