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아테스 4세
Phraates IV프라아테스 4세 𐭐𐭓𐭇𐭕 | |
---|---|
그레이트 킹, 킹 오브 킹, 아르세이스 | |
파르티아 제국의 왕 | |
치세 | 기원전 37~2년 |
전임자 | 오로데스 2세 |
후계자 | 프라아테스 5세와 무사 |
죽은 | 기원전 2년 |
배우자. | 올렌니에르, 클레오파트라, 베이시르타, 비반납스, 무사 |
쟁점. | 보노네스 1세 프레이츠, 세라스판즈, 로다스페스, 카렌, 프라아테스 5세 |
다이너스티 | 아르사크 왕조 |
아버지. | 오로데스 2세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프라아테스 4세()는 기원전 37년부터 기원전 2년까지 파르티아 제국의 왕이었습니다.그는 오로데스 r.2세 (기원전 57년–37년)의 아들이자 후계자였으며, 그의 형제 파코루스 1세가 죽은 후 왕위에 올랐습니다.프라아테스 4세는 곧 그의 모든 형제들과 그의 아버지를 살해했습니다.그의 행동은 아르메니아인들과 로마의 삼두 정치가인 마크 안토니우스로 도망친 저명한 모나자들을 포함한 그의 귀족들을 소외시켰지만, 곧 돌아와서 프라아테스 4세와 화해했습니다.
프라아테스 4세는 기원전 36년 아르메니아를 거쳐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로 진군한 마르크 안토니우스의 공격을 받았고, 패배하고 그의 군대의 대부분을 잃었습니다.안토니우스는 아르메니아의 왕 아르타바스데스 2세에게 배신당했다고 믿고 기원전 34년에 그의 왕국을 침공하여 그를 포로로 잡고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의 왕 아르타바스데스 1세와 조약을 맺었습니다.그러나 옥타비아누스와의 전쟁이 발발했을 때, 안토니우스는 그의 정복을 유지할 수 없었습니다; 프라아테스 4세는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를 되찾았고 아르메니아의 왕 아르타바스데스 2세의 아들인 아르타키아스를 만들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프라아테스 4세의 왕위는 티리다테스 2세에 의해 찬탈되었지만, 그는 스키타이 유목민들의 도움으로 빠르게 그의 통치를 재건할 수 있었습니다.티리다테스는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 중 한 명을 데리고 로마로 도망쳤습니다.기원전 20년에 행해진 협상에서, 프라아테스 4세는 납치된 아들의 석방을 주선했습니다.그 대가로, 로마인들은 기원전 53년에 카르해에서 빼앗긴 군단병 기준과 살아남은 전쟁 포로들을 받았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이 교환을 왕자를 되찾기 위해 지불해야 할 작은 대가로 보았습니다.
옥타비아누스는 왕자와 함께 프라아테스 4세에게 무사라는 이름의 이탈리아 노예 소녀를 주었고, 그는 곧 프라아테스 4세의 총애를 받아 프라아테스 5세를 낳았습니다.그녀의 아들을 위해 왕위를 확보하기 위해, 무사는 프라아테스 4세를 설득하여 그의 왕위 계승에 대한 갈등을 막기 위해 그의 네 명의 맏아들(보노네스, 프라아테스, 세라스판데스, 로다스페스)을 로마로 보내도록 했습니다.기원전 2년, 무사는 프라아테스 4세를 독살하고 프라아테스 5세와 함께 제국의 공동 통치자로 만들었습니다.
이름.
