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라화
Piprahwa피프라와 피프라하바 | |
---|---|
마을 | |
좌표: 27°26′35″N 83°07′40″E / 27.443000°N 83.127800°E좌표: 27°26′35″N 83°07′40″E / 27.443000°N 83.127800°E/ | |
나라 | 인도 |
주 | 우타르프라데시 주 |
구 | 싯다르트나가르 |
언어들 | |
• 공식 | 힌디어 |
시간대 | UTC+05:30(IST) |
피프라화(Hindi: पिपरहाा)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싯다르타르가르 지구의 버드푸르 인근 마을이다. 이 지역에서는 향과 매운 쌀의 종류인 칼라마크 쌀이 재배되고 있다.[1] 고타마 부처의 탄생지로 추정되는 세계문화유산 룸비니에서 12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피프라화는 고고학적 유적과 발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유적지가 부처님의 유골 중 자신의 샤키야 씨 일족에게 바쳐진 부분의 매장지였을 수도 있다. 대지 안에는 대형 부도와 여러 수도원의 폐허, 박물관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인접한 간와리아 산자락에서는 고대 주거단지와 사당이 발굴되었다.
윌리엄 클랙스턴 페페의 발굴
1898년 1월 영국 식민지 기술자 겸 피프라화 소유의 토지 소유자인 윌리엄 클랙스턴 페페에 의해 매장된 부도가 발견되었다. 1897년 북인도를 초토화시킨 극심한 기근에 이어 페페는 팀을 이끌고 자신의 땅에서 큰 토산을 발굴했다. 스크럽과 정글을 치운 그들은 마운드 사이로 깊은 참호를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18피트의 단단한 벽돌을 파낸 후, 그들은 뼛조각, 재, 그리고 보석이 들어 있는 다섯 개의 작은 꽃병이 들어 있는 큰 돌 커피에 이르렀다.[2] 그 화병들 중 한 곳에는 당대 유럽의 대표적인 경문학자 게오르크 뷔를러가 번역한 브라흐미 대본이 있었는데, 이 대본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Sukiti-bhatinikanam sa-puta-dalaman Iyaṃ salila-nidhane Budhasa bagavate sakiyyanam.[3]
"이 신불의 유물은 그들의 자매, 아들, 아내와 관련된 사키야-수키티 형제들의 기증이다.[4]
이 비문은 뼛조각이 불교의 시조인 고타마 불상의 유골의 일부임을 암시한다.[5] 그 후 10여 년 동안, 비문학자들은 비문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 토론했다. 빈센트 스미스, 윌리엄 호이, 토마스 리스 데이비스, 에밀 세나트 등이 모두 비문을 번역해 부처님의 유품임을 확인했다.[6][7]
1905년, 인도 정부의 서간문학자였던 존 플리트(John Fleet)가 이 해석에 동의하는 번역문을 출판하였다.[8] 그러나 영국왕립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의 토마스 리스 데이비스(Thomas Rys Davids)의 장관직을 맡은 플리트(Fleet)는 다른 독서를 제안했다.[9][10]
"이것은 복된 부처의 친족인 수키티 형제들이 자매, 자식, 아내와 함께 유물을 보관한 것이다."[3]
이 해석은 그의 동시대인들에 의해 단호히 거부되었다. 플릿은 그런 비판에 이어 "나는 이제 나의 의견을 포기한다"[11]고 썼다. 당시의 비문론자들은 아우구스트 바르스의 번역에 대신 가입했다.
