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하
Ruha루하 | |
---|---|
기타 이름 | 나므루스, 에왓, 섬카크 |
아보데 | 어둠의 세계 |
개인정보 | |
부모님 | 진 |
형제의 | 자흐릴 |
배우자 | 가프 |
자손 | 우르, 일곱 개의 행성(슈바), 열두 개의 별자리(트리사르)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만대주의 |
---|
종교포털 |
만대주의에서 루하(클래식 만도어: ࡓࡅࡄ,, light. '영령/breath'; Namrus 또는 Hiwat(Ewath; 고전 만도어: ࡏࡅࡀࡕ)')[1]는 어둠의 세계(알마 드슈카) 또는 지하세계의 여왕이다.[2] 그녀는 어둠의 세계의 왕인 아들 우르와 함께 지하세계를 다스리고, 우르와 함께 자신의 자손이기도 한 일곱 개의 행성과 열두 개의 별자리를 수행했다.[1]
루하는 제1저승의 어둠의 여주인 진의 딸이다. 그녀는 제3의 마아르타(관찰소 또는 연옥소)의 통치자다. 그녀는 정욕, 불결함(즉 월경 불순물), 그리고 다른 부정적인 여성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다.[1] 그녀의 비문에는 섬카크(Classical Mandicle: ࡎࡅࡌࡀࡒ)와 다른 이름들이 있다.[3]
이름 및 비문
긴자 랍바([1]Ginza Rabba)는 루하(Ruha)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비문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루하에게 '성령'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주로 장대본문에만 국한되며 난해한 두루마리나 의식용 두루마리에서 찾아볼 수 없다.[4]
긴자 랍바에서 언급된 다른 비문들은 다음과 같다.[3]
- 아마밋
- 나므루스 (니므루스)
- 카나니트
- 다움
겔버트(2013년)는 비록 이 가설이 동료들의 검토를 받지 않았지만, 루하라는 이름을 도시 우르하(에데사)에 연결한다.[5]
아이들.
루하는 긴자 랍바 5권에 묘사된 어둠의 세계의 거인들 중 하나인 가프와 함께 우르라는 아들을 낳는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7개의 행성과 12개의 조디악스를 낳으면서 우르와 근친상간을 이룬다.[1]
루하도 노아의 아내 안후라이타로 변장하여 함께 잠을 자고 함, 야펫, 세 아들을 낳았다.[1]
우주론적 역할
조룬 제이콥센 버클리에 따르면 루하는 단순히 사악한 아치처럼 그려질 수 없는 복잡한 인물이다.[2]
포로와 창조에서의 역할
히빌 지와는 어둠의 세계로 내려가는 과정의 일환으로, 루하를 어둠의 세계에서 인도하여, 그녀를 위의 세상에서 부모에게로 인도한다고 주장하면서, 그녀를 빛도 어둠도 아닌 세계에 봉인한다. 이 세상에 봉인되면 그녀는 우르를 낳는다. 우르는 루하의 거울로 보이는 빛의 세계와 전쟁을 하기를 원하지만, 루하는 이런 의도를 단념한다. 히빌은 이 거울을 압수하여 우르를 쇠사슬로 묶고, 하이이 랍비가 우르에 대한 분노로 그를 보낸 것을 주목한다.[4]
루하는 우르를 해방시키려는 헛된 시도로 우르와 함께 잠을 자면서, 7개의 행성과 12개의 조디악 기호를 낳았는데, 루하는 그와 함께 불만을 표출한다. 루하와 프타힐은 둘 다 상대방의 힘이 가라앉을 때 각각 지배력을 얻으면서 창조의 역할을 하지만, 루하는 가벼운 세계 '소울' 원소가 아닌 양면적인 '정신' 원소를 상징하기 때문에, 그들만의 신비를 그에게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영혼으로 인류에게 생기를 불어넣을 수는 없다. 아담은 프타힐의 이미지를 본떠 만든 것이고, 하와(Eve)는 계정에 따라 아담의 이미지나 루하의 이미지를 본떠 만든 것이다. 아담이 죽고 생명의 세계로 올라가면 루하는 이브를 유혹하여 자신의 상실을 슬퍼하고, 구원의 보물의 부족을 스스로 탄식하며, 이브가 죽어서 히빌에 의해 빛의 세계로 인도될 때, 루하는 히빌이 바람직한 모든 것을 빼앗고, 그것만 가치 없는 것으로 남겨둔다고 홀린다.[4]
예루살렘의 건국 및 사절들과의 교류
루하는 아들들을 거느리고 아도나이(샤미시)를 비롯한 일곱 개의 행성이 예루살렘을 건설하기 위해 나선다. 아누시 우트라는 시내에서 만다인 365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훈계하지만 루하는 일곱 개의 기둥을 세우고 공사를 강행한다. 아누쉬는 예루살렘에서 만대주의를 설교하고, 유대인을 만대주의로 개종시키는 다음과 같은 것을 얻는다. 이로 인해 유대인들은 만대인들을 박해하고 죽임으로써, 아누쉬는 보복으로 도시를 파괴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루하는 아누쉬에게 타협을 구걸하는데, 첫째는 아누쉬가 그녀의 도시를 파괴하지 않도록 하고, 그 다음엔 유대인들에게 벽을 허물고 그들을 죽임으로써 그를 파멸에 이르게 하는 것을 허락받도록 한다. 아누쉬는 두 가지 간청을 받아들이지 않는다.[4][2]: 44 루하의 휘하에 아도나이가 그려져 있지만, 하란 가와이타는 예수가 태어나기 전까지 예루살렘에 있는 동안 만대인들이 아도나이를 사랑했음을 나타낸다.[2]: 49