프라테스()는 파르티아 프라하트()의 그리스어 형태로, 그 자체가 고대 이란어 *프라하타-("얻었다, 얻었다")[1]에서 유래한 것입니다.현대 페르시아어 버전은 파르하드입니다.[2]
권력의 통합
기원전 38년 파르티아 왕위 계승자인 파코루스 1세는 긴다로스 산 전투에서 로마군에 의해 패배하고 사망했습니다.그의 죽음은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아들의 죽음으로 깊은 고통을 받은 오로데스 r.2세 (기원전 57–37)가 그의 다른 아들 프라아테스 [3]4세에게 왕위를 넘겨주는 계승 위기를 촉발시켰습니다.오로데스 2세는 그 후 곧 사망했습니다.그의 사인은 확실하지 않습니다.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그는 파코루스의 죽음으로 인해 슬픔으로 죽었거나,[4] 늙어서 죽었다고 합니다.그러나 플루타르코스는 오로데스가 프라아테스 [4]4세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진술합니다.프라아테스 4세는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질 것을 우려하여, 부분적으로 그들의 모계 혈통이 [5]자신의 것보다 더 컸기 때문에 오로데스와 그의 코마게니안 아내 라오디케의 아들들인 그의 모든 이복 형제들을 처형했습니다.아마 라오디케도 [6]살해당했을 겁니다
프라아테스 4세는 또한 그의 형제들의 지지자들과 그의 반대자들을 망명으로 보냈습니다; 그들 중 하나는 오로데스 2세 아래에서 군사 지도자로 두각을 나타낸 파르티아 귀족인 모나에스는 시리아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그는 로마의 삼두 정치가 마크 [7]안토니우스와 함께 피신했습니다.그곳에서 모나에스는 그에게 파르티아를 공격할 것을 촉구했고,[8][4] 군대를 이끌고 아무런 어려움 없이 제국을 정복할 것을 약속했습니다.안토니우스는 모네세스에게 라리사, 히에라폴리스, 아레투사의 세 도시를 주었고, 그에게 파르티아의 [8][9]왕위를 약속했습니다.비슷한 시기에, 안토니우스는 예루살렘에서 로마의 통치를 회복했고, 헤로데 [4]대왕에 의해 계승된 파르티아의 꼭두각시 왕 안티고노스 2세 마타티아스를 처형했습니다.파르티아와 아르메니아의 관계도 파코루스 1세(아르메니아 왕가와 결혼)의 죽음과 프라아테스 4세의 형제들과 일부 귀족들에 대한 대우로 인해 손상되었고, 이는 [10]아르메니아인들을 화나게 했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모나에스의 망명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였고, 그 결과 프라아테스 4세는 모나에스를 나라로 다시 초대했고 [8]그와 화해했습니다.
마크 안토니우스와의 전쟁
이듬해 안토니우스가 테오도시오폴리스로 진군하자 아르메니아의 아르타바스데스 2세는 안토니우스에게 추가 병력을 보내 로마 쪽으로 망명했습니다.안토니우스는 수도 프라아스파를 점령할 의도로 파르티아의 동맹인 아르타바스데스 1세가 통치하던 미디어 아트로파테네를 침공했고, 현재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그러나, 프라아테스 4세는 안토니우스의 후방 분견대를 매복 공격하여 프라아스파 공성전을 위한 거대한 타격용 숫양을 파괴했습니다; 그 후, 아르타바스데스 2세는 안토니우스의 [11]군대를 버렸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안토니우스의 군대가 아르메니아로 도망갈 때 추격하고 괴롭혔습니다.결국, 크게 약화된 세력이 [12]시리아에 도달했습니다.
안토니우스의 패배는 기원전 53년 카르해에서 크라수스의 패배와 함께 로마인들에게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고, 종종 나중의 [13]사건들에서 파르티아를 침략하도록 부추겼습니다.이후 안토니우스는 결혼 동맹을 약속하며 아르타바스데스 2세를 함정에 빠뜨렸습니다.그는 기원전 34년에 포로로 잡혔고,[14]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안토니우스의 모의 로마 승리 행진을 했고, 결국 프톨레마이오스 [15]왕국의 클레오파트라 7세에 의해 처형되었습니다.안토니우스는 최근 프라아테스 4세와의 관계가 악화된 미디어 아트로파테네의 아르타바스데스 1세와 동맹을 맺으려고 시도했습니다.이것은 안토니우스와 그의 군대가 기원전 33년 아르메니아에서 철수했을 때 버려졌습니다; 그들은 안토니우스의 라이벌 옥타비아누스가 서쪽으로 [16]그의 군대를 공격하는 동안 파르티아의 침략을 피했습니다.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17] 프라아테스 4세는 기원전 31년에 코마게니아의 왕 안티오코스 1세를 살해했다고 합니다.기원전 [18]30년에 안토니우스가 이집트에서 자살한 후, 그의 아내 클레오파트라가 자살한 후, 파르티아 동맹국인 아르타키아스 2세는 아르메니아의 왕좌를 다시 차지했습니다.
