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다니 피
Phi Eridani관측 데이터 Epoch J2000.0 이쿼녹스 J2000.0(ICRS) | |
---|---|
별자리 | 에리다누스 |
우측 상승 | 02h 16m 30.58563s[1] |
탈위임 | −51° 30′ 43.7955″[1] |
겉보기 크기 (V) | 3.55[2] |
특성. | |
스펙트럼형 | B8IV-V[3] |
U-B색지수 | −0.38[2] |
B-V색지수 | −0.12[2] |
아스트로메트리 | |
방사 속도 (Rv) | 10.40km[4]/s |
고유 운동 (μ) | RA: +91.03[1]mas/yr Dec.: −22.23[1]mas/yr |
시차 (π) | 21.22 ± 0.12[1] 마스 |
거리 | 153.7 ± 0.9 리 (47.1 ± 0.3 pc) |
절대치수 (MV) | 0.183±0.027[5] |
세부 사항 | |
미사 | 3.55[6] M☉ |
반지름 | 3.4[7] R☉ |
루미도 | 255[8] L☉ |
표면 중력 (log g) | 4.21±0.14[6] cgs |
온도 | 13,716±466[6] K |
회전 | 0.343705[9] d |
회전 속도 (v sin i) | 시속 250km[10] |
나이 | 마이로44번길[6] |
기타 지정 | |
데이터베이스 참조 | |
심바드 | 자료 |
φ 에리다니(Phi Eridani로 라틴어화됨)는 에리다누스자리에 있는 별이다.그것은 육안으로 볼 때 겉으로 보이는 3.55의 시각적 크기로 볼 수 있다.[2]시차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항성까지의 거리는 약 154광년이다.[1]
이것은 B형 항성으로 B8의 등급이 별이다.IV-V,[3] 주계열성 및 부계열성의 특징을 나타낸다.250km/s의 예상 회전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이 회전은 별에게 극 반지름보다 17% 더 큰 적도를 가진 지운 모양을 만들어주고 있다.추정된 각도 크기는 0.68밀리리컨초입니다.[10]거리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것은 태양의 반지름의 약 3.4배의 물리적 크기를 산출한다.[7]태양 질량의 3.55배를 가지고 있으며 약 13,716K의 유효온도로 외부 대기에서 태양 광도의 255배를 방사한다.[6]
피에리다니는 86㎝의 각이 갈라진 상태에서 리히터 9의 별을 가진 넓은 이진성계를 형성할 수 있다.이 동반자는 G2V의 별 분류를 가진 G형 주계열성이다.[12]또한 육안 스타 에타 호롤로키와 육체적 연관성을 가질 수도 있다.[13]우주를 통해 공통된 움직임을 공유하는 45(±4)-Myr-Myr의 별 무리인 투카나-호롤로슘 협회의 회원이다.[5]
참조
- ^ a b c d e f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 ^ a b c d Mermilliod, J.-C. (1986),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Catalogue of Eggen's UBV Data, SIMBAD, Bibcode:1986EgUBV........0M.
- ^ a b Zuckerman, B.; Song, Inseok (2004), "Young Stars Near the Sun", Annual Review of Astronomy & Astrophysics, 42 (1): 685–721, Bibcode:2004ARA&A..42..685Z, doi:10.1146/annurev.astro.42.053102.134111.
- ^ De Bruijne, J. H. J.; Eilers, A.-C. (2012), "Radial velocities for the HIPPARCOS-Gaia Hundred-Thousand-Proper-Motion project", Astronomy & Astrophysics, 546: A61, arXiv:1208.3048, Bibcode:2012A&A...546A..61D, doi:10.1051/0004-6361/201219219, S2CID 59451347.
- ^ a b Bell, Cameron P. M.; et al. (November 2015), "A self-consistent, absolute isochronal age scale for young moving groups in the solar neighbourhoo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54 (1): 593–614, arXiv:1508.05955, Bibcode:2015MNRAS.454..593B, doi:10.1093/mnras/stv1981.
- ^ a b c d e David, Trevor J.; Hillenbrand, Lynne A. (2015), "The Ages of Early-Type Stars: Strömgren Photometric Methods Calibrated, Validated, Tested, and Applied to Hosts and Prospective Hosts of Directly Imaged Exo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804 (2): 146, arXiv:1501.03154, Bibcode:2015ApJ...804..146D, doi:10.1088/0004-637X/804/2/146, S2CID 33401607.
- ^ a b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vol. 1 (3rd ed.), Birkhäuser, ISBN 3-540-29692-1. 반지름(R*)은 다음을 통해 제공된다.
- ^ McDonald, I.; et al.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1): 343–57,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S2CID 118665352.
- ^ Barraza, L. F.; Gomes, R. L.; Messias, Y. S.; Leão, I. C.; Almeida, L. A.; Janot-Pacheco, E.; Brito, A. C.; Brito, F. A. C.; Santana, J. V.; Gonçalves, N. S.; Das Chagas, M. L.; Teixeira, M. A.; De Medeiros, J. R.; Canto Martins, B. L. (2022). "Rotation Signature of TESS B-type Stars. A Comprehensive Analysis". The Astrophysical Journal. 924 (2): 117. arXiv:2202.01022. Bibcode:2022ApJ...924..117B. doi:10.3847/1538-4357/ac3335. S2CID 246030494.
- ^ a b van Belle, Gerard T. (March 2012),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rapidly rotating stars", The Astronomy and Astrophysics Review, 20 (1): 51, arXiv:1204.2572, Bibcode:2012A&ARv..20...51V, doi:10.1007/s00159-012-0051-2, S2CID 119273474.
- ^ "phi Eri".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016-10-13.
{{cite web}}
: CS1 maint :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
- ^ Shaya, Ed J.; Olling, Rob P. (January 2011), "Very Wide Binaries and Other Comoving Stellar Companions: A Bayesian Analysis of the Hipparcos Catalogu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92 (1): 2, arXiv:1007.0425, Bibcode:2011ApJS..192....2S, doi:10.1088/0067-0049/192/1/2, S2CID 119226823.