"이 수용소는 수크르티 형제들의 축복을 받은 부처님들(경건한 선물이다)의 유물을 그들의 자매들과 함께, 그들의 아들들과 그들의 아내들과 함께."[12]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2013년 다큐멘터리 '불의 본즈'에서 프리 우니베르시떼 베를린의 비문학자 해리 포크는 이를 예금주들이 부처님의 유골이라고 믿었다는 원론적인 해석을 확인했다. 포크는 이 비문을 '여호와 부처님의 유품이다'라고 번역하고, 피프라화에서 발견된 사리에는 부처의 재 일부분이 들어 있으며, 그 비문이 진품이라고 결론지었다.[13]
1997년, 비문학자 겸 고고학자 아흐마드 하산 다니(Ahmad Hassan Dani)는 고고학적 연구와 데이트 자료에서 고립된 채로 발견되는 어려움에 주목했다. 그는 비문은 기원전 2세기 초엽까지 확실시 될 수 있다고 결론내렸으나, U.P. 바스티 구(Uttar Pradesh)에서 발견된 피프라화 꽃병은 스테이트 돌에 부주의하게 긁힌 글씨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문은 불상의 유적을 가리키기 때문에 원래는 마우리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아소칸 브라미와의 비교를 통해 기원전 3세기까지 내려왔다. 문체가 매우 서툴고, 그 안에는 아소칸 낙서들의 손을 말하는 것이 하나도 없다." [14] 이 비문의 연대는 기원전 480년 부처가 죽은 지 250년쯤 지난 것으로 보아 부처님의 생전에 탑이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시차는 아소카 황제의 갑작스러운 불교 개종으로 설명될 가능성이 크다. 아소카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수만 명을 학살한 후, 부도를 쌓고 부처님의 유골을 그의 나라 전역에 재분배하라는 포고령을 내렸다.[15]
번역에 대한 초기 불확실성이 다소 있었지만, 당시 발견물의 진위 여부에 대한 어떠한 도전 기록도 없다.[16] 그러나 1900년 4월 왕립아시아학회 회원들에게 이 발견을 소개하면서 그 비서인 토마스 리스 데이비스는 '이 경우 위조의 가설은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것'[17]이라고 강조했다. 100년 이상 지난 후 몇몇 사람들은 그러한 의심이 정부 고고학자 A.A. 때문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총통은 이 지역에서 일해왔으며 최근 표절과 위조 혐의로 폭로되었다. 위조의 가능성은 작가 겸 역사학자 찰스 앨런이 그의 저서 <부처와 박사>에서 탐구했다. 푸러와 그의 다큐멘터리 "불의 본즈 오브 부처"에서. 그는 W.C.의 서신을 바탕으로 피프라화에서의 사건 전개에 대해 연구한다. 페페, 빈센트 스미스, A.A. 총통, 그리고 총통이 W.C.에 의해 만들어진 비문의 발견에 간섭할 수 없었다고 결론짓는다. 페페.[18] 베를린 프리 우니베르시테트의 인도학 교수인 해리 포크는 다큐멘터리에서 총통이 피프라화 사재기 비문을 위조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대학의 리차드 살로몬 교수는 '위조는 진짜 비문의 노골적인 모조품이거나 전혀 엉뚱한 글귀가 되는 경향이 있으며, 만약 피프라화 비문이 가짜라면 - 나는 확실하지 않지만 - 그것은 후자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라고 지적한다. 그는 '피프라화 비문은 모든 면에서 진실하게 들린다'[19]고 말한다.