짧은 전복, 아우구스투스와의 외교 서신 및 죽음
기원전 31년 악티움 전투에서 안토니우스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가 패배한 후, 옥타비아누스는 그의 정치적 권력을 공고히 했고 기원전 27년 로마 원로원에 의해 아우구스투스로 임명되어 첫 로마 [19]황제가 되었습니다.이 무렵, 파르티아의 티리다테스 2세는 스키타이 [20]유목민들의 도움으로 빠르게 통치를 재건할 수 있었던 프라아테스 4세를 잠시 전복시켰습니다.티리다테스는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 중 한 명을 데리고 로마로 도망쳤습니다.기원전 20년에 행해진 협상에서, 프라아테스 4세는 납치된 아들의 석방을 주선했습니다.그 대가로, 로마인들은 기원전 53년에 카르해에서 빼앗긴 군단병 기준과 살아남은 [21]전쟁 포로들을 받았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이 교환을 [22]왕자를 되찾기 위해 지불해야 할 작은 대가로 보았습니다.아우구스투스는 표준의 반환을 파르티아에 대한 정치적 승리로 환영했습니다; 이 선전은 새 동전의 주조, 표준을 보관하기 위한 새로운 신전의 건설, 심지어 프리마 포르타의 [23]아우구스투스 상의 가슴판 장면과 같은 예술에서 축하되었습니다.
왕자와 함께, 아우구스투스는 프라아테스 4세에게 이탈리아 노예 소녀 무사를 주었고, 그는 빠르게 여왕이 되었고 프라아테스 4세의 총애를 받아 프라아테스 [24]5세를 낳았습니다.Emma Strugnell (2008)은 아우구스투스가 무사를 보내기로 한 것은 정보를 얻거나 파르티아 왕이 로마인들에게 [25]유리하도록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였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습니다.그녀는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잠재적으로 파르티아를 로마 [26]속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파르티아에 대한 징벌적 침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아브로마의 양피지에 따르면, 프라아테스 4세는 그 당시에 이미 적어도 네 명의 다른 왕비들을 두었다고 합니다.올렌니에르, 클레오파트라, 베이시르타, 비스테이바납스.[27]
기원전 10/9년, 무사는 프라아테스 4세를 설득하여 [28]그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을 막기 위해 네 명의 맏아들(보노네스, 프라아테스, 세라스판데스, 로다스페스)을 로마로 보내도록 했습니다.다시, 아우구스투스는 이것을 파르티아가 로마에 굴복하는 것을 묘사하는 선전으로 사용했고, 그것을 그의 레 게슈타 디비 [29]아우구스티에 위대한 업적으로 나열했습니다.기원전 2년, 무사는 늙은 프라아테스 4세를 독살하고 프라아테스 5세와 함께 [30]제국의 공동 통치자로 만들었습니다.
코인에이지
프라아테스 4세와 그의 아버지 치세에, 유사한 숫자를 가진 파르티아 통치자는 미트리다테스 r.2세 (기원전 124–[31]88년)뿐으로, 동전의 생산은 절정에 달했습니다.프라아테스 4세는 그의 [32]아버지가 사용했던 것과 같은 스타일의 파르티아 동전을 대부분 유지했습니다.그의 동전의 앞면에는 짧은 머리와 수염, 그리고 보이는 [32]콧수염을 가진 그를 묘사하고 있습니다.현대 역사학자 베스타 사르코시 커티스에 따르면, 이 초상화는 이란 남서부의 바크티아리 산에서 발견되었고 [33]현재 테헤란의 이란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샤미 동상과 매우 닮았다고 합니다.그의 머리 뒤에는 왕의 [34]영광인 크바레나와 관련된 맹금이 있습니다.베레트라냐 신의 새의 상징일 수도 있는 이 새는 왕관, 화환 [34]또는 반지를 들고 있습니다.