히빌 지와, 만다 드 헤이와 같은 라이트월드 사절들과 루하의 다른 상호작용은 종종 더 긍정적이다. 여기서 루하는 질책을 받지만 힘을 얻어 그녀 자신의 구원을 위한 지침을 얻는다.[4]
속죄
요한 만다안서 68장에서 만다 드 헤이는 카나트-니슈프타(Charles G에 의해 번역됨)를 찾아낸다. 헤벌과 제임스 F. 마가니타-니슈프타(드롭렛 펄)와 시마트-헤이-니슈프타(드롭렛 생명의 보물)[6] 등 다양한 비명으로 추가 소환될 때까지 외벽에 남아 있는 '드롭렛 스테디(dropGrath as "droplet steady)"의 맥그래스. 버클리는 이 이름들 중 일부가 그림 디완 아바튀르(Mark Lidzwarski에 의해 주목받았으나 혼란으로 치부된 관찰)에서 루하의 묘사로 나타나며, 시마트 헤이이(인생의 보물)와 니슈프타(Drop)라는 이름은 빛의 세계에서 헤이 랍비의 부부를 위해 사용되는 이름이라고 언급하고 있다.[4]
버클리는 콜라스타의 한 구절에서 시마트 헤이이가 어둠의 세계에서 나와 결국 빛의 장소로 승격되는 것을 언급하는 구절을 루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E. S. 드루커가 자흐레일을 언급하여 해석하였지만 자흐렐은 결코 어둠의 세계를 떠난 적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버클리는 만대 문자들이 루하가 결국 구원을 얻을 것이며, 빛의 세계에서 그녀의 dmutha(이상적인 상대)와 합쳐질 것이라고 주장한다.[4]
지노시스 노출자
버클리는 아직 티빌(지구)에 있는 동안 루하의 통찰은 만대 불가지론자의 통찰력을 반영한다고 지적한다.[4]
라이트 긴자의 6권(일명 "디나누크트 책")에서 루하는 그누리스틱 시 "The Thunder, Perfect Mind"와 비슷한 연설을 한다. 그 연설의 일부는 아래에 발췌한 것으로 주어진다.[2]
나는 처음부터 있었던 삶이다.
나는 훨씬 더 초기에 존재했던 진리(쿠샤)이다.
나는 광채다. 나는 가볍다.
나는 죽음이다. 나는 삶이다.
나는 어둠이고, 나는 빛이다.
나는 오류다. 나는 진실이다.
나는 파괴, 나는 건설이다.
나는 가볍다. 나는 오류다.
나는 충격을 받았다. 나는 치유하고 있다.
나는 나이가 많고 하늘과 땅을 지으신 분 앞에 있었던 높은 분이다.
나는 왕들 사이에 동족도 없고, 내 왕국에도 왕관이 없다.
안개가 자욱한 어둠의 구름 속에서 나에게 메시지를 줄 수 있는 인간은 없다.
–[2] Buckley(2002)가 Lidzbarski(1925), Right Ginza 6, 페이지 207, 34-42행에서 번역함.[7]
파랄렐스
만대주의에서 루하의 이야기는 소피아가 플레로마에서 떨어졌다는 Gnoristic의 이야기와 유사하다. 루하는 처음에 빛의 세계에 살면서 "떨어져서" 아들 우르를 낳는다.[8]: 532 그러나 최고신의 동의 없이 창조를 추구하다가 생긴 갈등은 제2의 생명인 유샤민에 기인하고, 제3의 생명인 아바투르에 기인하는 데,[1] 제2의 생명(Ptahil)의 기원은 제3의 생명인 유샤민에 기인한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Aldihisi, Sabah (2008). The story of creation in the Mandaean holy book in the Ginza Rba (PhD). University College London.
- ^ a b c d e f Buckley, Jorunn Jacobsen (2002).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385-5. OCLC 65198443.
- ^ a b Ginza Rba. Translated by Gelbert, Carlos. Sydney: Living Water Books. 2011. ISBN 9780958034630.
- ^ a b c d e f g h Buckley, Jorunn Jacobsen (1982). "A Rehabilitation of Spirit Ruha in Mandaean Religion". History of Religions. 22 (1): 60–84.
- ^ Gelbert, Carlos (2013). The Mandaeans and the Christians in the time of Jesus Christ: enemies from the first days of the church. Fairfield, N.S.W: Carlos Gelbert. ISBN 978-0-9580346-4-7. OCLC 853508149.
- ^ Häberl, Charles G.; McGrath, James F. (2019). The Mandaean Book of John: Text and Translation (PDF). Open Access Version. Berlin/Boston: De Gruyter.
- ^ 리즈바스키, 마크(1925). 긴자: Der Shatz oder Das gro mande Buch der Mandaer, 괴팅겐: 반덴호크 & 뤼프레흐트/라이프치히: J.C. Hinrichsche Buchhandlung.
- ^ 도이치, 나트니엘(2003년). 만대 문학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