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세 드 페르
Prise de fer스포츠 | 펜싱 |
---|---|
이벤트 | 플뢰레, 에페 |
프리세 드 페르는 펜싱에서 펜싱 선수가 상대의 칼날을 선으로 잡아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이다. 프랑스어에서 번역된 프리세 드 페르라는 구절은 "날개잡기" 또는 "철강잡기"를 의미한다. 대체 철자에는 복수형 Prises de Fer 또는 "Les Prises de Fer"와 (잘못된) President de Fer가 포함된다. 4가지 프리제 드 페 행동이 있다: 반대, 크로제, 바인딩, 그리고 봉투. 그러나 각 펜싱 명장과 펜싱 교리는 프리세 드 페르에 대한 별도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윌리엄 가글러는 프리세 드 페르의 네 가지 행동 모두를 펜싱 용어 사전에서 나열하고,[1] 로저 크로스니어는 그의 저서 플뢰레와의 펜싱에서 크로아제, 바인드, 그리고 포락은 프리세 드 페르 행동이라고만 언급하고 있다.[2] 어떤 프리제 드 페어 동작도 칼날이 맞물릴 것을 요구하며, 그것은 스트레이트 팔을 사용하고 유지하는 상대에게 가장 효과적이다. 게다가, 성공적인 행동에는 놀랍고 정확한 타이밍과 통제가 필요하다.[3]
반대
상대편에서는 펜싱 선수가 어느 선에서든 상대의 칼날을 받아 그 선으로 뻗어나가 행동이 끝날 때까지 상대의 칼날을 갈게 된다. 반대는 어느 선에서든 할 수 있고, 스트레이트로 하면 강한 공격이다.[4] 반대파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은 상대의 칼날을 간신히 선을 벗어나게 할 정도일 뿐, 다른 선으로 억지로 밀어 넣을 정도는 아니다.[5]
반대는 전형적으로 프랑스식 펜싱에서 액션으로 분류되는데 이탈리아 학교가 글라이드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일부 교리에서는 반대와 활기는 별개의 행동이지만 활기는 반대파를 이용해 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6] 윌리엄 가글러는 반대파를 선을 닫기 위해 손이 상대편 칼날에 맞닿아 이동하는 스러스트 중에 완성된 행동이라고 정의하고, 반면 글라이드는 상대편 칼날을 따라 표적 위로 미끄러진다.[7] 루이스 론델은 활공(glide)은 반대편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실제로 그것은 직접 추진의 묘미"[8]라고 지시한다. 훌리오 마르티네스 카스텔로는 글라이드를 "슬라이딩 스러스트(slide srush)"라고 말하며, 이를 옆으로 밀어내 상대의 칼날을 지배하게 된다.[9]
묶다
바인드는 어느 선에서든 상대편의 칼날을 대각선으로 가져간다. 그 작용은 높은 라인에서 낮은 라인까지 또는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번부터는 상대의 칼날을 7번으로, 8번부터는 4번으로 가져간다. 바인드는 Transport 또는 Transport 및 Glide라고도 한다. 다른 모든 프리스 드 페르 행동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펜싱 교리가 있다. 루이지 바르바세티는 바인딩은 프라임, 2등, 티어체, 쿼트, 쿼트, 쿼트에서만 이루어진다고 가르친다.[10] C-L de Beaumont는 바인딩이 "목표 반대편에서 높은 라인에서 낮은 라인으로 상대편 칼날을 대각선으로 대각선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계속 접촉하는 칼날을 반원형으로 움직이면서 이루어진다"고 가르친다. 이어 상대의 칼날을 잡으면서 팔을 뻗고 폐를 찌르는 방식으로 공격이 이뤄진다."[11] 훌리오 마르티네스 카스텔로는 바인딩에 이어 활공할 것을 권고하지만 어떤 공격도 가능하다.[12] 로우 라인에서 바인딩을 완료하려면 먼저 블레이드를 약간 라인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팔뚝과 블레이드를 올린다. 블레이드를 하이 라인까지 충분히 올리면 암과 블레이드를 새 라인으로 이동할 때까지 이동시킨다.[13][14] 또한 아래 누운 자세와 플랜콘레이드를 참조하십시오.