뒷면에는 부드러운 모자를 쓰고 왕좌에 앉아 있는 궁수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커티스는 그것이 [35]페르세폴리스의 바위 부조에 묘사된 아케메네스 왕조 군주들의 왕좌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합니다.그러나 그의 동전의 다른 뒷면은 오로데스가 그리스 여신 티케에게 [32][33]셉터를 받고 있는 매장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파르티아 시대에 이란 사람들은 헬레니즘 우상화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36][37]신적인 모습을 묘사했고, 따라서 티케는 아나히타 [38]또는 아시의 표현으로 크바레나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프라아테스 4세의 주화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왕들의 동전, 아르사케스, 저스트, 은인, 엘리스티어리, [39]필헬렌."
가족
결혼
프라아테스 4세에게는 다음과 같은 [40]부인들이 있었습니다.
- 올렌니에르
- 클레오파트라
- 베이시르타
- 비스테납스
- 무사
쟁점.
- 보노네스 1세, 8살부터 12살까지의 장남이자 파르티아 왕.그 후 아르메니아의 12세부터 18세까지 왕이 되었습니다.
- 그의 장남들 중 한 명인 프라아테스는 [41]35년에 아르타바누스 2세로부터 파르티아의 왕위를 빼앗으려고 시도했습니다.
- 그의 장남들 중 하나인 세라스판데스는 로마로 보내졌고,[42] 그는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습니다.
- 그의 첫째 아들 중 한 명인 로다스페스는 로마로 보내졌고,[42] 그는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습니다.
- 카렌은 [43]이란의 7대 왕가 중 하나인 카렌 가문의 시조입니다.
- 이름 없는 딸, 다해 왕자의 아내이자 [44]아르타바누스 2세의 어머니.
- 프라타케스([45]프라테스 5세), 기원전 2년부터 기원후 4년까지 파르티아 왕.
레퍼런스
- ^ 슈미트 2005.
- ^ 기아 2016, 160페이지
- ^ Bivar 1983, 페이지 58; Brosius 2006, 페이지 96; Kennedy 1996, 페이지 80–81; Strugnell 2006, 페이지 239, 245–246 참조
- ^ a b c d Bivar 1983, 58페이지
- ^ Dąbrowa 2018, 페이지 80–81.
- ^ 보이스 & 그레나트 1991, 313페이지
- ^ Russell 1987, 125페이지; Bivar 1983, 58페이지
- ^ a b c 카시우스 디오, 49권, 24.1권
- ^ 플루타르코스 제9권 37.1절
- ^ 러셀 1987, 125페이지
- ^ Bivar 1983, 58–59페이지
- ^ Bivar 1983, 페이지 60–63; Garthwaite 2005, 페이지 80; Curtis 2007, 페이지 13; 안토니우스를 시작으로 시리아에서 상류 유프라테스로 로마의 관심 이동에 대한 분석을 위해 케네디 1996, 페이지 81 참조.
- ^ Bivar 1983, 66페이지
- ^ 롤러 2010, 페이지 99
- ^ Burstein 2004, 31페이지; Bivar 1983, 64–65페이지; Bivar 1983, 64–65페이지
- ^ Bivar 1983, 페이지 64–65.
- ^ Widengren 1986, 페이지 135–136.
- ^ 롤러 2010, 페이지 145–151.