지금까지 인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하나인 피프라화의 주탑은 3단계로 지어졌다. 기원전 6~5세기, 부처가 죽을 무렵, 주변으로부터 자연토양을 쌓아 올려졌다. 이는 "밥이 알ms 그릇에 쌓여 있는 것처럼 데워라"[20]는 부처님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2단계는 아소카의 통치 기간 중 발생했으며 (기원전 235년경 사망 후 완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황제가 "증정된 사람의 유물을 분배하는" 사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21] 아소카는 불상의 유물이 담긴 원래의 부도를 열고 나서 부도를 복원하고 자신이 가져간 것의 일부를 끼워 넣었다. 나머지 유물들은 다른 새로운 부도에 배포되었다. 피프라화에서는 구조물에 두꺼운 점토를 채워 4.55m 높이에 이를 수 있도록 2단씩 쌓는 구조로 복원되었다. 3단계에서는 쿠샨 기간 중 부도가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6.35m(20.8ft)의 높이에 도달했다. 탑신 이후 가장 큰 구조물은 동쪽 수도원으로 45.11m x 41.14m에 마당과 30개 이상의 세포가 있다. 이 단지는 남부 수도원, 서부 수도원, 북부 수도원을 추가로 포함한다.[22]
유물의 분포
시암 주재 대사 출신으로 라마 5세의 사촌동생인 프린스디당(일명 지나바라반사)은 스리랑카에서 승려로 서품을 받고 발견 직후 피프라화에 도착했다. 그는 곧 그 W.C.를 알게 되었다. Peppe는 그의 발견물을 정부의 처분대로 두었었다.[23][24] 다른 나라 불교계와 공유하기 위해 영국 정부 관리들에게 뼈 유물을 시암왕에게 기증하도록 설득하는 그의 웅변적인 주장은 영국 하급 관리들로부터 어느 정도 지지를 받고 총독부까지 올라갔다. 최근 발견된 보드가야가 부처님 계몽의 장소로 여겨져 힌두교의 지배를 받아온 것에 분개한 불교도들을 달래줄 만한 분명한 해결책이었다. 그것은 당시의 프랑스, 러시아, 네덜란드의 초강대국으로부터 구애받고 있는 나라에 대한 호의의 표시이기도 했다.[25] 1899년 기념식이 열렸고 뼈 유물은 라마 5세의 사신으로 넘겨져 방콕으로 여행했다. 프리스당의 관여 요청은 실현되지 않았다.[26][27]
The bone relics were immediately distributed across several locations, including Golden Mount Temple in Bangkok, Thailand,[27] Shwedagon pagoda in Rangoon, Myanmar, Arakan pagoda in Mandalay, Myanmar, Dipaduttamarama Temple in Colombo, Sri Lanka, Waskaduwe Vihara in Kalutara, Sri Lanka,[28] and the Marichiwatta stupa in Anuradhapura, Sri Lanka.[11]
금과 보석 유물의 대다수는 인도 정부가 인도 박물관인 콜카타에 기증한 것이다. 오늘날, 모형 항아리가 전시되고 있다.[29] 불교 순례자들이 찾는 피프라화 카필라바스투 박물관에는 이 물건들의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W. C. Peppe는 오늘날 박물관에 전시된 많은 복제품들을 보유하는 것이 허용되었다.[30][31] 그는 또한 프리스당 왕자와 프리스당의 불교 거장 스리 수부티에게 몇 점의 작품을 주었다.[32][28] 12송이의 꽃 한 박스가 토마스 리스 데이비스와 왕립 고고학회에 주어졌고 2004년 런던의 불교협회 본부에서 정화작업의 일환으로 발견되었다.[33]
2554년(2011년) 12월 16일, 이 카필바투 부처 유물의 일부가 라타나완 수도원의 상하에게 제공되었다. 2012년 1월 태국 라타나완 수도원 부처님오마주 사리갖춤에 이 유물 중 일부가 안치되었다.
아잔 수메드호, 아잔 비라담모를 포함한 많은 고승들이 이 상서로운 행사에 참여했다.