크로이제
크로아제는 같은 면의 한 라인에서 반대 라인까지 상대의 칼날을 수직으로 운반한다. 예를 들어, 여섯 번째부터는 칼날이 여덟 번째까지 운반된다. 이 작용은 때로 십자(Cross)라고도 하며, 반신(半神)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펜싱 학교에서는 크로이제가 높은 선에서 낮은 선까지만 행해진다고 보고 있다.[15][16] 다른 펜싱 교리들은 낮은 선에서 높은 선까지 크로아제는 진실이 아니더라도 최소한 이론적이라고[17] 믿는다. 훌리오 마르티네스 카스텔로가 저서 '펜싱 이론과 실천'에서 쓴 것처럼 크로이제가 구속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18] 또한 아래 눕기, 플란코네이드, 코퍼티노를 보라.
포락
포락은 같은 선으로 돌아가기 위해 한 줄로 시작한 다음 전체 원형 운동을 완료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동작은 원형 전이 또는 Envelopment라고도 한다. 한 학파의 사상으로는 그 행동이 이론적으로는 어느 선에서든 행해지는 것이지만,[19] 그렇지 않으면 상대의 칼날을 붙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6일부터 행할 때 가장 잘 작동한다는 것이다.[20] Jean-Jacques Gillet은 환경은 모든 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히 칼날을 몸의 바깥쪽으로 옮기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쓰고 있다.[21] Roger Crossnier는 포장에 있는 원의 크기는 제한될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손목을 사용하여 행동을 해야 한다고 쓰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행동이 너무 느리고 번거로워서 쉽게 감지하고 속일 수 있기 때문이다.[22] 훌리오 마르티네즈 카스텔로는 두 개의 반원형을 완성하기 때문에 이 봉투가 본질적으로 두 개의 결합을 결합한 것이라고 가르친다. 게다가, 그는 그 동작은 어떠한 공격도 따를 수 있지만, 가급적이면 활공하는 것이 좋다고 쓰고 있는데, 그 조합은 계속해서 상대의 칼날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23]
잡다한
눕다
거짓말은 높은 라인에서 낮은 라인으로, 또는 그 반대로 칼날을 가져가는 행동이다.[24][25] 취한 행동의 움직임에 따라, 거짓말은 바인드나 크로아제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6부터 6까지의 크로아제는 물론 6부터의 묶음도 높은 곳에서 낮은 선으로 칼날을 가져간다.
플랑코나데
플랑코네드는 바인드 또는 크로아제라고 언급된다. 임레 바스는 펜싱 선수가 같은 면의 하이 라인에서 로우 라인까지 상대의 칼날을 운반하는 '빈드 스러스트'로 정의하지만, 상대에게는 대각선이 될 것이다.[26] 동작의 동작에 따라, 이것은 바인드나 크로아제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윌리엄 가글러는 3개의 플랑콘이 있다고 쓰고 있다: 플랑콘은 4번째(또는 외부 플랑콘), 내부 플랑콘은 2번째 플랑콘이다. 4번째의 플랑코네이드는 4번째의 크로아제(croisé)와 같은 반면, 내부 플랑코네이드는 3번째 끝에서 내부 로우 라인으로 가는 운송(bind)이며, 2번째 플랑코네이드는 글라이드로 끝나는 4번째 끝에서 외부 로우 라인으로 가는 운송(bind)이다.[27] 루이스 론델은 플랑코네이드를 하이 4에서 시작한 것으로 설명한 다음, 플랑코네이드가 상대의 팔 아래를 찌르는 것으로 끝날 때까지 아래로 운반한다.[28] 이 묘사는 오른손잡이 상대에게 대항하여 크로아제(croisé)로 해석할 수 있다.
코페르티노
코페르티노(copertino)는 플랑코네드(planconade)뿐만 아니라 크로아제(croisé)와 관련된 또 다른 용어다. 임레 바스는 코페르티노와 크로아세 둘 다를 같은 쪽의 '빈드 스러스트' 행동으로 나열해 구별하지만, 코페르티노는 상대편 칼날의 반대쪽에서 끝나는 반면 크로아제는 단순히 반대선에서 끝난다.[29] 코페르티노 역시 크로아제(croisé)[30]로 해석된다.
참조
- ^ 가울러, 윌리엄 M,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펜싱 용어 사전, 뱅고어: Laurate Press, 1997, 페이지 48.