- ^ Roller 2010, 페이지 138–151; Bringmann 2007, 페이지 304–307
- ^ Bivar 1983, 65-66페이지
- ^ Garthwaite 2005, 페이지 80; Strugnell 2006, 페이지 251–252 참조
- ^ Bivar 1983, 66-67페이지
- ^ Brosius 2006, 페이지 96–97, 136–137; Bivar 1983, 페이지 66–67; Curtis 2007, 페이지 12–13
- ^ 기아 2016, 페이지 198; 쉬프만 1986, 페이지 525–536
- ^ Strugnell 2008, 283페이지
- ^ Bigwood 2008, 283페이지
- ^ Strugnell 2008, 페이지 283 (참고 36 참조); Bigwood 2008, 페이지 244–245
- ^ Kia 2016, 페이지 198; Strugnell 2008, 페이지 284–285; Dąbrowa 2012, 페이지 173; Schippmann 1986, 페이지 525–536
- ^ Bivar 1983, 67페이지; Brosius 2006, 96–99페이지
- ^ Kia 2016, 페이지 199; Richardson 2012, 페이지 161; Bivar 1983, 페이지 68
- ^ Metcalf 2016, 284페이지
- ^ a b c Rezakhani 2013, 771페이지
- ^ a b 커티스 2012, 71페이지
- ^ a b 커티스 2016, 184페이지
- ^ 커티스 2007, 419페이지
- ^ 커티스 2012, 페이지 76–77.
- ^ 보이스 1984, 82페이지
- ^ 커티스 2012, 71페이지; 올브리히트 2016, 99페이지; 커티스 2016, 183페이지
- ^ Bigwood 2004, 60페이지
- ^ 브로셔스 2000.
- ^ Dąbrowa 2017, 페이지 175–176.
- ^ a b Strugnell 2008, 페이지 284–285.
- ^ Pourshariat 2017.
- ^ Olbrycht 2014, 페이지 94–96.
- ^ 기아 2016, 페이지 199; Dąbrowa 2012, 페이지 174
서지학
고대 작품들
근대 저작물
- Bivar, A.D.H. (1983).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99. ISBN 0-521-20092-X.
- Bigwood, J. M. (2004). "Queen Mousa, Mother and Wife(?) of King Phraatakes of Parthia: A Re-evaluation of the Evidence". Journal of the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Project Muse. 4 (1): 35–70. doi:10.1353/mou.2004.0027. S2CID 164436127.
- Bigwood, Joan M. (2008). "Some Parthian Queens in Greek and Babylonian Documents". Iranica Antiqua. 43: 235–274. doi:10.2143/IA.43.0.2024050.
- Boyce, Mary (1984).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Psychology Press. pp. 1–252. ISBN 9780415239028.
- Boyce, Mary; Grenet, Frantz (1991). Beck, Roger (ed.). A History of Zoroastrianism, Zoroastrianism under Macedonian and Roman Rule. Leiden: Brill. ISBN 978-9004293915.
- Brosius, Maria (2000). "Women i. In Pre-Islamic Persia".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cite encyclopedia}}
CS1 유지 관리: 위치에 게시자가 없습니다(링크). - Brosius, Maria (2006), The Persians: An Introduc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32089-4
- Bringmann, Klaus (2007) [2002]. A History of the Roman Republic. Translated by W. J. Smyth. Cambridge: Polity Press. ISBN 978-0-7456-3371-8.
- Burstein, Stanley M. (2004), The Reign of Cleopatra, Westport, CT: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2527-4.
- Curtis, Vesta Sarkhosh (2007). "Religious Iconography on Ancient Iranian coins". Journal of Late Antiquity. London: 413–434.
- Curtis, Vesta Sarkhosh (2012). "Parthian Coins: Kingship and Divine Glory": 67–83.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Curtis, Vesta Sarkhosh (2016). "Ancient Iranian Motifs and Zoroastrian Iconography". In Williams, Markus; Stewart, Sarah; Hintze, Almut (eds.). The Zoroastrian Flame Exploring Religion, History and Tradition. I.B. Tauris. pp. 179–203. ISBN 9780857728159.
- Dąbrowa, Edward (2012). "The Arsacid Empire". In Daryaee, Touraj (ed.).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32. ISBN 978-0-19-987575-7.
- Dąbrowa, Edward (2017). "Tacitus on the Parthians": 171–189.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Dąbrowa, Edward (2018). "Arsacid Dynastic Marriages". Electrum. 25: 73–83. doi:10.4467/20800909EL.18.005.8925.