인도 고고학적 조사에 의한 발굴
1971~1973년, K.M. 스리바스타바가 이끄는 인도 고고학 조사팀은 피프라화 부도의 발굴을 재개했다. 연구팀은 W.C.의 커피보다 수 피트 깊은 곳에서 그을린 뼈의 파편이 들어 있는 관을 발견했다. 페페는 이전에 발굴된 적이 있었다. 스리바스타바는 북검정기 시대의 퇴적물에서 유물이 발견됨에 따라 기원전 5-44세기로 보아 부처가 살았던 시기와 일치할 것이다.[34] 그는 또한 쿠샨 문자에서 '카필라바스투 대승들의 공동체에서'와 같은 전설을 가진 13개의 봉인을 발견했다. 오늘날, 피프라화와 간와리아의 고대 유적지들은 인도의 고고학적 조사에 의해 통제되는 카필라바스투 박물관을 주최한다.[22]
스리바스타바 연구팀이 수습한 뼛조각은 현재 뉴델리 국립박물관에 있다.[35] 1978년 인도 정부는 스리랑카에서 이 발견에 대한 그들의 몫을 허락했고 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경의를 표했다. 1993년 몽골, 1994년 싱가포르, 1995년 한국, 1996년 태국, 2012년 스리랑카에서도 전시됐다.[36]
고대 카필라바스투의 위치
스리바스타바가 카필라바스투라는 이름이 새겨진 테라코타 봉인을 발견하면서 일부 학자들은 현대판 피프라화가 싯다르타 고타마가 생애 첫 29년을 보낸 샤키야 왕국의 수도 카필라바스투의 고대 도시라고 믿게 되었다.[2][4][34][37] 다른 사람들은 카필라바스투의 원래 부지가 현재 네팔의 카필바스투 구인 틸라우라코트에서 북서쪽으로 16km(9.9mi) 떨어진 곳에 있다고 말한다.[38][39][40] 카필라바스투는 샤키야 왕국의 수도였기 때문에 이 질문은 특히 불교사 학자들에게 중요하다. 우드호다나 왕과 마야데바 왕비는 카필라바스투에서 살았는데, 그의 아들 고타마 싯다르타 왕자도 29세에 궁을 떠날 때까지 그랬다.[41]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피프라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메모들
참조
- ^ 미샤 2005.
- ^ Jump up to: a b 페페 1898, 페이지 573–88.
- ^ Jump up to: a b 함대 1907, 페이지 129–130.
- ^ Jump up to: a b 벌러 1898 페이지 388.
- ^ 페페 1898, 페이지 584–85.
- ^ Senart, Emile (1906). "Note sur l'inscription de Piprahwa". Journal Asiatique (Jan–Feb): 132–136.
- ^ Hoey, William (24 February 1898). "Piprahwa inscription". The Pioneer.
- ^ Fleet, John (October 1905). "Notes on three Buddhist Inscriptions".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37 (4): 679–691. doi:10.1017/S0035869X00033748.
- ^ Fleet, John (1906). The inscription on the Priprawa vas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For-1906. pp. 149-.
- ^ "Inscribed Relic Casket from Piprahwa". Museums of India. National Portal and Digital Reposi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5.
- ^ Jump up to: a b 앨런 2008, 페이지 212.
- ^ Barth, Auguste (October 1906). "The inscription on the Piprahwa vase". Journal des Savants. 36: 124.
- ^ Secrets of the Dead: Bones of the Buddha - Transcript, PBS, retrieved 16 April 2015
- ^ 1997년 3장
- ^ Strong, John (1989). The Legend of King Aśoka: A Study and Translation of the Aśokāvadāna. Motilal Banarsidass Publ.
- ^ Falk, Harry (2018). "The ashes of the Buddha".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45.
- ^ Rhys Davids, Thomas (1901). "Asoka and the Buddha relics".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XIV: 398.
- ^ 앨런 2008, 페이지 .
- ^ 앨런 2008, 페이지 261.
- ^ 앨런 2008, 페이지 9.
- ^ Strong, John. Ashokavadana.
- ^ Jump up to: a b "The Stupa". Kapilavastu Museum.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6.
- ^ Smith, Vincent (1898). "Government Correspondence" (741).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The relics of Buddha". The Standard. Reuters. 19 December 1898. Retrieved 14 February 2019.
- ^ Rey, Himanshu Prabha (2014). The Return of the Buddha. Routledge. pp. 106–110.
- ^ Loos, Tamara (2016). Bones around my neck. Cornell University. p. 120.