- ^ 크로스니에, 로저. 플뢰레와의 펜싱: A. S. 반스 앤 컴퍼니, 1948년, 페이지 177-84.
- ^ 드 보몽, C-L 펜싱: 고대 예술과 현대 스포츠. 런던: 케이와 워드, 1978년, 페이지 95.
- ^ 길렛, 장 자크스. 포일 기법 및 용어. 리빙스턴: 1977년 미국 육군사관학교, 페이지 36.
- ^ 모튼, 펜싱의 E. D. A-Z 런던: 여왕 앤 프레스, 날짜 없음, 페이지 129.
- ^ 가렛, 맥스웰 R, 엠마누일 G. 카이다노프, 길 A. 페자. 포일, 세이버, 에페 펜싱, 대학 공원: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교 출판부, 1994, 페이지 50.
- ^ 가우글러, 윌리암 M. 펜싱의 과학. 뱅고르: 1997년, 28-30페이지.
- ^ 론델, 루이스 포일과 사브르, 보스턴: 다나 에스테스와 컴퍼니, 1892, 페이지 43
- ^ 카스텔로, 훌리오 마르티네즈 펜싱의 이론과 실천.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1933년, 페이지 38.
- ^ 바르바세티, 루이지. The Art of the Floil, New York: E. P. Dutton and Company, 1932, 페이지 29.
- ^ 드 보몽, C-L 펜싱: 고대 예술과 현대 스포츠. 런던: 케이와 워드, 1978년, 페이지 97.
- ^ 카스텔로, 훌리오 마르티네즈 펜싱의 이론과 실천.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1933년.
- ^ 크로스니에, 로저. 플뢰레와의 펜싱: A. S. 반스와 컴퍼니, 1948년, 페이지 180.
- ^ 드 보몽, C-L 펜싱: 고대 예술과 현대 스포츠. 런던: 케이와 워드, 1978년, 페이지 97.
- ^ 크로스니에, 로저. 뉴욕 플뢰레와의 펜싱: A. S. 반스 앤 컴퍼니, 1948년, 페이지 183.
- ^ Hett, G. V. Pending, New York: Pitman 출판사, 1939, 페이지 60.
- ^ 모튼, 펜싱의 E. D. A-Z 런던: 퀸 앤 프레스, 날짜 없음, 페이지 44.
- ^ 카스텔로, 훌리오 마르티네즈 펜싱의 이론과 실천.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1933년, 페이지 37.
- ^ 모튼, 펜싱의 E. D. A-Z 런던: 여왕 앤 프레스, 날짜 없음, 56페이지.
- ^ 드 보몽, C-L 펜싱: 고대 예술과 현대 스포츠. 런던: 케이와 워드, 1978년, 페이지 97.
- ^ 길렛, 장 자크스. 포일 기법 및 용어. 리빙스턴: 1977년 미국 육군사관학교, 페이지 36.
- ^ 크로스니에, 로저. 뉴욕의 플뢰레와의 펜싱: A. S. 반즈와 컴퍼니, 1948년, 페이지 178.
- ^ 카스텔로, 훌리오 마르티네즈 펜싱의 이론과 실천.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1933년, 페이지 37-8.
- ^ Hett, G. V. Pending, New York: Pitman 출판사, 1939, 페이지 60.
- ^ 모튼, 펜싱의 E. D. A-Z 런던: 여왕 앤 프레스, 날짜 없음, 페이지 106.
- ^ 바스, 임레. 에페 펜싱: 완벽한 시스템. Staten Island: SKA Swordplay Books, 1998, 페이지 370.
- ^ 가글러, 윌리엄 M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펜싱 용어 사전. 뱅고르: 1997, 34, 39페이지.
- ^ 론델, 루이스 포일과 사브르, 보스턴: 다나 에스테스와 컴퍼니, 1892, 페이지 185-6.
- ^ 바스, 임레. 에페 펜싱: 완벽한 시스템. Staten Island: SKA Swordplay Books, 1998, 페이지 368.
- ^ 모튼, 펜싱의 E. D. A-Z 런던: 여왕 앤 프레스, 날짜 없음, 페이지 40.
- 나디, 알도 펜싱, 일출: Lairate Press, 1994.
- 허튼, 알프레드. 런던 검객: H. Grevel and Company, 18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