- Garthwaite, Gene Ralph (2005), The Persians, Oxford & Carlton: Blackwell Publishing, Ltd., ISBN 978-1-55786-860-2.
- Kia, Mehrdad (2016).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BC-CLIO. ISBN 978-1610693912.
- Kennedy, David (1996), "Parthia and Rome: Eastern Perspectives", in Kennedy, David L.; Braund, David (eds.), The Roman Army in the East, Ann Arbor: Cushing Malloy Inc.,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Supplementary Series Number Eighteen, pp. 67–90, ISBN 978-1-887829-18-2
- Metcalf, William E. (2016). The Oxford Handbook of Greek and Roman Coin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72188.
- Olbrycht, Marek Jan (2014). "The Genealogy of Artabanos II (AD 8/9–39/40), King of Parthia": 92–97.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Olbrycht, Marek Jan (2016). "Dynastic Connections in the Arsacid Empire and the Origins of the House of Sāsān". In Curtis, Vesta Sarkhosh; Pendleton, Elizabeth J.; Alram, Michael; Daryaee, Touraj (eds.). The Parthian and Early Sasanian Empires: Adaptation and Expansion. Oxbow Books. ISBN 9781785702082.
- Pourshariati, Parvaneh (2017). "Kārin".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cite encyclopedia}}
CS1 유지 관리: 위치에 게시자가 없습니다(링크). - Rezakhani, Khodadad (2013). "Arsacid, Elymaean, and Persid Coinage". In Potts, Daniel T. (ed.).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Ira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33309.
- Richardson, J.S. (2012). Augustan Rome 44 BC to AD 14: The Restoration of the Republic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1954-2.
- Roller, Duane W. (2010), Cleopatra: A Biogra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6553-5.
- Russell, James R. (1987). Zoroastrianism in Armeni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68509.
- Schippmann, K. (1986). "Arsacids ii. The Arsacid Dynasty".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Vol. II, Fasc. 5. pp. 525–536.
- Schmitt, Rüdiger (2005). "Personal Names, Iranian iv. Parthian Period".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cite encyclopedia}}
CS1 유지 관리: 위치에 게시자가 없습니다(링크). - Strugnell, Emma (2006), "Ventidius' Parthian War: Rome's Forgotten Eastern Triumph", Acta Antiqua, 46 (3): 239–252, doi:10.1556/AAnt.46.2006.3.3
- Strugnell, Emma (2008). "Thea Musa, Roman Queen of Parthia". Iranica Antiqua. 43: 275–298. doi:10.2143/IA.43.0.2024051.
- Widengren, G. (1986). "Antiochus of Commagene".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Vol. II, Fasc. 2. pp. 135–136.
진일보한 내용
- Dąbrowa, Edward (2007). "The Parthian Kingship": 123–134.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Dąbrowa, Edward (2010). "Arsakes Epiphanes. Were the Arsacids Deities "Revealed"?": 223–231.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Dąbrowa, Edward (2013). "The Parthian Aristocracy: Its Social Position and Political Activity": 53–62.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Marciak, Michał (2017). Sophene, Gordyene, and Adiabene: Three Regna Minora of Northern Mesopotamia Between East and West. BRILL. ISBN 9789004350724.
- Olbrycht, Marek Jan (1997). "Parthian King's tiara - Numismatic evidence and some aspects of Arsacid political ideology". 2: 27–61.
{{cite journal}}
:저널 요구 사항 인용journal=
(도움말) - Olbrycht, Marek Jan (2015). "Arsacid Iran and the nomads of Central Asia – Ways of cultural transfer". Complexity of Interaction Along the Eurasian Steppe Zone in the First Millenium Ce, Edited by Jan Bemmann, Michael Schmauder (Bonn Contributions to Asian Archaeology, Volume 7) Bonn 2015 [Vor- und Fruhgeschichtliche Archäologie,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333–390.
- Shayegan, M. Rahim (2011). Arsacids and Sasanians: Political Ideology in Post-Hellenistic and Late Antique Per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539. ISBN 9780521766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