- ^ Jump up to: a b Nanayakkara, Rasika (25 January 2013). "Exposition of Sacred relics". The Island.
- ^ Falk, Harry (2017). "The Ashes of the Buddha".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27: 53.
- ^ Smith, Vincent (1898). "Government Correspondence". British Library (740 /III-2790-2).
- ^ "Next stop Nirvana". Rietberg Museum Newsletter. November 2018.
- ^ 앨런 2008, 페이지 209–210.
- ^ Mackenzie, Vicki (21 March 2004). "Buried with the Buddha". The Sunday Times.
- ^ Jump up to: a b Srivastava 1980, 페이지 103–10.
- ^ 스리바산 2012.
- ^ "Kapilavastu relics arrive in Sri Lanka". Daily Mirror. 19 August 2012.
- ^ Srivastava 1979, 페이지 61–74.
- ^ 앨런 2008, 페이지 262.
- ^ 툴라다르 2002 페이지 1-7.
- ^ 샤르다 2015.
- ^ Trainor, K (2010). "Kapilavastu". In Keown, D; Prebish, CS (eds.). Encyclopedia of Buddhism. Milton Park, UK: Routledge. pp. 436–7. ISBN 978-0-415-55624-8.
원천
- Allen, Charles (2008). The Buddha and Dr Führer: an archaeological scandal (1st ed.). London: Haus Publishing. ISBN 978-1-905791-93-4.
- Allen, Charles (2012), "What happened at Piprahwa: A chronology of events relating to the excavation in January 1898 of the Piprahwa Stupa in Basti District, North-Western Provinces and Oude (Uttar Pradesh), India, and the associated 'Piprahwa Inscription', based on newly available correspondence", Zeitschrift für Indologie und Südasienstudien, 29: 1–19, OCLC 64218646
- Bühler, Georg (April 1898). "Preliminary note on a recently discovered Sakya inscription".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Correspondence: Note 14): 387–389. JSTOR 25207982.
- Dani, AH (1997), Indian Palaeography (3rd ed.),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 56, ISBN 978-8121500289
- Fleet, J. F. (1907). "The Inscription on the Piprahwa Vas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39: 105–130. doi:10.1017/S0035869X00035541. JSTOR 25210369.
- Jinavaravansa, P. C.; Jumsai, Sumet (2003). "The Ratna Chetiya Dipaduttamarama, Colombo".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Sri Lanka. New. 48: 213–236. JSTOR 23731479.
- Mishra, S (15 September 2005), "Kalanamak: the future of Indian scented rice?", Down To Earth magazine, New Delhi: Society for Environmental Communications, retrieved 29 November 2014
- Peppe, WC (July 1898), "The Piprahwa Stupa, containing relics of Buddha", With a Note by V.A. Smith.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rticle XXIII): 573–88, JSTOR 25208010 – JSTOR을 통해(가입 필요)
- Sharda, Shailvee (4 May 2015), "UP's Piprahwa is Buddha's Kapilvastu?", Times of India
- 스미스, V. A. (1898년 10월),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협회 저널, 페이지 868 – JSTOR(가입 필요)
- Srivastava, KM (1979), "Kapilavastu and Its Precise Location", East and West, 29 (1/4): 61–74, JSTOR 29756506 – JSTOR을 통해(가입 필요)
- Srivastava, KM (1980),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Piprāhwā and Ganwaria and the Identification of Kapilavastu",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3 (1): 103–10
- Srivastava, KM (1996). Excavations at Piprahwa and Ganwaria (Memoirs of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No 94) (PDF). New Delhi: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 Srivathsan, A (20 August 2012), "Gautama Buddha, four bones and three countries", Colombo Telegraph, Colombo, Sri Lanka, retrieved 29 November 2014
- Tuladhar, Swoyambhu D. (November 2002), "The Ancient City of Kapilvastu - Revisited" (PDF), Ancient Nepal (15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